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042B1 -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042B1
KR102310042B1 KR1020210035459A KR20210035459A KR102310042B1 KR 102310042 B1 KR102310042 B1 KR 102310042B1 KR 1020210035459 A KR1020210035459 A KR 1020210035459A KR 20210035459 A KR20210035459 A KR 20210035459A KR 102310042 B1 KR102310042 B1 KR 10231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eiling
cover
occurren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문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35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4/00Flame traps allowing passage of gas but not of flame or explosion wa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과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를 진압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상기 천정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측정된 온도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온도 분포 산출기와, 상기 화재 발생기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산출된 온도 분포에서 기설정된 화재 발생 온도에 해당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선정하는 화재 발생 영역 선정기와, 상기 천정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슬래브의 다수 위치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단에 일정 크기를 이루는 반구 형상의 커버 부재들과,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커버 부재들 중,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를 승강기를 사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ENSING FIR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함과 아울러 실내의 온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에 해당되는 온도를 이루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을 내열성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여 밀폐시킴과 아울러, 화염을 외부로 즉시 배출하도록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경우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를 감지 및 소방하는 시설이 구비된다.
이러한 소방 시설은 실내에서는 스프링쿨러가 구비된다.
또한 건물 화재발생시 경보를 울려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재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재감지장치는 건물의 천장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장치, 연기를 감지하는 장치, 불꽃을 감지하는 장치 등으로 구분되며,
또한, 화재감지장치는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법적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장치는 그 배선방식이 건물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장치를 하나의 회로로 연결하므로 화재발생시 건물의 관리실에는 해당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만 경보 될 뿐, 다수의 화재감지장치 중 어느 것이 작동되었는지 알 수 없어 관리자가 화재 현장에 출동하여 육안으로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 공간을 이루는 내장재 자체에서 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없고, 화재 발생시 내장재들을 회전개방시켜 외부로 화염을 강제 배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상기와 같은 스프링쿨러의 경우 단순히 일정 공간에 물을 분사하게 구성된 것인바, 대부분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한, 아파트의 경우 화재 발생시 외부의 창문이나 베란다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스프링쿨러의 경우 그 창문이나 베란다를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지 못하였다.
종래에는 건물의 외벽에 소화수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화재가 발생시 건물 외벽에 소화수를 분사 및 상층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사방식은 단순히 물을 하부로 분사하게 구성된 것인바, 빠르게 상부로 확산되는 불길을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90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함과 아울러 실내의 온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에 해당되는 온도를 이루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을 내열성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여 밀폐시킴과 아울러, 화염을 외부로 즉시 배출하도록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는 경우, 커버 부재를 화재 발생 영역의 사이즈를 에워싸는 크기를 이루도록 사이즈 변경 후,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하여 화재 진압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를 진압함과 아울러, 커버 부재의 내부에 소방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더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과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를 진압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상기 천정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측정된 온도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온도 분포 산출기와,
상기 화재 발생기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산출된 온도 분포에서 기설정된 화재 발생 온도에 해당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선정하는 화재 발생 영역 선정기와,
상기 천정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슬래브의 다수 위치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단에 일정 크기를 이루는 반구 형상의 커버 부재들과,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커버 부재들 중,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를 승강기를 사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의 상단 중앙은, 상기 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의 하단에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 테두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에는,
내열성의 배출 튜브들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 튜브들의 타단은 상기 천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출 튜브들 각각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은,
소화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소화수 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부재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에 연결되는 소화수 튜브와,
상기 소화수 튜브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를 구비하되,
상기 소화수 공급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소화수 튜브 및 상기 배출 튜브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천정은,
직사각 형상의 단위 천정재들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 천정재들 각각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모터와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천정 측부에 위치되는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단위 천정재들이 직립되도록 회전시켜 상기 커버 부재들을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의 온도를 통해 경계를 산출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은,
상기 축과 연결되는 반구 형상의 중앙 커버와,
상기 중앙 커버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다단의 돌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커버의 3군데에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릴들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다단의 돌출 커버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감싸는 사이즈를 이루도록 상기 릴들을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권출하여 상기 다단의 돌출 커버를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함과 아울러 실내의 온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에 해당되는 온도를 이루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을 내열성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여 밀폐시킴과 아울러, 화염을 외부로 즉시 배출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는 경우, 커버 부재를 화재 발생 영역의 사이즈를 에워싸는 크기를 이루도록 사이즈 변경 후,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하여 화재 진압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함과 아울러, 커버 부재의 내부에 소방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더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화재 발생 영역이 하강된 커버 부재에 의해 에워싸이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천정재들이 회전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단위 천정재들이 회전되어 커버 부재가 하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부재들이 하방으로 돌출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ㅏ.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화재 발생 영역이 하강된 커버 부재에 의해 에워싸이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1)과 벽체(2)와, 바닥(3)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를 진압함에 채택된다.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상기 천정(1) 및 상기 벽체(2)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00)와, 상기 천정(1)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200)와, 상기 측정된 온도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온도 분포 산출기(300)와, 상기 화재 발생기(100)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산출된 온도 분포에서 기설정된 화재 발생 온도에 해당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선정하는 화재 발생 영역 선정기(400)와, 상기 천정(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슬래브(10)의 다수 위치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단에 일정 크기를 이루는 반구 형상의 커버 부재들(500)과, 제어기(60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커버 부재들(500) 중,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500)를 승강기(700)를 사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700)는 상기 천정(1)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축(710)을 갖는 실린더(72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들(500) 각각의 상단 중앙은, 상기 축(7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의 하단에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 테두리(50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에는 내열성의 배출 튜브들(8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배출 튜브들(810)의 타단은 상기 천정(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배출 튜브들(810) 각각에는, 펌프(820)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820)는, 상기 제어기(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펌프(820)의 구동에 의해 화재 발생 영역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화염은 배출 튜브(81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은 소화수 공급부(900)와 연결된다.
상기 소화수 공급부(900)는 일단이 상기 커버 부재들(500)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에 연결되는 소화수 튜브(910)와, 상기 소화수 튜브(910)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920)를 구비한다.
상기 소화수 공급기(920)는, 상기 제어기(6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소화수 튜브(910) 및 상기 배출 튜브(810)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의 승강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 형상의 상기 소화수 튜브(910) 및 상기 배출 튜브(810)의 외면에는 내열 및 내화성 재질의 층이 다층을 이루어 형성되어 화재로 인해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들(500)의 상부에는 지지대(59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592)의 하단에는 후술되는 릴들(550)이 설치된다.
상기 축(710)의 하단은 상기 커버 부재(500)의 중앙부 상단에 고정된다. 또는 상기 축(710)의 하단은 상기 커버 부재(500)의 중앙부 상단에 스크루 방식으로 체결되어 탈착이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천정재들이 회전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단위 천정재들이 회전되어 커버 부재가 하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천정(1)은 직사각 형상의 단위 천정재들(1a)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위 천정재들(1a) 각각은 회전축(1b)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1b)은 회전 모터(20)와 축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전 모터(20)는 상기 천정(1) 측부에 위치되는 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모터(20)를 구동시켜, 상기 단위 천정재들(1a)이 직립되도록 회전시켜 상기 커버 부재들(500)을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 부재들이 하방으로 돌출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제어기(600)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의 온도를 통해 경계를 산출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들(500) 각각은, 상기 축(710)과 연결되는 반구 형상의 중앙 커버(510)와, 상기 중앙 커버(5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다단의 돌출 커버(52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510)의 하단에는, 와이어(551)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릴들(520)이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551)는 연결구(552)를 통해 다단의 돌출 커버(520) 각각의 외주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600)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감싸는 사이즈를 이루도록 상기 릴들(550)을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551)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다단의 돌출 커버(520)를 하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돌출 커버의 하단에는 일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설치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중량을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언급되는 구성들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함과 아울러 실내의 온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재에 해당되는 온도를 이루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을 내열성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여 밀폐시킴과 아울러, 화염을 외부로 즉시 배출하도록 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는 경우, 커버 부재를 화재 발생 영역의 사이즈를 에워싸는 크기를 이루도록 사이즈 변경 후,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하여 화재 진압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으며,
화재를 진압함과 아울러, 커버 부재의 내부에 소방수를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더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천정
2 : 벽체
3 : 바닥
100 : 화재 감지기
200 : 온도 센서
300 : 온도 분포 산출기
400 : 화재 발생 영역 선정기
500 : 커버 부재들
600 : 제어기

Claims (4)

  1. 천정과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를 진압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상기 천정 및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측정된 온도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온도 분포 산출기와,
    상기 화재 발생기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산출된 온도 분포에서 기설정된 화재 발생 온도에 해당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선정하는 화재 발생 영역 선정기와,
    상기 천정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슬래브의 다수 위치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단에 일정 크기를 이루는 반구 형상의 커버 부재들과,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커버 부재들 중,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를 승강기를 사용하여 하강시켜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을 커버하도록 하되,
    상기 승강기는, 상기 천정에 설치되며, 승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의 상단 중앙은, 상기 축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의 하단에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에는,
    내열성의 배출 튜브들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 튜브들의 타단은 상기 천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출 튜브들 각각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은,
    소화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소화수 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부재들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에 연결되는 소화수 튜브와,
    상기 소화수 튜브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를 구비하되,
    상기 소화수 공급기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소화수 튜브 및 상기 배출 튜브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천정은,
    직사각 형상의 단위 천정재들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 천정재들 각각은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회전 모터와 축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천정 측부에 위치되는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단위 천정재들이 직립되도록 회전시켜 상기 커버 부재들을 상기 실내 공간에 노출시키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에서의 온도를 통해 경계를 산출하여,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들 각각은,
    상기 축과 연결되는 반구 형상의 중앙 커버와,
    상기 중앙 커버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한 다단의 돌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커버의 3군데에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릴들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다단의 돌출 커버의 외주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화재 발생 영역의 면적을 감싸는 사이즈를 이루도록 상기 릴들을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를 권출하여 상기 다단의 돌출 커버를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5459A 2021-03-18 2021-03-18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31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59A KR102310042B1 (ko) 2021-03-18 2021-03-18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459A KR102310042B1 (ko) 2021-03-18 2021-03-18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42B1 true KR102310042B1 (ko) 2021-10-07

Family

ID=7860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459A KR102310042B1 (ko) 2021-03-18 2021-03-18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278B1 (ko) * 2022-07-22 2022-11-10 (주)대성종합기술단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KR102621184B1 (ko) * 2023-03-13 2024-01-04 (주)경문기술단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화재 진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065A (ko) 2010-05-25 2011-12-01 주식회사 비엔알테크 건물외벽장착용 소화장치 및 이것의 설치구조
KR101744492B1 (ko) * 2016-10-07 2017-06-0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공간 자동 화재 감지 및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130845B1 (ko) * 2019-12-31 2020-07-06 (주)세정이에프씨 고층 건물 화재 진압 및 대피 설비
KR102141957B1 (ko) * 2019-12-19 2020-08-06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065A (ko) 2010-05-25 2011-12-01 주식회사 비엔알테크 건물외벽장착용 소화장치 및 이것의 설치구조
KR101744492B1 (ko) * 2016-10-07 2017-06-0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공간 자동 화재 감지 및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141957B1 (ko) * 2019-12-19 2020-08-06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130845B1 (ko) * 2019-12-31 2020-07-06 (주)세정이에프씨 고층 건물 화재 진압 및 대피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278B1 (ko) * 2022-07-22 2022-11-10 (주)대성종합기술단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KR102621184B1 (ko) * 2023-03-13 2024-01-04 (주)경문기술단 화재 감지 및 소화를 위한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화재 진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042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US68011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arly detection of fire and for fighting fire indoors and outdoors, especially in living areas, of homes and buildings
US201302640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ion in Residential Attics and Basements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61424B1 (ko) 스프링클러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물 내 화재 감지 및 진화시스템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141957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WO2008150098A2 (en) Air conditioner hav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WO2020021079A1 (en) A fire fighting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in a room of a building, a method thereof and use of an array sensor therein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1700142B1 (ko) 건축공간 제연 기능을 갖는 소방방재 장치
KR102211442B1 (ko) 이동형 소방장치
KR102249119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097409B1 (ko)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102512048B1 (ko) 즉각 소화기구를 구비한 소화시스템을 이용한 소화방법
KR101674444B1 (ko)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US20220347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Fighting in a Room, in Particular in a Residential Room
KR102175510B1 (ko) 화재경계지구 타워형 스프링클러 장치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20220158342A (ko) 화재안전시스템
AU2021368162A1 (en) Controlled system and methods of storage structure fire protection
JP3924114B2 (ja) 滞在限界状態検出方法
TWI450744B (zh) Fixed fire extinguis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