KR20170120313A -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 Google Patents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313A
KR20170120313A KR1020160048608A KR20160048608A KR20170120313A KR 20170120313 A KR20170120313 A KR 20170120313A KR 1020160048608 A KR1020160048608 A KR 1020160048608A KR 20160048608 A KR20160048608 A KR 20160048608A KR 20170120313 A KR20170120313 A KR 20170120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frame
closing
over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장웅
김건회
이욱진
Original Assignee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주)동양공조
Priority to KR102016004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0313A/ko
Publication of KR2017012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62C2/242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with fusible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퓨즈를 구비하는 강제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PRESSURE RELIEF VENT WITH FIRE DAMPER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내부의 밀폐된 공간에서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발생시 방호구역으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실내의 보관물품이나 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진압이 실패되었을 경우 화재가 더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고, 이러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천장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클러 등의 물분무 소화설비가 일정한 압력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물을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방호공간 내의 연소면을 덮어 화재를 진압한다.
한편, 물에 의한 소화가 어려운 위험물이나 고압의 전기설비 등으로 전기의 절연성이 요구되는 대상물은 물분무 소화설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할로겐화합물계 소화약제(Halocarbon clean agent)나 불활성 가스계 소화약제(Inert gas clean agent)와 같은 청정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한다.
또한, 서고나 전산실과 같은 건물의 화재시에, 스프링클러의 소화수로 화재를 진압할 경우에 서고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이나 전산실의 시설물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관 물품에 대한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은 청정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방시설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방시설들은 소화약제의 특성상 높은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하여 건물내의 보관 물품이나 시설물이 회복 불가능하게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으므로,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과압배출구( pressure relief vent)를 설치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국가화재안전기준 NFSC 107A 제17조 참조).
이러한 과압배출구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461767호에 과압배출구가 개시되어 있다(도 1 참조). 실용신안등록 제0461767호에 개시된 과압배출구는,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허등록 제1533333호에 개시된 과압배출구는, 개폐식 블레이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퓨즈 및 이 퓨즈에 연결된 차단기구를 구비하므로써,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염이 실내로 번질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 퓨즈가 단절되면서 차단부재가 개폐식 블레이드를 강제폐쇄상태로 유지하여, 블레이드의 개방으로 인하여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61767호 및 특허등록 제1533333호에 개시된 과압배출구들은 개폐식 블레이드들이 수평 회동축에 지지되어 자중에 의한 중력에 힘으로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과압배출구가 개방되기 위하여는 실내의 압력이 블레이드의 자중에 의한 중력이상으로 상승되어야 하므로, 화재발생시 과압배출구의 작동이 지연되어 실내의 보관 물품이나 시설물이 고압의 청정소화약제에 의해 회복불가능한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한편, 특허등록 제1520651호에는, 과압배출구의 개방이 자중에 의한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서, 압력이 상승하면 개방되는 개폐판이 슬라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과압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520651호의 과압배출장치는 개폐판이 수평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벽체가 얇을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장기간 사용이 슬라이드 레일이 부식 등으로 인하여 작동불량이 발생되면 개폐판이 열리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여 개폐 도어를 신뢰성 있게 작동시킬 수 있는 과압배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여 개폐 도어를 신뢰성 있게 작동시키면서,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진압이 실패되었을 경우 화재가 더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방화댐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과압배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폐쇄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도어 폐쇄유지수단은 상기 개폐도어 및/또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기류안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퓨즈를 구비하는 강제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강제잠금장치의 잠금수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의 실외측 표면에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로드 및 상기 잠금로드를 상기 프레임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잠금로드에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기류안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기류안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개폐도어;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복수의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복수의 퓨즈를 구비하는 복수의 강제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서,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기류안내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이용하면,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여 개폐 도어를 신뢰성 있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과압배출구의 작동이 지연되어 실내의 보관 물품이나 시설물이 고압의 청정소화약제에 의해 회복불가능한 손상을 입을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를 이용하면,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여 개폐 도어를 신뢰성 있게 작동시키면서,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진압이 실패되었을 경우 화재가 더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방화댐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과압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과압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과압배출구에 압력이 작용하여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과압배출구의 개폐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과압배출구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이 구비된 과압배출구에서의 강제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강제잠금장치가 잠금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가 2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과압배출구의 풍량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과압배출구에 압력이 작용하여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과압배출구의 개폐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과압배출구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는 프레임(10), 개폐도어(20) 및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과압배출구(100)의 외곽틀을 형성하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를 벽 등에 설치할 때, 벽 등에 직접 설치되거나 벽 등에 기설치된 공조시스템의 환기구(vent)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벽에 형성된 벤트 사이즈에 맞게 상하의 가로틀과 좌우의 세로틀로 이루어지며 중앙이 관통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10)이 도시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는 프레임(10)이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른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프레임(10)은 적절한 두께의 스테인레스스틸제 금속판을 프레싱하거나 절단하여, 이 금속판들을 용접, 리벳팅 등으로 조립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도어(20)는 회동축(21)을 구비하며, 이 회동축(21)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폐도어(20)는 개방시에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평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된다. 회동축(21)은 프레임(10)의 가로틀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지만, 힌지식으로 세로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회동축(21)은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지만, 직접 프레임(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도어(20)는 스테인레스스틸제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열성을 가진 다른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개폐도어(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축(21)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회동축(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의 개폐도어(20)에서는,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상하단부에 회동축(21)이 구비되며, 이 회동축(21)에 태엽스프링(30)이 장착된다. 이 태엽스프링(30)은 개폐도어(20)가 개방될 때 감겨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권수로 감겨진 상태로 장착된다. 이 태엽스프링(30)은 서고나 전산실과 같은 보관실내의 압력이 소정 값 이상에 도달 할 때까지 개폐도어(20)를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태엽스프링(30)이 개폐도어(20)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므로, 과압배출구(100)를 통하여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가 서고나 전산실과 같은 보존공간에 설치되더라도, 이들 공간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온도, 습도, 유해기체농도, 분진농도 등의 보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가 설치된 서고나 전산실과 같은 보존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에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실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그 압력에 의해 개폐도어(20)가 개방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며, 실내의 압력이 감소하면 다시 태엽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도어(20)를 폐쇄시키므로, 소화가스에 의해 상승된 압력에 의해 실내의 보관 물품이나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개폐도어(20)에 의한 프레임(10)의 개구부의 폐쇄는 개구부의 크기보다 개폐도어(20)의 크기를 크게 하여 개구부를 실외쪽에서 덮어서 폐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에서는, 상기 개폐도어(20)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상기 탄성부재(30)에 추가하여, 상기 개폐도어(20)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 값 이하일 때에 상기 개폐도어(20)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폐쇄유지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폐쇄유지수단이 추가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계폐도어(20)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 값에 도달할 때까지 개폐도어(20)의 개방을 억제하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과 상기 도어 폐쇄유지수단의 유지력을 더한 힘이 된다.
상기 도어 폐쇄유지수단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석은 개폐도어(20) 또는 프레임(10)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개폐도어(20)와 프레임(10)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에서는, 실내쪽에서 고압이 발생하여 개폐도어(20)가 개방될 때,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도 개폐도어(20)가 잘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과압배출구(100)에서는 개구부를 통하여 실내쪽에서 실외쪽으로 흐르는 기류의 압력이 개폐도어(20)의 실내측 표면에 더 가해지도록 개폐도어(20)의 회동축(21)에 대항하는 가장자리의 실내측 표면에 세로방향으로 기류안내부재(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안내부재(22)가 개폐도어(20)에 설치되면, 실내측 표면을 따라 흐르는 기류가 기류안내부재(22)에서 저항을 받게 되며, 이 저항에 의해 개폐도어(20)를 실외측으로 개방시키는 힘이 증가하여 개폐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더 커지므로, 개폐도어(20)의 개방에 따른 개구부를 통한 실내압력의 감소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류안내부재(22)는 개폐도어(2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로방향으로 돌출되어 개폐도어(2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저항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이 구비된 과압배출구에서의 강제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강제잠금장치가 잠금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200)는 프레임(10), 개폐도어(20), 탄성부재(30) 및 강제잠금장치(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200)에서의 프레임(10), 개폐도어(20) 및 탄성부재(30)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0), 개폐도어(20) 및 탄성부재(30)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에는 구비되지 않은 강제잠금장치(50)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강제잠금장치(80)는 잠금수단(50), 연결부재(60) 및 퓨즈(70)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수단(50)는 상기 개폐도어(20)의 회동축(21)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된 브라켓(51), 상기 브라켓(5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로드(53) 및 상기 잠금로드(53)를 상기 프레임(10)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잠금로드(53)에 작용시키는 탄성부재(5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2)는 압축코일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접시스프링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0)는 그 일단이 상기 잠금수단(50)의 잠금로드(53)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와이어로프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유연성이 가진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소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0)에는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퓨즈(70)가 연결되는데, 상기 퓨즈(70)는 상기 연결부재(6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강제잠금장치(80)가 과압배출구(200)에 구비되면, 강제잠금장치(80)의 퓨즈(70)가 소정온도, 예를 들어 약 70℃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어, 잠금로드(53)를 잡아당기고 있던 힘이 해제되므로, 탄성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로드(53)가 프레임(10)쪽으로 밀려서 잠금로드(53)의 단부가 프레임(10)의 세로틀에 형성된 잠금홀(11) 안으로 삽입되어 개폐도어(20)가 강제로 폐쇄된다. 이와 같이, 방호구역내의 화재가 강력하여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진압이 실패되었을 경우, 강제잠금장치(80)의 퓨즈(70)가 고열에 의해 단절되어 개폐도어(20)가 강제로 폐쇄되므로, 실내에 고압이 발생하더라도 개폐도어(20)가 폐쇄상태에 있게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200)는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일반벽 뿐만 아니라 방화벽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방화댐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200)가 설치된 서고나 전산실과 같은 보존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에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실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그 압력에 의해 개폐도어(20)가 개방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며, 실내의 압력이 감소하면 다시 태엽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도어(20)를 폐쇄시키므로, 소화가스에 의해 상승된 압력에 의해 실내의 보관 물품이나 설비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개폐도어(20)에 의한 프레임(10)의 개구부의 폐쇄는 개구부의 크기보다 개폐도어(20)의 크기를 크게 하여 개구부를 실외쪽에서 덮어서 폐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외(예를 들어, 서고나 전산실의 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실내(예를 들어, 서고나 전산실 내)의 화재가 소화가스에 의해 진압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200)는 화재의 열기에 의해 퓨즈(70)가 단절되어, 강제잠금장치(80)의 작용으로 개폐도어(20)가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개폐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화재의 번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강제잠금장치(80)는 개폐도어(20)의 실내측 표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폐도어(20)의 실외측 표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100)가 복수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와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복수개의 과압배출구(100)로 이루어지므로, 프레임(10)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며, 복수의 외곽틀의 각각에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21)을 구비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가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개폐도어(20)에는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30)가 장착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과압배출구(100)의 개폐도어(20)의 개방방향이 서로 반대로 되도록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2개의 과압배출구(200)의 개폐도어(20)의 개방방향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과압배출구(100)가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3개 또는 그 이상의 과압배출구(100)가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200)가 복수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므로,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와 다른 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는 복수개의 과압배출구(200)로 이루어지므로, 프레임(10)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며; 복수의 외곽틀의 각각에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21)을 구비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가 복수개 구비되며; 각각의 개폐도어(20)에는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30)가 장착되며;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20)에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개폐도어를 강제로 폐쇄시키는 복수의 강제잠금장치(80)가 설치된다. 상기 강제잠금장치(80)는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복수의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복수의 퓨즈를 구비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 및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100) 및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200)에서는 개폐도어의 자중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므로, 종래기술의 과압배출구 또는 방화댐퍼기능을 갖춘 과압배출구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도 개폐도어(20)가 잘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배출구를 종래기술의 과압배출구와 비교할 때, 동일한 실내압에서의 배출풍량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특성과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특성을 비교 시험한 결과, 실내압이 50 mmAq 인 경우에, 종래기술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은 55 Cmm(m3/minute) 임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은 72 Cmm 으로서 약 30.9% 향상되며, 실내압이 90 mmAq 인 경우에, 종래기술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은 75 Cmm 임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과압배출구에서의 배출풍량은 95 Cmm 으로서 약 26.6% 향상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개폐도어
21 : 회동축 22 : 기류안내부재
30 : 태엽스프링 40 : 자석
50 : 잠금수단 51 : 브라켓
52 : 압축코일스프링 53 : 잠금로드
60 : 연결부재 70 : 퓨즈
80 : 강제잠금장치 100 : 과압배출구
200 :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Claims (8)

  1.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태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키는 도어 폐쇄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실내측 표면에는 기류안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5.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퓨즈를 구비하는 강제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잠금장치의 잠금수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로드 및 상기 잠금로드를 상기 프레임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잠금로드에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7.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배출구.
  8.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틀을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개폐도어;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복수의 개폐도어의 회동축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근에 부착되는 복수의 잠금수단, 일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표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에 연결되며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단절되는 복수의 퓨즈를 구비하는 복수의 강제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20160048608A 2016-04-21 2016-04-21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20170120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08A KR20170120313A (ko) 2016-04-21 2016-04-21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608A KR20170120313A (ko) 2016-04-21 2016-04-21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13A true KR20170120313A (ko) 2017-10-31

Family

ID=6030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608A KR20170120313A (ko) 2016-04-21 2016-04-21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3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2-03-11 주식회사 마스테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20220064696A (ko) * 2020-11-12 2022-05-19 (주)대한과학 안전 캐비닛
KR20220124858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화문장치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102604861B1 (ko) * 2022-11-10 2023-11-21 오재섭 실내 과압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배출용 댐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696A (ko) * 2020-11-12 2022-05-19 (주)대한과학 안전 캐비닛
KR20220124858A (ko) * 2021-03-04 2022-09-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화문장치
KR20230004419A (ko) * 2021-03-04 2023-01-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화문장치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2-03-11 주식회사 마스테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102604861B1 (ko) * 2022-11-10 2023-11-21 오재섭 실내 과압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배출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423989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CN111714811A (zh) 一种数据服务器分级防火装置
KR101647829B1 (ko) 과압 배출 댐퍼
KR101744199B1 (ko) 과압용 자동개폐 덮개장치
KR200476303Y1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200493353Y1 (ko)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101754960B1 (ko)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636020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US20190038925A1 (en) Wet-dry fire extinguishing agent
JP5937288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CN212491217U (zh) 一种具有消防泄爆功能的隔声顶板
KR20140072527A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2597503B1 (ko) 양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 및 음압배출용 댐퍼
KR102505558B1 (ko)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100858024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200477355Y1 (ko) 방화댐퍼 겸용 과압 방지댐퍼
KR102241481B1 (ko) 배연 유리창
KR102604861B1 (ko) 실내 과압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배출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