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67Y1 -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Google Patents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767Y1 KR200461767Y1 KR2020120004575U KR20120004575U KR200461767Y1 KR 200461767 Y1 KR200461767 Y1 KR 200461767Y1 KR 2020120004575 U KR2020120004575 U KR 2020120004575U KR 20120004575 U KR20120004575 U KR 20120004575U KR 200461767 Y1 KR200461767 Y1 KR 2004617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overpressure
- blocking
- fir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결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판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재시 내부의 밀폐된 공간의 상승된 압력을 배출시키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기에 의해 신호가 감지되고, 이러한 신호가 수신되면 천장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클러 등의 물분무 소화설비가 일정한 압력으로 미세하고 균일한 물을 안개와 같은 입자로 분사하여 방호공간 내의 연소면을 덮어 화재를 진압한다.
그러나, 물에 의한 소화가 어려운 위험물이나 고압의 전기설비 등으로 전기의 절연성이 요구되는 대상물은 물분무 소화설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가압가스의 압력으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상기 소화설비는 청정소화약제의 특성상 고압의 압력으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화재시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과압 배출구(over pressurisation vent)를 벽체에 설치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과압 배출구(1)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장방형으로 프레임(1a)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a)의 내측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링크부재(1c)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1b)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b)는 모터 등의 구동원(1d)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함으로써 과압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과압 배출구(1)는 구동원(1d)이 없는 경우 블레이드(1b)의 원활한 개폐 작동이 곤란하여 적시에 개방 및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원(1d)을 설치하여 블레이드(1b)를 강제로 개폐 작동시키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고, 과압 배출의 제어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에 있어서,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결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판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고안의 상기 회전축은 차단용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차단용 자석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상기 차단판은 상기 회전축과 고정볼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상기 후방 프레임은 하부의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스토퍼는 외주면에 스토퍼용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차단시 정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개방시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차단시 배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개방시 배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가 설치된 사시단면도, 도 6(b)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차단시 정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개방시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차단시 배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개방시 배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가 설치된 사시단면도, 도 6(b)는 측단면도.
본 고안자는 종래의 과압 배출구가 구동원이 없는 경우 블레이드의 원활한 개폐 작동이 곤란하여 적시에 개방 및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고, 구동원을 설치하여 블레이드를 강제로 개폐 작동시키는 경우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고 과압 배출의 제어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들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에 관한 본 고안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10)는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체(W)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곽 프레임(11), 후방 프레임(12), 회전축(13) 및 차단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스토퍼(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곽 프레임(11)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개방구(11a)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11a)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14)이 상기 개방구(11a)의 공간 내에서 자동으로 전?후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여 과압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각 꼭지점 부근에는 벽체(W)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상기 외곽 프레임(11)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12a)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14)의 회전과 고정을 위한 각종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통로(12a)는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곽 프레임(11)과 결합되며, 이로써 상기 차단판(14)의 개방시 내부의 밀폐된 공간의 상승된 압력인 과압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은 상기 후방 프레임(12)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내측면에 다수의 회전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3)의 일단이 상기 회전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과 차단판(14)에는 연결홀이 관통 형성되며, 고정볼트(13a)가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14)을 상기 회전축(13)에 연결 고정시킨다.
이로써, 과압에 의해 상기 회전축(13)이 자동 회전함에 따라 이와 결합된 상기 차단판(14)도 함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과압 배출구의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은 차단용 자석(16a)이 설치되되, 상기 차단용 자석(16a)은 상기 회전축(13)의 타단측인 선단에 착탈가능하도록 부착되고, 그 형상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판(14)이 개방된 이후에 과압 배출이 신속 완료되면 적시에 자동으로 차단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14)은 상기 회전축(13)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12a)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11a)의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도 2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14)은 수직판(14a)과 상기 수직판(14a)의 하단에 연결되어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14b)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수직판(14a)은 회전에 의한 원활한 개폐 작동을 위하여 상단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볼트(13a)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판(14b)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판(14a)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후방측에 무게가 실리게 됨으로써, 상기 차단판(14)이 후방으로 회전하여 개방 작동될 때 그 개방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압 배출이 신속히 완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후방 프레임(12)은 하부의 상면에 스토퍼(15)가 형성되어 있어 다수 설치된 차단판(14) 중 가장 하측에 형성된 차단판(14)의 전방으로의 회전 동작을 정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5)는 외주면에 스토퍼용 자석(16b)이 부착됨으로써,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판(14)이 개방된 이후에 과압 배출이 신속 완료되면 적시에 자동으로 차단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10)는, 도 6a의 일실시 사용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구역(S)의 벽체(W)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진압하기 위하여 방호구역(S)의 공간 내로 가압가스의 압력으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되고, 이때, 방호구역(S)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면,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의 회전에 의하여 차단판(14)이 후방으로 회전하여 과압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방 작동된다.
이와 같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14)이 개방 작동되면 방호구역(S) 내의 상승된 과압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이 방지됨과 더불어 화염의 확산이 신속하게 진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승된 과압이 외부로 배출된 후에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의 회전에 의하여 차단판(14)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과압 배출구가 자동으로 차단 작동된다. 이때, 회전축(13)의 선단에 차단용 자석(16a)이 설치되는 경우, 적시에 차단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10)의 구성에 의하면,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된 곳에 설치되고, 과압 배출구의 차단판 하부에 계단형 절곡판을 형성하며, 차단판의 회전축에 자석을 설치하여 화재시 차단판이 자동으로 원활하게 개방 및 차단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로 청정소화약제가 방출될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한 공기 팽창과 청정소화약제의 압력으로 인한 내부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화염의 확산을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종래의 과압 배출구 1a. 프레임
1b. 블레이드 1c. 링크부재
1d. 구동원
10. 개방 및 차단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11. 외곽 프레임 11a. 개방구
12. 후방 프레임 12a. 통로
13. 회전축 13a. 고정볼트
14. 차단판 14a. 수직판
14b. 절곡판 15. 스토퍼
16a. 차단용 자석 16b. 스토퍼용 자석
W. 벽체 S. 방호구역
1b. 블레이드 1c. 링크부재
1d. 구동원
10. 개방 및 차단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11. 외곽 프레임 11a. 개방구
12. 후방 프레임 12a. 통로
13. 회전축 13a. 고정볼트
14. 차단판 14a. 수직판
14b. 절곡판 15. 스토퍼
16a. 차단용 자석 16b. 스토퍼용 자석
W. 벽체 S. 방호구역
Claims (6)
- 화재시 방호구역 내로 청정소화약제를 방출할 경우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된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과압 배출구에 있어서,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결합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판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 에 연결되어 계단형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차단용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용 자석은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회전축과 고정볼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하부의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외주면에 스토퍼용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575U KR200461767Y1 (ko) | 2012-05-31 | 2012-05-31 |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575U KR200461767Y1 (ko) | 2012-05-31 | 2012-05-31 |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1767Y1 true KR200461767Y1 (ko) | 2012-08-07 |
Family
ID=4713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575U KR200461767Y1 (ko) | 2012-05-31 | 2012-05-31 |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76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124U (ko) | 2019-07-08 | 2021-01-18 | 유병규 |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
KR20220018789A (ko) * | 2020-08-07 | 2022-02-15 | 원준호 |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
-
2012
- 2012-05-31 KR KR2020120004575U patent/KR200461767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124U (ko) | 2019-07-08 | 2021-01-18 | 유병규 | 방화겸용 과압배출댐퍼 |
KR20220018789A (ko) * | 2020-08-07 | 2022-02-15 | 원준호 |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
KR102458818B1 (ko) | 2020-08-07 | 2022-10-26 | 원준호 |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51816B2 (en) | Protective cooling cover for cutter discs | |
KR200461767Y1 (ko) |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 |
WO2013159063A3 (en) | Dry sprinkler assemblies | |
KR101423989B1 (ko) |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 |
JP2011020076A (ja) | 爆風放散機能付き集塵装置 | |
BR112012008725B1 (pt) |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 |
ITBO20080600A1 (it) | Apparecchiatura per la trinciatura di materiale. | |
JP4583448B2 (ja) | 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及びそのエアラインフード用消音器が装着された防護フード | |
KR101380117B1 (ko) |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 |
KR101839604B1 (ko) | 복합 방화 에어타이트 일체형 댐퍼 | |
CN213870359U (zh) | 一种便于对扇叶翻转的消防排烟风机 | |
KR101276383B1 (ko) | 소방용 안전 관창 | |
JP5002129B2 (ja) | ノズル組立体 | |
KR20180005925A (ko) |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 |
KR200468968Y1 (ko) | 반도체 배기 시스템의 서브 덕트용 역류 방지 댐퍼 | |
KR101393795B1 (ko) | 덕트 소화장치 | |
KR102505558B1 (ko) | 양방향 과압 배출구 | |
US11559714B1 (en) | Piercing pipe fire suppression system | |
JP2001161852A (ja) |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保護キャップ | |
JP2012110643A (ja) | 消火用散水ノズル | |
KR20020051476A (ko) | 전력공동구용 소화시스템 | |
CN207342080U (zh) | 一种机械自动泄压装置 | |
KR20190137285A (ko) |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설비 시스템 | |
KR100837172B1 (ko) |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 |
EP3259034B1 (en) | Fire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entilation ho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