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793B1 - 승강도어 - Google Patents

승강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793B1
KR101608793B1 KR1020117006122A KR20117006122A KR101608793B1 KR 101608793 B1 KR101608793 B1 KR 101608793B1 KR 1020117006122 A KR1020117006122 A KR 1020117006122A KR 20117006122 A KR20117006122 A KR 20117006122A KR 101608793 B1 KR101608793 B1 KR 10160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gmented
fire
protector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242A (ko
Inventor
마트자스 센트주르크
Original Assignee
에파플렉스 인제니링 디.오.오. 르주블자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파플렉스 인제니링 디.오.오. 르주블자나 filed Critical 에파플렉스 인제니링 디.오.오. 르주블자나
Publication of KR2011005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2009/068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piral lik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열림부의 반대편에 각각 배열되는 두 개의 가이드트랙(guide track)과 닫힌상태에서 상기 도어열림부를 보호하기 위한 층상보호구구조(2)를 포함하는 수직 승강도어, 특히 빠른 속도의 산업용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층상보호구 구조(2)는 관절식으로 서로 접속되어있고 힌지핀(hing pins)(23)들을 통해 재배치 상태에서 서로 구부러질 수 있는 힌지부재(hinge members)(22)들을 가지는 스트랩힌지(strap hinges)(21)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힌지(strap hinges)(21)들은 도어열림부의 내부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스트랩힌지(strap hinges)(21)들은 상기 가이드트랙(guide track)(31) 안에서 지지되고 안내되어지며, 상기 힌지부재(22)들에 올려지는 얇은판(lamellae)(24,24a)들을 가지는 상기 층상보호구구조(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 승강도어는 두 개의 인접한 얇은판(lamellae)(24,24a)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수직 승강도어(1)가 닫힌 상태일때 서로를 연결하고 그리하여 래비린드시일(labyrinth seal)을 만드는 방법으로 서로에게 상보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개선된 수직 승강도어는 빠른 속도의 동작에 적합하고 동시에 방화특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승강도어{Vertical lift door}
본 발명은,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두 개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열되는 두 개의 가이드트랙(guide track)과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를 보호하기 위한 분절된보호구를 포함하는 승강도어 또는 상승게이트 ,특히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승강도어는 예컨대, WO 91/18178 으로부터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승강도어는 초당 3미터에 이르는 빠른 속도의 동작에 적합하고 그것의 닫힌 상태에서는 바람과 날씨에 의한 공격에 대비하여 완벽한 차단뿐만 아니라 권한 없는 열림에 대비하여 안전을 제공한다. 게다가, 이러한 알려진 승강도어는 소음 발생이 적게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것은 실제적인 조건하에서 높은 적용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서는 힌지스트랩(hinge strap)들이 분절된보호구의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승강도어가 동작하는 동안 발생되는 모든 힘들을 흡수하는 것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힌지스트랩(hinge strap)들이 가이드트랙(guide track)에 의해 동시에 지지 및 안내되기 때문에 불규칙적이거나 변덕스러워지는 동작의 진행 없이 승강도어의 아주 빠른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알려진 승강도어의 빠른 동작 특성은 더욱이, 분절된보호구가 적절하게 루트가 정해진 가이드트랙(guide track)의 부분들에 의해 예정된, 코일의 도어상인방(lintel) 부분에서 접촉 없이 안내된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단일 슬래트들은 각각의 인접한 슬래트가 힌지스트랩(hinge strap)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힌지스트랩(hinge strap)의 힌지링크(hinge link) 위에 상호 공간을 가지고 위치한다. 이러한 알려진 예에서, 힌지스트랩(hinge strap)의 힌지핀(hinge pin)이 끼워지는 간극은 인접한 슬래트들의 공간에 형성된다. 슬래트들 사이 공간 내부의 각각의 힌지의 선회축의 제공은 한편으로는 인접한 슬래트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가이드트랙(guide track) 쪽으로 들어가며 기울어지는 가속도 사이의 개구각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특징은 기울어지는 동작 동안 상대적으로 작은 가속력을 갖도록 하고 그리하여 승강도어의 보다 빠른 동작 속도를 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기존의 승강도어의 인접한 슬래트들은 바람의 차단을 제공하고 빗물과 먼지의 침투를 막는 각각의 차단스트립과 함께, 대략 전체 도어의 폭에 걸쳐 제공되었다. 이것과는 별개로, 인접한 슬래트들은 슬래트 각각 서로 간에 역학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분절된보호구는 팽창이나 변형되는것 없이 닫힌 위치에서 보다 높은 바람하중을 견뎌낸다. 이러한 차단스트립은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에 상응하게 맞물리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WO 91/18178 에 따른 승강도어는 오직 매우 적당한 방화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에,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로써 잘 적용되어 왔다. 한편, 방화 도어 조립체들은 높은 내화성 효과를 가지는 공간 경계를 생성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내화성을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기준이 정의되어있다. 한편으로 방화 도어 조립체는 심지어 화재시에도 공간 경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충분한 고유의 안정성을 가져야만 한다. 또다른 조건은 화염전파나 역화에 대한 저항성인데, 즉, 화염이 도어의 반대편까지 전파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말한다. 세 번째 조건으로써 미결의 방화의 분리 효과는 화재의 반대편 쪽에서의 온도가 주어진 시간 내에 예정된 값보다 더 크게 증가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을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요구들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방화 도어 조립체들은 흔히 비교적 무게가 무겁고 따라서 매우 느리게 동작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과제는 방화특성들을 제공하는 동시에 빠른 속도의 동작에 적합한 개선된 승강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승강도어는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두 개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열되는 두 개의 가이드트랙(guide track)과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를 보호하기 위한 분절된보호구를 포함하는 승강도어 또는 상승게이트, 특히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절된보호구는 관절식으로 상호접속되고 힌지핀(hinge pin)을 통하여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는 힌지링크(hinge link)를 가지는 힌지스트랩(hinge strap)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은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수직 간극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가이드트랙(guide track)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된다. 상기 분절된보호구는 나아가 상기 힌지링크(hinge link) 위에 위치하는 슬래트들을 포함한다.
특히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들이 이를 테면 래비린드 시일(Labyrinth seal)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상보적인 방법으로 형성되는 사실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승강도어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접한 슬래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들에 따라서 제공되는 래비린드 시일(Labyrinth seal) 방법에 의한 밀봉장치 때문에 분절된보호구의 한쪽에서부터 다른 쪽으로의 가스의 흐름에 저항하고 그러한 가스의 전이를 억제하는 힘이 생성된다. 따라서 가스는 분절된보호구를 직선적으로 관통할 수 없으며, 래비린드(Labyrinth)에서 편향되고 감속되거나, 정지된다.
동시에, 화재 시 분절된보호구를 관통하는 직선 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화염전파가 억제된다.
이 같은 승강도어의 슬래트들은 일반적으로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를 견뎌내며, 화재시에도 효과적인 도어 폐쇄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두 개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상호 맞물림은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의 상대적인 오프셋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이것은 단일 슬래트가 다른 열 환경에 노출되어있고 그에 따라 다른 정도의 휨 변형의 적용을 받게 될 때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절된보호구는 심지어 이러한 경우에도 일관된 장치로써 보존되고, 화염의 전파를 막기 위한 효과적인 도어 폐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유익한 발전은 종속항 제2항 내지 제9항의 주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래트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횡단면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고, 반면에 관련된 연결된 인접한 슬래트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승강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돌출부가 적합한 형태로 리세스(recess)를 연결하도록 중심부에 오목한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간단한 구조적인 수단에 의해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유익한 상보적인 구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너비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차단부재가 인접한 슬래트를 향하는 슬래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다면 화재시 가스의 전이 가능성은 더욱더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그러한 차단부재는 더욱이 상기 분절된보호구의 바람에 대한 차단을 지원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적인 수단에 의해 개선된 닫힘과 방화특성을 가지는 승강도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부재는 내화성의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상기 방화특성이 개선된 것에 의하여, 특히 화재하중을 잘 견뎌낸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면, 클로로프렌 또는 실리콘이다.
만약 인접한 슬래트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는 어떠한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방화요소가 인접한 슬래트를 마주보는 슬래트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배열된다면 더욱 유리하다. 이로써 상기 분절된보호구의 한쪽에서부터 다른 쪽으로의 더욱더 확실한 차폐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승강도어의 한쪽면에 쌓여있는 가연성의 물체들은 상기 도어의 반대쪽면의 화재원의 복사 에너지에 대해 더욱더 확실하게 차폐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의 상기 방화기능은 개선되었고, 동시에 알려진 그 자체의 물질들을 사용하여 낮은 구성 복잡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제로 텐마트 지엠비에이치(TENMAT GmbH) 회사의 “파이어플라이(FIREFLY)" 제품군으로부터 나오는 물질은 그러한 방화요소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파이어플라이 102(FIREFLY 102)”는 화재시에 그것의 원래 두께보다 25배 팽창할 수 있고, 따라서 확실한 방법으로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두 개의 방화요소들이 상기 분절된보호구의 주면에 인접하거나 마주보는 각각의 간격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제공된다면, -화재원이 어느쪽 면인지에 상관없이-상기 승강도어의 반대편에 대한 확실한 차단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화요소들은 화재시에 연속적으로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의 안정성을 더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돌출부와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리세스(recess)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3mm의 너비를 가진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사실은 한편으로 예를 들어, 도어상인방(lintel) 영역의 나선형 부분에서 서로 비례하는 단일 슬래트들의 기울기가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래비린드 시일(Labyrinth seal)을 통해 가능한 확실하게 뜨거운 가스 등의 전이를 억제하기 위해 간격을 좁게 유지하는 것을 허락한다. 그러나 특히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 경우 만약 이러한 상기 간격이 적어도 5mm, 특히 적어도 7mm의 너비를 가진다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또한 화재시에, 만약 두 개의 연접한 슬래트들 사이 부분에 존재하고,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는 방화요소가 더욱이 7mm 혹은 그 이상으로 간격을 쉽게 줄일 수 있다면 이러한 간격 너비는 더욱이 중요하지 않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는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내화성의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만들어지는 바닥쪽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아래의 슬래트와 바닥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방화요소는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 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뜨거운 가스나 화염전파의 전이를 피하기 위한 확실한 바닥쪽 경계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에서 더욱더 달성된다. 이것은 심지어 만약 내화성의 엘라스토머(elastomer)가 바닥쪽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의 물질로 쓰였다면 더욱더 그러하다. 그러나 심지어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가 방화요소의 발포나 팽창에 의해 열적 영향 하에서 저항하는 것을 끝낸 후에도 상기 바닥쪽 틈 부분에서 확실한 경계를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의 움푹한 곳에 적어도 하나의 방화요소가 제공되면,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가 중공성형재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전반적인 동작 동안, 상기 방화요소는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 내에 보호된 방법으로 배치되고 결국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에 형성된 바닥쪽 간격의 위험을 포함하는 열적 영향 때문에 훼손되는 경우에 오직 한번 효력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도어의 상기 방화기능은 이로써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1)는 빠른 속도의 동작 특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또한 방화도어로써 이용될 수 있다. 만약 건물에서 화재가 시작된다면, 그 확산은 상기 승강도어(1)를 내리거나 닫는 것으로써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건물의 개별 구역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서로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도어의 분절된보호구의 세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슬래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측면 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어상인방(lintel)의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분절된보호구가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로 들어가는 부분을 포함하는 도 8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분절된보호구의 바닥쪽 말단부분의 상세도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두 개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열되는 두 개의 가이드트랙(guide track)과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를 보호하기 위한 분절된보호구를 포함하는 승강도어 또는 상승게이트 ,특히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절된보호구는 관절식으로 상호접속되고 힌지핀(hinge pin)을 통하여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는 힌지링크(hinge link)를 가지는 힌지스트랩(hinge strap)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은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수직 간극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가이드트랙(guide track)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된다. 상기 분절된보호구는 나아가 상기 힌지링크(hinge link) 위에 위치하는 슬래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의 도시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도1 내지 도3은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로써 수행되는 승강도어(1)의 3가지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승강도어는 양쪽에 있는 측면 틀(3)에 의해 지지되고 유도되는 분절된보호구(2)로 구성되는 문짝, 뿐만 아니라 도어상인방(lintel)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문짝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분절된보호구(2)를 수용하는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4)를 포함한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이드트랙(guide track)(31)들은 도어개구부(door aperture) 부분에서 수직으로 연장하고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틀(3)에 배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절된보호구(2)는 상기 승강도어(1)가 열린 상태일 때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4)안에서 접촉없이 배치될 수 있다.
도4에서 더욱 상세히 볼 수 있듯이, 상기 분절된보호구(2)는 상기 가이드트랙(guide track)(31)에 인접한 상기 분절된보호구(2)에 각각 좌우로 배치된 힌지스트랩(hinge strap)(21)들을 포함한다. 도4에서는 단지 하나의 힌지스트랩(hinge strap)(21)을 볼 수 있다.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21)은 힌지핀(hinge pin)(23)에 의해 관절식으로 상호 연결된 힌지링크(hinge link)(22)를 포함하고, 따라서 서로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절된보호구(2)는 상기 힌지링크(hinge link)(22) 위에 위치하고 뒷쪽의 힌지링크(hinge link)(22)에 고정되는 복수의 슬래트(24)를 (도6을 보라) 포함한다. 특히 도4, 도5, 그리고 도7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슬래트들(24)은 그 세로길이의 끝이 가이드롤러(26)를 지지하는 롤러축(25)까지 연결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들은 가이드트랙(guide track)(31)에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스트랩(hinge strap)(21)들은 상기 가이드트랙(guide track)(31) 안에서 간접적으로 지지되고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래트(24)들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승강도어(1)의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WO 91/18178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기존의 빠르게 동작하는 산업용 도어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5는 인접한 슬래트(24)들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따라서, 하부 슬래트(24)의 윗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241)은 상부 슬래트(24)의 아래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242)에 적합한 형태로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위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241)에 돌출부(243)가 형성된다. 클로로프렌 물질로 만들어진 차단부재(27)는 상기 돌출부(243)의 위쪽 끝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243)위에 장착홈의 형태로 고정된다. 상기 클로로프렌 물질은 내화성이므로 그것의 좋은 방화특성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상기 아래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242)은 두 개의 측벽(245)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는 리세스(recess)(244)를 포함한다. 도6은 이러한 슬래트(24)의 횡단면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243)와 상기 측벽(245)은 각각 관련된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서 겹쳐지며, 따라서 예를 들어, 공기, 특히 또한 가열된 공기와 같은 가스들을 래비린드 시일(Labyrinth seal)의 방법에 의해 차단하는 래비린드(Labyrinth)를 이 위치에 생성한다. 상기 차단부재(27)의 제공 때문에, 가스의 전이는 상기 승강도어(1)의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억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차단부재(27)는 각각 상기 분절된보호구(2) 또는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전체 너비를 상당히 넘어까지에 이른다.
상기 리세스(recess)(244)의 각각의 측벽(245)과 상기 돌출부(243) 사이에, 이러한 종류의 래비린드 시일(Labyrinth seal)의 차단 특성을 본질적으로 결정하는 간격(246)이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243)의 양쪽에 있는 이러한 간격(246)의 너비가 작아질수록, 예를 들어 바람 부하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수용하는 경향이 작아질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선형 코일의 형성을 수용하기 위한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 내부에서 다른 슬래트에 대해 상대적인 단일 슬래트(24)들의 경사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특정한 최소 간극이 적절하다. 실제로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243)의 양쪽에 7mm 의 너비를 가지는 간격은, 심지어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 동안에도 기울어지는 동안 슬래트(24)들에 가해지는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에 특히 적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예를 들어, 문짝이 3m/sec의 속도로 동작할 때,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4) 내부의 코일로 들어가는 동안 효과를 발휘하는 특정한 역학적인 힘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상기 도어너비에 걸쳐 보여질 때, 특히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중심 부분에서 탄성적인 변형 현상의 발생에 이르게 하고, 변형들은 인접한 슬래트(24)의 겹쳐지는 부분에서의 충분한 간격 너비 때문에 어떠한 위험없이 수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재시에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24) 사이의 경계지역에 특히 확실한 폐쇄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어진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방화요소(28a)는 더욱이 상기 돌출부(243)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요소들은 존재하는 간격을 메워 화재를 억제하기 위해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적합한 물질은, 예를 들면, 화재시에 그것의 원래 두께의 25배로 팽창하는 “파이어플라이 102(FIREFLY 102)" 이다. 도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화요소(28a)들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승강도어(1)의 전체 도어 너비를 대체로 포괄하여 가느다란 조각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화재시에, 비록 상기 차단부재(27)가 실패하더라도, 화염의 전이는 확실한 방법에 의해 차단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슬래트(24)들 사이 간격의 확실한 차단이 가능하다.
도7은 측면 틀(3) 부분의 상세한 정면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도시는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가이드트랙(guide track)(31)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롤러축(25)과 가이드롤러(26)의 도움을 받아 그 가운데에서 어떻게 유지되는지를 나타낸다.
도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화요소(28b)들은 더욱이 분절된보호구(2)가 측면 틀(3)로 들어가는 영역에 있는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양쪽에 부가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방화요소(28b)들은 또한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고 화재시에 측면 틀(3)과 상기 분절된보호구(2)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로써 측면 틀(3) 부분에서도 화재시 뜨거운 가스의 전이를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방화요소(28b)에 적합한 물질은, 예를 들면, “파이어플라이 102(FIREFLY 102)”이다. 또다른 측면 틀(3)은 도7에 도시된 상기 측면 틀과 유사하게 구성되고 동등하게 방화요소들을 포함한다.
도8은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와인딩케이스(winding case)(4)로 들어가는 부분을 보여준다. 특히 도9에서 보다 상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방화요소(28c)들은 방화요소(28a)와 방화요소(28b)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화재시 상기 도어상인방(lintel) 부분의 차단 기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여기서, 뜨거운 가스, 화염, 기타에 대한 확실한 차단이 이와 같이 가능하다.
도10에는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하부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도시로부터 얻어질 수 있듯이,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가 가장 아래의 슬래트(24a)의 뒤를 잇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가장 아래의 슬래트(24a)의 하부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다른 슬래트(24)들과 다른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장 아래의 슬래트(24a)의 하부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의 잠금 부분을 위한 수용홈을 포함한다. 주어진 실시예에서,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는 내화성의 엘라스토머(elastomer)와 번갈아가며 사용되는 클로로프렌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10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는 부가적인 외측 차단용 립(lips)을 가지는 중공성형재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중공성형재에 형성된 자유 공간 내부에, 방화요소(28d)들이 또한 배치된다; 이러한 방화요소들은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고 화재-억제 방법으로 자유 공간을 채우는 “파이어플라이 102(FIREFLY 102)"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비록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가 열적 영향 때문에 파괴되어야만 하더라도, 화재시에 상기 승강도어(1)의 바닥 부분에서의 확실한 차단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장 아래의 슬래트(24a)와 바닥(5) 사이의 간격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도어(1)는 따라서 빠른 속도의 동작 특성 뿐만아니라 또한 방화 도어로써 활용될 수 있다. 만약 건물에서 화재가 시작된다면, 그 확산은 상기 승강도어(1)를 내리거나 닫는 것으로써 확실하게 차단 될 수 있다. 상기 건물의 개별 구역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서로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효과는 심지어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단일 슬래트(24)들이 상기 승강도어(1)의 한쪽편에 가해지는 열의 강력한 발생 때문에 구부러져야만 한다고 하더라도 유지된다. 그러한 굴곡은 온도차에 기인하고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양쪽 두 면에 널리 행해지면 상이한 연신율을 초래한다. 그러나, 상기 슬래트(24)들은 적합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인접한 슬래트에 의해 야기되는 오프셋의 위험이 없다. 상기 분절된보호구(2) 안에서의 점착은 따라서 영구적으로 보존된다.
논의한 실시예들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설계적 접근을 위한 여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27)는 예를 들어, 또한 두 개의 슬래트(24)의 연접한 범위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7)는 예를 들어, 리세스(recess)(244)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따라서 상부 슬래트(24)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단부재(27)는 또한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몇몇 차단 부재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단부재(27)를 위한 물질은 또한 어떠한 특별한 방화 특성도 가지지 않은 기존의 고무, 기타등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방화요소(28a-28d)들은 또한 그것들이 사용되는 동안 희망했던 방화 효과가 달성되기만 한다면 각각의 부분에서 다소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화요소(28a)는 예를 들어 또한 상기 리세스(recess)(244)의 측벽(245) 위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 부분에 있는 상기 방화요소(28d)의 개수는 더욱이 도시된 4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화요소들은 또한 상기 말단부재(termination member)(29) 위에 외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한 적용에서는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이러한 방화요소(28a-28d)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가지 변형예에서는, 상기 힌지핀(hinge pin)이 상기 롤러축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롤러축들이 생략될 여지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들은 직접적으로 상기 가이드트랙(guide track)(31) 내부로 안내된다. 두 개의 슬래트(24)의 연접한 범위에 있는 래비린드(Labyrinth)는 또한 논의되었던 돌출부/리세스(recess)-형태의 배열에 의한 것보다 다소 다른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기하학적인 구조들은 상기 분절된보호구를 통한 전이의 직접적인 경로가 이러한 영역에서 차단되기만 하면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9)

  1.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두 개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열되는 두 개의 가이드트랙(guide track)(31)과 닫힌 상태에서 도어개구부(door aperture)를 보호하기 위한 분절된보호구를(2)를 포함하고, 상기 분절된보호구(2)는 관절식으로 상호접속되고 힌지핀(hinge pin)(23)을 통하여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할 수 있는 힌지링크(hinge link)(22)를 가지는 힌지스트랩(hinge strap)(21)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21)은 상기 도어개구부(door aperture)의 수직 간극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힌지스트랩(hinge strap)(21)은 상기 가이드트랙(guide track)(31)에 의해 지지되고 안내되어지고, 상기 분절된보호구(2)는 상기 힌지링크(hinge link)(22)위에 위치하는 슬래트들(24, 24a)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트(24, 24a)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241)은 횡단면의 돌출부(243)가 제공되고, 연관된 인접한 슬래트(24, 24a)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242)은 리세스(244)를 포함하고, 승강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돌출부(243)가 상기 리세스(244)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43)의 위쪽 끝과 상기 리세스(244) 사이에 상기 도어개구부의 너비를 넘어 늘어나는 차단부재(27)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243)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244)의 측벽(245) 사이의 두개의 간격(246)은 7mm의 너비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243)의 측면과 상기 리세스(244)의 측벽(245) 사이에 상기 두개의 간격(246)을 폐쇄하기 위해 열적 영향 하에서 팽창하는 2개의 방화요소(28a)를 포함하는 산업용 도어인 승강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슬래트(24a)에 외측 차단용 립(lips)을 가지는 중공성형재의 형태를 갖는 말단부재(29)를 가지고, 상기 말단부재(29)의 자유 공간 내부에 방화요소(28d)를 갖는 승강도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7)는 클로로프렌 또는 실리콘과 같은 내화성의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조되는 승강도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상기 가이드트랙(31)을 갖는 측면 틀(3)로 들어가는 영역에서, 상기 분절된보호구(2)의 양쪽에 방화요소(28b)가 배치되는 승강도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절된보호구(2)가 와인딩케이스(4)로 들어가는 영역에서, 상기 슬래트(24) 양쪽에 방화요소(28c)가 배치되는 승강도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7006122A 2008-08-21 2009-08-20 승강도어 KR101608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9144A DE102008039144A1 (de) 2008-08-21 2008-08-21 Hubtor
DE102008039144.1 2008-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242A KR20110053242A (ko) 2011-05-19
KR101608793B1 true KR101608793B1 (ko) 2016-04-04

Family

ID=4135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122A KR101608793B1 (ko) 2008-08-21 2009-08-20 승강도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26784B1 (ko)
JP (1) JP5722216B2 (ko)
KR (1) KR101608793B1 (ko)
CN (1) CN102124179A (ko)
DE (1) DE102008039144A1 (ko)
SI (1) SI2326784T1 (ko)
WO (1) WO20100204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703594T3 (da) * 2012-08-28 2015-06-01 Zenon Malkowski Segmentdelt rulleport
DE102015112633B4 (de) * 2015-07-31 2017-04-13 EFAFLEX INŽENIRING d.o.o. Ljubljana Rolltoranordnung ohne Polygoneffekt
ES2704712T3 (es) * 2016-06-28 2019-03-19 Gabrijel Rejc Puerta levadiza activable a motor y que puede moverse verticalmente
EP3263819B1 (de) * 2016-06-28 2018-12-19 Gabrijel Rejc Vertikal bewegbares tor mit einem torblatt
DE102016225079A1 (de) 2016-12-15 2018-06-21 Gabrijel Rejc Gmbh & Co. Kg Tor mit einer Absturzsicherung
CZ307613B6 (cs) * 2018-01-11 2019-01-09 Jap - Jacina, S.R.O. Lamela pro lamelová protipožární vrata, zejména pro rychloběžná lamelová protipožární vrata, a lamelová protipožární vrata, zejména rychloběžná lamelová protipožární vrata, obsahující tyto lame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363A (ja) * 1999-11-09 2001-05-15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2006328914A (ja) * 2005-05-30 2006-12-07 World Garage Door:Kk 可動式間仕切り及び可動式間仕切り組立体
WO2007142079A1 (ja) * 2006-06-07 2007-12-13 Fujita Corporation 巻上げシャッ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1736B (de) 1978-04-13 1979-08-10 Brueglhuber Dietmar Rolltor
DE8913520U1 (ko) * 1988-11-25 1990-03-29 Hoermann Kg Brockhagen, 4803 Steinhagen, De
DE4015214A1 (de) 1990-05-11 1991-11-14 Efaflex Transport Lager Hubtor mit einem lamellenpanzer mit abwinkelbaren lamellen
JPH0515962U (ja) * 1991-08-16 1993-03-02 ニチアス株式会社 防火ドア部構造
JPH07229372A (ja) * 1993-12-22 1995-08-29 Asahi Glass Co Ltd 防火ガラス板の取付け構造
DE9416624U1 (de) * 1994-10-15 1994-12-15 Effertz Rolladenwerk Rauchschutzrolltor
NL1005166C2 (nl) * 1997-02-03 1998-08-04 Polynorm Nv Werkwijze voor het verschaffen van een garagedeur.
NL1013381C1 (nl) 1999-10-22 2001-04-24 Gepa Ramen En Deuren V O F Brandwerende deur.
JP4764568B2 (ja) * 2001-07-23 2011-09-07 城東テクノ株式会社 軒天井換気用縁材
BE1015074A3 (nl) * 2002-08-14 2004-09-07 Oosthoek Nv Scheidingsw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2363A (ja) * 1999-11-09 2001-05-15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2006328914A (ja) * 2005-05-30 2006-12-07 World Garage Door:Kk 可動式間仕切り及び可動式間仕切り組立体
WO2007142079A1 (ja) * 2006-06-07 2007-12-13 Fujita Corporation 巻上げシャ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0419A2 (de) 2010-02-25
SI2326784T1 (sl) 2013-02-28
WO2010020419A3 (de) 2010-06-17
EP2326784B1 (de) 2012-10-24
JP5722216B2 (ja) 2015-05-20
CN102124179A (zh) 2011-07-13
EP2326784A2 (de) 2011-06-01
WO2010020419A8 (de) 2010-04-29
DE102008039144A1 (de) 2010-02-25
KR20110053242A (ko) 2011-05-19
JP2012500347A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93B1 (ko) 승강도어
JP2502180B2 (ja)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JP381621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654966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RU2006112016A (ru) Подъемная жалюзийная дверь, имеющая защиту от соударения
KR101725722B1 (ko) 하부 문틀이 없는 기밀성 슬라이딩 자동 방화문
EP1687191B1 (en) Fireproof sliding door assembly for a fire protection wall
JP5692791B2 (ja)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EP3889382A1 (en) Sliding door assembly
JPH1111839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EP0572744B9 (en) Fire door for an elevator
CN2887818Y (zh) 中分防火电梯厅门
KR100711636B1 (ko)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
KR20050054137A (ko) 화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3854245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CN216918248U (zh) 电梯防火门及船舶
JP2014167200A (ja) 窓シャッター装置
KR100455501B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102140649B1 (ko) 내화 기능이 향상된 방화문
JP2595264Y2 (ja) 防火パネルシャッター
KR101186378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차열 방화벽 겸용 다용도 차열 방화셔터
CN113233299A (zh) 电梯防火门及船舶
KR1019205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