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57B1 -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957B1
KR102141957B1 KR1020190170505A KR20190170505A KR102141957B1 KR 102141957 B1 KR102141957 B1 KR 102141957B1 KR 1020190170505 A KR1020190170505 A KR 1020190170505A KR 20190170505 A KR20190170505 A KR 20190170505A KR 102141957 B1 KR102141957 B1 KR 10214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ver
pipe
location
extingui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철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7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 및 벽체를 갖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위치 감지부;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들;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이 배치되는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커버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커버관들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화재 위치를 전송 받아 상기 커버부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화재 위치를 상기 커버관들 중 어느 하나를 하강시켜 커버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키는 소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APPARATUS FOR EXTINGUISHING AND SENSING FIR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를 즉시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된 일정의 공간을 격리하고, 이 격리된 공간에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발화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경우 화재가 발생시 그 화재를 감지 및 소방시설이 구비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소방 시설은 실내에서 스프링쿨러가 구비된다.
또한 건물 화재발생시 경보를 울려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재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재감지장치는 화재발생시 열을 감지하는 장치, 연기를 감지하는 장치, 불꽃을 감지하는 장치 등으로 구분되며, 건물의 천장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재감지장치는 그 배선방식이 건물의 일정구역에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장치를 하나의 회로로 연결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건물의 관리실에는 해당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만 경보 될 뿐이다.
이에 종래에는 건물 내 임의의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된 최초 위치를 포함하는 일정의 공간을 격리하여 화재의 근원을 실질적으로 제거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단순히 스프링클러만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화재 발생 위치까지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여 화재가 외부로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를 즉시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된 일정의 공간을 격리하고, 이 격리된 공간에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발화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에워싸도록 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추가적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주변 영역에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 및 벽체를 갖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위치 감지부;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들;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이 배치되는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커버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커버관들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화재 위치를 전송 받아 상기 커버부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화재 위치를 상기 커버관들 중 어느 하나를 하강시켜 커버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키는 소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는,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상기 실내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취득한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산출기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됨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을 취득하도록 하고, 상기 산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온도 분포를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에서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최고 온도를 이루는 위치를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설정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에는 설치홀들이 형성되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관들과, 상기 커버관들을 승강시키는 승강기들을 구비하되,
상기 커버관들은 상기 설치홀들 각각이 상기 커버관들 각각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각각은, 상기 설치홀들 각각에 배치되어 소화수를 분사한다.
또한 상기 커버관들 각각은,
상부관과, 하부관과,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을 연결하는 주름관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관의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설치홀들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승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축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관은 승강되고 상기 주름관은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특히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각각은,
상기 천정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홀들 각각에 배치되는 분사기와,
상기 천정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분사기와 연결되고, 설정된 길이를 갖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를 구비하되,
상기 분사기와 상기 공급관의 일단은 회전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분사기를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제 1회전 모터와, 상기 제 1회전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기를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각각은 승강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공급관의 외측 둘레에는, 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설치홀들 주변 영역의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정역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를 갖는 기어 박스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기어는,
상기 공급관의 양측에서 상기 기어이에 기어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화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기어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공급관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분사기의 승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회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화 제어부는,
상기 설치홀들 중 상기 화재 위치의 상부에 위치되는 설치홀을 선정하고,
상기 커버관들 중, 선정된 상기 설치홀에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커버관을 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기어를 구동시켜, 선정된 상기 커버관을 상기 화재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을 덮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중, 하강된 상기 커버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소화수 분사부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덮어진 상기 화재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에 분사한다.
또한 상기 소화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를 사용하여, 하강된 상기 커버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소화수 분사부의 분사기를 상기 화재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중, 하강된 상기 커버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소화수 분사부 이외의 다른 소화수 분사부들을 사용하여 소화수를 분사시키되,
상기 제 1회전 모터와 상기 제 2회전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다른 소화수 분사부들 각각의 분사기가 상기 화재 위치를 향하도록 자세를 가변시켜 상기 화재 위치를 향해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기에는,
상기 소화수가 분사되는 분사홀과, 상기 분사홀을 에워싸는 위치에 형성되는 흡입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에는,
상기 흡입홀들과 연결되는 배출 유로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에는, 배출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흡입홀들을 통해 흡입되는 연기를 상기 배출 유로들을 따라 유동시켜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의 바닥에는 이중 바닥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 바닥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천정에는 승강되는 다단 파이프가 설치된다. 다단 파이프의 상단은 천정을 관통한다. 관통되는 다단 파이프의 상단은 외부와 배출관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다단 파이프는 상술한 기어 박스와 같은 승강 구동 장치를 통해 다단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파이프는 각 파이프에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승강 구동되는 각각의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단 파이프에는 배출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는 승강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다단의 파이프를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하단 파이프의 하단은 이중 바닥에 설치되는 결합관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관은 다단 파이프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관에는 다단 파이프의 하단과ㅏ 결함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센서를 통해 결합관과 다단 파이프의 하단이 결합됨이 감지되면, 배출 펌프를 구동시켜 이중 바닥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는 화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의 화재 발생 위치를 즉시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된 일정의 공간을 격리하고, 이 격리된 공간에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발화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된 공간을 에워싸도록 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추가적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주변 영역에서의 화재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위치 감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 분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는 천정(10) 및 벽체(20)를 갖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위치 감지부(100)와, 상기 천정(10)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들(200)과,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이 배치되는 상기 천정(10)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커버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커버관들을 갖는 커버부(300)와,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100)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화재 위치를 전송 받아 상기 커버부(300)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화재 위치를 상기 커버관들 중 어느 하나를 하강시켜 커버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을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키는 소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위치 감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100)는,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10)와, 상기 실내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120)와, 상기 취득한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산출기(130)와, 상기 화재 감지기(130)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됨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상기 카메라(120)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을 취득하도록 하고, 상기 산출기(130)를 사용하여 상기 온도 분포를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에서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최고 온도를 이루는 위치를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설정하는 제어기(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10)에는 설치홀들(31)이 형성되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커버관들(310)과, 상기 커버관들(31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들(320)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관들(310)은 상기 설치홀들(31) 각각이 상기 커버관들(310) 각각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 각각은, 상기 설치홀들(31) 각각에 배치되어 소화수를 분사한다.
또한 상기 커버관들(310) 각각은, 상부관(311)과, 하부관(313)과, 상기 상부관(311)과 상기 하부관(313)을 연결하는 주름관(312)을 구비한다. 상기 주름관(312)은 내열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311)의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3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30)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설치홀들(31)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승강되는 축(322)을 갖는 실린더들(312)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승강기들(320) 각각은 상기 축(322)과 실린더(321)를 갖는다.
상기 실린더들(321) 각각의 상기 축(322)의 하단은, 상기 하부관(313)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들(322) 각각의 상기 축(321)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관(313)은 승강되고 상기 주름관(312)은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 분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특히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 각각은, 상기 천정(10)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홀들(31) 각각에 배치되는 분사기(210)와, 상기 천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분사기(210)와 연결되고, 설정된 길이를 갖는 공급관(220)과, 상기 공급관(220)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230)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기(210)와 상기 공급관(220)의 일단은 회전부(2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회전부(240)는, 상기 분사기(210)를 상하를 따라 회전시키는 제 1회전 모터(241)와, 상기 제 1회전 모터(241)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기(210)를 수평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제 2회전 모터(242)를 구비한다.
도 4와 도 5는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 각각은 승강 장치(250)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관(220)의 외측 둘레에는, 기어이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장치(250)는, 상기 설치홀들(31) 주변 영역의 상기 프레임(30) 상단에 설치되며, 정역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한 쌍의 기어(252)를 갖는 기어 박스(251)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기어(252)는, 상기 공급관(220)의 양측에서 상기 기어이에 기어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소화 제어부(400)는, 상기 한 쌍의 기어(252)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공급관(220)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분사기의 승강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회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화 제어부(400)는, 상기 설치홀들(31) 중 상기 화재 위치의 상부에 위치되는 설치홀(30)을 선정한다.
그리고 소화 제어부(400)는 상기 커버관들(310) 중, 선정된 상기 설치홀(31)에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커버관(310)을 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기어(252)를 구동시켜, 선정된 상기 커버관(310)을 상기 화재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을 덮도록 하강시킨다.
이어 소화 제어부(400)는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 중, 하강된 상기 커버관(3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소화수 분사부(200)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덮어진 상기 화재 위치에 상응하는 공간에 분사한다.
또한 상기 소화 제어부(400)는, 상기 승강 장치(250)를 사용하여, 하강된 상기 커버관(3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소화수 분사부(200)의 분사기(210)를 상기 화재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키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200) 중, 하강된 상기 커버관(3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소화수 분사부(200) 이외의 다른 소화수 분사부들(200)을 사용하여 소화수를 분사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회전 모터(241)와 상기 제 2회전 모터(242)를 구동시켜, 상기 다른 소화수 분사부들(200) 각각의 분사기(210)가 상기 화재 위치를 향하도록 자세를 가변시켜 상기 화재 위치를 향해 소화수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기(210)에는, 상기 소화수가 분사되는 분사홀(211)과, 상기 분사홀(211)을 에워싸는 위치에 형성되는 흡입홀들(21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220)에는, 상기 흡입홀들(212)과 연결되는 배출 유로들(221)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210)에는 배출 유로들(221) 각각과 연결되는 연기 배출관(222)이 형성된다.
상기 연기 배출관(222)은 배출관(223)과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223)에는 상기 흡입홀들(212)을 통해 흡입되는 연기를 상기 배출 유로들(221) 및 연기 배출관(222)을 따라 유동시켜 상기 배출관(22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펌프(224)가 설치된다.
도 6은 천정에 다단 파이프가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내의 바닥에는 이중 바닥(30)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 바닥(3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전선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천정(10)에는 승강되는 다단 파이프(500)가 설치된다. 다단 파이프(500)의 상단은 천정(10)을 관통한다. 관통되는 다단 파이프(500)의 상단은 외부와 배출관(51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다단 파이프(500)는 상술한 기어 박스와 같은 승강 구동 장치를 통해 다단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파이프(500)는 각 파이프에 상기 제어기(140)의 제어에 따라 승강 구동되는 각각의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단 파이프(500)에는 배출 펌프(520)가 설치된다.
상기 화재 감지기(110)로부터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기(140)는 승강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다단의 파이프(500)를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다단 파이프(500)의 하단은 이중 바닥(30)에 설치되는 결합관(3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관(31)은 다단 파이프(500)와 연결된다.
상기 결합관(31)에는 다단 파이프(500)의 하단과의 결합을 감지하는 센서(3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140)는 센서(32)를 통해 결합관(31)과 다단 파이프(500)의 하단이 결합됨이 감지되면, 배출 펌프(520)를 구동시켜 이중 바닥(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될 수 있는 화염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화재 위치 감지부
200 : 소화수 분사부
300 : 커버부
400 : 소화 제어부

Claims (4)

  1. 천정 및 벽체를 갖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하는 화재 위치 감지부;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 설치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 분사부들;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이 배치되는 상기 천정의 다수 위치에서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커버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 형상의 커버관들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화재 위치를 전송 받아 상기 커버부를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하강하여 상기 화재 위치를 상기 커버관들 중 어느 하나를 하강시켜 커버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을 사용하여 상기 화재 위치로 상기 소화수를 분사키는 소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 위치 감지부는,
    상기 실내에 화재가 발생됨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와,
    상기 실내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취득한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온도 분포를 산출하는 산출기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됨에 대한 신호를 받으면,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영상을 취득하도록 하고, 상기 산출기를 사용하여 상기 온도 분포를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상기 온도 분포에서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최고 온도를 이루는 위치를 상기 화재가 발생된 위치로 설정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에는 설치홀들이 형성되도록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관들과, 상기 커버관들을 승강시키는 승강기들을 구비하되,
    상기 커버관들은 상기 설치홀들 각각이 상기 커버관들 각각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소화수 분사부들 각각은, 상기 설치홀들 각각에 배치되어 소화수를 분사하고,
    상기 커버관들 각각은,
    상부관과, 하부관과,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을 연결하는 주름관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관의 테두리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설치홀들 각각의 주변 영역에는, 승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축의 하단은, 상기 하부관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상기 축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관은 승강되고 상기 주름관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0190170505A 2019-12-19 2019-12-19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14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05A KR102141957B1 (ko) 2019-12-19 2019-12-19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05A KR102141957B1 (ko) 2019-12-19 2019-12-19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957B1 true KR102141957B1 (ko) 2020-08-06

Family

ID=7203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505A KR102141957B1 (ko) 2019-12-19 2019-12-19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42B1 (ko) * 2021-03-18 2021-10-07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N116453288A (zh) * 2023-06-14 2023-07-18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多数据分析的机房火灾预警系统和处理方法
KR102571452B1 (ko) * 2022-10-17 2023-08-28 (주) 한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26083B1 (ko) * 2018-04-20 2018-12-06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세대별 소방 호스릴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926083B1 (ko) * 2018-04-20 2018-12-06 (주)경문기술단 공동주택 세대별 소방 호스릴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42B1 (ko) * 2021-03-18 2021-10-07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571452B1 (ko) * 2022-10-17 2023-08-28 (주) 한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CN116453288A (zh) * 2023-06-14 2023-07-18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多数据分析的机房火灾预警系统和处理方法
CN116453288B (zh) * 2023-06-14 2023-09-22 广东广宇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多数据分析的机房火灾预警系统和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957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130997B1 (ko) 초고층 건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028880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1700383B1 (ko) 건축물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KR102361424B1 (ko) 스프링클러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물 내 화재 감지 및 진화시스템
KR20200132337A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2310042B1 (ko)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249119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KR101997696B1 (ko) 마찰 저감장치를 구비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102077296B1 (ko) 건축물 화재진압 소방장치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102343035B1 (ko) 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KR101532953B1 (ko) 방화 영역별 스프링 클러 모니터링 장치
CN220455923U (zh) 一种烟雾火灾检测系统
KR101674444B1 (ko)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US4168748A (en) Fire control and evacuation system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JP3124147U (ja) 熱感知装置および建築物
KR101895252B1 (ko)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80111072A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KR102181245B1 (ko) 소방용수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