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651B1 -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651B1
KR101520651B1 KR1020130151501A KR20130151501A KR101520651B1 KR 101520651 B1 KR101520651 B1 KR 101520651B1 KR 1020130151501 A KR1020130151501 A KR 1020130151501A KR 20130151501 A KR20130151501 A KR 20130151501A KR 101520651 B1 KR101520651 B1 KR 10152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se
opening
temperat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윤성지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성지앤티 filed Critical (주)윤성지앤티
Priority to KR1020130151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화재로 인한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개폐판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 설치되므로, 실내의 압력이 과압이 아닌 경우에는 프레임의 유로가 안정되게 폐쇄되고,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과압일 경우에는 프레임의 유로가 개방되므로, 가스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재의 진압을 실패하여 실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개폐판이, 폐쇄/지지유닛에 의하여, 프레임의 유로를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판이, 폐쇄/지지유닛에 지지되어, 프레임의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화재의 진압을 실패하였을 경우, 프레임의 유로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Apparatus For Discharging And Shutting Off Overpressure}
본 발명은, 화재시, 방출된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가스에 의하여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가스를 배출시켜고, 진화(鎭火)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의 내장재 등이 연소하므로 대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그런데, 유독가스는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작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화재발생신호에 대응하여 건축물에 구비된 스프링쿨러 등의 소화설비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러나, 유류, 화학물질 및 전기설비 등은 스프링쿨러에서 분사되는 물로 소화하기 어려우므로,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할로겐 화합물계 소화약제(Halocarbon Clean Agent)나 불활성 가스계 소화약제(Inert Gas Clean Agent)와 같은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작업을 한다.
그리고, 건측물에는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배관 등과 같은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소화약제용 소화설비는, 그 특성상, 고압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므로, 방호구역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방호구역이 소화약제를 포함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화재안전기준에서는 방호구역이 과압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압 배출장치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767호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과압 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과압 배출구(1)는 장방형의 프레임(1a), 프레임(1a)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1b), 블레이드(1b)를 회전시켜 과압 배출구(1)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구동원(1d)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압 배출구(1)는 블레이드(1b)가 압력 배출 유로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과압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과압 배출구(1)는 블레이드(1b)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1d)이 필요하고, 구동원(1d)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력차 및 자중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승강하면서 배출구를 개폐하는 과압 배출구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블레이드의 자중에 의해서는 배출구가 완전하게 폐쇄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화재 진압의 실패로 인하여, 방호구역의 가스가 가열되어 고압이 되어도 배출구가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공기가 방호구역으로 유입되어 화재를 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구역의 과압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재 진압이 실패한 경우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유로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벽체에 관통 설치되며,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실외측 상기 프레임의 단부측에 탄성 지지 설치되어, 실내의 압력이 소정 미만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고,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며, 화재로 인한 실내의 온도가 제1온도 이상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개폐판; 실내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상이면 상기 개폐판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가 폐쇄되게 한 후, 상기 개폐판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폐쇄/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개폐판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 설치되므로, 실내의 압력이 과압이 아닌 경우에는 프레임의 유로가 안정되게 폐쇄되고,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과압일 경우에는 프레임의 유로가 개방되므로, 가스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재의 진압을 실패하여 실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개폐판이, 폐쇄/지지유닛에 의하여, 프레임의 유로를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판이, 폐쇄/지지유닛에 지지되어, 프레임의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화재의 진압을 실패하였을 경우, 프레임의 유로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3a는 프레임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프레임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외측 프레임 부위의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요부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3a는 프레임의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프레임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벽체(50)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는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일측은 실내와 연통되고 타측은 실외와 연통된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유로(110a)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을 벽체(5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은 실내측에서 삽입되는 실내측 프레임(111)과 실외측에서 삽입되는 실외측 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벽체(50)의 내부에 위치되는 실내측 프레임(111)의 단부측과 실외측 프레임(115)의 단부측은 상호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실내측 프레임(111)과 실외측 프레임(115)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내측 프레임(111)은 벽체(50)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측관(111a), 실내를 향하는 내측관(111a)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벽체(50)와 대략 평행을 이루는 제1벤딩테(111b), 제1벤딩테(111b)의 단부에서 벤딩 형성되며 내측관(111a)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제2벤딩테(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벤딩테(111c)는 벽체(50)와 접촉하여 내측관(111a)이 벽체(50)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벤딩테(111c)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벤딩테(111b)가 벽체(50)와 접촉하여 내측관(111a)이 벽체(50)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외측 프레임(115)은 벽체(50)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측관(115a), 실외를 향하는 내측관(115a)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벤딩 형성되며 벽체(50)와 대략 평행을 이루는 제1벤딩테(115b), 제1벤딩테(115b)의 단부에서 벤딩 형성되며 내측관(115a)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제2벤딩테(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 프레임(115)의 내측관(115a), 제1벤딩테(115b) 및 제2벤딩테(115c)는 실내측 프레임(111)의 내측관(111a), 제1벤딩테(111b) 및 제2벤딩테(111c)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재시 발생하는 소화약제를 포함한 가스가 실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벤딩테(111c)(115c)가 없는 경우에는 제1벤딩테(111b)와 벽체(50) 사이 및 제1벤딩테(115b)와 벽체(5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고, 제2벤딩테(111c)(115c)가 있는 경우에는 제2벤딩테(111c)와 벽체(50) 사이 및 제2벤딩테(115c)와 벽체(50)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실내측 프레임(111)의 내측관(111a)의 타단부측과 실외측 프레임(115)의 내측관(115a)의 타단부측은 상호 삽입 결합된다. 이때, 실내측 프레임(111)의 내측관(111a)의 타단부측이 실외측 프레임(115)의 내측관(115a)의 타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실외측 프레임(115)의 내측관(115a)의 타단부측이 실내측 프레임(111)의 내측관(111a)의 타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호 겹쳐진 내측관(111a)과 내측관(115a)의 부위는 나사, 리벳 또는 압입 등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실내측 프레임(111)과 실외측 프레임(115)은 두께 1.6mm 이상의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실내측을 향하는 부위인 실내측 프레임(111)의 제1벤딩테(111b)가 형성된 내측관(111a)의 일단부측에는 그릴(12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릴(120)은 실내측에서 사람이 프레임(11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릴(120)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내측관(111a)의 내면에는 그릴(120)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테(113)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로 진화하기 어려운 화재는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소화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소화작업을 한다. 그런데, 유독가스와 소화약제를 포함한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방호구역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110)에는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폐하는 개폐판(130)이 설치되고, 개폐판(130)은 방호구역의 실내 압력이 소정 이상되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방한다.
개폐판(130)은 실외측을 향하는 부위인 실외측 프레임(115)의 제1벤딩테(115b)가 형성된 내측관(115a)의 일단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개폐판(130)은 정상적인 상태인 실내의 압력이 소정 미만이면 실외측 프레임(115)의 유로(110a)를 포함하는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하고, 화재 발생 상태인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이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방한다. 내측관(115a)의 내면에도 개폐판(130)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테(117)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판(130)은 탄성부재(140)에 지지되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폐하며, 탄성부재(140)의 일측 및 타측은 실내측 프레임(111) 및 개폐판(1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스에 의하여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 되면, 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넘어서게 된다. 그러면, 개폐판(130)이 실외측 프레임(115)의 외측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프레임(110)의 유로(110a)가 개방되는 것이다. 가스에 압력에 따른 프레임(110)의 유로(110a)가 개방되는 시기는 탄성부재(140)의 탄성계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개폐판(130)은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폐한다. 개폐판(130)이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실외측 프레임(115)의 내면 및 개폐판(130)의 측면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개폐판(130)의 직선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지지레일(151) 및 제2지지레일(155)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레일(151) 및 제2지지레일(155)에 의하여 개폐판(130)이 안정되게 직선운동한다.
탄성부재(140)의 일측 및 타측은 제1지지레일(151) 및 제2지지레일(155)에 각각 지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개폐판(130)이 탄성부재(140)에 의하여 탄성 지지 설치되므로, 실내의 압력이 과압이 아닌 경우에는 프레임(110)의 유로(110a)가 안정되게 폐쇄되고,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의 과압일 경우에는 프레임(110)의 유로(110a)가 개방된다.
화재의 진화(鎭火)를 위하여 소화약제 등을 방출하였음도 불구하고, 화재의진화를 실패할 수가 있다. 그러면, 실외의 공기가 프레임(110)을 통하여 화재가 진행중인 실내로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의 화재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의 개폐판(130)은 화재의 진화를 실패하여 실내의 온도가 제1온도 이상이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한다.
개폐판(130)은, 폐쇄/지지유닛(160)에 의하여, 실내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상이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판(130)은, 폐쇄/지지유닛(160)에 지지되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폐쇄/지지유닛(160)에 대하여,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외측 프레임 부위의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지지유닛(160)은 제1브라켓(161), 제1휴즈(163), 제1연결부재(165) 및 제1탄성부재(1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161)은 실외측 프레임(115) 또는 실내측 프레임(111)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제1휴즈(163)는 상단부측인 일측이 제1브라켓(161)에 지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온도 이상이 되면, 대략 자신의 중앙부측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이 분리된다. 제1휴즈(163)는 납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측의 두께가 다른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1온도 이상이 되면, 제1휴즈(163)의 중앙부측이 먼저 용융되므로, 제1휴즈(163)는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된다.
와이어 등으로 마련된 제1연결부재(165)는 일측이 개폐판(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브라켓(161)에 지지되지 않은 제1휴즈(163)의 하단부측인 타측과 연결된다. 개폐판(130)이 실외측 프레임(115)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제1연결부재(165)의 길이가 제1브라켓(161)과 개폐판(130)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제1탄성부재(167)는 일측은 제1브라켓(161)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1연결부재(165)의 타측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제1탄성부재(167)는, 제1휴즈(163)가 분리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로 수축되면서 제1연결부재(165)를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당긴다. 그러면, 실내의 과압에 의하여 실외측 프레임(115)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개방하고 있는 개폐판(130)이, 실내측 프레임(115)으로 이동하므로, 프레임(110)의 유로(110a)가 폐쇄되는 것이다.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하는 개폐판(130)은 제1탄성부재(167)의 탄성력에 의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제1탄성부재(167)가 개폐판(130)을 실내측 프레임(115)으로 당길 수 있기 위해서는, 제1탄성부재(167)의 탄성력과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의 합이 실내의 과압을 이길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제1브라켓(161)에는 관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161a)을 기준으로 제1브라켓(161)의 상측 부위에 제1휴즈(163)의 상측 부위가 지지되고, 제1브라켓(161)의 하측 부위에 제1탄성부재(167)의 일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휴즈(163)의 중앙부측 및 하측 부위는 관통공(161a)과 대향하면서 제1브라켓(161)에 지지되지 않고, 제1연결부재(165)의 타측 부위는 관통공(161a)을 통과하여 제1휴즈(163)의 하측 부위 및 제1탄성부재(167)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161a)과 인접하는 제1브라켓(161)의 부위에는 안내편(161b)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편(161b)은 제1휴즈(163)가 분리되어 제1탄성부재(167)에 의하여 제1연결부재(165)가 관통공(161a)을 통과할 때, 제1연결부재(165)가 관통공(161a)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는 화재의 진압을 실패하여 실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개폐판(130)이, 폐쇄/지지유닛(160)에 의하여,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한다. 그리고, 개폐판(130)이, 폐쇄/지지유닛(160)에 지지되어,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프레임(110)의 유로(110a)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절개 요부 사시도로서, 도 4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의 프레임(210)의 실외측 프레임(215) 및 개폐판(230)에는 실내의 온도가 전술한 상기 제1온도 보다 높은 제2온도에 도달하면, 프레임(210)의 유로(210a)를 폐쇄하는 개폐판(230)을 더욱 지지하는 지지유닛(27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270)은 제2휴즈(271), 제2연결부재(273), 스토퍼핀(275), 제2브라켓(277) 및 제2탄성부재(2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휴즈(271)는 전술한 제1휴즈(163)와 같이 납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측을 다른 부위 보다 얇게 형성하여,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양측이 분리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휴즈(271)가 제1휴즈(163) 보다 고온에서 분리되게 하기 위해서는, 제2휴즈(271)의 중앙부측 두께를 제1휴즈(163)의 중앙부측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하거나, 용융점이 상호 상이한 재질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와이어 등으로 마련된 제2연결부재(273)는 제2휴즈(271)의 일측 및 타측에 일측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스토퍼핀(275)은 제2연결부재(273)의 타측에 일측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277)은 개폐판(230)의 상단부측 및 하단부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277)의 내부에는 스토퍼핀(275)의 타측 부위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279)는 일측은 제2브라켓(277)에 지지되고 타측은 스토퍼핀(275)에 지지된다. 그리하여, 제2탄성부재(279)는, 제2휴즈(271)가 분리되면, 스토퍼핀(275)의 타단부측이 제2브라켓(277)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프레임(210)에 형성된 지지공(210b)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한다.
그러므로, 스토퍼핀(275)이 프레임(210)의 지지공(210b)에 삽입되어 걸리므로, 개폐판(230)은 프레임(210)의 유로(210a)을 더욱 안정적으로 폐쇄한다.
제2브라켓(277)에 스토퍼핀(275)의 타측 부위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프레임
120: 그릴
130: 개폐판
160: 폐쇄/지지유닛

Claims (7)

  1. 벽체에 관통 설치되며,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형성하는 프레임;
    실외측 상기 프레임의 단부측에 탄성 지지 설치되어, 실내의 압력이 소정 미만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고, 실내의 압력이 소정 이상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개방하며, 화재로 인한 실내의 온도가 제1온도 이상이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개폐판;
    실내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이상이면 상기 개폐판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가 폐쇄되게 한 후, 상기 개폐판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지지하는 폐쇄/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지지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 설치된 제1브라켓;
    일측이 상기 개폐판과 연결된 제1연결부재;
    일측은 상기 제1브라켓에 지지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온도 이상이 되면 자신의 일측과 타측이 분리되는 제1휴즈;
    일측은 상기 제1브라켓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휴즈가 분리되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가 상기 개폐판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판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브라켓의 일측 부위에 제1휴즈의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타측 부위에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이 지지되며,
    제1휴즈의 타측은 상기 관통공과 대향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타측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과 대향하는 상기 제1휴즈의 타측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인접하는 상기 제1브라켓의 부위에는, 상기 제1휴즈가 분리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할 때, 상기 제1연결부재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보다 높은 제2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유로를 폐쇄하는 상기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제2온도 이상에서 일측과 타측이 분리되는 제2휴즈;
    상기 제2휴즈의 일측 및 타측에 일측이 각각 연결된 제2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의 타측에 일측이 각각 연결된 스토퍼핀;
    상기 개폐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핀의 타측 부위가 위치되는 제2브라켓;
    일측은 상기 제2브라켓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스토퍼핀에 지지되며, 상기 제2휴즈가 분리되면, 상기 스토퍼핀의 타단부측이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공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개폐판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지지레일 및 제2지지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20130151501A 2013-12-06 2013-12-06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52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01A KR101520651B1 (ko) 2013-12-06 2013-12-06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01A KR101520651B1 (ko) 2013-12-06 2013-12-06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651B1 true KR101520651B1 (ko) 2015-05-15

Family

ID=5339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501A KR101520651B1 (ko) 2013-12-06 2013-12-06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6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99B1 (ko) * 2015-08-28 2017-06-09 (주)미도이앤씨 과압용 자동개폐 덮개장치
KR101754960B1 (ko) * 2015-09-22 2017-07-06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887505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7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20210000124U (ko) 2019-07-08 2021-01-18 유병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646U (ko) * 2010-01-26 2011-08-03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KR20130111733A (ko) * 2012-04-02 2013-10-11 문창효 과압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646U (ko) * 2010-01-26 2011-08-03 (주)디.에스.인더스트리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KR20130111733A (ko) * 2012-04-02 2013-10-11 문창효 과압배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99B1 (ko) * 2015-08-28 2017-06-09 (주)미도이앤씨 과압용 자동개폐 덮개장치
KR101754960B1 (ko) * 2015-09-22 2017-07-06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887505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7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20210000124U (ko) 2019-07-08 2021-01-18 유병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200493353Y1 (ko) * 2019-07-08 2021-03-16 유병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0981725B1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JP6284387B2 (ja) 電池キャビネットの消火設備
KR101423989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KR20210123751A (ko) 위험물 보관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CN208574147U (zh) 一种灭火器箱
CN111714811A (zh) 一种数据服务器分级防火装置
KR101264862B1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KR200493353Y1 (ko)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101972103B1 (ko) 복합형 차단장치
KR20170022370A (ko) 샌드위치 패널용 소화장치
KR200476303Y1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JPH0757474B2 (ja) 防災対策形清浄作業台
JP2016176793A (ja) 環境試験装置
KR101487899B1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CN112843540A (zh) 一种机房能耗自动化检测调节设备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102604861B1 (ko) 실내 과압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배출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