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89Y1 -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89Y1
KR830000089Y1 KR2019790007681U KR790007681U KR830000089Y1 KR 830000089 Y1 KR830000089 Y1 KR 830000089Y1 KR 2019790007681 U KR2019790007681 U KR 2019790007681U KR 790007681 U KR790007681 U KR 790007681U KR 830000089 Y1 KR830000089 Y1 KR 830000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losed switchboard
switchboard
hea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7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가쯔 나가노
기요시 나까무라
스예이찌 기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마사오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마사오, 가부시기 가이샤 메이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마사오
Priority to KR2019790007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제1(a)도, 제1(b)도는 종래의 전기실에 있어서 섬락(閃絡) 사고때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섬락사고 때의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내열격벽이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는 각각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전기실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천정판에 방압판(放壓板)을 가진 폐쇄배전반을 설치하고 그전면과 배면에 점검통로를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폐소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점검통로에 있는 감시 조작원 또는 보수점검원들이 사고 발생때에 폐쇄배전반의 방압장치에서 분출되는 고온고압의 유해가스 또는 불꽃으로 부터 보호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배전반에는 각종의 표시장치와 감시 또는 제어를 하기위한 배전선이 집종되어 있고 그 고압회로와 제어회로 또는 아아크(arc) 사이의 절연보호 대책은 충분히 나타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절연 계통이 열화(劣化)하거나 예기치 않은 서어지(surge) 전류가 배전반의 제어기 또는 개폐기에 침입하거나 하면 질연부재를 단락하도록 지속아아크가 일어나 섬락전압이 제어기기에 걸리여 이것이 절연파괴하여 폭발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제1(a)도, 제1(b)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천정판(9)과 방압판(8)을 가진 폐쇄배전반(1)을 설치하고 그 전면(6)과 배면(7)에 점검통로(12)(13)를 설치한 전기실에 있어서 폐쇄배전반(1)에 폭발사고가 일어났을 때를 표시한 것이다.
도면중(3)은 건물의 바닥면이고, (4)는 천정이며 (5)는 폐쇄배전반(1)의 측면에 위치한 개폐문이고 (2)와 (10)은 건물의벽을 타나내고 11은 창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실에 있어서 폐쇄배전반(1)에 섬락사고가 발생하고 방압판(8)에서 고압가스나유해가스 및 불꼿이 튀어 이것들이 천정(4)에 부딪치어 아래로 떨어지게되면 점검통로(12)(13)에서 서(기립) 있는 감시 조작원(14) 또는 보수점검원(15)의 몸에 떨어져 질식 또는 화상등의 중대한 피해를 받게된다. 특히 건물의 천정(4)이 낮을 때는 더욱 위험도가 높아진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실에 있어서의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즉 본고안의 요지는 폐쇄배전반의 천정판에서 건물의 벽 또는 천정 또는 인접하는 폐쇄배전반의 천정판에 대하여 내열 격벽을 설치하고 그 내열격벽에 의하여 칸막이가된 점검통로를 형성하여서된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폐쇄배전반의 천정판부터 건물의 외벽과 천정 또는 인접하는 폐쇄배전반의 천정판에 대하여 내열격벽을 설치한다는 것은 방압판을 설치하여 천정판부터 상방의 공간과 하방의 점검통로와의 사이를 칸막이가 되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말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 있어서 내열격벽이라함은 강판 또는 석면등 불연성으로 적당한 내압강도를 가진 칸막이벽판을 말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a)도와 같이 전기실에 폐쇄배전반(1)이 지면과 수직이 방향에 일열로 배치되여 있을 때의 안전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즉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에 있어서 그일단부(9a)의 건물천정(4)에 고정된 결착금구(19)에 대하여 수직인 내열격벽(16)을 설치함과 같이 천정판(9)의 후단부(9b) 부터는 건물의 측면벽(10)에 고정된 결착금구(19)에 대하여 수평으로 내열격벽(17)이 설치되여있고 점검통로(12)(13)는 수직 및 수평인 내열격벽(16)(17)에 의하여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에 설치한 방압판(8)으로부터 상방의 공간(18)은 칸막이로 형성하였다.
또한 건물의 바닥(3)에서 천정까지의 높이가 5m 이하일 때에는 특히 안전성을 높혀주어야하므로 수지인 내열격벽(16)을 제2도와 같이 천정(4)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결착금구(19)로 고정하여 폐쇄배전반(1)의 상방을 완전하게 칸막이를 하여야한다.
그러나 건물의 천정 높이가 높이가 5m 이상이거나 상당하게 높을 때는 경제성을 생각하여 내열격벽(16)의 높이를 3m 정도에서도 무관하다. 그러므로 이높이에서도 감시조작원(14)이나 보수점검원(15)이 점검통로(12)(13)로부터 피난하는데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얻게된다. 또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에 설치한 방압판(8)을 통하여 방출된 가스가 내열격벽(16)(17)으로 포위(包圍)된 상방의 공간(18)에 압력이 상승되어 창문(11)의 유리를 파괴하고 건물밖으로 분출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창문(11)은 유리창이 아니더라도 비(雨)를 막을 수 있는 복도(複道)로 구성할수도 있다.
본 실시의 전기실은 위와 같이 폐쇄배전반(1)의 전면(6)과 배면(7)에 형성된 점검통로(12)(13)에 각각 내열격벽(16)(17)으로 칸막이가되여 있기 때문에 폐쇄배전반(1)에 어떤상태의 섬락사고가 발생되더라도 전면(6)의 점검통로(13)에 있는 보수점검원(15)은 방압판(8)에서 공간(18)에 방출된 고온고압의 유독가스에도 간접적으로 조금도 다치지 않고 또 불꽃은 받을 위험없이 피난하는데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음으로 매우 안전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b)도와 같이 전기실내에 폐쇄배전반(1)이 지면과 수직인 방향에 2열로 배치되어있을 때의 안전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즉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에 있어서 그 일단부(9a)로부터 건물의 천정(4)에 대하여 수직인 내열격벽(16)을 설치하고 천정판(9)의 후단부(9b)에서 건물의 벽(2)(10)에 대하여 수평인 내열격벽(17)을 설치하여 점검통로(12)(13)가 형성된 것이다.
그구성 및 작용은 제2도의 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제5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써 제2도에 표시한 안전장치를 약간 변형한 구성을 표현한 것이다.
즉,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에 있어서 일단부(9a) 및 그후연부(9b)부터 건물의 벽(2)(10)에 대하여 수평인 내열격벽(17)(17)을 설치하고 그 벽(2)(10)에 고착한 결착금구(19)로써 고정하고 상부는 내열격벽(17)(17)에 의하여 점검통로(12)(13)가 형성되여 있다.
따라서 폐쇄배전반(1)의 섬락사고가 발생할 때에 점검통로(12)(13)에 있는 감시조작원(14) 및 보수점검원(15)의 안전을위한 작용효과는 제2도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써 제4도에 표시한 안전장치를 약간 변형한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즉, 지면과 수직인 방향에 2열로된 각 폐쇄배전반(1)(1)의 천정판(9)에 있어 후단부(9b(9b)로부터 건물벽(2)(10)에 대하여 수평인 내열격벽(17)(17)을 설치하고 각각으로 결착하고 금구(19)(19)로 고정함과 같이 마주보게되는 인접하는 폐쇄배전반(1)(1)의 천정판(9)(9)에 있어 일단부(9a)(9a) 사이에 내열격벽(17)을 설치하므로서 점검통로(12)(13)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폐쇄배전반(1)의 섬락사고때에 점검통로(12)(13)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조작원(14) 및 보수점검원(15)의 안전을 위한 작용효과는 제4도와 같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 제6도에 표시한 안전장치와 약간 변형한 구성을 표시한 것으로 지면과 수직인 방향에 폐쇄배전반(1)(1)을 3열로 배지하였을 때에 폐쇄배전반(1)(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내열격벽(17')(17')을 상방에서 만곡시켜 그 내압강도를 더욱 강하게하고 그내열격벽(17')(17')에는 점검통로(12)를 밝히는 조명장치(23)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5도와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부터 상방의 내열격벽(17)을 칸막이로 한 공간(18)에 설치한 창문(11)을 복도(複道)식으로 하고 배출기(21)를 설치한 폐쇄배전반(1)에는 압력계전기 또는 연기감지기등의 "감지장치"(22)를 설치한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즉 배출기가 없을 때는 섬락사고때에 발생한 고온고압의 유독가스는 건물에 설치된 창문(11)에서 직접 또는 배기 통로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자연환기에 의존하게 되므로 발생가스의 배기후에는 폐쇄배전반(1)의 개폐문(5)을 열고 또는 배면판을 결착한 내부점검을 할수있도록하기 까지에는 장시간을 요하고 대책처리가 늦어져 복과파악이 어려워지고 관련부서에 필요이상의 혼란을 야기시킬 염려가 있다.
여기에 대하여 제5도, 제6도와 같이 배출기(21)를 설치하고 감지장치(22)에 압력계전기를 설치하였을 때는 폐쇄배전반(1)내로 섬락사고가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상승한 반내 압력에 의하여 압력 계전기가 접전을 폐(閉)하면 배출기(21)를 기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전술의 결점이 제거된다.
감지장치(22)에 연기 감지기를 설치하였을 때는 섬락사고 때의 아아크에의하여 질연물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연기를 연기감지기가감지 하려는 배출기(21)가 가동하도록 구성되여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며는 폐쇄배전반(1) 내에 있어서 섬락사고가 발생한 것을 감지장치(22)에 의하여 검출되려고 자동적으로 배출기(21)를 가동하여 유독가스를 강제적으로 전기실의 창문(11)부터 직접으로 또는 배기통로를 거치어 간접적으로 건물밖으로 강제로 배출되므로사고 후 즉시 폐쇄배전반(1)의 개폐문(5)을 열고, 또는 배전판을 결착한 내부를 점검하여 대책을 강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출기(21) 및 감지장치(22)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같은 방법으로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바와같으며 본 고안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전기실에 설치한 폐쇄배전반의 전면 및 배면의 점검통로의 위치에 내연격벽을 설치하고 폐쇄배전반의 천정판부터상방의 방압판과 연통하는 공간에서 칸막이된 점검통로를 형성하므로 섬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도 폐쇄배전반의 전면에 있는 감시 조작원이나 폐쇄배전반의 점검통로에 있는 보수점검원도 폐쇄배전반의 방압판에서 분출한 고온고압의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를 간접적으로도 받을 염려가 없고 또한 불꽃을 받는등의 걱정은 전연없고 피난에 충분한 시간적 이유를 가질수가 있어 감시조작원이나 보수점검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내열격벽은 일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된 폐쇄배전반과 건물의 천정 또는 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므로 이내열격벽이 점검통로의 측벽이나 천정으로되여 건물안에 칸막이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시공할때는 물론 사용자재의 낭비가 없서 극히 경제적 이점이 있는 전기실 안전장치의 새로운 고안이다.

Claims (1)

  1. 천정판(9)과 방압판(8)을 가진 폐쇄배전반(1)을 설치하고 그 전면(6)과 배면(7)에 점검통로(12)(13)를 설치한 전기실에 있어서, 전기폐쇄 배전반(1)의 천정판(9)부터 건물의벽(2)(10) 또는 천정(4) 또는 인접된 폐쇄배전반(1)의 천정판(9)에 대하여 내열격벽(16)(17)을 설치하고 그내열격벽(16)(17)에 의하여 차단된 점검통로(12)(13)를 형성하여서된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KR2019790007681U 1979-12-20 1979-12-20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KR830000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681U KR830000089Y1 (ko) 1979-12-20 1979-12-20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681U KR830000089Y1 (ko) 1979-12-20 1979-12-20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89Y1 true KR830000089Y1 (ko) 1983-02-07

Family

ID=1921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7681U KR830000089Y1 (ko) 1979-12-20 1979-12-20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918A (ko) * 2011-12-27 2014-07-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918A (ko) * 2011-12-27 2014-07-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352B2 (en) Arc resistant switchgear having dedicated vertical plenums
KR102071184B1 (ko)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JP5837093B2 (ja) 電気室
CN113572184B (zh) 储能系统的储电模块和储能系统
US8648274B2 (en) Arc resistant electrical enclosure
US20070039744A1 (en) Tunnel fire protection system
KR102091184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US20180352667A1 (en) Switchgear Exhaust Assembly
US20140061163A1 (en) Protective door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s
US20110292575A1 (en) Electric switchgear panel with improved arc protection assembly
KR830000089Y1 (ko) 폐쇄배전반을 설치한 전기실의 안전장치
KR101551626B1 (ko)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CN202657520U (zh) 一种集装箱
ES8707032A1 (es) Disposicion para la vigilancia de incendios en un edificio
JP2005005575A (ja) 電気機器収納用閉鎖パッケージハウス
CN111509572A (zh) 一种能够安全管理的机电智能控制柜
KR101543224B1 (ko) 확장형 차단기 차단아크 확산방지장치
KR100820989B1 (ko) 방화도어 무빙프레임 시스템
KR102082618B1 (ko) 천장 개폐형 폭발 방산장치
CN210828946U (zh) 一种不锈钢防火大门
KR10197818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케이스
ES2427116T3 (es) Recinto de aparato conmutador resistente a los arcos eléctricos
CN212453827U (zh) 一种大型防爆柜
KR20190069927A (ko) 배전반
CN210183707U (zh) 一种便于组装的污水处理电器控制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