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20B1 -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20B1
KR101636020B1 KR1020140142683A KR20140142683A KR101636020B1 KR 101636020 B1 KR101636020 B1 KR 101636020B1 KR 1020140142683 A KR1020140142683 A KR 1020140142683A KR 20140142683 A KR20140142683 A KR 20140142683A KR 101636020 B1 KR101636020 B1 KR 10163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pening
gas
fi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578A (ko
Inventor
이동명
유병규
Original Assignee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미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미도이앤씨 filed Critical 경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2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방호구역(화재실)에 화재진화를 위해 분출되는 소화가스의 압력이 설정 이상의 고압으로 상승할 시 방호구역 내의 소화 가스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호구역 내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 방호구역 내의 장비 및 시설물이 소화가스의 과압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호구역의 피압구에 설치하는 과압배출시스템은 배출구에 매립고정되는 프레임(13)과, 프레임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압구를 개폐 작동하는 개폐판(17)과, 상기 개폐판(17)은 프레임에 기계식(비전기식) 압력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의 가스 압력으로 상승할 시 개폐판(17)이 가스 압력에 의해 개방 작동하여 초과 가스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을 낮추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벽체(11)에 형성한 배출구(12)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13)과, 상기 프레임(13) 일측에 앞뒤로 이동하여 피압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7)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3) 내측에는 각각의 결합구멍(15)을 갖는 다수개(2-4)의 지지구(14)를 가지며, 상기 개폐판(17)에는 다수개(2-4)의 연결볼트(18)가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볼트(18)는 상기 각각의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폐판(17)에 결합되며,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볼트(18)에는 탄성부재(21)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볼트(18)에 겨결합된 탄성부재(21)를 지지하는 와셔(19)와 너트(20)를 상기 연결볼트(18) 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개폐판(17)에 고정되는 연결볼트(18)는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연결볼트(18)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탄성부재는 연결볼트(18) 단부에 고정되는 너트(20)의 조임과 풀림으로 탄성부재(21) 압력을 조절하여 개폐판(17)의 개방압력을 간단히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과압배출시스템(10)의 개폐판(17) 개폐 작동은 비전기식, 즉 기계식 작동방식으로 화재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방호구역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초과될 시 정확하게 작동하여 방호구역의 압력을 낮춰주어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무엇보다도 화재시 방호구역의 설정한 가스 압력보다 큰 초과 가스압력이 발생시 신속 정확하게 작동하여 초과 가스압력을 배출시켜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Overpresure exhaust system for overpressure exhaust of gas fire-fighting system}
분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방호구역(화재실)에 화재진화를 위해 분사되는 소화가스의 압력이 설정 이상의 과압으로 상승할 시 방호구역 내의 소화가스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호구역내의 가스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 방호구역내의 장비 및 시설물이 소화가스의 과압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물이나 포말 등의 소화 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할 경우 고가의 장비나 시설물이 망실됨으로 물이나 포말 등의 소화약제로 화재 진화가 곤란한 경우 장소에 있어서는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수계 소화설비로 시공하여 화재를 지압할 경우, 화재가 진압되더라도 화재 시 발생한 손실과 물로 인한 서류를 적게 하거나, 전자제품의 파손, 발물관 및 미술관 등이 고가품 파손 등으로 인한 2차적인 손실과 물로 인한 화재복구에 드는 인력 및 금전적 손실이 예상되는 전기실, 변전실, 발전실, 축전지실, 전산실, 통신기기실, 방재실, 제어실, 도서관, 박물관, 화랑, 인화성/가연성 액체와 소화가스를 저장, 취급하는 장소, 기타 고가의 자산이 있는 장소 및 국가기간시설 등에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소화가스를 사용하는 설비로는 전기실, 변전실, 발전실, 축전실 등의 전기 시설이 밀접한 장소나, 물에 젖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문서보관실, 도서관, 전산실, 통신시설 등과, 귀중한 문화재와 보물을 보관 또는 전시하는 박물관 등의 고가의 자산을 보관하는 장소나, 가연성 액체나 위험물을 보관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가스계 소화설비를 구비하여 화재시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가스계 소화설비에 사용하는 가스는 불활성가스로 이산화탄소, 하론(Halon), 질소, 알곤(Ar) 등의 소화가스를 저장한 고압용기를 설치하여 화재시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고압용기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방호구역의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가스계 소화설비는 화재시 방호구역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화셔터나 자동폐쇄장치 등의 외기유입 차단 수단을 구비하며, 방호구역으로 소화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가스계 소화설비의 소화가스는 공기 중의 불활성가스의 비중을 증가시켜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재의 질식 저온 상태로 분사되는 소화 가스는 주변을 냉각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공기는 약 21%의 산소와, 78%의 질소와 1%의 기타 물질로 구성되며, 공기중 산소는 연소(산화)를 촉진시키는 물질이다. 소화가스는 공기 중의 약 21%의 산소 농도를 약 15% 이하로 낮추어 화재를 질식시키며, 고압 또는 액체 상태로 고압용기에 보관되던 저온의 소화가스(불활성가스)가 분사되면서 주변의 온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특히,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약제(가스)를 고압가스(25MPa 이상)를 용기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구역에 소화약제를 방출분사시켜 질식 및 냉각작용에 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따라서 가스계 소화설비는 수게 소화설비와 달리 화제제어의 기능은 없고 오로지 소화 목전만을 위해 고압가스를 방출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기 때문에 설비가 확실하고 완벽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설계농도, 약제량, 과압 등의 관리 되지 않으면 화재진압성능을 절대로 보장받을 수 없다.
가스계 소화설비는 고압가스를 방출·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므로 분사압력이 설계압력보다 낮아지면 소화효과가 떨어져 화재진압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외 소방법(NEPA 12, NFSC 106 및 NFSC 107A)에서는 방호구역을 밀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는 방호구역으로 약제가 방출될 때 방호구역 내부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 압력상승은 소화약재와 방호구역의 조건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국내외 소방법(NEPA 12, NFSC 106 및 NFSC 107A)에서는 방호구역 내부 압력이 설정압력이상의 과압(Over Presssure)이 형성되면 과압 배출시스템을 설치하여 과압을 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과압 발생 시 신속히 배출시켜 인명 안전에 대한 대책을 소홀히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화재 시 분사되는 불활성 소화가스는 팽창되면서 방호구역의 압력을 상승시켜 고가의 장비 및 시설물을 파손시키는 것을 감안하여 소방법에 있어서는 과압 배출시스템을 구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과압 배출시스템은 소방법(NEPA 12, NFSC 106 및 NFSC 107A)에 설치규정만 제시되어 있고, 공인기관(소방방제청 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등)의 검정이나 인증이 없기 때문에 임의 규격과 도 1과 같은 형상의 배출부재(1)가 생산/설치되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압 배출부재(1)의 성능은 인명과 재산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과압 배출시스템은 표 1과 같은 문제점으로 가스계 소화설비의 성능과 인명안전을 확보하기 어렵다.
기존 과압 배출시스템의 문제점
구분 문 제 점
개 방 압 력 - 50Pa 및 200-300Pa 이하로 허용압력 1,200~4,600Pa 사용 불가
허용압력조정 - 추가 무게에 의해 압력조정
기 밀 성 - 몸체와 날개상이 틈새가 많아 기밀성이 떨어짐
- 날개형상으로 기밀성이 떨어짐
설 치 방 법 - 한 방향으로만 설치가능
소화약제량 - 개방 압력이 낮아 소화약제 방사와 동시에 과압 배출시스템으로 소
화약제를 배출함으로써 고가의 약제낭비
개 구 부 - 개구부 측정이 어려움
성 능 - 개방 압력이 낮아 유지시간(Hold Time)이 짧음
- 소화시간지연과 완벽한 화재진압에 지장 초래
- 미세 압력조정이 어려움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되는 방호구역의 과압 배출시스템을 배출구에 설치하여 분사되는 가스압력과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 및 연기에 의해 상승되는 방호구역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 될 시 초과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방호구역 내의 고가 장비나 시설물을 보호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등록 제074001호 (명칭: 기체의 대량배출 및 과압 방지용 배출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410038호 (명칭: 가스소화 설비용 자동폐쇄장치) 실용신안등록 제0461767호 (명칭: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본 발명의 화재 시 방호구역으로 분사되는 소화가스와 화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연기에 의해 방호구역의 가스 압력이 설정한 가스압력을 초과할 경우 방호구역의 소화가스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여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방호구역의 배출구에 비전기식으로 설치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호구역의 배출구에 설치하는 과압배출시스템으로 배출구에 매립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를 개폐·작동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은 프레임에 기계식 압력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의 가스압력으로 상승할 시 개폐판이 가스압력에 의해 개방 작동하여 초과 가스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방호구역의 가스 압력을 낮추어 주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프레임에 개폐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구에 탄성부재를 게재하고,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절하므로 개폐판의 개방압력을 간단히 조절 및 설정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그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탄성부재의 압력조절로부터 개폐판의 개방압력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비전기식인 기계식 개폐방식의 화재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방호구역에 과압이 발생되면 정확히 작동하여 초과 가스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화재시 방호구역으로 화재진화를 위해 분사되는 소화가스에 의해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이 설정한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벽체에 형성한 배출구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앞뒤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내측에는 각각의 결합구멍을 갖는 다수개(2-4개)의 지지구를 가지며, 상기 개폐판에는 다수개(2-4개)의 연결볼트가 고정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볼트는 상기 각각의 지지구의 결합구멍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볼트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볼트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와셔와 너트를 상기 연결볼트 단부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구의 결합구멍 일측에 개폐판에 고정되는 연결볼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안내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지지구는 한문자 십자(+)형상된 십자지지구로 구성하며, 상기 십자지지구에는 개폐판에 고정되는 연결볼트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볼트에는 상기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폐판에 고정되는 연결볼트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구의 결합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연결볼트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탄성부재는 연결볼트 단부에 고정되는 너트의 조임과 풀림으로 탄성부재의 압력을 조절하여 개폐판의 개방압력을 간단히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개폐판 개폐 작동은 비전기식, 즉, 기계식 작동 방식으로 화재시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방호구역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초과될 시에 정확하게 작동하여 방호구역의 압력을 낮춰주어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구의 결합구멍 일측에 형성하는 이동안내구는 개폐판의 압력에 의해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이동할 시 개폐판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으로 이동시켜 개폐판이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계작동식이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무엇보다도 방호구역의 화재시 방호구역을 설정한 가스압력보다 큰 초과 가스압력이 발생되면 신속하게 작동하여 초과 가스압력을 배출시켜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기존 과압 배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을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닫힌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설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설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설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방호구역으로 화재진화를 위해 분사되는 소화가스에 의해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이 설정한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시 방호구역의 초과 가스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벽체(11)에 형성한 배출구(12)에 매립고정하는 프레임(13)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3) 일측에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17)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3) 내측에는 프레임(13)에 고정되어 각각의 결합구멍(15)을 갖는 다수개의 지지구(14)를 갖는다. 상기 결합구멍(15)은 적어도 2개에서 4개로 형성한다.
상기 개폐판(17)에는 각각의 지지구(14) 결합구멍(1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볼트(18)가 고정되며,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에 삽입되는 연결볼트(18)에는 탄성부재(21)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21)는 연결볼트(18) 단부에 체결되는 와셔(19)와 너트(20)로 지지 된다.
상기 연결볼트(18)에 결합된 탄성부재(21)는 너트(20)를 조이거나 풀음 작동으로 탄성부재(21)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에서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지지구(14)에는 결합구멍(15) 일측에 연결볼트(18)가 삽입되는 이동안내구(16)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구(16)는 파이프 타입으로 각각의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 및 이동안내구(16)에 삽입되는 연결볼트(18)에 결합하여 연결볼트(18)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개폐판(17)이 수평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개폐판(17)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볼트(18)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구(14)는 결합구멍(15)을 갖는 단편 형상으로 프레임(13) 내측에 고정하는 방법 이외에 지지구(14)를 한문자 십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십자지지구(14-1) 단부를 프레임(13)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십자지지구(14-1)는 프레임(13) 및 개폐판(17)이 사각형상은 물론 원형형상일 경우 프레임(13)의 임의 위치에 간단히 설치하는 편리성을 갖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되는 방호구역의 화재 진화시 가스 압력에 의해 방호구역의 고가장비나 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압배출시스템(10)을 제공하며, 특히 본 발명은 비전기식인 기계식 압력검출 장치로 화재시 정전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방호구역(100)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초과 될 시 초과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소방법상 가스게 소화설비를 사용하는 방호구역(100)에는 천정이나, 천정에서 1m 이내의 거리에 과압 배출구를 구비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경량 구조건물에는 1,200pa, 일반구조 건물에는 2,400pa, 콘크리트 구조건물에는 4,800pa 이상의 가스압력이 발생할 시 과압을 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13)과, 상기 프레임(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판(17)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13)은 사각통 형상 또는 원통 형식으로 구성되며, 개폐판(17)은 프레임(13)의 형상에 따라 사각판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판(17)이 수평으로 개폐 작동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개폐판(17)에 초과 가스 압력이 작용할 시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이다.
즉, 벽체(11)에 형성한 배출구(12)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13) 일측에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17)은 다수개의 연결볼트(18)를 가지며 상기 연결볼트(18)는 프레임(13) 내측에 고정되는 각각의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에 결합되며, 연결볼트(18)에는 탄성부재(21)가 삽입된 후 와셔(19)와 너트(20)를 연결볼트(18) 단부에 체결하여 탄성부재(2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판(17)에 탄성부재(21)의 장력을 초과하는 가스 압력이 작용할 시 개폐판(17)은 탄성부재(21)를 가압하고 이동하여 배출구(12)를 개방하게 되며, 개방되는 개폐판(17)은 수평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2)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개폐판(17)이 개폐되도록 하는데 반하여 상기에서 제시한 특허문헌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배출구에서는 개폐판의 일측변을 힌지로 연결하여 개폐판이 경사지게 개폐되도록 하는 경사 개폐방식보다 개폐량이 많아 과압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잇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개폐판(2)은 무게추(3)를 이용하여 개폐판(2)의 개방 압력을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탄성부재(21)의 장력 조절로 개폐판(17)의 개방 압력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계 작동식 이여서 화재시 정전 상태에서도 정확히 작동하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무엇보다도 방호구역의 화재시 방호구역을 설정한 가스 압력보다 큰 초과 가스 압력의 발생시 신속 정확하게 작동하여 초과 가스 압력을 배출시켜 방호구역의 장비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아주 유용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은 고정날개(루바)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9에 한정하여 구성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은 벽체(11)에 형성한 배출구(12)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13)와, 상기 프레임(13) 일측에 앞뒤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7)와, 상기 프레임(13) 내측에는 각각의 결합구멍(15)을 갖는 복수의 지지구(14)와, 상기 개폐판(17)에 연결되어 결합구멍(1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복수의 연결볼트(18)와, 상기 연결볼트의 일측에 결합하여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액추에이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0)는 한 개 또는 복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30)를 한 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앙 또는 일측에 하고,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여 개폐판(17)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방호구역 내의 가스 압력이 설정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시에는 이를 체크하는 압력센서(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센서(31)에서 인가하는 신호를 인가받아 방호구역에 설치한 액추에이터(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2)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32)는 방호구역의 압력을 체크 한 압력센서(31)의 신호를 받아 액추에이터(30)를 작동시켜 방호구역 내의 가스 압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2)는 통상의 상용전원을 인가받거나 또는 정전시 비상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액추에이터(30) 및 압력센서(31)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을 인가받는 기술적 구성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가 설치되는 방호구역(100)의 화재 진화시 가스 압력에 의해 발호구역의 고가 장비나 시설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압배출시스템(1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폐판(17)을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초과하는 가스압이 작용할 시 방호구역(100)에 설치한 압력센서(31)를 통해 가스 압력을 체크 하고, 이를 컨트롤러(32)로 보내 액추에이터(30)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개폐판(17)을 개방을 통해 방호구역(100) 내의 가스 압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개폐판을 개방하기 위해 구성하는 무게추의 경우, 방호구역 내의 압력을 조절할 시에는 무게추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개방한 후 다시 폐쇄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개방 및 폐쇄를 액추에이터(30)를 이용하여 개폐판(17)의 개방 및 폐쇄가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방호구역(100)의 가스 압력 조절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과압배출시스템 11: 벽체
12: 배출구 13: 프레임
14: 지지구 14-1: 십자지지구
15: 결합구멍 16: 이동안내구
17: 개폐판 18: 연결볼트
19: 와셔 20: 너트
21: 탄성부재 30: 액추에이터
31; 압력센서 32: 컨트롤러
40: 고정날개(루바) 100: 방호구역

Claims (4)

  1. 화재시 방호구역으로 화재진화를 위해 분사되는 소화가스에 의해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이 설정한 압력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방호구역의 가스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벽체(11)에 형성한 배출구(12)에 매립 고정하는 프레임(13);
    프레임(13) 일측에 앞뒤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7);
    프레임(13) 내측에는 각각의 결합구멍(15)을 갖는 복수의 지지구(14);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 일측에 위치되는 개폐판(17)이 수평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볼트(18) 외주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이동되게 하는 이동안내구(16);
    개폐판(17)에 연결되어 결합구멍(1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복수의 연결볼트(18);
    복수의 연결볼트(18)에 결합하는 탄성부재(21);
    연결볼트(18)의 단부에 결합하여 탄성부재(21)를 지지하면서 조이거나 풀러 탄성부재(21)의 장력을 조절해 개폐판(17)의 개방압력을 조절 및 설정하는 와셔(19) 및 너트(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에 고정되는 지지구(14)의 결합구멍(15) 일측에 개폐판(17)에 고정되는 연결볼트(18)가 탄성부재(21)의 장력을 조절하는 와셔(19) 및 너트(2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안내구(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에 고정하는 지지구(14)는 한문자 십자(+)형상된 십자지지구(14-1)로 구성하며,
    상기 십자지지구(14-1)에는 개폐판(17)에 고정되는 연결볼트(18)가 와셔(19)와 너트(20)의 조임과 풀림을 통해 탄성부재(21)의 장력 조절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볼트(18)에는
    상기 개폐판(17)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액추에이터(30);
    방호구역 내의 가스압력을 체크하는 압력센서(31);
    상기 액추에이터(30) 및 압력센서(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추에이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방호구역 내측 또는 방호구역 외측에 설치하는 컨트롤러(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1020140142683A 2014-10-21 2014-10-21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10163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83A KR101636020B1 (ko) 2014-10-21 2014-10-21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683A KR101636020B1 (ko) 2014-10-21 2014-10-21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78A KR20160046578A (ko) 2016-04-29
KR101636020B1 true KR101636020B1 (ko) 2016-07-05

Family

ID=5591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683A KR101636020B1 (ko) 2014-10-21 2014-10-21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2-03-11 주식회사 마스테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379B1 (ko) * 2019-12-03 2023-1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210070252A (ko) 2021-05-25 2021-06-14 (주)안국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 기반 과압 배출구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38Y1 (ko) * 2005-10-26 2006-03-03 김종원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
KR101331033B1 (ko) * 2012-04-02 2013-11-26 정상규 과압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767B1 (ko) 2000-11-28 2004-12-14 주식회사 마이크로페이스 케이유밴드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어레이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38Y1 (ko) * 2005-10-26 2006-03-03 김종원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
KR101331033B1 (ko) * 2012-04-02 2013-11-26 정상규 과압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2-03-11 주식회사 마스테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78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1671B2 (ja) 二次電池の火災防止システム
JP5184636B2 (ja) 閉鎖された空間において発生した火災の防止又は消火方法及び火災の防止又は消火装置
KR101636020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CN110270032B (zh) 一种锂离子电池储能系统火灾防控装置及实现方法
WO2018219374A1 (de) Sicherheitsschrank für aktive elektrische und/oder elektronische komponenten
CN102083286A (zh) 节能安全智能型组合式精确恒温恒湿机柜
WO2023124436A1 (zh) 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JP6284387B2 (ja) 電池キャビネットの消火設備
JP5777051B2 (ja) 原子力発電施設における水素爆発防止方法および設備
CN106974452B (zh) 可燃性气体高压气瓶存储保护柜及方法
WO2007073390A1 (en) Pressure gas release valve for fire suppression
JP2014108185A (ja) ガス系消火設備
US20170246489A1 (en) Method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n enclosed space,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0476303Y1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CN208574147U (zh) 一种灭火器箱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CN104368105A (zh) 一种组合分配式自动气体防火安全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520651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744199B1 (ko) 과압용 자동개폐 덮개장치
JP2009206220A (ja) 油入変電機器の消火装置
KR200493353Y1 (ko)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CN220588775U (zh) 一种基于液氮和二氧化碳的电池箱灭火系统
CN202997361U (zh) 中压开关设备的冷却器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200476304Y1 (ko)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