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103B1 - 복합형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103B1
KR101972103B1 KR1020170007082A KR20170007082A KR101972103B1 KR 101972103 B1 KR101972103 B1 KR 101972103B1 KR 1020170007082 A KR1020170007082 A KR 1020170007082A KR 20170007082 A KR20170007082 A KR 20170007082A KR 101972103 B1 KR101972103 B1 KR 10197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ylinder
duct
closing memb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727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한백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백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한백에프앤씨
Publication of KR20170095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8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pneuma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복합형 차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화재 발생시,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2가지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할 때, 상기 구동모듈의 실린더의 상측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개폐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형 차단장치{HYBRID SHUT OFF APPARATUS}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거나, 열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합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과 같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화재발생신호에 대응하여 실내에 설치된 소화설비가 작동하여 초기 단계의 화재를 진화(鎭火)한다.
초기 단계의 화재를 진화하기 위하여, 소화설비는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할로겐 화합물계 또는 불활성계 등과 같은 소화약제를 분사하거나, 스프링쿨러 등을 통하여 물을 분사한다.
건축물에는, 소화약제와 연기를 포함하는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차단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차단장치는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장치와 열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장치가 이중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장치와 열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장치가 각각 설치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차단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884호(2012년 07월 05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복합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를 억제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거나, 열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합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합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일측은 실내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실외측과 연통되어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덕트를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지지모듈;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덕트를 폐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며,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작용하면 끊어져서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 부위의 탄성력을 제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타측 부위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덕트가 폐쇄되게 하는 퓨즈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일측으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 공간 및 유입되지 않는 타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실린더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구획판; 일측은 상기 구획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구획판과 함께 운동하는 스크류(Screw);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측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며, 상기 스크류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를 직선운동시키는 기어;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밸브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화재 발생시,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2가지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가 작동할 때, 구동모듈의 실린더의 상측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개폐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밸브부의 관로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건축물 등에는, 초기 단계의 화재를 진화하기 위하여, 소화설비가 설치되며, 상기 소화설비는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할로겐 화합물계 또는 불활성계 등과 같은 소화약제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의 압력 및 열에 의하여 각각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덕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10)는 건축물의 환기시설 또는 벽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은 실내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실외측과 연통되어, 건축물의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킬 수 있다.
덕트(110)의 내부에는 개폐부재(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개폐부재(120)는 덕트(110)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재(120)는 덕트(11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개폐판(121)과 개폐판(121)을 이등분하는 지지축(12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125)의 양단부측은 개폐판(12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덕트(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고, 개폐판(121)은 지지축(125)을 중심으로 지지축(12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개폐판(121)이 회전하여,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면 덕트(110)가 최대로 개방되고, 수직 상태가 되면 덕트(110)가 폐쇄된다.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환기 등의 목적으로, 실내와 실외는 항상 연통되어야 한다. 정상적인 상태일 때, 개폐판(121)이 덕트(110)를 최대로 개방하는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121)를 지지하는 지지모듈(13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모듈(130)은 개폐판(121)이 덕트(110)를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개폐판(121)의 회전중심인 지지축(125)을 기준으로, 개폐판(121)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모듈(130)은 제1탄성부재(131)와 제2탄성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탄성부재(131)가 지지모듈(130)의 일측 부위이고, 제2탄성부재(135)가 지지모듈(130)의 타측 부위이다.
제1탄성부재(131)는, 지지축(125)을 기준으로, 일단부는 개폐판(121)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고, 타단부는 후술할 퓨즈(160)에 지지될 수 있다. 퓨즈(160)는 덕트(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탄성부재(135)는, 지지축(125)을 기준으로, 일단부는 개폐판(121)의 타측에 지지될 수 있고 타단부는 덕트(11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지지모듈(130)은 개폐판(121)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개폐판(121)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력과 제2탄성부재(135)의 탄성력은 균형을 유지하면서, 개폐판(121)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재(131)의 의하여 개폐판(121)이 회전되려는 방향과 제2탄성부재(135)에 의하여 개폐판(121)이 회전되려는 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부재(131)의 일단부와 제2탄성부재(135)의 일단부는, 개폐판(121)이 덕트(110)를 폐쇄하는 수직인 경우를 기준으로, 실내측를 향하는 개폐판(121)의 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121)이 덕트(110)를 개방하고 있을 때 및 개폐판(121)이 덕트(120)를 폐쇄하고 있을 때, 제1탄성부재(131)와 제2탄성부재(135)는 모두 신장(伸張)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10)가 개방되어 실내와 실외가 연통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 단계의 화재의 진화하기 위하여 상기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한 연기(이하, "가스"라 함)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덕트(110)는 차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초기 단계의 화재시, 지지모듈(130)에 지지되어 덕트(110)를 개방시키고 있는 개폐판(121)를 강제로 회전시켜 덕트(110)를 폐쇄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의 압력 또는 지지모듈(130)의 제2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듈은 덕트(110)의 외면에 설치된 실린더(141)와 실린더(141)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린더(141)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1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143)은 실린더(141)의 내부를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상측 공간과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하측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실린더(141)의 상측 부위로 고압인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유입되면, 구획판(143)은 하측으로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스크류(Screw)(145)와 기어(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45)는 구획판(143)에 연결되어 구획판(143)과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스크류(145)의 상단부는 구획판(143)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유입되지 않는 실린더(141)의 하측 공간을 통과하여 실린더(14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기어(147)는 덕트(110)에 지지된 개폐부재(120)의 지지축(125)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지축(125)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기어(147)는 스크류(145)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하여, 스크류(145)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기어(147)는 회전운동할 수 있고, 기어(147)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스크류(145)는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제1밸브부(151)와 제2밸브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밸브부(151)는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밸브부(155)는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제2밸브부(155)는 개폐부재(12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부재(120)가 회전하여 스크류(145)를 직선운동시킬 때,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개폐부재(120)가 덕트(11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1밸브부(151)는 관로(151a), 체크밸브(151b), 분기관로(151c) 및 개폐밸브(151d)를 포함할 수 있다.
관로(151a)는 일측은 상기 소화설비와 연통되고 타측은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어 소화약제가 통과할 수 있고, 체크밸브(151b)는 관로(151a)에 설치되어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관로(151c)는 체크밸브(151b)와 실린더(141) 사이의 관로(151a)의 부위에서 분기 형성될 수 있고, 개폐밸브(151d)는 분기관로(151c)에 설치되어 분기관로(151c)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밸브(151d)는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를 실린더(141)의 외측으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 분기관로(151c)를 개방할 수 있다.
제1밸브부(155)는 관로(155a)과 릴리프밸브(155b)를 포함할 수 있다.
관로(155a)는 일측은 실린더(141)의 외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과 연통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5b)는 관로(155a)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릴리프밸브(155b)는 실린더(141)의 외측 압력과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의 압력 차가 소정 이하이면 실린더(141)의 외측의 공기가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의 공기가 실린더(141)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릴리프밸브(155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55ba)과 볼(155ba)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5b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1)측에는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작용하면 끊어져서, 개폐판(121)에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력을 제거하는 퓨즈(160)가 설치될 수 있다.
퓨즈(160)는 상단부가 덕트(110)의 상면에 지지되고, 하단부에는 제1탄성부재(131)의 타단부측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화재의 진압에 실패하여, 실내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퓨즈(160)는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가 분리된다. 그러면, 개폐판(121)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력이 제거되는 것이다. 퓨즈(160)의 상측 부위와 하측 부위가 분리될 수 있도록, 퓨즈(160)의 중간 부위는 다른 부위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31)와 제2탄성부재(135)가 더욱 균형을 유지하면서 개폐판(121)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개폐판(121)측에 위치된 제1탄성부재(131)의 일단부와 제2탄성부재(135)의 일단부는 지지축(125)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측에 위치되고, 덕트(110)측에 위치된 제1탄성부재(131)의 타단부와 제2탄성부재(135)의 타단부는 지지축(121)의 길이방향 중심측과 대응되는 덕트(110)의 상면 부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폐판(121)이 제1탄성부재(131) 및 제2탄성부재(135)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덕트(110)를 개방하고 있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 단계의 화재를 진화하기 위하여, 화재를 감지한 상기 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를 방호구역으로 분사한다. 이때, 상기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일부는 실린더(141)의 상측으로도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43) 및 스크류(145)가 하강하고, 스크류(145)의 하강에 의하여 기어(147)가 회전하며, 기어(147)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축(125)이 회전한다. 그러면, 개폐판(121)이 회전하여 수직 상태가 되어 덕트(110)를 폐쇄한다. 이로 인해,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후, 화재가 진화되면,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는 분사되지 않는다. 그리고, 개폐밸브(151d)를 개방하여 실린더(141)의 소화약제를 분기관로(151c)를 통하여 실린더(14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제1탄성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판(121)이 수평 상태로 복귀되어, 최초의 상태인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는 고압이므로,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제2밸브부(155)의 관로(155a)는 릴리프밸브(155b)에 의하여 폐쇄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초기 단계의 화재 진화에 실패하면, 실내는 소정 온도 이상의 고온 상태이다. 그러면, 퓨즈(160)가 실내의 열에 의하여 끊어지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131)에서 개폐판(121)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제2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판(121)이 계속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면서 덕트(110)를 폐쇄한다.
도 2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에서 퓨즈(160)가 실내의 열에 의하여 끊어져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퓨즈(160)가 끊어지면, 제1탄성부재(131)에서 개폐판(121)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제거되므로, 제2탄성부재(135)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판(121)이 회전한다. 그러면, 개폐판(121)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145)가 상승하면서 구획판(143)을 상승시킨다. 이때,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구획판(143)이 상승하지 못하므로,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밸브부(155)의 관로(155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는, 화재 발생시, 상기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개폐부재(120)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120)가 작동하면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여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2가지 상태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열에 의하여 개폐부재(120)가 작동할 때, 상기 구동모듈의 실린더(141)의 상측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개폐부재(1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 3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160)는 개폐판(12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퓨즈(160)는, 개폐판(121)의 회전중심인 지지축(125)의 기준으로, 일단부가 개폐판(121)의 일측 부위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탄성부재(131)의 일단부가 퓨즈(160)의 타단부에 지지될 수 있고, 제1탄성부재(131)의 타단부는 덕트(11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복합형 차단장치의 덕트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 1 및 도 2와의 차이점 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220)는 복수개 마련되어, 연결링크(229)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폐부재(220)에 의하여 덕트(210)가 폐쇄되었을 때, 상호 인접하는 개폐부재(220)의 개폐판(221)의 단부측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기 위함이다. 상호 중첩되는 개폐부재(220)의 개폐판(221)의 단부측은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덕트
120: 개폐부재
130: 지지모듈
140: 구동모듈
160: 퓨즈

Claims (7)

  1. 일측은 실내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실외측과 연통되어 실내와 실외를 연통시키는 덕트;
    상기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덕트를 개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지지모듈;
    소화설비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덕트를 폐쇄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 부위에 설치되며, 소정 온도 이상의 열이 작용하면 끊어져서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일측 부위의 탄성력을 제거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타측 부위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덕트가 폐쇄되게 하는 퓨즈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듈은,
    일측으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 공간 및 유입되지 않는 타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실린더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구획판;
    일측은 상기 구획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구획판과 함께 운동하는 스크류(Screw);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측과 연결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와 맞물리며, 상기 스크류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를 직선운동시키는 기어;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밸브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밸브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모듈의 타측 부위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를 직선운동시킬 때,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덕트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부는,
    일측은 상기 소화설비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과 연통되어 소화약제가 통과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설비의 소화약제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와 상기 실린더 사이의 상기 관로의 부위에서 분기된 분기관로;
    상기 분기관로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관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는,
    일측은 실린더의 외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과 연통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 압력과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의 압력 차가 소정 이하이면 상기 실린더의 외측의 공기가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실린더의 타측 공간의 공기가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은,
    일단부는 상기 퓨즈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덕트에 지지된 제1탄성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개폐부재의 타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덕트에 지지된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덕트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이등분하는 형태로 상기 개폐판에 설치되며 양단부측이 상기 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측에 위치된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측에 위치되고,
    상기 덕트측에 위치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 중심부측과 대응되는 상기 덕트의 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일측이 상기 덕트에 지지되어 소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하여 일측과 타측이 분리되거나, 일측이 상기 개폐부재에 지지되어 소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하여 일측과 타측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복수개 마련되어 상호 연동하고,
    상기 개폐부재에 의하여 상기 덕트가 폐쇄되었을 때, 상호 인접하는 개폐부재의 단부측은 중첩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측은 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단장치.
KR1020170007082A 2016-02-15 2017-01-16 복합형 차단장치 KR10197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7129 2016-02-15
KR1020160017129 2016-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27A KR20170095727A (ko) 2017-08-23
KR101972103B1 true KR101972103B1 (ko) 2019-04-24

Family

ID=5975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82A KR101972103B1 (ko) 2016-02-15 2017-01-16 복합형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24B1 (ko) * 2020-06-16 2020-12-21 유성원 안전스톱퍼가 구비된 파이어댐퍼
KR102193492B1 (ko) * 2020-07-01 2020-12-21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회전제어구조를 갖는 과압 배출구
KR102654152B1 (ko) * 2023-10-04 2024-04-04 (주) 세기티엔씨 급배기구 화재감지 자동 폐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445B2 (ja) * 1996-04-19 1998-08-27 株式会社コーアツ 排気ダクトの閉鎖用ダンパーの駆動制御装置
JP2007020751A (ja) * 2005-07-14 2007-02-01 Shinmaywa Engineerings Ltd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1346695B1 (ko) * 2012-10-30 2013-12-31 주식회사 마스테코 소 공간용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0797A (ko) * 1975-02-07 1976-08-09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445B2 (ja) * 1996-04-19 1998-08-27 株式会社コーアツ 排気ダクトの閉鎖用ダンパーの駆動制御装置
JP2007020751A (ja) * 2005-07-14 2007-02-01 Shinmaywa Engineerings Ltd 可動ガラリおよびこれを備えた消火対象区画の消火システム
KR101346695B1 (ko) * 2012-10-30 2013-12-31 주식회사 마스테코 소 공간용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727A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103B1 (ko) 복합형 차단장치
EP3382674A1 (en) Simulator for training in environments confined and / or suspected of pollution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852535A (zh) 分离岛式地铁地下车站站厅火灾通风排烟系统和方法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CN111524409A (zh) 一种模块化可重构的真火训练设施
EP3940314B1 (de) Sicherheitsspülvorrichtung für eine wärmepumpe
US6840457B2 (en) Wet-pipe sprinkler system, method of supplying water and dealing with water leak in the sprinkler system
JP5325496B2 (ja) 不活性ガス消火設備の抜圧装置
KR20210002914A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130044993A (ko) 건물 환기 덕트의 자동 방화 댐퍼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712355B1 (ko) 특정 공간형 화재 조기 진압장치
JP6431416B2 (ja) 冷媒配管系の防火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耐火キャップの脱落防止装置および脱落防止方法
US171305A (en) Improvement in extinguishing fires in buildings
KR20170035244A (ko)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KR10206618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20120004022U (ko) 화재초기 진압장치
JP2020114533A (ja) 消火栓装置
CN202768955U (zh) 烟道防火止回阀
KR102654152B1 (ko) 급배기구 화재감지 자동 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