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5925A -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 Google Patents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5925A
KR20180005925A KR1020160086252A KR20160086252A KR20180005925A KR 20180005925 A KR20180005925 A KR 20180005925A KR 1020160086252 A KR1020160086252 A KR 1020160086252A KR 20160086252 A KR20160086252 A KR 20160086252A KR 20180005925 A KR20180005925 A KR 2018000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blades
air
over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돈
Original Assignee
홍익이엔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이엔지 (주) filed Critical 홍익이엔지 (주)
Priority to KR102016008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5925A/ko
Publication of KR2018000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화재로 인한 실내의 과압 발생시 개방되는 블레이드와 별도로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통해 과압 발생시 공기의 흐름을 블레이드에 집중되게 하여 블레이드의 떨림을 최소화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소음을 방지하고 과압배출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과압배출구에 있어서,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이 관통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 양단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블레이드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over pressurisation vent with air guide}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화재로 인한 실내의 과압 발생시 개방되는 블레이드와 별도로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통해 과압 발생시 공기의 흐름을 블레이드에 집중되게 하여 블레이드의 떨림을 최소화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소음을 방지하고 과압배출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압배출구(over pressurisation vent)는 전기실, 전산실, 컴퓨터 관련시설, 인터넷 데이터 센터, 전화국, 기지국, 박물관, 전시장, 수장고 등의 물분무 소화설비가 적용되지 않고 가스계 소화설비가 적용되는 모든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과압배출구는 는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 발생시 건축물 실내의 과압을 무동력으로 빼내어 주는 중력개폐식 자동설비이다.
더불어 상기의 가스계 소화설비는 소화약제의 특성상 고압의 압력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화재시 방호구역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상승된 압력으로 인해 건물 내부의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과압배출구를 벽체에 설치하고 있다.
종래의 과압배출구에 관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61767호(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개방구가 형성된 사각형의 외곽 프레임(1)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결합되어 과압 배출을 위한 통로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2)과,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 내측 전단부에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 결합된 회전축(3); 및 상기 회전축에 양측 상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통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부분이 겹치도록 상기 개방구를 따라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차단판(4);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과압발생시 차단판의 하부가 들어올려 지면서 개방되는 구조로서, 개방시 차단판은 수평에 가깝게 위치하지만 실제로 일정한 압력으로 차단판을 밀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차단판의 수평유지가 어렵고 그로 인해 차단판의 떨림이 발생한다. 이러한 떨림 현상은 작동시 소음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결합부분에 지속적인 충격을 주어 과압배출구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0461767 20 KR1487899 10 KR1494674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화재로 인한 실내의 과압 발생시 개방되는 블레이드와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통해 블레이드의 떨림현상 및 소음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과압배출구에 있어서,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이 관통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 양단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함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블레이드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프레임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에어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내측에 블레이드의 개폐 위치에 각각 스토퍼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개폐반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부에는 상향절곡부가 형성되어 에어가이드에 의한 블레이드의 상승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절곡부를 두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브라켓부가 형성되어 프레임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전후방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되, 전방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전단부에는 판상의 무게추가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개폐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로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하부에 에어가이드가 각각 설치되어 과압배출시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에 집중됨으로써 블레이드의 떨림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소음방지효과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과압배출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의 블레이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배출구의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가 개방된 상태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과압배출구는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의 과압배출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압발생시 차단판(4)에 직접 전해지는 배출공기에 의해서만 하부가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개방시 차단판(4)은 수평에 가깝게 위치하지만 실제로 일정한 압력으로 차단판(4)을 밀어내지 못하여 차단판(4)의 수평유지가 어렵고 그로 인해 차단판(4)의 떨림이 발생한다. 이러한 떨림 현상은 작동시 소음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차단판(4)과 회전축(3)의 결합부분에 지속적인 충격(진동)을 주어 과압배출구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는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이 관통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측 양단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과 함께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20)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30)와, 상기 블레이드(30)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블레이드(30)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0)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에어가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과압배출구가 설치될 건물벽체에 관통형성된 구멍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 역시 사각형태의 전후방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의 전방단부에는 고정편(11)이 연장형성되어 건물벽체에 볼트결합으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0) 내측에는 블레이드(30)의 개폐 위치에 각각 스토퍼(12)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스토퍼(12)에 의해 블레이드(30)의 개폐반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회전축(20)은 프레임(10)의 내측 블레이드(30)가 설치될 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블레이드(30)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는 형태로 베어링(미도시)과 같은 구성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0)은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복수로 더 설치되어 복수의 블레이드(30)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설치된 블레이드(30)는 서로 일부분이 겹치는 형태가 되어 블레이드(30)가 닫혀 있을 경우에는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회전축(20)은 상기와 같이 하나의 블레이드(30)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하나의 회전축(20)을 블레이드(30)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하여 하나의 회전축(20)으로 블레이드(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3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가로로 길게 설치되고 회전축(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평상시 블레이드(30)가 닫혀있는 상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무게중심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다가 건물 내부에 과압 발생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블레이드(30)의 후단부가 들어올려 지면서 과압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0)의 후단부에는 상향절곡부(31)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개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하는 에어가이드(40)에 의한 블레이드(30)의 후단부 상승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0)의 회전축(2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회전축(2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20)의 형상에 맞도록 절곡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40)는 각각의 블레이드(30)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블레이드(30)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도록 전방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가로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40)의 설치위치는 블레이드(3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그로 인해 블레이드(30) 개방시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30)에 집중됨으로써 블레이드(30)의 떨림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소음방지효과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40)는 공기의 흐름을 상향 배출시켜 상부에 위치한 블레이드(30)의 후단부가 에어가이드(40)에 의해 들어올려 지면서 과압배출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가이드(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절곡부(41)를 두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양단에는 브라켓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 내측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상기 에어가이드(40)에 형성된 절곡부(41)는 전후방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되, 전방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절곡부(41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절곡부(41b)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40)의 전방(실내방향)에 형성된 제1절곡부(41a)는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처음 부딪히는 공기가 완만하게 상승하여 점차적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하고, 후방에 형성된 제2절곡부(41b)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부딪히는 공기가 제2절곡부(41b)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여 블레이드(30)의 후단부가 용이하게 들어올려 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40)를 형성함으로써 과압배출시 블레이드(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진동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5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전단부에는 판상의 무게추(50)가 설치되어 블레이드(30)의 개폐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30)는 설치된 무게추(50)에 의해 특정 압력(50~60파스칼)이 넘어간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것이다. 상기 무게추(50)는 블레이드(30)의 전단부에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압력에 따라 설치 개수는 얼마든지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압배출구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된 블레이드(30)가 무게중심에 의해 수직상태에 가깝게 되어 있고, 각각의 블레이드(30)는 서로 일부가 겹쳐진 형태로 밀폐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화재가 일어날 경우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과도한 압력에 의해 도 4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압배출구의 블레이드(30)가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자동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배출되는 공기는 블레이드(30)의 후단부를 밀면서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블레이드(3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에어가이드(4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그대로 빠져나가지 아니하고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이 블레이드(30)에 집중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블레이드(30)에 집중된 공기는 블레이드(30)를 지속적으로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블레이드(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블레이드(30) 및 회전축(20)의 결합부위에 떨림 현상 및 소음발생이 억제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프레임 11 : 고정편
12 : 스토퍼 20 : 회전축
30 : 블레이드 31 : 상향절곡부
40 : 에어가이드 41 : 절곡부
41a : 제1절곡부 41b : 제2절곡부
42 : 브라켓부 50 : 무게추

Claims (6)

  1. 화재로 인해 건물내에 가스소화약제 방출 및 이상기류가 발생할 때 순간적으로 과도하게 상승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과압배출구에 있어서,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이 관통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내측 양단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일정간격 수직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과 함께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에 의해 개폐되고 복수의 회전축(20)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블레이드(30)와,
    상기 블레이드(30)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블레이드(30)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0)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에어가이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블레이드(30)의 개폐 위치에 각각 스토퍼(12)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블레이드(30)의 개폐반경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의 후단부에는 상향절곡부(31)가 형성되어 에어가이드(40)에 의한 블레이드(30)의 상승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40)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절곡부(41)를 두어 배출공기가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브라켓부(42)가 형성되어 프레임(1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1)는 전후방으로 각각 절곡형성되되, 전방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절곡부(41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절곡부(4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0)의 전단부에는 판상의 무게추(50)가 설치되어 블레이드(30)의 개폐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KR1020160086252A 2016-07-07 2016-07-07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KR20180005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52A KR20180005925A (ko) 2016-07-07 2016-07-07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252A KR20180005925A (ko) 2016-07-07 2016-07-07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925A true KR20180005925A (ko) 2018-01-17

Family

ID=6102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252A KR20180005925A (ko) 2016-07-07 2016-07-07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59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67B1 (ko) * 2021-04-22 2021-09-03 주식회사 팬테크 환기장치
KR20220018789A (ko) * 2020-08-07 2022-02-15 원준호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789A (ko) * 2020-08-07 2022-02-15 원준호 방호구역의 과압 및 음압방지 댐퍼
KR102298067B1 (ko) * 2021-04-22 2021-09-03 주식회사 팬테크 환기장치
KR20230006959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양방향 과압 배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5925A (ko) 에어가이드가 부설된 과압배출구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CN104283132B (zh) 一种防爆电气柜
EP3883356A1 (en) Ventilation and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electromechanical device
KR20140075694A (ko) 벽면설치용 플랩게이트식 방수패널
KR101423989B1 (ko) 가스계 소화설비의 양방향 피압댐퍼
JP201113319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A2920239C (en) Improved outdoor enclosure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BR112012008725B1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KR101608793B1 (ko) 승강도어
JP2015132137A (ja) 開口部付き建造物
KR101775793B1 (ko) 전기설비함의 방열공 자동닫힘장치
CN205055287U (zh) 自动泄压装置
KR101627238B1 (ko)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KR20090002728U (ko)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US20200296848A1 (en) Pressure relief arrangement with magnets
JP2016089492A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101833638B1 (ko) 날개형 복사열 차단용 울타리
KR200461767Y1 (ko) 개방 및 차단 작동이 우수한 과압 배출구
CN214260414U (zh) 一种带自动气体灭火装置的安全通风柜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JP5392621B2 (ja) 駅舎における壁面自動開閉羽根装置
KR20170039469A (ko) 체크 밸브식 과압 배출구
JP5937288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CN209817887U (zh) 一种钢制防火卷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