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24U -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 Google Patents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24U
KR20210000124U KR2020190002859U KR20190002859U KR20210000124U KR 20210000124 U KR20210000124 U KR 20210000124U KR 2020190002859 U KR2020190002859 U KR 2020190002859U KR 20190002859 U KR20190002859 U KR 20190002859U KR 20210000124 U KR20210000124 U KR 202100001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use
blocking plate
fi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53Y1 (ko
Inventor
유병규
Original Assignee
유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규 filed Critical 유병규
Priority to KR2020190002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53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판에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안내공을 형성하여 덮개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고, 퓨즈의 절단시 차단판이 하강하면서 안내공의 상부가 고정부재의 에 고정홈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덮개를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하며, 덮개를 폐쇄하는 차단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덮개를 폐쇄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외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퓨즈(40)의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100); 상기 퓨즈(4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브래킷(100)에 스프링(S)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210)을 구비하는 차단판(200); 상기 덮개(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으로 끼워져 퓨즈(40)의 절단시 안내공(210)의 상부가 끼워지는 고정홈(31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A fire and damper apparatus for overpressure exhaust}
본 고안은 화재시 내부 밀폐 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화재 진압 실패시 덮개를 폐쇄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차단판에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안내공을 형성하여 덮개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스토퍼핀을 사용하지 않고 퓨즈가 고열과 화염에 의해 녹아서 절단될 때 차단판이 하강하면서 안내공의 상부가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덮개를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하며, 덮개를 폐쇄하는 차단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덮개를 폐쇄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물이나 포말 등의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할 경우 고가의 장비나 시설물이 망실됨으로 물이나 포말 등의 소화약제로 화재 진화가 곤란한 경우에는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소화가스를 사용하는 설비로는 전기실, 변전실, 발전실, 축전실 등의 전기 시설이 밀집한 장소나, 물에 젖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문서보관실, 도서관, 전산실, 통신시설 등과, 귀중한 문화재와 보물을 보관 또는 전시하는 박물관 등의 고가의 자산을 보관하는 장소나, 가연성액체나 위험물을 보관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가스소화설비를 구비하여 화재시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가스는 불활성가스로 이산화탄소, 하론(Halon), 질소, 알곤(Ar) 등의 소화가스를 저장한 고압용기를 설치하여 화재시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고압용기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방호구역의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가스계 소화설비는 화재시 방호구역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셔터나 자동폐쇄장치 등의 외기유입차단수단을 구비하며,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소화가스는 공기 중의 불활성가스의 비중을 증가시켜 공기중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재의 질식 저온 상태로 분사되는 소화 가스는 주변을 냉각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공기는 약 21%의 산소와, 78%의 질소와, 1%의 기타 물질로 구성되며, 공기 중의 산소는 연소(산화)를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소화가스는 공기 중의 약 21%의 산소 농도를 약 15% 이하로 낮추어 화재를 질식시키며, 고압 또는 액체상태로 고압용기에 보관되던 저온의 소화가스(불활성가스)가 분사되면서 주변의 온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화재시 분사되는 불활성 소화가스는 팽창되면서 방호구역의 압력을 상승시켜 고가의 장비 및 시설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감안하여 소방법에 있어서는 과압배출구인 피압구를 구비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 1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67호에는 장방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과압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구동원을 포함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배출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블레이드가 압력 배출 유로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과압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블레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고, 구동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재 진압의 실패로 인하여 방호구역의 가스가 가열되어 고압이 되어도 배출구가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공기가 방호구역으로 유입되어 화재를 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2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520651호에는 방호구역의 과압을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재 진압이 실패한 경우에는 가스가 배출되는 유로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개폐판이 수평으로 설치된 양측 제1지지레일 및 제2지지레일에 의하여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시 제1지지레일 및 제2지지레일이 부식 등으로 인하여 작동불량이 발생되면 개폐판이 개폐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별도의 양측 제1지지레일 및 제2지지레일을 사용하여 개폐판의 전후이동을 안내하고, 별도의 스토퍼핀을 사용하여 퓨즈의 절단시 개폐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폐쇄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덮개를 폐쇄하는 차단구조가 복잡하여 비경제적으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화재 진압 실패시 덮개를 폐쇄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폐쇄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67호(등록일자 : 2012.07.31) 특허문헌 2 : 등록특허 제10-1520651호(등록일자 : 2015.05.11)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차단판에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안내공을 형성하여 덮개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스토퍼핀을 사용하지 않고 퓨즈의 절단시 차단판이 하강하면서 안내공의 상부가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덮개를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를 폐쇄하는 차단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덮개를 폐쇄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실내프레임과 실외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벽체의 피압구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실외프레임에 탄성부재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덮개; 상기 실외프레임에 설치되는 퓨즈를 구비하여 화재 진압 실패시 덮개를 폐쇄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있어서, 상기 실외프레임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퓨즈의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 상기 퓨즈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브래킷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을 구비하는 차단판; 상기 덮개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판의 안내공으로 끼워져 퓨즈가 고열과 화염에 의해 절단될 때 안내공의 상부가 끼워지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브래킷은 차단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양측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프링의 하부가 끼워지는 구멍을 구비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퓨즈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고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차단판의 상부 중앙에는 퓨즈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고리가 끼워지는 상부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판의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의 상부가 끼워지는 하부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는 보강편을 후방으로 절곡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바닥판의 양측 상부로 보강편이 절곡된 홈형강으로 형성하여 양측 보강편의 상부에 고정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따르면, 브래킷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차단판에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덮개에는 차단판의 안내공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가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별도의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 부식 등으로 인한 덮개의 작동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스토퍼핀을 사용하지 않고 퓨즈가 녹아내리면 차단판이 하강하면서 안내공의 상부가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덮개를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를 폐쇄하는 차단구조가 브래킷, 차단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단구조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차단판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덮개를 폐쇄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가 평상시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가 과압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가 퓨즈의 절단시 폐쇄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내프레임(11)과 실외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벽체(1)의 피압구(1a)에 고정되는 프레임(10); 상기 실외프레임(12)에 탄성부재(20)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덮개(30); 상기 실외프레임(12)에 설치되는 퓨즈(40)를 구비하여 화재 진압 실패시 덮개(30)를 폐쇄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있어서, 상기 실외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퓨즈(40)의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100); 상기 퓨즈(4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브래킷(100)에 스프링(S)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210)을 구비하는 차단판(200); 상기 덮개(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으로 끼워져 퓨즈(40)가 녹아내리면 안내공(210)의 상부에 끼워지는 고정홈(31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는 화재시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해 분출된 소화가스에 의해 실내의 상승된 압력을 실외로 배출시키고, 초기 소화가스 의한 화재 진압 실패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는 프레임(10), 탄성부재(20), 덮개(30), 퓨즈(40), 브래킷(100), 차단판(200) 및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은 실내프레임(11)과 실외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벽체(1)의 피압구(1a)에 고정된다.
상기 실내프레임(11)과 실외프레임(12)은 나사체결이나 리벳체결 등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내프레임(11)과 실외프레임(12)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내프레임(11)의 전면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그릴(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프레임(12)과 덮개(30)의 상부 양측에는 링크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실외프레임(12)과 덮개(30)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부재(20)는 실외프레임(12)의 내측 각 코너에 구비된 4개의 삼각바(13)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고정봉(21)과 안내봉(22)의 내부로 스프링(23)이 각각 끼워지고, 상기 안내봉(22)의 후단은 덮개(30)에 고정볼트(24)로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23)의 선단은 고정봉(21)을 통해 실외프레임(12)의 삼각바(13)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23)의 후단은 고정볼트(24)를 통해 덮개(3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은 덮개(3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23)의 장력에 의해 덮개(30)는 평상시 도 4에서와 같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한편 화재시 분출된 소화가스에 의해 실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스프링(23)의 장력을 초과하는 경우 덮개(30)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23)을 외측으로 당기면서 개방된다.
상기 덮개(30)는 실외프레임(12)의 후면에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 장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도 5에서와 같이 실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개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덮개(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화재시 가스계 소화설비의 실내 화재진화를 위해 분출되는 소화가스의 압력이 설정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때, 실내의 소화가스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실내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 실내의 장비 및 시설물이 소화가스의 과압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덮개(30)는 실내의 압력이 설정 이하로 떨어지면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힌다. 한편, 상기 덮개(30)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실외프레임(12)의 후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40)는 실외프레임(1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퓨즈(40)는 가스 분출에 의한 화재 진압 실패에서 번진 고열과 화염에 의해 녹아 끊어지면서 절단된다. 이때, 상기 퓨즈(40)는 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퓨즈(40)의 상부에는 상부고리(41)가 연결되고, 퓨즈(40)의 하부에는 하부고리(42)가 연결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퓨즈(40)는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고열과 화염이 발생되면 녹아 떨어지게 설계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50)는 실외프레임(12)과 덮개(3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링크부재(50)는 실외프레임(12)에 고정되는 상부고정구(51)와, 덮개(30)에 고정되는 하부고정구(52)와, 상기 상부고정구(51)와 하부고정구(52)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5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50)는 덮개(30)의 개폐작동시 덮개(30)가 일측으로 기울거나 쏠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브래킷(100)은 실외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브래킷(100)은 퓨즈(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브래킷(100)은 차단판(200)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00)은 차단판(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양측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12)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프링(S)의 하부가 끼워지는 구멍(131)을 구비하는 하부고정판(13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퓨즈(40)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고리(41)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실외프레임(12)의 전면 중앙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2개가 한 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수직프레임(110)은 'ㄴ'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차단판(200)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고정판(120)은 양측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판(120)은 실외프레임(12)의 상부 중앙에 나사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하부고정판(130)은 양측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고정판(130)은 실외프레임(12)의 하부 중앙에 나사체결로 고정되고, 하부고정판(130)의 상부 중앙에는 스프링(S)의 하부가 끼워지는 구멍(13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140)는 양측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볼트(140)에는 퓨즈(40)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고리(41)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차단판(200)은 브래킷(100)의 양측 수직프레임(1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판(200)의 상부에는 퓨즈(40)의 하부가 연결되고, 차단판(200)의 하부에는 스프링(S)의 상부가 연결되며, 차단판(200)의 중앙부에는 고정부재(30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공(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S)은 차단판(200)과 하부고정판(130)에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S)은 퓨즈(40)의 절단시 복원력으로 차단판(200)을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차단판(200)의 상부 중앙에는 퓨즈(40)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고리(42)가 끼워지는 상부구멍(220)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200)의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S)의 상부가 끼워지는 하부구멍(23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200)의 양측에는 보강편(201)이 후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판(200)의 상부구멍(220)에 퓨즈(40)의 하부고리(42)를 간단하게 끼워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차단판(200)의 하부구멍(230)에 스프링(S)의 상부를 간단하게 끼워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판(200)의 양측에는 보강편(201)이 절곡형성되므로 차단판(2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덮개(30)의 전면 중앙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고정부재(300)에는 퓨즈(40)가 녹아내리면 안내공(210)의 상부가 끼워지는 고정홈(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의 후방에는 덮개(30)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고정부(320)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300)는 바닥판(301)의 양측 상부로 보강편(302)이 절곡된 홈형강으로 형성되어 양측 보강편(302)의 상부에 고정홈(31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는 바닥판(301)의 양측 상부로 보강편(302)이 절곡된 홈형강으로 형성되므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양측 보강편(302)의 상부에 고정홈(310)이 각각 형성되어, 퓨즈(40)가 녹아내리면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S)의 장력이 해제되는 동시에 수축 복귀하고, 이에 의해 차단판(200)의 안내공(210) 상부가 양측 고정홈(310)에 끼워지므로 덮개(30)를 한층 더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 장력이 실내의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평상시 덮개(30)는 스프링(23)의 장력에 의해 실외프레임(12)의 후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평상시 도 4에서와 같이 퓨즈(40)의 상,하부고리(41)(42)는 브래킷(100)의 고정볼트(140)와 차단판(200)의 상부구멍(220)에 각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스프링(S)의 상,하부는 인장된 상태에서 차단판(200)의 하부구멍(230)과 하부고정판(130)의 구멍(131)에 각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덮개(3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고정부재(300)의 고정홈(310)과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은 서로 같은 위치에서 마주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고정부재(300)는 안내공(210)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안내공(210)의 상부는 고정홈(3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5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소화가스가 실내에 분출되면, 분출되는 소화가스가 일정시간 지속될 때 실내는 압력에 의해 과압 상태가 되고, 이러한 실내의 소화가스 압력은 덮개(30)의 내면을 가압하게 된다.
실내의 소화가스 압력이 덮개(30)에 작용하는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 장력보다 크게 상승하게 되면, 덮개(30)는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을 외측으로 당기면서 도 5에서와 같이 개방되고, 이에 의해 실내의 과압 가스가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실내의 장비 및 시설물이 소화가스의 과압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부재(20)의 스프링(23) 장력에 의해 덮개(30)는 다시 실외프레임(12)의 후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된 과압이 외부로 배출된 다음 덮개(30)가 닫힌 상태에서 화재 진압을 위하여 소화가스를 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화재 진압을 실패하여 화염이 번져 소화가스에 의한 실내의 화재 진압이 실패한 경우, 화재가 계속 진행되어 실내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고열과 화염이 실외프레임(12)의 내부까지 전달되어 도 6에서와 같이 퓨즈(40)를 녹여 절단하게 된다.
퓨즈(40)가 열에 의해 녹아 끊어지면서 절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판(200)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판(200)의 안내공(210) 상부가 하강하면서 고정부재(300)의 고정홈(310)으로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는 덮개(30)가 완전히 고정되어 실내의 입력이 상승하여도 열리지 않도록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덮개(20)가 차단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산소가 재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덮개(20)를 통해 화염이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브래킷(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차단판(200)에는 안내공(210)이 형성되고, 덮개(30)에는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부재(300)가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별도의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30)의 전후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 부식 등으로 인한 덮개(30)의 작동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별도의 스토퍼핀을 사용하지 않고 퓨즈(40)가 고열과 화염에 의해 녹아 절단될 때 차단판(200)이 하강하면서 안내공(210)의 상부가 고정부재(300)에 형성된 고정홈(310)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덮개(30)를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덮개(30)를 폐쇄하는 차단구조가 브래킷(100), 차단판(200), 고정부재(30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단구조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차단판(2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덮개(30)를 폐쇄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벽체 1a : 피압구
10 : 프레임 11 : 실내프레임
12 : 실외프레임 20 : 탄성부재
30 : 덮개 40 : 퓨즈
41 : 상부고리 42 : 하부고리
100 : 브래킷 110 : 수직프레임
120 : 상부고정판 130 : 하부고정판
131 : 구멍 140 : 고정볼트
200 : 차단판 201 : 보강편
210 : 안내공 220 : 상부구멍
230 : 하부구멍 300 : 고정부재
301 : 바닥판 302 : 보강편
310 : 고정홈 S : 스프링

Claims (4)

  1. 실내프레임(11)과 실외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벽체(1)의 피압구(1a)에 고정되는 프레임(10); 상기 실외프레임(12)에 탄성부재(20)의 탄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의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덮개(30); 상기 실외프레임(12)에 설치되는 퓨즈(40)를 구비하여 소화가스에 의한 화재 진압 실패시 덮개(30)를 폐쇄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에 있어서,
    상기 실외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퓨즈(40)의 상부를 지지하는 브래킷(100);
    상기 퓨즈(4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브래킷(100)에 스프링(S)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공(210)을 구비하는 차단판(200);
    상기 덮개(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판(200)의 안내공(210)으로 끼워져 퓨즈(40)의 절단시 안내공(210)의 상부가 끼워지는 고정홈(310)을 구비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0)은 차단판(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양측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12)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외프레임(12)의 하부에 고정되어 스프링(S)의 하부가 끼워지는 구멍(131)을 구비하는 하부고정판(13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퓨즈(40)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고리(41)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0)의 상부 중앙에는 퓨즈(40)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고리(42)가 끼워지는 상부구멍(220)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200)의 하부 중앙에는 스프링(S)의 상부가 끼워지는 하부구멍(23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판(200)의 양측에는 보강편(201)이 후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바닥판(301)의 양측 상부로 보강편(302)이 절곡된 홈형강으로 형성되어 양측 보강편(302)의 상부에 고정홈(31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2020190002859U 2019-07-08 2019-07-08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200493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59U KR200493353Y1 (ko) 2019-07-08 2019-07-08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859U KR200493353Y1 (ko) 2019-07-08 2019-07-08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24U true KR20210000124U (ko) 2021-01-18
KR200493353Y1 KR200493353Y1 (ko) 2021-03-16

Family

ID=7423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859U KR200493353Y1 (ko) 2019-07-08 2019-07-08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54U (ko) 2021-11-30 2023-06-07 황현진 손잡이 탈착이 가능한 적층식 멀티 프라이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35B1 (ko) 2021-05-18 2021-12-16 (주)유일에프에스이 댐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7Y1 (ko) 2012-05-31 2012-08-07 히어로화이어엔지니어링(주)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KR101520651B1 (ko) 2013-12-06 2015-05-15 (주)윤성지앤티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20170035244A (ko) * 2015-09-22 2017-03-30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67Y1 (ko) 2012-05-31 2012-08-07 히어로화이어엔지니어링(주)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KR101520651B1 (ko) 2013-12-06 2015-05-15 (주)윤성지앤티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20170035244A (ko) * 2015-09-22 2017-03-30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154U (ko) 2021-11-30 2023-06-07 황현진 손잡이 탈착이 가능한 적층식 멀티 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53Y1 (ko) 202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353Y1 (ko)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JP6284387B2 (ja) 電池キャビネットの消火設備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101278177B1 (ko)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50000617U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101744199B1 (ko) 과압용 자동개폐 덮개장치
KR101636020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1754960B1 (ko)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2419210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1487899B1 (ko)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KR102372854B1 (ko)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200476304Y1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102604861B1 (ko) 실내 과압을 일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배출용 댐퍼
KR102458818B1 (ko)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KR102597503B1 (ko) 양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 및 음압배출용 댐퍼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CN208959210U (zh) 一种气瓶自动灭火装置
KR200395411Y1 (ko) 가스소화설비용 자동폐쇄장치
CN219241758U (zh) 用于钢结构建筑的钢结构防火门
KR102670116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KR102620438B1 (ko) 플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CN219587474U (zh) 一种可自动闭合的防火监控系统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