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119B1 -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19B1
KR102249119B1 KR1020210003660A KR20210003660A KR102249119B1 KR 102249119 B1 KR102249119 B1 KR 102249119B1 KR 1020210003660 A KR1020210003660 A KR 1020210003660A KR 20210003660 A KR20210003660 A KR 20210003660A KR 102249119 B1 KR102249119 B1 KR 10224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re
fan module
glas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21000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62B3/005Rescue tools with forc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by blowing air or gas currents with or without dispersion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Apparatus therefor, e.g. f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유리로 형성된 창호; 상기 창호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창호를 파괴하는 창호 파괴부; 및,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창호 파괴부를 사용하여 상기 창호를 파괴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ENSING FIR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지점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창호를 자동으로 파손되도록 하고, 해당 창호 근방에 설치된 팬을 사용하여 실내에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위험에서의 부상과 죽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불에 타는 것이 아닌 연기로부터 유발된 질식이다. 화재 시, 사람들은 종종 빌딩에서 외부로의 대피를 시도한다. 외부로 탈출할 때, 아마도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연기 때문에 질식에 의한 부상과 죽음이 종종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 탈출하는 중에 사람들이 의식을 잃고 불타 죽을 수 있다.
또한 근래 빌딩들은 통 유리와 같은 창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실내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화재로 인한 유독 가스에 질식이 발생됨과 아울러, 저층의 경우 외부 탈출 경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383호 (2017.01.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지점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창호를 자동으로 파손되도록 하고, 해당 창호 근방에 설치된 팬을 사용하여 실내에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가 발생되면, 파손된 실내의 창호 근방에서 유독가스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유리로 형성된 창호;
상기 창호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창호를 파괴하는 창호 파괴부; 및,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창호 파괴부를 사용하여 상기 창호를 파괴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호는,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창호는,
이중의 단위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들의 내부에는,
상기 창호 파괴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호 파괴부는,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을 통해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류 제공기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상기 스페이서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에는,
팬 모듈과, 상기 팬 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되,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모터와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팬 모듈을 회전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기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을 구동시키고,
일정 시간 이후에, 상기 회전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이 상기 유리가 배치된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배치시키고, 상기 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팬 모듈은 프레임과, 팬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분사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 유로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분사홀들과 연결되고,
상기 분사 유로는 소화물질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팬 모듈이 상기 유리가 배치된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배치된 이후에,
상기 소화물질 공급부를 사용하여 소화물질을 상기 분사 유로 및 상기 분사홀들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으로 분사시킨다.
또한, 상기 분사기의 상단은,
상기 축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분사기는 회전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되는 온도와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분사기의 회전속도를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실내에는,
상기 실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된 상기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온도 분포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분포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기들의 상기 설정된 배치 위치에서 최고 온도를 이루는 위치에 상기 분사기들이 하강되도록 상기 실린더를 구동시키고, 하강된 위치에서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설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왕복 승강되도록 제어하고,
왕복 승강되는 상기 축에 설치된 상기 분사기를 통해 상기 소화수를 연속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천정에는,
격자 배열의 제 1분사 위치들을 형성하여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하방으로 토출하는 제 1에어 토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천정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내의 바닥에는,
격자 배열의 제 2분사 위치들을 형성하여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하방으로 토출하는 제 2에어 토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를 통해, 최저 온도를 이루는 위치들을 선정하고,
상기 제 1분사위치들 및 상기 제 2분사 위치들 중, 상기 선정된 최저 온도를 이루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선정된 제 1분사위치들과 선정된 제 2분사위치들을 선정하고,
상기 제 1에어 토출부 및 상기 제 2에어 토출부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제 1분사위치들과 선정된 제 2분사위치들에 에어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지점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창호를 자동으로 파손되도록 하고, 해당 창호 근방에 설치된 팬을 사용하여 실내에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면, 파손된 실내의 창호 근방에서 유독가스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및 창호 파괴부, 팬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팬 모듈 및 창호 파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을 통해 소화 물질이 분사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에 분사기의 회전과,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및 창호 파괴부, 팬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팬 모듈 및 창호 파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00)와, 상기 실내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유리로 형성된 창호(200)와, 상기 창호(200)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창호를 파괴하는 창호 파괴부(300)와, 상기 화재 감지기(100)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창호 파괴부(300)를 사용하여 상기 창호를 파괴하도록 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호(200)는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210)과, 상기 창호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상기 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는 이중의 단위 유리(220)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22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22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들(230)이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들(230)의 내부에는, 상기 창호 파괴부(3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창호 파괴부(300)는,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310)과,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310)을 통해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류 제공기(32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310)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상기 스페이서들(2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210)에는, 팬 모듈(410)과, 상기 팬 모듈(410)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420)를 구비한다.
상기 팬 모듈(410)은, 상기 창호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회전축(4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421)은, 회전 모터(420)와 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모터(42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축(421)을 통해 상기 팬 모듈(410)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310)을 구동시키고, 일정 시간 이후에, 상기 회전모터(420)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410)이 상기 유리가 배치된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배치시키고, 회전기(413)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410)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을 통해 소화 물질이 분사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팬 모듈(410)은 프레임(412)과, 팬(411)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412)에는, 분사 유로(412a)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 유로(412a)는 상기 프레임(412)에 형성되는 분사홀들(4212b)과 연결된다.
상기 분사 유로(412b)는 소화물질 공급부(43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팬 모듈(410)이 상기 유리가 배치된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배치된 이후에, 상기 소화물질 공급부(430)를 사용하여 소화물질을 상기 분사 유로(412a) 및 상기 분사홀들(412b)을 통해 상기 실내 공간으로 분사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에 분사기의 회전과, 승강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천정(10)에는 상기 화재 감지기(100)의 인근에 소화수 제공기(30)로부터 제공되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기들(70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소화수 분사기들(700) 각각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소화수의 분사량이 상기 측정되는 온도와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어 분사되도록 상기 소화수 분사기들(700)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소화수 분사기들(700) 각각은, 상기 천정(10)에 배치되며 승강되는 축(711)을 갖는 실린더(710)와, 상기 축(711)의 하단에 설치되는 분사기(720)와, 상기 분사기(720)와 상기 소화수 제공기(30)를 연결하여 상기 소화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가요성 및 난연성의 관(730)과, 상기 관(73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 펌프(7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화재 발생시, 상기 실린더(710)를 사용하여 상기 축(711)을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고, 하강된 위치에서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기(720)의 상단은, 상기 축(71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분사기(720)는 제 1회전 모터(75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측정되는 온도와 설정된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분사기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 1회전 모터(750)를 사용하여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실내 공간에는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8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촬영된 상기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온도 분포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 분포를 통해, 상기 화재 감지기들의 상기 설정된 배치 위치에서 최고 온도를 이루는 위치에 상기 분사기들(720)이 하강되도록 상기 실린더(710)를 구동시키고, 하강된 위치에서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실린더(710)를 사용하여 상기 축(711)을 설정된 승강 범위 내에서 왕복 승강되도록 제어하고, 왕복 승강되는 상기 축(711)에 설치된 상기 분사기(720)를 통해 상기 소화수를 연속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천정에는, 격자 배열의 제 1분사 위치들을 형성하여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하방으로 토출하는 제 1에어 토출부가 설치된다. 상기 천정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실내의 바닥에는, 격자 배열의 제 2분사 위치들을 형성하여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하방으로 토출하는 제 2에어 토출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를 통해, 최저 온도를 이루는 위치들을 선정하고, 상기 제 1분사위치들 및 상기 제 2분사 위치들 중, 상기 선정된 최저 온도를 이루는 위치들에 배치되는 선정된 제 1분사위치들과 선정된 제 2분사위치들을 선정하고, 상기 제 1에어 토출부 및 상기 제 2에어 토출부를 사용하여 상기 선정된 제 1분사위치들과 선정된 제 2분사위치들에 에어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발생 지점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는 창호를 자동으로 파손되도록 하고, 해당 창호 근방에 설치된 팬을 사용하여 실내에 화재 발생으로 인한 유독가스를 강제 배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면, 파손된 실내의 창호 근방에서 유독가스의 독성을 완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 감지에 사용되는 센서들 중 고장이 발생된 센서를 즉시 인식하고, 다른 센서를 사용하여 고장 발생 센서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화재 감지 오류를 방지함과 아울러 화재 발생에 따른 살수량의 오류를 방지하여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공간에 냉풍을 간격을 이루도록 분사하여 냉풍이 분사되는 사이 공간을 통해 대피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화재 감지기
200 : 창호
300 : 창호 파괴부
500 : 제어부

Claims (4)

  1.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실내 공간을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유리로 형성된 창호;
    상기 창호에 설치되며,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창호를 파괴하는 창호 파괴부; 및,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창호 파괴부를 사용하여 상기 창호를 파괴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창호는,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 프레임과,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유리를 포함하되,
    상기 창호는, 이중의 단위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이중의 단위 유리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들의 내부에는, 상기 창호 파괴부가 배치되고,
    상기 창호 파괴부는,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을 통해 일정 이상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류 제공기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상기 스페이서들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에는,
    팬 모듈과, 상기 팬 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되,
    상기 팬 모듈은,
    상기 창호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모터와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통해 상기 팬 모듈을 회전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진동 발생기들을 구동시키고,
    일정 시간 이후에, 상기 회전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이 상기 유리가 배치된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시켜 배치시키고, 상기 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팬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0210003660A 2021-01-12 2021-01-12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24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60A KR102249119B1 (ko) 2021-01-12 2021-01-12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60A KR102249119B1 (ko) 2021-01-12 2021-01-12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119B1 true KR102249119B1 (ko) 2021-05-07

Family

ID=7591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660A KR102249119B1 (ko) 2021-01-12 2021-01-12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987B1 (ko) * 2022-07-14 2023-07-20 (주)대진소방이엔씨 스프링클러 연결형 다기능 소방방재장치
KR102557038B1 (ko) * 2022-07-14 2023-07-20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신속화재진압이 가능한 연기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383B1 (ko) 2016-07-05 2017-02-13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CN209581490U (zh) * 2019-01-08 2019-11-0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逃生窗及具有其的轨道车辆
KR20200007125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위디코 화재 대피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152545B1 (ko) * 2019-12-03 2020-09-07 전용진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383B1 (ko) 2016-07-05 2017-02-13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20200007125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위디코 화재 대피용 강화유리 파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CN209581490U (zh) * 2019-01-08 2019-11-0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逃生窗及具有其的轨道车辆
KR102152545B1 (ko) * 2019-12-03 2020-09-07 전용진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987B1 (ko) * 2022-07-14 2023-07-20 (주)대진소방이엔씨 스프링클러 연결형 다기능 소방방재장치
KR102557038B1 (ko) * 2022-07-14 2023-07-20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신속화재진압이 가능한 연기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119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CN112050339B (zh) 一种消防工程用排烟系统
KR102361424B1 (ko) 스프링클러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물 내 화재 감지 및 진화시스템
KR102141957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CN201815039U (zh) 室内精确自动定位灭火装置
KR20200098317A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101700142B1 (ko)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KR102310042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236901B1 (ko) 건축물 초기 화재진압설비
CN211024933U (zh) 家用智能防火防烟预警器
KR102077296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208011992U (zh) 一种火灾疏散防排烟集成系统
KR102115224B1 (ko) 주상복합건물 자동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2303995B1 (ko) 고층 건물의 소방화재 감시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