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795B1 - 덕트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795B1
KR101393795B1 KR1020120153271A KR20120153271A KR101393795B1 KR 101393795 B1 KR101393795 B1 KR 101393795B1 KR 1020120153271 A KR1020120153271 A KR 1020120153271A KR 20120153271 A KR20120153271 A KR 20120153271A KR 101393795 B1 KR101393795 B1 KR 101393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re extinguishing
damper
bracke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주)한화육삼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화육삼시티 filed Critical (주)한화육삼시티
Priority to KR102012015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덕트 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덕트; 상기 덕트의 절개된 영역 상측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로 연결되는 함체; 상기 덕트의 절개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한 댐퍼; 및 상기 댐퍼의 개방에 따라 상기 덕트 내부 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및 상기 댐퍼에 연결되는 소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한 화합물이나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덕트에 설치된 댐퍼는 평상시 독립된 공간을 밀폐하여 소화 노즐과 소화 노즐과 연결된 호스 등을 열과 유증기에서 보호하여 소화 노즐의 분사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 소화장치{FIRE-EXTINGUISHER FOR A DUCT}
본 발명은, 덕트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이용시설 화기취급 영업장내 주방시설의 덕트내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덕트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업장 주방내 소화설비는 기술적 진보로 다양한 소화설비가 상업화 되어 설치되고 있으나 대다수가 외국제품으로 일부 대형 패스트푸드 매장의 주방후드등에 부분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고가의 가격과 주방후드에 연결된 덕트 입구측 2~3M 의 일국소에 국한되어 덕트내부로 유지분에 의한 화재확산시 소화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일부 대다수의 사업장 주방에서는 분말 3.3KG 일반용 소화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덕트내부로의 화재확산시 소화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일부 대형 패스트푸드 매장에 설치되어있는 제품은 강화액이나 포소화약제 소화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우선 상업화 된 소화설비는 강화액을 사용하는 일본 YAMATO사 제품과 포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미국ANSUL사의 제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 소화설비는 후드 소화와 후드와 연결 된 덕트를 소화 할 수 있는 구조이나 조리 중 발생 된 유증기가 덕트 표면에 증착, 응고 되어 덕트내에 설치 된 소화약제 분무 노즐 분사구를 막히게 하여 소화약제 방출 지연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를 감지 하는 온도센서 또는 열감응 휴즈블링크가 화염에 반응하는 시간보다 화염의 이동속도가 빠름으로 인해, 덕트 전체에 소화설비를 구성하여 덕트 전체를 소화하여 화재로부터 방어할 수 있도록 해야 했으나 덕트 내 유지분의 고형화로 인한 소화약제 방출구 폐쇄, 소화약재의 고가, 설비구성등에 어려움이 있어 주방등의 한정 된 공간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이용시설 화기취급 영업장내 주방시설의 덕트내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함으로써 영업장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 노즐의 단부에 응고물질 접착에 따른 소화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덕트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덕트; 상기 덕트의 절개된 영역 상측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함체; 상기 덕트의 절개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한 댐퍼; 및 상기 댐퍼의 개방에 따라 상기 덕트 내부 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및 상기 댐퍼에 연결되는 소화 노즐을 포함하는 덕트 소화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댐퍼는, 상기 덕트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플레이트; 및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소화 노즐의 일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소화 노즐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열감응판이 마련되며, 상기 열감응판의 열 감지 정도에 의해 상기 댐퍼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댐퍼 블레이트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브래킷부; 및 상기 수직 브래킷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수평 브래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특수한 화합물이나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덕트에 설치된 댐퍼는 평상시 독립된 공간을 밀폐하여 소화 노즐과 소화 노즐과 연결된 호스 등을 열과 유증기에서 보호하여 소화 노즐의 분사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열감응판을 통해 화재시 댐퍼가 신속하게 전개되어 화재를 진압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에서 댐퍼가 회전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에서 댐퍼가 회전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에서 댐퍼가 회전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에서 댐퍼가 회전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덕트 소화장치는, 다중이용시설 화기취급 영업장내 주방시설의 덕트내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함으로써 영업장의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덕트내 설치된 노즐이 신속하게 작동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고, 일반 상수도 용수를 소화약제로 사용함으로써 덕트의 추가적 변형 없이 저비용예산으로 덕트내부 뿐만 아닌 내부 고온의 복사열로 인한 주변 천정부로의 추가확산을 방지함으로써 대형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는, 상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덕트(100), 덕트(100)의 절개된 영역 상측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로 연결되는 함체(110), 덕트(100)의 절개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함체(110)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한 댐퍼(120), 및 댐퍼(120)의 개방에 따라 덕트(100) 내부 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함체(110) 및 댐퍼(120)에 연결되는 소화 노즐(130)을 포함한다.
덕트(100)는 특정 영역의 상부 영역이 일부 절개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개된 영역에는 함체(110)가 연결되어 독립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함체(1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댐퍼(120)는 덕트(100)의 절개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함체(110)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게 한다. 부연하자면, 평상시에는 상측으로 젖혀 올려져 함체(11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며, 화재 발생시에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덕트(100) 내부 공간과 함체(1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도록 한다. 후술하겠지만, 평상시 댐퍼(120)가 함체(110) 내부 공간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브래킷(122)에 결합된 소화 노즐(130)이 함체(110)의 독립된 공간에 보관 되어 유증기 응고물질에 대해 소화 노즐(130)의 노출을 방지하여 소화 노즐(130), 특히 소화 노즐의 분사구에 응고물질 점착되어 소화 성능이 저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120)는 모터 또는 스프링 구동장치 등에 의해 힌지 회전 가능하며, 일 예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 또는 스프링 구동장치가 작동함으로써 하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댐퍼(120)를 힌지 회전하기 위한 장치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시행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120)는, 덕트(10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플레이트(121), 및 댐퍼 플레이트(121)의 일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브래킷(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브래킷(122)은 소화 노즐(130)의 일부를 고정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별도의 클램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소화 노즐(130)이 브래킷(122)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12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12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브래킷부(123), 및 수직 브래킷부(123)의 단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수평 브래킷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브래킷부(123)의 단부는 댐퍼 플레이트(121)의 일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댐퍼(120)의 회전시 브래킷(122) 또한 동일하게 회전 가능하다.
한편, 브래킷(122)에는 관통공(125)이 형성되며, 관통공(125)에는 소화 노즐(13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등에 의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 노즐(130)은, 댐퍼(120)의 개방에 따라 덕트(100) 내부 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함체(110) 및 브래킷(122)에 연결되며, 외부의 소화수 공급 펌프 등에 연결되어 함체(110)를 관통한 후 브래킷(122)에 연결 가능하다. 여기서, 소화 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는 일반 상수도 용수로 적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화재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보다 신속하게 댐퍼(1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플레이트(121)에 복수의 열감응판(140)이 마련되며, 열감응판(140)의 열 감지 정도에 의해 댐퍼(120)의 회전이 제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열감응판(140)은 예를 들어 서머커플 등과 같은 열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열감응판(140)의 열감지값을 전달받아 모터 또는 별도의 스프링 구동장치를 작동하여 댐퍼(120)를 하측으로 개방하여 함체(110) 내부 공간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브래킷(122) 또한 회전하여 소화 노즐(130)은 덕트(100) 내부를 향해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회전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특수한 화합물이나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덕트(100)에 설치된 댐퍼(120)는 평상시 독립된 공간을 밀폐하여 소화 노즐(130)과 소화 노즐(130)과 연결된 호스 등을 열과 유증기에서 보호하여 소화 노즐(130)의 분사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화재시 댐퍼(120)가 신속하게 전개되어 화재를 진압 가능하되 특히 열감응판(140)에 의해 더욱 신속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덕트 100: 함체
120: 댐퍼 122: 브래킷
125: 관통공 130: 소화 노즐
140: 열감응판

Claims (5)

  1. 상부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덕트;
    상기 덕트의 절개된 영역 상측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함체;
    상기 덕트의 절개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함체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한 댐퍼;
    상기 댐퍼의 개방에 따라 상기 덕트 내부 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및 상기 댐퍼에 연결되는 소화 노즐;
    상기 덕트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소화 노즐이 고정되는 댐퍼 플레이트;
    상기 댐퍼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의 열감응판; 및
    상기 열감응판의 열감지값을 전달받아 상기 댐퍼 플레이트를 개방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 노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열감응판은, 상기 댐퍼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될수록 상기 소화 노즐에서 멀어지도록 설치되는 덕트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소화 노즐의 일부를 고정 가능한 덕트 소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소화 노즐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는 덕트 소화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댐퍼 블레이트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브래킷부; 및
    상기 수직 브래킷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수평 브래킷부를 포함하는 덕트 소화장치.
KR1020120153271A 2012-12-26 2012-12-26 덕트 소화장치 KR10139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71A KR101393795B1 (ko) 2012-12-26 2012-12-26 덕트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271A KR101393795B1 (ko) 2012-12-26 2012-12-26 덕트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795B1 true KR101393795B1 (ko) 2014-05-12

Family

ID=5089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271A KR101393795B1 (ko) 2012-12-26 2012-12-26 덕트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64B1 (ko) * 2014-10-20 2015-01-02 (주) 아시안룩스 후드방화용뎀퍼모듈
KR101854747B1 (ko) * 2016-09-30 2018-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클러 시스템
KR20200139451A (ko) 2019-06-04 2020-12-14 황선우 배기 덕트용 방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20A (ja) * 2000-03-24 2001-10-02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70014802A (ko) * 2005-07-29 2007-02-01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덕트용 자동 소화시스템.
JP2010057776A (ja) * 2008-09-05 2010-03-18 Nohmi Bosai Ltd 消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20A (ja) * 2000-03-24 2001-10-02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70014802A (ko) * 2005-07-29 2007-02-01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덕트용 자동 소화시스템.
JP2010057776A (ja) * 2008-09-05 2010-03-18 Nohmi Bosai Ltd 消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964B1 (ko) * 2014-10-20 2015-01-02 (주) 아시안룩스 후드방화용뎀퍼모듈
KR101854747B1 (ko) * 2016-09-30 2018-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클러 시스템
KR20200139451A (ko) 2019-06-04 2020-12-14 황선우 배기 덕트용 방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8858B1 (en) Fireproof cabinet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1393795B1 (ko) 덕트 소화장치
WO2005110548A3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KR101304529B1 (ko) 화재진압용 소방로봇
KR20120037332A (ko)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US9757602B2 (en) Flame mitigation device and system
US11324976B2 (en) Pump guard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703291B1 (ko)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CN112911876B (zh) 一种5g防火网络柜及防火方法
KR102249119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180010798A (ko)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101700136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US9089727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ir ducts
US20040089457A1 (en) Stationary automatic fire-extinguishing installation
CN109091787A (zh) 一种消防安全控制系统
KR100968064B1 (ko)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KR101450249B1 (ko) 자동 차수판을 구비한 소화시스템
JPH09502109A (ja) 溶媒、可燃性液等のための保管用貯蔵戸棚
ES2338410T3 (es) Instalacion de proteccion contra incendios y de extincion de incendios para electrodomesticos de agua.
KR101886162B1 (ko) 매립형 스프링클러
CN110787387A (zh) 一种厨房设备灭火装置
KR200395411Y1 (ko) 가스소화설비용 자동폐쇄장치
JP3467587B2 (ja) 閉囲空間の消火設備
RU2685866C1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90090696A (ko)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