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252B1 -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 Google Patents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252B1
KR101895252B1 KR1020160159205A KR20160159205A KR101895252B1 KR 101895252 B1 KR101895252 B1 KR 101895252B1 KR 1020160159205 A KR1020160159205 A KR 1020160159205A KR 20160159205 A KR20160159205 A KR 20160159205A KR 101895252 B1 KR101895252 B1 KR 10189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tanding
pair
indoor spac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101A (ko
Inventor
김영수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최두환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최두환, 김영수 filed Critical 서해기술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2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는: 실내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호 이격 대향 되게 구비된 한 쌍의 기립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매립되는 가로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직진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가 상호 대향 되는 부분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빔 발광부;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각각에서 상기 빔 발광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와 하부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제연부; 및, 상기 가로 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공간으로 살수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빌딩을 비롯한 각종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원인에 따라 화재 연기가 많이 모여 있는 위치를 조난자가 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직진 광에 의해 육안으로 손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까지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fire fighting apparatus having inhalation bur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을 비롯한 각종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히 소화할 뿐만 아니라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방방재장치가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되게 된다.
특히, 아파트, 백화점, 멀티플렉스 영화관, 지하철역, 공공시설물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고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스프링클러, 방화 셔터, 댐퍼(또는 환풍기) 등이 소방방재장치로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방재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3050호(2006년12월0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방재장치는 제연기능을 갖추었더라도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까지는 막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인명 손실을 줄이는 것은 기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방재장치는 소화수단, 제연수단 등의 소방방재수단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고, 그 설치 시공 과정도 까다로워 비용이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3050호(2006년12월0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을 비롯한 각종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화수단, 제연수단 등의 소방방재수단들이 모두 통합적으로 설치되어 작동되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기가 용이 해질 수 있고, 그 설치 시공 과정도 손쉬워져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는: 실내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호 이격 대향 되게 구비된 한 쌍의 기립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매립되는 가로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직진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가 상호 대향 되는 부분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빔 발광부;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각각에서 상기 빔 발광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와 하부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제연부; 및, 상기 가로 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공간으로 살수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및 가로 본체는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 본체에는 화재 발생시 상기 스프링클러로 살수용 용수를 공급하는 살수 공급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는 상기 빔 발광부, 상·하부 제연부 및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을 비롯한 각종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원인에 따라 화재 연기가 많이 모여 있는 위치를 조난자가 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직진 광에 의해 육안으로 손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까지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화수단, 제연수단 등의 소방방재수단들이 모두 모듈화되어 통합적으로 설치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기가 용이 해질 수 있고, 그 설치 시공 과정도 손쉬워져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가 단독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가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가 제어부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에 의해 대피하고자 하는 방향의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빔이 ‘X’자 형태를 이루도록 빔 발광부가 회전되어 경고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호 이격 대향 되게 구비된 한 쌍의 기립 본체(110)와, 한 쌍의 기립 본체(11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매립되는 가로 본체(120)와, 한 쌍의 기립 본체(110)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직진 광을 조사하도록 한 쌍의 기립 본체(110)가 상호 대향 되는 부분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빔 발광부(130)와, 한 쌍의 기립 본체(110) 각각에서 빔 발광부(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와 하부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와, 가로 본체(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공간으로 살수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클러(170)를 포함한다.
화재는 유류화재, 전기화재, 가스화재 등 그 발생 원인에 따라서 화재 연기가 실내공간의 바닥으로 가라앉거나 상측으로 떠오르게 되는 등 화재시 많이 모이게 되는 위치가 달라 지게 된다. 이때, 화재 발생시 실내공간 내부의 조명까지 꺼지게 되면 조난자는 갑작스러운 화재 상황에서 어두운 공간을 헤매다니며 탈출 경로를 찾다가 화재 연기를 미처 확인하지 못한 채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빌딩을 비롯한 각종 건축 시설물의 실내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원인에 따라 화재 연기가 많이 모여 있는 위치를 조난자가 빔 발광부(130)에서 조사되는 직진 광에 의해 육안으로 손쉽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까지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한 쌍의 기립 본체(110) 및 가로 본체(120)는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는 한 쌍의 기립 본체(110)와 가로 본체(120)가 하나의 장치를 이루도록 모듈화되어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빌딩 내부의 복도나 지하철 역사 내부 등과 같이 실내공간이 길게 형성된 건축 시설물에서 화재 발생시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에 의해 화재에 대한 소화방재가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공간 내부의 조난자들이 화재 연기를 흡입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기립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실내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되, 상호 이격 대향 되게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대향 면에는 상하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빔 발광부(130)가 설치되고, 최상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의 상부에는 상부 제연부(140)가 설치되며, 최하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의 하부에는 하부 제연부(150)가 설치된다.
가로 본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립 본체(110)의 상부에 가로로 걸쳐지도록 설치되되, 실내공간의 천정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170)로 살수용 용수를 공급하는 살수 공급부(121)가 구비되고, 하부 면에는 복수의 스프링클러(170)와 함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2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10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 되면 가로 본체(12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이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170)에서 살수 용수가 분사되도록 살수 공급부(121)에서 스프링클러(170)로 살수용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소화방재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빔 발광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된 기립 본체(110)를 향해 레이저 빔과 같은 직진 광을 조사하도록 한 쌍의 기립 본체(11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 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빔 발광부(130)는 레이저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빔 발광부(130)는 LED 광 조사등(spot light)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감지센서(123)에서 화재가 발생 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빔 발광부(130)에서 직진 광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실내공간 내부의 조명이 꺼지게 되더라도 실내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복수의 빔 발광부(130)에서 각각 조사되는 상하 복수의 직진 광들에 의해 조난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탈출구를 찾아 헤매지 않고 탈출구를 향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특히 화재의 원인에 따라 화재 연기가 많이 모여 있는 위치를 조난자가 복수의 빔 발광부(130)에서 각각 조사되는 상하 복수의 직진 광들을 통해 육안으로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조난자가 스스로 실내공간의 바닥에 인접한 하측으로 몸을 숙여 대피하거나 실내공간의 천정에 인접한 상측으로 최대한 고개를 세워 대피하는 등의 대응을 통해 조난자가 화재 연기에 의해 흡입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빔 발광부(130)는, 동일한 높이에서 한 쌍의 기립 본체(110)에 각각 배치된 어느 하나는 발광 측이 되고 다른 하나는 수광 측이 되도록 마련 되거나, 둘 다 발광 측이 되되 어느 하나에서 직진 광이 조사되면 다른 하나에서는 직진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후술할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발광부(130) 중 최상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의 후방에는 빔 발광부(130)가 상하로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빔 회전 구동부(13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100)가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각각의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 구역에서의 화재 온도를 감지하여 각 구역에서의 온도를 상호 비교 분석하고,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어느 대피방향으로의 어느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가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최상 측의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130)에서 조사되는 빔이 서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빔 회전 구동부(131)에 의해 빔 발광부(13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대피방향으로의 화재 온도가 더 높은 위험한 탈출 경로로는 조난자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경고하여 화재 대피가 더욱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제연부(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립 본체(11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 면에서 최상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의 상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하부 제연부(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립 본체(110)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 면에서 최하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130)의 하부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에는 흡입팬(161)이 구비되고,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가 설치된 기립 본체(110)의 내부에는 각각의 흡입팬(161)의 후방으로 흡입팬(161)에 연통 되게 배기 통로(165)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립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배기 통로(165)는 건물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 덕트나 소방용 제연 덕트에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천정에 인접한 실내공간의 상측에 많이 모인 화재 연기는 상부 제연부(140)에 의해 흡입됨과 동시에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고, 바닥에 인접한 실내공간의 하측에 많이 모인 화재 연기는 하부 제연부(150)에 의해 흡입됨과 동시에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에 의해 화재 연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화재 연기의 흡입에 따른 흡입화상 사고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1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 공급부(121)에 연결되도록 가로 본체(120)의 내부에 구비된 배관에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살수 공급부(121)에서 공급되는 살수용 용수를 가로 본체(120)의 하부로 분사하도록 가로 본체(120)의 하부 면에 가로 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가로 본체(120)의 하부 면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클러(170)에서 분사되는 살수에 의해 화재가 최대한 신속하게 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는 빔 발광부(130), 상부 제연부(140), 하부 제연부(150) 및 스프링클러(170)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센서(123)를 통한 화재 감지는 연기 감지 또는 열 감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80)는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온도 값과 미리 설정 입력된 기준 온도 값을 서로 비교하여 감지된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면 이를 화재가 발생 된 것으로 판단하여 스프링클러(170), 상부 제연부(140), 하부 제연부(150) 및 빔 발광부(130)가 모두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100)가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설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각 구역에서의 화재 온도를 감지하여 각 구역에서의 온도를 상호 비교 분석하고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어느 대피방향으로의 어느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가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최상 측의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130)에서 조사되는 빔이 서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빔 회전 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빔 회전 구동부(131)를 통해 최상 측의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130)에서 조사되는 빔이 서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제어할 때에 최상 측의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130) 사이에 구비된 빔 발광부(130)에서는 직진 광이 더 이상 조사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방방재장치(100)가 설치된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 되면 제어부(180)는 화재감지센서(123)를 통해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스프링클러(170), 상부 제연부(140), 하부 제연부(150), 빔 발광부(130) 및 빔 회전 구동부(131)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합적으로 제어되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연기가 실내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화재의 소화가 적시에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해 조명이 고장 나더라도 화재 연기가 많이 모여 있는 위치를 조난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연기를 흡입하는 것을 피하도록 할 수 있고,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대피방향으로의 화재 온도가 더 높은 위험한 탈출 경로로는 조난자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경고하여 안전한 화재 대피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본체(120) 및 기립 본체(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어느 대피방향으로의 어느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가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 조난자가 해당 탈출 경로로는 탈출하지 못하게 경고성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하는 경고 멘트 출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대피방향으로의 화재 온도가 더 높은 위험한 탈출 경로로는 조난자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빔 회전 구동부(131)에 의한 빔 발광부(130)의 회전과 함께 경고 멘트 출력부(190)에 의해 시청각적으로 조난자에게 경고하여 화재 대피가 더욱 확실히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에 의해 화재 발생시 소방방재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180)는 화재감지센서(123)를 통해 실내공간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 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한다(S10).
다음에, 제어부(180)는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에서 화재가 발생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
단계 20에서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 된 것으로 제어부(180)가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살수 공급부(121)를 제어하여 스프링클러(17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살수가 분사되도록 하고(S30), 단계 20에서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것으로 제어부(180)가 판단하면 제어 단계는 단계 10으로 되돌아가 화재감지센서(123)를 통한 화재 감지가 계속 수행되도록 한다.
단계 30 이후에 제어부(180)는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가 작동되어 실내공간의 화재 연기가 제거되도록 상부 제연부(140) 및 하부 제연부(150)를 제어한다(S40).
단계 40 이후에 제어부(180)는 빔 발광부(130)가 작동되어 직진 광이 조사되도록 빔 발광부(130)를 제어한다(S50).
단계 50 이후에 제어부(180)는 어느 대피방향으로의 어느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가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화재감지센서(123)에서 감지된 화재 온도보다 더 높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대피하고자 하는 방향의 화재 온도가 더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0).
단계 60에서 대피하고자 하는 방향의 화재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제어부(180)가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소방방재장치(100)의 최상 측의 빔 발광부(130)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130)에서 조사되는 빔이 서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빔 회전 구동부(131)를 제어하고(S70), 대피하고자 하는 방향의 화재 온도가 더 높지 않은 것으로 제어부(180)가 판단하면 제어 단계는 단계 50으로 되돌아가 빔 발광부(130)에서 직진 광이 계속 조사되도록 빔 발광부(130)를 제어한다.
단계 70 이후에 제어부(180)는 경고 멘트 출력부(190)를 제어하여 조난자가 위험한 탈출 경로로 대피하지 못하도록 경고 멘트 출력부(190)에 의해 경고성 음성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한다(S80).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수단, 제연수단 등의 소방방재수단들이 모두 모듈화되어 통합적으로 설치 및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하기가 용이 해질 수 있고, 그 설치 시공 과정도 손쉬워져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기립 본체 120 : 가로 본체
121 : 살수 공급부 130 : 빔 발광부
140 : 상부 제연부 150 : 하부 제연부
170 : 스프링클러 180 : 제어부

Claims (4)

  1. 실내공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호 이격 대향 되게 구비된 한 쌍의 기립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실내공간의 천정에 매립되는 가로 본체;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직진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가 상호 대향 되는 부분에서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빔 발광부;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각각에서 상기 빔 발광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상부와 하부에서 화재로 인한 연기를 빨아들여 제거하도록 구비된 상·하부 제연부; 및
    상기 가로 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게 설치되어 화재시 실내공간으로 살수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클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기립 본체 및 가로 본체는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가로 본체에는 화재 발생시 상기 스프링클러로 살수용 용수를 공급하는 살수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빔 발광부, 상·하부 제연부 및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 본체의 하부 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클러와 함께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빔 발광부 중 최상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와 최하 측에 설치된 빔 발광부의 후방에는 빔 발광부가 상하로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빔 회전 구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기립 본체 및 상기 가로 본체는 실내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 탈출구를 향한 각각의 탈출 경로들 중 어느 대피방향으로의 어느 구역에서의 화재 온도가 그 직전 구역에서의 화재 온도보다 더 높은 경우, 그 직전 구역에 배치된 기립 본체의 최상 측의 빔 발광부와 최하 측의 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빔이 서로 'X'자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빔 회전 구동부에 의해 빔 발광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빔 회전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59205A 2016-11-28 2016-11-28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KR10189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05A KR101895252B1 (ko) 2016-11-28 2016-11-28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05A KR101895252B1 (ko) 2016-11-28 2016-11-28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01A KR20180060101A (ko) 2018-06-07
KR101895252B1 true KR101895252B1 (ko) 2018-09-07

Family

ID=6262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205A KR101895252B1 (ko) 2016-11-28 2016-11-28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949B1 (ko) * 2020-02-14 2021-01-08 변석훈 건축물의 제연장치
KR102199948B1 (ko) * 2020-02-18 2021-01-08 변석훈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신속소방방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176A (ja) * 1988-07-06 1990-01-23 Makoto Watanabe 建築物及び避難装置
JPH03238593A (ja) * 1990-02-15 1991-10-24 Azusa Eng:Kk 防災設備の集中制御装置
JP3200669B2 (ja) * 1991-09-02 2001-08-20 芳則 織部 防火排煙設備における人命救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75522U (ja) * 1993-04-09 1994-10-25 株式会社フジタ 避難口照明灯付防火戸
KR200433050Y1 (ko) 2006-09-26 2006-12-07 차흥식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SG10201503195SA (en) * 2014-04-24 2015-11-27 Ramdeo Pradeep Smoke multi-gas detector alarm and transmit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01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116B1 (ko) 공동주택의 화재확산 방지용 소방방재장치
KR101402942B1 (ko) 피난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CN113435633A (zh) 一种应急预案流程化分解执行方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895252B1 (ko) 흡입화상 방지기능을 갖는 소방방재장치
KR20170079160A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121203B1 (ko)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AU2022100030A4 (en) Safety corridor arrangement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674444B1 (ko)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2041778B1 (ko) 소방 대피로용 산소 통로 공급장치
KR20170079166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GB2559368A (en) Apparatus for use within a fire protection system
KR20140075119A (ko) 화재 감지수단이 탑재된 led 조명 통합 관리시스템
KR102485464B1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0717772B1 (ko) 제연용 급추진 환기팬 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230140165A (ko)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1766362B1 (ko) 제연기가 설치된 소방 방재장치
JP5221463B2 (ja) 避難支援装置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