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19B1 -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19B1
KR102094319B1 KR1020190088088A KR20190088088A KR102094319B1 KR 102094319 B1 KR102094319 B1 KR 102094319B1 KR 1020190088088 A KR1020190088088 A KR 1020190088088A KR 20190088088 A KR20190088088 A KR 20190088088A KR 102094319 B1 KR102094319 B1 KR 10209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disposed
piston
fi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광도어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광도어, 김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광도어
Priority to KR102019008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하게 폐쇄되고, 개방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간편하고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에 관한 것으로서, 방화문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입되며 일측에는 체결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이 배치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핀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방향 단부와 상기 피스톤의 체결핀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감지퓨즈와, 상기 양쪽 가이드핀과 결합되어 가압시 피스톤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부와, 문틀에 배치되어 화재시 체결핀이 접속되는 록킹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피스톤의 가이드핀과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개방부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Safety Pin For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견고하게 폐쇄되고, 개방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간편하고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문으로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특정 공간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문으로 사용되고,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화염,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구획의 구성요소 및 인명안전을 위한 피난계단의 주요 요소로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방화문은 건축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의 주원인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화염 및 유독가스의 차단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안전핀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한 방화문에 설치되는 종래 안전핀은 화재시 자동으로 안전핀이 방화문을 폐쇄 상태로 전환시켜 화염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 및 유독가스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화재 진압 후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폐쇄되었던 방화문을 파괴하는 구성이 많아 자원 낭비 및 신속한 인명구조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48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13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에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자동으로 방화문을 견고하게 폐쇄하고, 긴급한 인명 구조 상황 또는 화재 진압 후에는 빠르게 간편하게 방화문을 개방시키는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은, 방화문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홈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입되며 일측에는 체결핀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이 배치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핀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된 방향 단부와 상기 피스톤의 체결핀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감지퓨즈와, 상기 양쪽 가이드핀과 결합되어 가압시 피스톤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부와, 문틀에 배치되어 화재시 체결핀이 접속되는 록킹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피스톤의 가이드핀과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개방부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열감지퓨즈가 녹으며 체결핀이 문틀에 배치된 록킹체결부에 접속되어 자동으로 방화문을 견고하게 폐쇄하므로,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간편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폐쇄 상태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방화문을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긴급한 인명 구조 상황 또는 화재 진압 후 인명 구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방화문 및 문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5는 화재시 본 발명에 의해 방화문 및 문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해 폐쇄되었던 방화문 및 문틀을 다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위해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을 과장하거나 축소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전,후,좌,우 방향은 도 1에서 도시된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한 전,후,좌,우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 방향일 뿐,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은 방화문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었으며, 좌측은 개방되고, 우측은 폐쇄되며, 전,후 방향 양쪽으로 가이드홈(110)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입되며 우측에는 스프링(230)이 배치되고 좌측에는 체결핀(220)이 형성되며, 전,후 방향 양쪽으로 가이드핀(210)이 형성된 피스톤(200)과, 상기 실린더(100)의 개방된 방향 단부와 상기 피스톤(200)의 체결핀(220)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감지퓨즈(300)와, 상기 양쪽 가이드핀(210)과 결합되어 가압시 피스톤(20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부(400)와, 문틀에 배치되어 화재시 체결핀(220)이 접속되는 록킹체결부(500)와, 폐쇄된 방화문(700)을 다시 개방할 수 있도록 방화문(700)에 관통 형성된 방화문개방공(7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린더(100)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형성하며, 내부가 중공되고, 좌측은 개방되며, 우측은 폐쇄된다. 상기 실린더는 내부에 피스톤(200) 및 스프링(230)이 배치 가능한 형상이다. 실린더(100)의 전,후 방향에는 가이드홈(11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10)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홈(1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피스톤(200)의 가이드핀(210)이 접속된다.
피스톤(200)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좌,우 방향 길이는 실린더(100)의 좌,우 방향 길이 이내이다. 피스톤(200)의 전,후 방향에는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2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210)은 실린더(100)의 가이드홈(110)에 접속되어 실린더(100)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핀(2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부(400)의 제1슬라이더(410)가 결합된다. 피스톤(200)의 우측 방향에는 스프링(230)이 배치되어 피스톤(200)을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피스톤(200)의 좌측 방향에는 체결핀(220)이 형성된다.
열감지퓨즈(300)는 소정 온도에서 녹거나 끊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녹기 전에는 실린더(100)의 좌측 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피스톤(20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제하며, 화재에 의해 소정 온도가 되면 열감지퓨즈(300)가 녹아 피스톤(20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피스톤(200)의 이동은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한 것이며, 피스톤(20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스톤(200)의 체결핀(220)이 록킹체결부(500)에 접속되어 방화문이 폐쇄된다.
개방부(400)는 피스톤(200)의 양쪽 가이드핀(210)과 각각 결합되어 피스톤(20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개방부(400)의 제1슬라이더(410)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슬라이더(42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 전,후 방향으로 이동했던 제2슬라이더(42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슬라이더(41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슬라이더(410)와 결합된 피스톤(200) 또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아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후 방향의 양측 개방부 중 후면 방향의 개방부(400)를 한정하여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전면 방향의 개방부(400)는 후면 방향의 개방부(400)와 대칭으로 형성된다.
개방부(400)는 피스톤(200)의 가이드핀(210)과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410)와, 상기 제1슬라이더(410)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420)와, 상기 제2슬라이더(420) 및 제2슬라이더(420)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개방부고정구(430)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410)는 전면에 피스톤(200)의 가이드핀(210)이 접속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1슬라이더(410)의 후면에는 우측 방향이 두껍고 좌측 방향이 얇게 형성된 제1슬라이더경사면(411)이 구성된다.
제2슬라이더(420)의 전면에는 우측 방향이 얇고 좌측 방향이 두껍게 형성된 제2슬라이더경사면(421)이 구성되고, 후면에는 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개방핀(422)이 형성되며, 평면 및 저면에는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은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부고정구(430)의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에 접속된다.
개방부고정구(430)는 제1슬라이더(410)와 제2슬라이더(420)를 상,하 방향으로 감싸듯이 배치되어 제1슬라이더(410)의 좌,우 방향 움직임과 제2슬라이더(42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안내한다. 개방부고정구(430)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이 접속되는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이 구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에는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은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의 전면 방향 단부에 형성되어,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을 따라 후면 방향에서 전면 방향으로 이동한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이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에 접속되면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을 고정시킨다. 상기한 고정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가이드홈(110)의 좌,우 측 방향에 형성된 돌출핀 방식을 포함한다.
록킹체결부(500)는 피스톤(200)과 마주하는 위치의 문틀(800)에 배치된다. 상기 록킹체결부(500)에는 화재시 스프링(230)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가이드핀(210)이 접속되는 체결홈(510)이 형성된다.
방화문개방공(710)은 방화문(700)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제2슬라이더(420)의 개방핀(422)과 동일선 상에 형성되며, 개방핀(422)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및 작용을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이 방화문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스톤(200) 전체가 실린더(100) 내부에 위치하고, 실린더(100)의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핀(210)에는 제1슬라이더(410)가 결합되며, 제2슬라이더(420)는 제1슬라이더(410)와 맞닿아 있고, 제1슬라이더(410)와 제2슬라이더(420)는 가이드핀(210) 및 개방부고정구(430)에 의해 위치가 유지된다.
피스톤(200)의 가이드핀(210)은 가이드홈(110)의 우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1슬라이더경사면(411)과 제2슬라이더경사면(421)은 전체가 맞닿은 상태이고,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는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에 접속되어 있으나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에는 접속되지 않은 상태이다. 열감지퓨즈(300)는 스프링(230)에 의해 피스톤(20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제하고 있어 방화문(700)과 문틀(800)은 잠기지 않는다.
도 5는 화재시 본 발명에 의해 방화문 및 문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에 의해 열감지퓨즈(300)는 녹았으며, 열감지퓨즈(300)의 부재 및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200)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스톤(200)의 이동에 의해 체결핀(220)은 록킹체결부(500)의 체결홈(510)에 접속되고, 이에 따라 방화문(700)과 문틀(800)은 완전히 폐쇄된다.
피스톤(200)의 좌측 방향 이동에 의해 제1슬라이더(410) 또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슬라이더경사면(411)과 맞닿은 제2슬라이더경사면(421)의 작용에 의해 제2슬라이더(420)는 이동한다. 상기한 제2슬라이더(420)의 이동은 제2슬라이더가이드핀(423) 및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에 의해 안내되며, 제2슬라이더(420)의 이동 방향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후면 방향에 위치한 제2슬라이더(420)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방향에 위치한 제2슬라이더(420)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제2슬라이더(420)의 이동에 의해 개방핀(422)의 단부는 방화문(700)의 외부로 돌출한다.
도 6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해 폐쇄되었던 방화문 및 문틀을 다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후면 방향에 배치된 개방부(400)를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방화문개방공(710)을 통해 방화문(700)의 외부로 노출된 개방핀(422)을 가압하면 제2슬라이더(420)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슬라이더경사면(421) 맞닿은 제1슬라이더경사면(411)의 작용에 의해 제1슬라이더(41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슬라이더(410)와 가이드핀(210)을 통해 연결된 피스톤(200) 또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200)의 이동에 의해 체결핀(220)은 체결홈(510)과 분리되어 방화문(700)은 다시 개방 상태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다른 실시예는 먼저 설명한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에서 개방부고정구(430)가 개방부케이스(600)로 변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케이스(600)는 실린더(10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에 형성되고, 전,후면 방향 개방부(400)를 감싸듯이 구성되며, 개방부케이스(600)의 전면 단부 및 후면 단부에는 개방핀작동공(610)이 형성되고, 각 개방부케이스(6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 및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 및 제2슬라이더고정홈(432)의 상세한 설명은 먼저 설명한 개방부고정구(430)의 제2슬라이더가이드홈(431) 및 제2슬라이더고정홈(432)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개방부케이스(600)는 방화문(700)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재 등을 포함하는 방화문 내부 배치재에 의한 개방부(400) 작동 불능 또는 작동 이상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실린더 110:가이드홈
200:피스톤 210:가이드핀
220:체결핀 230:스프링
300:열감지퓨즈 400:개방부
410:제1슬라이더 411:제1슬라이더경사면
420:제2슬라이더 421:제2슬라이더경사면
422:개방핀 423:제2슬라이더가이드핀
430:개방부고정구 431:제2슬라이더가이드홈
432:제2슬라이더고정홈 600:개방부케이스
610:개방핀작동공 500:록킹체결부
510:체결홈 700:방화문
710:방화문개방공 800:문틀

Claims (2)

  1. 방화문(7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가 중공되었으며,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홈(110)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10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인입되며 일측에는 체결핀(220)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230)이 배치되며, 마주보는 양쪽으로 가이드핀(210)이 형성된 피스톤(200)과;
    상기 실린더(100)의 개방된 방향 단부와 상기 피스톤(200)의 체결핀(220)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감지퓨즈(300)와;
    상기 양쪽 가이드핀(210)과 결합되어 가압시 피스톤(20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방부(400)와;
    문틀(800)에 배치되어 화재시 체결핀(220)이 접속되는 록킹체결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400)는,
    피스톤(200)의 가이드핀(210)과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410)와;
    상기 제1슬라이더(410)의 후면 방향에 배치되는 제2슬라이더(420)와;
    상기 제2슬라이더(420) 및 제2슬라이더(420)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개방부고정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2. 삭제
KR1020190088088A 2019-07-22 2019-07-22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KR10209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88A KR102094319B1 (ko) 2019-07-22 2019-07-22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88A KR102094319B1 (ko) 2019-07-22 2019-07-22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319B1 true KR102094319B1 (ko) 2020-03-27

Family

ID=6995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88A KR102094319B1 (ko) 2019-07-22 2019-07-22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33B1 (ko) *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KR102375408B1 (ko) 2021-05-15 2022-03-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화문 또는 방화문틀에 설치되는 방화핀 장치
KR102427887B1 (ko) 2021-07-06 2022-08-01 이규현 방화문 또는 방화문틀에 설치되는 방화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10B1 (ko) 2007-11-09 2009-02-03 문홍식 도어 체크의 방화문 폐문장치
KR100904856B1 (ko) 2009-04-22 2009-06-26 조진수 방화문 오프너
KR20100110424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세종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KR101761353B1 (ko) * 2016-03-08 2017-07-25 백춘영 방화문의 변형방지용 자동 고정장치
KR20190055436A (ko) * 2017-11-15 2019-05-23 이광수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310B1 (ko) 2007-11-09 2009-02-03 문홍식 도어 체크의 방화문 폐문장치
KR20100110424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세종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KR100904856B1 (ko) 2009-04-22 2009-06-26 조진수 방화문 오프너
KR101761353B1 (ko) * 2016-03-08 2017-07-25 백춘영 방화문의 변형방지용 자동 고정장치
KR20190055436A (ko) * 2017-11-15 2019-05-23 이광수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33B1 (ko) *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KR102375408B1 (ko) 2021-05-15 2022-03-1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화문 또는 방화문틀에 설치되는 방화핀 장치
KR102427887B1 (ko) 2021-07-06 2022-08-01 이규현 방화문 또는 방화문틀에 설치되는 방화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319B1 (ko) 방화문의 화재 안전핀
JP5746608B2 (ja) 建具
KR100643006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2154233B1 (ko)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JP5129664B2 (ja) 防火扉のロック具およびロック装置
FR2610311A1 (fr) Porte d'ascenseur coupe-feu
KR200474035Y1 (ko) 방충창 이탈방지구
CN205370363U (zh) 具有防火门锁销装置的钢木质防火门
KR10077039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KR20050054137A (ko) 화염방지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7029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JP6271133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US6725602B1 (en) Automatically extendable astragal system
KR1006618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용 차연부재 및 그를 이용한 방화셔터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60005311A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746216B1 (ko)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KR100591730B1 (ko) 방화문,틀부재의 방화용밴드 라인캡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KR0124250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102296392B1 (ko) 지진 발생 시 탈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