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527A -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 Google Patents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527A
KR20140072527A KR1020120140145A KR20120140145A KR20140072527A KR 20140072527 A KR20140072527 A KR 20140072527A KR 1020120140145 A KR1020120140145 A KR 1020120140145A KR 20120140145 A KR20120140145 A KR 20120140145A KR 20140072527 A KR20140072527 A KR 2014007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ire
opening
overpressure
shie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윤성지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성지앤티 filed Critical (주)윤성지앤티
Priority to KR102012014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2527A/ko
Publication of KR2014007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내부 밀폐 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고, 화재 진압 실패시 덕트를 폐쇄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며 실내에 소정 압력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개방하고 과압이 해소되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판, 실내가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차폐판이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납봉인에 의해 억압되어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납봉인이 녹아 파손되어 탄성체에 대한 억압이 해소됨으로써 탄성체가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A Fire Damper Integrated Back Draft Damper}
본 발명은 화재시 내부 밀폐 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고, 화재 진압 실패시 덕트를 폐쇄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여 가스계 소화설비가 작동하였을 때 소화약제 방출에 의해 과도하게 높아진 실내의 압력을 낮추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 진화가 실패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산소가 유입되어 화재가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덕트를 폐쇄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규모가 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의 내장재 등이 연소하여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유독가스는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과 인명 구조작업에 큰 지장을 가져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화재신호에 대응하여 건물 내부에 구비된 천장의 스프링클러 등의 소화설비가 작동하여 방호공간의 연소면을 안개와 같은 입자의 물로 덮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러나 물에 의한 소화가 어려운 유류, 화공물질 등의 위험물, 절연성이 요구되는 전기설비 등이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물을 분사하는 소화시설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가스(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등의 불활성 가스)를 가스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화재를 소화한다.
다만, 이러한 소화설비는 그 특성상 고압의 압력으로 연소반응 억제 가스를 방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재시 밀폐된 방호구역 공간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건물 내부 구조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화재안전기준에서도,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의 방호구역에 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과압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과압배출구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461767호의 과압 배출구와 같은 블레이드 타입의 과압배출구를 사용하여 왔다. 이는 블레이드의 자중을 이용하여 실내의 압력이 낮을 때에는 블레이드가 자중에 의해 내려가 닫힌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압력이 높아져 실내압이 블레이드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자중보다 커지면 블레이드가 들려서 내부의 과압 가스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과압배출구는 화재 진압이 실패하여 화재가 진행됨에 따라 실내의 공기와 가스가 가열되어 고압이 되었을 때에도 열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히려 산소가 과압배출구를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재공급되어 화재를 키우고, 과압배출구를 통해 불길이 빠져나가 화재가 번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평상시에는 환기통으로 사용되도록 열려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닫혀 외기와 실내를 차단하고 불길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실용신안공보 제1988-9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화 댐퍼 역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화 댐퍼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차폐판이 닫히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며 차폐판이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납고리를 사용하여 차폐판을 열린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차폐판이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실내의 온도가 높아져 납고리가 녹는 등 파손되면 차폐판을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하던 구성이 없어지게 되어 차폐판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과압배출구와 방화 댐퍼는 하나의 건물에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 즉 과압배출구는 화재시 실내에 소화약제를 배출할 때 소화약제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약제가 배출되면서 실내 구조물이 파손될 정도로 실내 압력이 높아졌을 때 그러한 과압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이 되어야 하는 구성인 반면, 방화 댐퍼는 평상시 환기를 위해 항상 열려 있다가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구를 차폐하는 구성인바, 이들을 하나의 건물에 사용하게 되면 화재시 소화약제를 배출할 때 소화약제가 바로 방화 댐퍼를 통해 배출되어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 진압의 효과를 볼 수 없고, 마찬가지로 화재 진압이 실패한 후 실내와 실외 공간이 차단되어야 하는 시기에는 과압 배출구가 가열된 실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자꾸 열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들 과압배출구와 방화댐퍼를 하나의 개구에 직렬로 설치하면, 화재시 소화약제를 배출할 때 과압배출구의 블레이드가 차폐를 하다가 과압이 발생하였을 때에만 과압을 배출하게 되고, 소화약제에 의한 화재 진압이 실패하였을 때에는 가열된 실내 공기의 온도에 의해 방화 댐퍼의 납고리가 녹아 파손되어 차폐판이 닫히게 되므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하나의 개구에 직렬로 두 장치를 설치하면,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방화 댐퍼로서는 평상시에 환기구로 사용한다는 용도를 포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두 가지 장치를 위해 비용을 모두 지불하면서도 하나의 장치는 그 기능을 활용할 수 없어 낭비적인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벽체의 두께가 상기 두 장치를 직렬로 설치할만할 만큼 두껍지 않아 이를 설치하기도 어렵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61767호 실용신안공보 제1988-9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과압 배출구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화재 진압이 실패하였을 때 과압 배출구가 방화 댐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본체(10),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며 실내에 소정 압력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개방하고 과압이 해소되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판, 실내가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차폐판이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70)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체는 납봉인(50)에 의해 억압되어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납봉인(50)이 녹아 파손되어 탄성체에 대한 억압이 해소됨으로써 탄성체가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차폐판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 내에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폐판은 축부재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탄성체는 차폐판의 상부를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체는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차폐판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타단은 납봉인(50)에 의해 연결되는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62)에 의해 눌린 상태로 고정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인,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차폐판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분할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판들은 서로 연동하여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압배출구의 기능을 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방화 댐퍼의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과 설치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부재의 상부로도 차폐판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고, 탄성체가 이를 실내측에서 가압하여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납봉인이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측의 온도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으므로, 방화 댐퍼로서 기능하는 시점을 제어하고 설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여 매우 컴팩트하게 탄성체를 압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장치 자체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복수의 차폐판이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차폐판에만 탄성체가 가압력을 제공하더라도 모든 차폐판이 차폐작동을 하도록 할 수 있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평상시 상태의 측면 단면도(와이어와 납봉인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음),
도 3은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가 실내의 과압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와이어와 납봉인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음),
도 4는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가 화재 진압이 실패하였을 때 방화 댐퍼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와이어와 납봉인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음),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기능부가 작동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방화 댐퍼 기능부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구성 중 과압의 배출과 관련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평상시 상태의 측면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가 실내의 과압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과압 배출구는 벽체의 개구에 삽입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프레임본체(10)를 포함한다. 프레임본체(10)는 벽체의 개구에 관통 삽입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덕트프레임(11), 벽체의 실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의 실내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실내프레임(14), 벽체의 실외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덕트프레임의 실외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실외프레임(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덕트프레임(11)의 개구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차폐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폐판을 2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덕트프레임의 개구 내에서 상측에 제1차폐판(20)을 설치하고 하측에 제2차폐판(30)을 설치하였다. 제1차폐판(20)과 제2차폐판(30)은 각각 제1축부재(22)와 제2축부재(3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축부재(22)와 제2축부재(32)는 덕트프레임(11)의 외측에 위치하고 각각 그 축이 덕트프레임을 관통하여 제1차폐판(20) 및 제2차폐판(30)에 연결되어 있다. 축부재와 차폐판은 일체로 거동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어, 차폐판이 회전하면 덕트프레임(11) 외측에 위치한 축부재 역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축부재와 차폐판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구성한 것은 후술할 방화 댐퍼 기능을 수행할 때 이들을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덕트프레임 내에 하나의 차폐판만을 설치하는 등 복수의 차폐판을 연동할 필요가 없거나 후술할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연동하고자 할 때에는 굳이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와 차폐판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20,30) 상에서 축부재(22,32)는 차폐판의 상측에 치우쳐 설치된다. 이는 평상시 축부재(22,32)를 기준으로 그 하부의 무게를 상부의 무게보다 더욱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축부재의 하부가 항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향하여 차폐판이 차폐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차폐판 하부의 길이가 상부의 길이보다 길어야만 자중에 의해 작동하는 것은 아니며, 무게추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 차폐판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상부 차폐판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보다 크도록 하면 자중에 의해 차폐판이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자중에 의해 차폐판이 닫히도록 한 과압 배출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판이 차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차폐판을 차폐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힘을 탄성력 등에 의해 제공하는 다른 동작 방식의 과압 배출구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화재 발생 시 실내에 소화약제가 분사되어 압력이 상승하면, 실내(도 2와 도 3에서 프레임본체(10)를 기준으로 좌측)의 공기압력이 차폐판(20,30)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축부재를 기준으로 차폐판 하부의 면적이 상부의 면적보다 크므로 하부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폐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차폐판이 열리면 실내의 과압이 해소될 수 있고, 과압이 해소된 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차폐판이 닫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프레임(11)의 하면에는 걸림턱(12)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제2차폐판(30)의 닫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제1차폐판(20)의 경우 닫힘 위치의 규제는 제1차폐판(20)의 하단과 제2차폐판(30)의 상단의 간섭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제1차폐판(20)의 상단과 덕트프레임(11)의 상면 표면의 간섭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 등의 위치 규제 수단은 가령 실외의 압력이 실내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 차폐판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짐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의 구성 중 과압의 배출과 관련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가 화재 진압이 실패하였을 때 방화 댐퍼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기능부가 작동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방화 댐퍼 기능부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의 실내프레임(14)에는 덕트프레임(11)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프레임(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프레임(15)의 내면에는 탄성체(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70)는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이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압축된 상태로 있어 제1차폐판(20)의 개폐동작에 영향을 주지 아니하며, 다만 소화약제 배출 후에도 화재가 진압되지 아니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에 의해 신장하면서 제1차폐판(20)의 제1축부재(22) 상부를 밀어 차폐판을 차폐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덕트의 차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먼저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탄성체는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이러한 압축코일스프링의 넓은 직경 쪽 단부는 돌출프레임(15)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좁은 직경 쪽 단부는 제1차폐판의 제1축부재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프레임(15)의 제1결속부(16)와 제2결속부(17)에 결속되어 있는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62)가, 상기 탄성체(70)를 압축한 상태로 그 상단부(좁은 직경 쪽 단부)를 압축 방향으로 지지한 채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62)는 납봉인(50)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납봉인(50)에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가 연결된 부분 사이로 두께가 얇거나 함몰된 형상을 한 연약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탄성체(70)가 와이어들(60,62)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가 제1차폐판(20)의 회동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는바, 이는 일반적인 압축코일스프링보다 압축 상태를 더욱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탄성체를 제1차폐판에 가깝게 설치하면서도 회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컴팩트하게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고 소화약제 배출 후에도 화재가 진압되지 아니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온도에 의해 납봉인(50)의 연약부(52)가 녹아 끊어져 제1와이어(60)와 제2와이어(62)의 연결이 끊김으로써 탄성체(70)에 대한 구속이 없어지므로, 탄성체(70)가 신장하면서 제1차폐판(20)을 차폐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폐판(20)이 차폐 위치에서 탄성체의 탄성력을 받아 고정된다.
이 때 제1차폐판(20)이 차폐방향으로 움직여 고정될 때, 제1차폐판(20)과 연동하는 제2차폐판(30) 역시 고정되며, 이러한 연동은 연동부재(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덕트프레임(11) 외측에서 제1차페판(20)과 제2차폐판(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축부재(22)와 제2축부재(32)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판의 형상이며, 제1축부재(22)와 제2축부재(32)는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연동부재(40)의 양단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차페판(20)과 제2차폐판(30)은 각각 제1축부재(22) 및 제2축부재(32)와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스프링이 제1축부재(22)의 상부를 가압하면, 제1차폐판(20)이 차폐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축부재(22)와 연동부재(40)로 링크 연결되어 있는 제2축부재(32) 역시 회전력을 받아 제2차폐판(30)이 함께 차폐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연동부재를 설치하면, 복수의 차폐판 중 하나의 차폐판에만 탄성체에 의해 폐쇄력을 가하더라도 모든 차폐판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축부재의 상부로도 차폐판이 연장 형성되도록 한 것은, 납봉인을 포함하는 탄성체가 차폐판을 기준으로 실내측에 배치되어 실내측의 온도에 적절히 반응하여 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기술로서 설명한 등록실용신안 제461767호와 같이 회전축 아래로만 차폐판이 연장 형성되도록 하면 스프링을 차폐판보다 실외측에 설치하여야만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탄성체가 차폐판을 밀어줄 수 있게 설계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구조는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납봉인이 적절히 반응하게 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체가 압축코일스프링이고 이것이 프레임본체 상에 설치되어 차폐판을 가압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탄성체가 봉인되어 있다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봉인이 해제되어 탄성체가 차폐판을 가압하는 다른 방식, 가령 축부재에 토션스프링이 축설치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프레임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탄성이 억압된 상태에서 납봉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온도가 상승하여 납봉인이 파손되면서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차폐판을 밀어주는 방식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압배출구의 기능을 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방화 댐퍼의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부피가 커지지 않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과 설치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0: 차폐판 12: 브라켓 14: 지지부재 20: 레일 30: 가이드부
32: 롤러 34: 안내공 40: 실외측프레임바디 42: 덕트판
44: 고정판 46: 외면판 48: 스토퍼홀 50: 탄성력제공부
52: 프레임바디측 지지체 54: 레일측 지지체 56: 탄성부재
60: 실내측프레임바디 62: 덕트판 64: 고정판 66: 외면판
70: 스토퍼핀 72: 플랜지 74: 탄성체 76: 와이어 78: 휴즈블링크
80: 그릴 W: 벽체

Claims (6)

  1. 벽체의 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며 실내에 소정 압력 이상의 과압이 발생할 때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개방하고 과압이 해소되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차폐판; 및
    실내가 소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차폐판이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납봉인에 의해 억압되어 퇴피된 상태로 있다가, 실내의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상기 납봉인이 녹아 파손되어 탄성체에 대한 억압이 해소됨으로써 탄성체가 상기 차폐판이 차폐되는 방향으로 상기 차폐판을 이동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 내에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축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폐판은 축부재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며,
    상기 탄성체는 차폐판의 상부를 가압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차폐판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타단은 납봉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의해 눌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은 원뿔대 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개구를 분할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판들은 서로 연동하여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20120140145A 2012-12-05 2012-12-05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20140072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45A KR20140072527A (ko) 2012-12-05 2012-12-05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45A KR20140072527A (ko) 2012-12-05 2012-12-05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27A true KR20140072527A (ko) 2014-06-13

Family

ID=511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45A KR20140072527A (ko) 2012-12-05 2012-12-05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25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0976A (ja) * 2018-07-20 2020-01-2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防火ダンパ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0976A (ja) * 2018-07-20 2020-01-2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防火ダンパ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US3990464A (en) Heat-responsive duct clo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CN111714811A (zh) 一种数据服务器分级防火装置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264862B1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KR20140072527A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101647829B1 (ko) 과압 배출 댐퍼
CN219128102U (zh) 一种天然气管道用阻火器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JP6829481B2 (ja) ダンパー開閉器
CN110556720B (zh) 一种可升降的弱电箱及弱电井
CN210838545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低压开关柜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CN217823927U (zh) 一种集成型变压器房
KR101057454B1 (ko) 소방기능이 보강된 지중전선 인입배전함
KR102449100B1 (ko) 소화장치
KR200395411Y1 (ko) 가스소화설비용 자동폐쇄장치
RU23513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занавес
CN218818408U (zh) 一种空调系统防火阀阻燃装置
KR102300165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