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501B1 -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501B1
KR100455501B1 KR10-2002-0068356A KR20020068356A KR100455501B1 KR 100455501 B1 KR100455501 B1 KR 100455501B1 KR 20020068356 A KR20020068356 A KR 20020068356A KR 100455501 B1 KR100455501 B1 KR 10045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flame
hatch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045A (ko
Inventor
김선형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5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에 승강로측으로 화염이 방사되는 것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승강로측으로 열전달이 차단되어 화재에 대한 방화성(防火性)이 향상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른 해치도어 방화장치는 도어패널상의 측부, 하부 및 상부에 방화장치가 구비된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패널(110)의 승강장측 커버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치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잼(140)과 도어패널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폐쇄되어 승강장측에서 승강로측으로 향하는 화염이 차단되게 설치되는 제1차염브라켓(152)과, 상기 제1차염브라켓의 후방에 해당되는 도어패널의 측면상에 이격, 종설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차열브라켓(154)으로 구성된 측부방화부재(150)와; 상기 각 도어패널 하부와 해치씰과의 사이가 밀폐되도록 도어슈의 앞쪽에 해당되는 도어패널 내부에 상부가 내설되고 하부가 해치씰(130)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염브라켓(162)과, 상기 제2차염브라켓의 후방에 이격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도록 횡설되는 제2차열브라켓(164)으로 구성된 하부방화부재(16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FIRE-FIGHTING APPARATUS FOR HATCH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의 승강장측에서 발생된 화재가 승강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해치도어상에 구성되어 화염 및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목적층 까지 이송시켜 주는 엘리베이터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탑승하는 승강용 카에 카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용 카가 승강되는 건물의 각 층에 해당되는 승강장측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되어 개폐되는 해치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해치도어는 승강용 카가 승강로를 타고 정해진 층에 위치되어 카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도어에 장치된 클러치장치에 의해 연동되는 오퍼레이팅장치에 의해 개방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도어패널로 구성되고 도어패널의 상부가 오퍼레이터장치에 결합되어 그 구동동작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도어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어슈는 해치씰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면서 그 개폐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치도어에는 특정 층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염이 승강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산되어 화재가 건물 전체로 번지는 현상이 차단되도록 방화구조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 방화구조는 대개 해치도어와 승강로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키는 부재 등이 도어패널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해치도어의 도어패널 가장자리인 내측 측면과 승강장측에 설치되는 좌우측 잼(Jamb)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도록 도어패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방화브라켓이 설치되고, 해치도어의 하단부와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는 해치씰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도록 방화브라켓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치도어 방화구조는 화재발생 초기에 화염이 승강로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화브라켓이 직접적으로 막을 수 있지만 상기 방화브라켓이 화염에 직접 노출되어 있어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일정 시간 경과시에 고열에 따른 도어패널의 변형과 2차 화재 등이 발생되므로 승강로를 통해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발생시에 승강로측으로 화염이 방사되는 것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승강로측으로 열전달이 차단되어 화재에 대한 방화성(防火性)이 향상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가 오퍼레이터장치에 결합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도어슈가 해치씰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오퍼레이터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상의 측부, 하부 및 상부에 방화장치가 구비된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패널의 승강장측 커버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치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잼과 도어패널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폐쇄되어 승강장측에서 승강로측으로 향하는 화염이 차단되게 설치되는 제1차염브라켓과, 상기 제1차염브라켓의 후방에 해당되는 도어패널의 측면상에 이격, 종설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차열브라켓으로 구성된 측부방화부재와; 상기 각 도어패널 하부와 해치씰과의 사이가 밀폐되도록 도어슈의 앞쪽에 해당되는 도어패널 내부에 상부가 내설되고 하부가 해치씰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염브라켓과, 상기 제2차염브라켓의 후방에 이격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도록 횡설되는 제2차열브라켓으로 구성된 하부방화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염브라켓은 대략 그 평단면 형상이 크랭크 형상을 갖고 잼의 홈 부위에 삽입되게 선단부가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차열브라켓은 화염이 직접 접촉되는 제1차염브라켓의 수직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차열되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염브라켓은 그 종단면이 "l"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차열브라켓은 상기 제2차염브라켓의 상단부가 감싸지도록 상부가 "「"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차염브라켓과 제2차열브라켓은 도어패널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도어슈의 전,후면상에 위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되어 해치도어측으로 방사되는 화염이 각 차염브라켓에 의해 차단되고, 이 과정에서 가열되는 차염브라켓의 후방으로 전달되는 고온의 열이 차열브라켓에 의해 차단되므로 승강로를 통해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해치도어, 110:도어패널,
112:도어슈, 120:오퍼레이팅장치,
130:해치씰, 132:가이드홈,
140:잼, 150:측부방화부재,
152:제1차염브라켓, 154:제2차열브라켓,
160:하부방화부재, 162:제2차염브라켓,
164:제2차열브라켓, 170:상부방화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다.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도어패널(110)로 구성되고, 이 도어패널(11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구부에 위치되어 그 상부가 오퍼레이터장치(120)에 결합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도어슈(112)가 해치씰(130)의 가이드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오퍼레이터장치(120)의 구동동작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해치도어(100)에는 특정층에서 발생된 화재가 승강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도어패널(110)의 측부, 하부 및 상부에 설치되어 화염을 차단시키는 방화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해치도어 방화장치는 해치도어(100)가 설치되는 승강장의 개구부 좌우측에 설치되는 잼(Jamb;기둥,140)과 도어패널(110)의 내측 모서리와의 상하방향 틈새에 구성되는 측부방화부재(150)와, 승강장의 개구부 바닥에 설치되어해치씰(130)과 도어패널(110) 하부와의 좌우방향 틈새에 구성되는 하부방화부재(160)와, 상기 개구부 상측과 도어패널(110) 상부와의 틈새에 구성되는 상부방화부재(170)로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측부방화부재(150)는 도 2의 평단면상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도어패널(110)의 승강장측 커버플레이트(114)의 내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치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잼(140)과 도어패널(110)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폐쇄되어 승강장측에서 승강로측으로 향하는 화염이 차단되게 설치되는 제1차염(遮焰)브라켓(152)과, 상기 제1차염브라켓(152)의 후방에 해당되는 도어패널(110)의 측면상에 이격, 종설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차열(遮熱)브라켓(154)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염브라켓(152)은 그 평단면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재가 대략 크랭크 형상을 갖고 잼(140)의 돌출부(142) 후면에 형성된 홈 부위에 삽입되게 선단부가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차열브라켓(154)은 화염이 직접 접촉되는 제1차염브라켓(152)의 수직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차열되도록 그 수직부분의 후방에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방화부재(160)는 도 3의 종단면상에 확대 도시된 B부와 같이, 상기 각 도어패널(110) 하부와 해치씰(130)과의 사이가 밀폐되도록 도어슈(112)의 앞쪽에 해당되는 도어패널(110) 내부에 상부가 내설되고 하부가 해치씰(130)의 가이드홈(132)으로 삽입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염브라켓(162)과, 상기 제2차염브라켓(162)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가 도어패널(110)에 내설되고하부가 해치씰(130)의 가이드홈(132)으로 삽입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도록 횡설되는 제2차열브라켓(16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차염브라켓(162)은 그 종단면이 "l"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차열브라켓(164)은 상기 제2차염브라켓(162)의 상단부가 감싸지도록 상부가 "「"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의 B부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차염브라켓(162)과 제2차열브라켓(164)은 도어패널(110)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도어슈(112)의 전,후면상에 위치되어 체결부재(166)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방화부재(170)는 도 3의 C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도어의 도어패널(110) 상면상에 그 종단면이 대략 " ㄱ " 자 형상을 갖는 상부차염브라켓(172)이 잼(140)에 설치된 차염브라켓(144)을 감싸듯 설치된 것이고, 도면(도 2 및 도 3) 중 미설명 부호 10은 승강로 벽면에 해당되는 건축구조물이며,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도 3의 B부분에 도시된 도어슈(130)와 제2차염브라켓(162)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승강장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부, 하부 및 상부에 방화장치가 구비된 해치도어(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승강장측에서 승강로측으로 화염이 방사되면 측부방화부재(15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잼(140)의 돌출부(142) 전면과 도어패널(110)의 커버플레이트(114) 사이로 유도되는데 이때 제1차염브라켓(152)이 그 화염의 이동을 차단하게 되므로 승강로 방향으로 화염이 방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화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제1차염브라켓(152)의 수직부분이 일정시간 이상 화염에 노출되면 고온으로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고온의 열은 그 후방측으로 열전달되어 승강로상에 2차적인 화재를 유발시키는 등 위험이 초래되는데, 이때 그 후방에 위치된 제1차열브라켓(154)이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게 되므로 열전달에 의한 2차적인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승강장측으로부터 도어패널(110)의 하부측으로 방사되는 화염은 도어패널에 내설되어 해치씰(130)의 가이드홈(132) 내부로 설치된 하부방화부재(160)의 제2차염브라켓(162)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제2차염브라켓(162)이 가열되어 전달되는 고온의 열은 다시 제2차열브라켓(164)에 의해 차단되므로 열전달에 의한 2차적인 화재위험이 해소되게 되는데, 특히 도어패널(110)에 내설된 제2차열브라켓(164)의 "「" 형상 부분은 제2차염브라켓(162)을 감싸고 있는 형상이므로 도어패널 내부로의 열전달을 차단시켜 도어패널내의 변형 및 2차화재 위험을 저감시키게 된다.
아울러 도어패널(110)의 상측으로는 도 3의 C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화염의 이동 경로가 길어 화염의 방사 강도가 약하지만 상부방화부재(170)의 " ㄱ " 자 형상을 갖는 상부차염브라켓(172)과 잼(140)의 차염브라켓(144)에 의해 화염이 차단되게 되는데, 즉 상술한 측부방화부재(150), 하부방화부재(160) 및 상부방화부재(170)에 의해 해치도어의 승강장측으로부터 승강로측으로의 화염 및 열전달에 대한 차단성이 향상되면서 화재위험이 감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되어 해치도어측으로 방사되는 화염을 각 차염브라켓이 차단시켜 승강로를 통해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측부 및 하부에 별도로 구성된 차열브라켓에 의해 열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에 대한 방화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가 오퍼레이터장치에 결합되고 그 하부에 설치된 도어슈가 해치씰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오퍼레이터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한 쌍의 도어패널상의 측부, 하부 및 상부에 방화장치가 구비된 해치도어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패널의 승강장측 커버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해치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잼과 도어패널 내측 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폐쇄되어 승강장측에서 승강로측으로 향하는 화염이 차단되게 설치되는 제1차염브라켓과, 상기 제1차염브라켓의 후방에 해당되는 도어패널의 측면상에 이격, 종설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는 제1차열브라켓으로 구성된 측부방화부재와;
    상기 각 도어패널 하부와 해치씰과의 사이가 밀폐되도록 도어슈의 앞쪽에 해당되는 도어패널 내부에 상부가 내설되고 하부가 해치씰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차염브라켓과, 상기 제2차염브라켓의 후방에 이격되어 그 후방으로의 열전달을 차단시키도록 횡설되는 제2차열브라켓으로 구성된 하부방화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염브라켓은 대략 그 평단면 형상이 크랭크 형상을 갖고 잼의 홈 부위에 삽입되게 선단부가 "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차열브라켓은 화염이 직접접촉되는 제1차염브라켓의 수직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열이 차열되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차염브라켓은 그 종단면이 "l"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차열브라켓은 상기 제2차염브라켓의 상단부가 감싸지도록 상부가 "「 "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염브라켓과 제2차열브라켓은 도어패널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도어슈의 전,후면상에 위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10-2002-0068356A 2002-11-06 2002-11-06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100455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56A KR100455501B1 (ko) 2002-11-06 2002-11-06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56A KR100455501B1 (ko) 2002-11-06 2002-11-06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45A KR20040040045A (ko) 2004-05-12
KR100455501B1 true KR100455501B1 (ko) 2004-11-06

Family

ID=3733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356A KR100455501B1 (ko) 2002-11-06 2002-11-06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09B1 (ko) * 2011-03-10 2011-07-13 (주)대원엔지니어링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18B1 (ko) * 2008-12-31 2010-01-20 장병원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0921713B1 (ko) * 2008-12-31 2009-10-15 장병원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CN109704180A (zh) * 2019-02-25 2019-05-03 朱爱民 一种两点式绳带夹断防骤停电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073U (ja) * 1984-04-16 1985-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屋外用エレベ−タ装置
JPS6247588U (ko) * 1985-09-11 1987-03-24
JPH07157254A (ja) * 1993-12-01 1995-06-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H07247086A (ja) * 1994-03-09 1995-09-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JP2000302361A (ja) * 1999-04-12 2000-10-31 Inventio Ag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073U (ja) * 1984-04-16 1985-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屋外用エレベ−タ装置
JPS6247588U (ko) * 1985-09-11 1987-03-24
JPH07157254A (ja) * 1993-12-01 1995-06-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H07247086A (ja) * 1994-03-09 1995-09-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JP2000302361A (ja) * 1999-04-12 2000-10-31 Inventio Ag 耐火エレベータシャフトド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09B1 (ko) * 2011-03-10 2011-07-13 (주)대원엔지니어링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45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072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US20060075708A1 (en) Elevator hall door and door hanger apparatus
JP381621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455501B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JP2715828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装置
KR102094319B1 (ko)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KR101608793B1 (ko) 승강도어
US9845225B2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JP2008063132A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JP4430079B2 (ja) 防火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の乗り場ドア装置
JP5174897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JPH0867486A (ja) エレベータドア
JP5937256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FI90963C (fi) Hissin palo-ovi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JP260599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
JPH1111839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KR200322050Y1 (ko) 내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
CN210286413U (zh) 旁开防火层门装置
CN210286409U (zh) 旁开防火隔热层门装置
KR830000089Y1 (ko)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TWI646037B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