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854B1 -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 Google Patents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854B1
KR102372854B1 KR1020210074310A KR20210074310A KR102372854B1 KR 102372854 B1 KR102372854 B1 KR 102372854B1 KR 1020210074310 A KR1020210074310 A KR 1020210074310A KR 20210074310 A KR20210074310 A KR 20210074310A KR 102372854 B1 KR102372854 B1 KR 10237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ire extinguishing
protection area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to KR102021007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방의 플랜지(101) 사이에 개구홀(102)이 구비된 프레임(100); 프레임(100)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설치되며, 도어테(201)가 플랜지(101)에 일부 걸쳐지도록 개구부(202)가 구비된 P도어(200); 양단이 프레임(100)과 P도어(200)에 결착되어 P도어(200)가 바깥으로 열릴 때의 장력으로 P도어를 닫아주는 P도어스프링(210); P도어(200)의 개구부(202)를 막아주며, 방호구역 내에 설정압력 이상의 음압 발생 시는 방호구역 안쪽으로 혼자 열리고, 양압 발생 시는 P도어(200)와 함께 방호구역 바깥쪽으로 열리는 N도어(300); N도어(30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되어 N도어(300)가 방호구역 안쪽으로 혼자 열릴 때 압축되는 장력으로 N도어(300)를 닫아주는 N도어스프링(310);으로 구성되어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 또는 양압의 과압 작용에 따라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면서 내부의 과압을 해소시키고 일정 압력 이하에서 자동으로 닫혀 소화가스의 유출을 차단하여 소화기능이 증진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Two-way pressure relief damper for gaseous fire extinguishing systems}
본 발명은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 설비의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 또는 양압의 과압 작용에 따라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면서 내부의 과압을 해소시켜서 방호구역의 벽체 및 내부의 고가 설비 등이 과압으로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계 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염만 소화함으로서 고가의 장비가 설치되는 전기실, 전산실, 반도체 생산라인, 데이터센터, 병원은 물론 고가의 물품이 보관되는 미술관, 박물관 등과 같이 화재진압 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장소의 소방설비로 적합하며, 청정한 소화 효과로 화재진압 후에 즉시 공간을 운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가스계 소화설비에 최근 주로 사용하는 소화가스로는 액화가스 및 압축가스가 있으며, 이중 압축가스로는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압축가스가 사용되고, 액화가스로는 HFC-227ea, HFC-125, HFC-23, FK-5-1-12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스계 소화설비는 화재진압에 필요한 상기 소화가스(액화가스 또는 압축가스)를 고압용기에 보관해야 하는 취급상의 어려움과 스프링쿨러, 포소화설비 등에 비해 고가인 문제점이 있으며, 소화 효과를 위해서 방호 공간 내 일정 부분의 밀폐가 유지되어야 하고, 소화가스 방출 시 실내 음압과 양압이 걸려서 방호 공간의 구조물이나 고가 장비 등이 파손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즉, 소화가스 방출로 인해 음압, 양압이 발생할 경우 방호 공간의 벽체 및 구조물, 고가 장비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허용압력 이하로의 압력 해소를 위해서는 자동 열림/닫힘이 되는 과압 배출구가 필요하다.
상기 과압 배출구는 화재발생 공간에 소화 효과가 있는 소화가스를 방출시켜서 산소 농도 저하, 냉각효과, 화염과 산소와의 반응을 차단하는 화학적 효과 등으로 화재만 진압하는 상기 가스계 소화설비를 시공할 때 국가화재 안전기준 및 소방방재청고시 제17조(과압배출구)에 의해 방호공간 내의 구조물, 고가 설비, 물품 등의 보호를 위한 대책으로 방호구역에 필히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압 배출구의 선행기술로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020호(2016.07.05.공고)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이 있다.
또 특허문헌 2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313호(2017.10.31.공개)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과압배출구는 탄성부재의 힘을 받아 개폐판(개폐도어)이 프레임의 외측 개구부에 밀착되어 개구부를 닫아주고 있다가 방호구역 내에 살포되는 소화가스 압력(양압)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시 개폐판이 열리면서 소화가스 압력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호구역 내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서 구조물, 고가 설비 등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개폐판이 수평으로 전,후진되는 타입은 특허문헌 2의 회동식 개폐판에 비해 열리는 유효면적이 충분치 못하여 내부 압력을 신속하게 적정 압력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가스 중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방출하는 압축가스 타입은 방호구역 내부의 압력을 설정 압력 이상으로 급속히 높혀주는 양압만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경우는 특허문헌 2처럼 개폐판이 열리는 유효면적만 충분하다면 내부의 과다 압력을 외부로 신속히 방출시켜서 적정압력으로 조절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화가스가 액화가스인 경우는 방출된 가스가 공기와 만나 기화되는 현상에 주변 공기가 차가워지면서 일정 시간 동안 '음압(부압)'이 먼저 발생된 후 가스를 다 방출하면 그 때 팽창되면서 '양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액화가스 방출로 인한 초기 '음압' 발생 시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서 내부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시켜 주고, 그 후 '양압'이 발생되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내부 압력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시켜 주어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 2의 과압 배출구는 일방향 기능만이 있어서 상기 양방향으로의 내부 압력 조정은 만족시키기 어렵다.
이를 위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3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3989호(2014.08.01.공고)의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가 있으며, 이는 '과압(양압) 또는 부압(음압)'에 대해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타입이다.
그런데 특허문헌 3은 사각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개폐날개와 이들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톱퍼, 회전축 등이 통로의 개구부 면적에서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어서 그만큼 열리는 유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과압 또는 부압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의 가스 압력을 보다 신속하게 적정 압력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6020호(2016.07.05.공고)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0313호(2017.10.31.공개)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3989호(2014.08.01.공고)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특허문헌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에 음압 또는 양압의 과압 발생 시 이에 맞추어 양방향으로 열리는 문의 유효면적을 최대로 확보함으로서 내부의 과압을 신속하게 해소시킬 수 있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방의 플랜지 사이에 개구홀이 구비된 프레임; 프레임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열리며, 도어테가 플랜지에 일부 걸쳐지도록 개구부가 구비된 P도어; 양단이 프레임과 P도어에 결착되어 P도어가 열릴 때 인장력이 발생되는 P도어스프링; P도어의 개구부를 막아주며, 방호구역 내에 설정압력 이상의 음압 발생 시는 방호구역 안쪽으로 자동으로 열리고, 양압 발생 시는 P도어와 함께 방호구역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설치된 N도어; N도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N도어가 방호구역 안쪽으로 자동으로 열릴 때 압축되는 장력으로 N도어를 닫아주는 N도어스프링;으로 구성된 양방향 과압 배출구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 상,하단의 플랜지 일측에 와이어홀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홀과 근접된 플랜지 이면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P도어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해 안내되도록 프레임 상,하단의 플랜지 이면에 각각 구비시켜서 P도어스프링과 와이어가 프레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P도어를 이루는 도어테의 내/외측단 테두리를 따라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재를 설치하고, P도어를 이루는 도어테의 한쪽 내면에 한 쌍의 자석이 구비된 자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호구역 내에 음압이나 양압이 발생되더라도 과압 작용 시 양방향으로 문이 동작되어 과압을 해소시키는 것이므로 가스계 소화약제의 종류에 상관 없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도어와 N도어의 개폐를 위해 프레임에 구비되는 P도어스프링 및 와이어 같은 부속품들이 개구부 내에 있지 않아 제한된 개구부의 면적 내에서 양방향으로 열리는 유효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양압 방향의 열림과 음압 방향의 열림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타사 2~3개 설치 대비 1개만 설치해도 되므로 설치에 따른 자재비와 시공비를 상당히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압 배출구를 시공하였을 때 상기 P도어스프링 및 와이어 같은 부속품들이 개구부는 물론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시공 시 깔끔한 마감으로 외관미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양방향 과압 배출구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평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양방향 과압 배출구를 정면에서 본 상태의 구조도
도 4a 는 본 발명에서 양압에 의해 P도어와 N도어가 함께 열리는 상태도
도 4b 는 본 발명에서 음압에 의해 N도어만 열리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양방향 과압 배출구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서 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평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양방향 과압 배출구를 정면에서 본 상태의 구조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 또는 양압의 과압 작용에 따라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양방향 과압 배출구로서, 프레임(100)과 P도어(200) 및 P도어스프링(210), N도어(300), N도어스프링(3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구조물의 방호구역에 설치되며, 사방의 테두리용 플랜지(101) 사이가 개구홀(102)을 이루도록 사각 통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P도어(200)는 프레임(100)의 개구홀(102)을 통해 도어테(201) 내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프레임(100)의 플랜지(101) 전면에 설치되되 방호구역의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프레임(100) 일측에 힌지브라켓으로 힌지 결합된다.
상기 P도어스프링(210)은 프레임(100)에 일단이 결착되고 타단은 와이어(211)로 P도어(200)에 결착되어 P도어(200)가 바깥으로 열리면 당겨지면서 발생된 장력으로 P도어(200)를 원위치로 닫아준다.
상기 N도어(300)는 P도어(200)의 개구부(202)를 막아주도록 P도어(200) 이면에 설치되되 방호구역 내에 설정압력 이상의 음압 발생 시는 방호구역 안쪽으로 혼자 열리고, 양압 발생 시는 P도어(200)를 밀어서 P도어(200)와 함께 방호구역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프레임(10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N도어스프링(310)은 N도어(30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되어 N도어(300)가 방호구역 안쪽으로 혼자 열릴 때 압축되는 스프링이며, 그 압축된 장력으로 N도어(300)를 P도어(200) 쪽으로 이동시켜 닫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으로 소화 설비의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가 압축 소화가스인 경우는 방호구역 내에 양압만 발생하게 되며, 그 양압에 의해 이 때는 도 4a와 같이 N도어(300) 및 P도어(200)가 함께 열린다.
상기 P도어(200)는 열릴 때 P도어스프링(210)을 가이드롤러(110)로 원활히 안내되는 와이어(211)로 당겨 인장시키면서 N도어(300)와 함께 열렸다가 양압이 규정 압력 이하가 되면 P도어스프링(210)의 당김 장력에 의해 N도어(300)와 함께 신속하게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양압이 규정 압력 이상의 과압이 될 때마다 그 과압의 힘에 의해 N도어(300) 및 P도어(200)가 함께 방호구역 구조물의 바깥쪽으로 열리면서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 내부의 양압 압력이 규정 압력으로 만들어주어 소화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가 액화 소화가스인 경우는 방호구역 내에 초기에는 음압이 발생되었다가 다 방출하면 이후 양압이 발생된다.
이에 상기 초기에 발생되는 음압이 규정 압력 이상의 과압이 될때는 도 4b와 같이 P도어(200)는 프레임(100)의 플랜지(101)에 걸려 있으므로 동작되지 않고 N도어(300) 만이 N도어스프링(310)을 압축하면서 방호구역을 향해 내측으로 열림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음압을 적정 압력으로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양압이 규정 압력 이하가 되면 N도어(300)가 압축되었던 N도어스프링(310)의 장력을 받아 신속히 닫히게 되는 것으로서, 음압이 과압될 때마다 신속히 N도어만이 개폐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그 후 소화가스가 다 방출되어 양압이 발생되면서 과압이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N도어(300)와 P도어(200)가 함께 방호구역 구조물의 바깥쪽으로 열리면서 내부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 내부의 양압 압력이 규정 압력 이내로 변하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어 방호구역 내부 소화가스의 유출을 방지해 소화농도를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호구역 내에 음압이나 양압이 발생되더라도 과압 작용 시 양방향으로 문이 동작되는 것이므로 가스계 소화약제의 종류에 상관 없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P도어스프링(210)을 상기 프레임(100) 상,하단의 플랜지(101) 이면에 각각 구비되도록 설치하여 외부에서 P도어스프링(210)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 상,하단의 플랜지(101) 일측에 와이어홀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홀과 근접된 플랜지(101) 이면에는 가이드롤러(110)를 구비하며, 상,하단의 플랜지(101) 이면에 구비되는 P도어스프링(210)의 일단은 프레임(100)의 플랜지(101) 내면에 결착시키고, 타단에 결착된 와이어(211)는 상기 가이드롤러(110)를 거쳐 와이어홀을 통해 P도어(200) 이면에 결착되므로 와이어(211)의 당김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00) 상,하에 구비된 P도어스프링(210)과 와이어(211) 같은 부속품들이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구조물의 벽체에 시공 시 깔끔한 마감으로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들 부속품들이 개구부(202) 내에 있지 않으므로 제한된 개구부(202)의 면적에서 양방향의 유효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양압 방향의 열림과 음압 방향의 열림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도어(200)를 이루는 도어테(201)에서 프레임(100)을 향해 절곡된 내/외측단 테두리에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재(220)(230)를 설치하여 외측단의 패킹재(220)는 프레임(100)에 밀착되게 하고, 내측단의 패킹재(230)는 N도어(300)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프레임(100)과 P도어(200) 및 P도어(200)와 N도어(300)가 상기 내/외측단의 패킹재(220)(230)들에 의해 평상 시의 밀폐력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P도어(200)를 이루는 도어테(201)의 한쪽 내면에 한 쌍의 자석(241)(242)이 구비된 자석부(240)를 설치하여 자석부(240)의 일측 자석(241)은 프레임(100)에 접촉되어 P도어(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고, 타측 자석(242)은 N도어(300)와 접촉되어 N도어(300)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면 평상 시 자력의 힘과 상기 패킹재(220)(230)에 의해 닫힘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임(100) 이면에 커버프레임(130)을 체결하여 구비하되 그 체결수단으로 프레임(100)의 이면 사방에 볼트체결홀이 있는 브라켓(120)을 구비하여 롱볼트로 볼팅 체결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롱볼트의 길이만큼 프레임(100)과 커버프레임(130) 간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설치 벽의 두께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며, 이때 외측은 프레임(100)이 마감되고 내측은 커버프레임(130)이 마감되어 외관상 프레임(100)과 커버프레임(130)만 보이므로 깔금한 마감으로 외관미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내면에는 래치홀을 구비하고, 래치홀과 대응된 N도어(300)의 내면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320)에는 래치홀을 향해 수평 이동하는 래치(330) 및 래치(330) 후진 시 압축되는 스프링(331)을 구비하며, 와이어(341)로 당겨지는 퓨즈(340)의 일단을 래치(330) 후미에 연결하여 래치(330)가 스프링(331)을 압축한 상태로 당겨져서 래치홀을 벗어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치(330)가 래치홀을 벗어난 상태일 때는 상기 P도어(200) 및 N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며, 화재의 열기가 과압 배출구까지 미쳐서 그 열기나 화염에 퓨즈(340)가 녹아 절단되면 스프링(331)의 힘을 받아 래치(330)가 래치홀로 진입되므로 이때는 P도어(200)와 N도어(300)가 전혀 열리지 않으면서 연기나 화염을 차단하는 방화 댐퍼 기능을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01 : 플랜지
102 : 개구홀 130 : 커버프레임
200 : P도어 201 : 도어테
202 : 개구부 210 : P도어스프링
211 : 와이어 220,230 : 패킹재
240 : 자석부 241, 242 : 자석
300 : N도어 310 : N도어스프링
320 : 가이드브라켓 330 : 래치
331 : 스프링 340 : 퓨즈
341 : 와이어

Claims (6)

  1. 구조물의 방호구역에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방의 테두리용 플랜지(101) 사이에 개구홀(102)이 구비되는 프레임(100);
    프레임(100)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열리도록 힌지브라켓에 설치되며, 도어테(201)가 플랜지(101)에 일부 걸쳐지도록 개구부(202)가 구비된 P도어(200);
    양단이 프레임(100)과 P도어(200)에 결착되어 P도어(200)가 바깥으로 열릴 때 늘어나는 장력으로 P도어(200)를 닫아주는 P도어스프링(210);
    프레임(100)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P도어(200)의 개구부(202)를 막아주며, 방호구역 내에 설정압력 이상의 음압 발생 시는 방호구역 안쪽으로 자동으로 열리고, 양압 발생 시는 P도어(200)와 함께 방호구역 바깥쪽으로 열리는 N도어(300);
    N도어(300)의 일측 내면에 구비되어 N도어(300)가 방호구역 안쪽으로 자동으로 열릴 때 압축되는 장력으로 N도어(300)를 닫아주는 N도어스프링(310);
    으로 구성되어 방호구역 내에 방출되는 가스계의 소화 약제에 따라 방호구역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 또는 양압의 과압 작용에 따라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면서 내부의 과압을 해소시키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00)은 상,하단의 플랜지(101) 일측에 와이어홀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홀과 근접된 플랜지(101) 이면에 가이드롤러(110)를 구비하며,
    상기 P도어스프링(210)은 프레임(100) 상,하단의 플랜지(101) 이면에 각각 구비시키되 일단은 플랜지(101) 일측에 결착시키고 타단의 와이어(211)는 상기 가이드롤러(110)를 거쳐 와이어홀을 통해 P도어(200) 이면에 결착되게 하여
    외관미 향상을 위해 외부에서 프레임(100) 상,하에 구비된 P도어스프링(210)과 와이어(211)가 보이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P도어(200)를 이루는 도어테(201)에서 프레임(100)을 향해 절곡된 내/외측단에 테두리를 따라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재(220)(230)를 설치하여
    외측단의 패킹재(220)는 프레임(100)에 밀착되게 하고, 내측단의 패킹재(230)는 N도어(300)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4. 제 1 항에 있어서,
    P도어(200)를 이루는 도어테(201)의 한쪽 내면에 한 쌍의 자석(241)(242)이 구비된 자석부(240)를 설치하여
    자석부(240)의 일측 자석(241)은 프레임(100)에 접촉되어 P도어(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키고, 타측 자석(242)은 N도어(300)와 접촉되어 N도어(300)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00) 이면에 커버프레임(130)을 체결하여 구비하되
    그 체결수단으로 프레임(100)의 이면 사방에 볼트체결홀이 있는 브라켓(120)을 구비하여 설치 벽의 두께에 따라 롱볼트로 프레임(100)과 커버프레임(130) 간의 간격이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100)의 일측 내면에는 래치홀을 구비하고,
    래치홀과 대응되어 N도어(300)의 내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브라켓(320)에는 래치홀을 향해 수평 이동하는 래치(330) 및 래치(330) 후진 시 압축되는 스프링(331)을 설치하고,
    래치(330) 후미에는 와이어(341)로 당겨지는 퓨즈(340)의 일단을 연결하여
    평소에는 래치(330)가 래치홀을 벗어난 상태에 있다가 퓨즈(340)가 연기나 화염에 녹아 절단되면 래치(330)가 래치홀로 진입되어 N도어(300)가 열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1020210074310A 2021-06-08 2021-06-08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KR10237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10A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1-06-08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310A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1-06-08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854B1 true KR102372854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310A KR102372854B1 (ko) 2021-06-08 2021-06-08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03B1 (ko) * 2022-11-10 2023-11-01 오재섭 양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 및 음압배출용 댐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803A (ja) * 2012-02-10 2013-09-09 Tetsuya Kogyo Kk 差圧緩和機構付き扉装置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423989B1 (ko) 2014-04-03 2014-08-01 주식회사 엘엔피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KR101636020B1 (ko) 2014-10-21 2016-07-05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20170039469A (ko) *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삼성테크 체크 밸브식 과압 배출구
KR20170120313A (ko) 2016-04-21 2017-10-31 (주)동양공조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7803A (ja) * 2012-02-10 2013-09-09 Tetsuya Kogyo Kk 差圧緩和機構付き扉装置
KR101389159B1 (ko) * 2012-12-27 2014-04-25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실내 압력 조절 장치
KR101423989B1 (ko) 2014-04-03 2014-08-01 주식회사 엘엔피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KR101636020B1 (ko) 2014-10-21 2016-07-05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가스계 소화설비의 과급 방지를 위한 과압배출 시스템
KR20170039469A (ko) *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삼성테크 체크 밸브식 과압 배출구
KR20170120313A (ko) 2016-04-21 2017-10-31 (주)동양공조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03B1 (ko) * 2022-11-10 2023-11-01 오재섭 양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 및 음압배출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854B1 (ko) 가스계 소화설비용 양방향 과압 배출구
US4823509A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US20200289861A1 (en) Fire rated pet door assembly and activation system
JPH0913833A (ja) 開閉開口部の防火用金属枠
US20040084276A1 (en) Code compliant, trash and/or linen chute inlet door
KR101754960B1 (ko)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200493353Y1 (ko)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JP2016140583A (ja) 消火栓装置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JP6873751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3039687B2 (ja) 避難防火装置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JP3088673B2 (ja)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装置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1900844B1 (ko) 방화문용 제연장치
KR102458818B1 (ko)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CN110743122A (zh) 一种多功能消防装置
KR20210002858U (ko) 화재의 전이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포
KR20200089457A (ko) 커텐식 화재대피공간 제공장치
KR102597503B1 (ko) 양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압 및 음압배출용 댐퍼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200149744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완충구조
KR1007029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JP3622507B2 (ja) 耐火布製避難扉付き防火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