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809B1 -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809B1
KR101048809B1 KR1020110021538A KR20110021538A KR101048809B1 KR 101048809 B1 KR101048809 B1 KR 101048809B1 KR 1020110021538 A KR1020110021538 A KR 1020110021538A KR 20110021538 A KR20110021538 A KR 20110021538A KR 101048809 B1 KR101048809 B1 KR 10104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nt
door panel
fram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복
Original Assignee
(주)대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2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측의 화재에 대한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홀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화재시 화염이 홀에서 홀도어를 넘에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의 접면에 일체형 화염, 열기 및 연기 침투방지 중첩구조를 도입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일(一)측 제1도어프레임;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다단형 도어접촉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타(他)측 제2도어프레임; 제1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를 위한 포켓형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제1연동걸림부를 갖는 일체형 제1도어패널; 및 제1도어프레임의 도어접촉부와 엇물리는 다단형 프레임접촉부를 타측단에 갖고, 제1연동걸림부에 구속되는 제2연동걸림부를 일측단에 갖는 일체형 제2도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HALL DOOR ASSEMBLY FOR ELEVATOR EUIPPED WITH FIRE P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측의 화재에 대한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홀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화재시 화염이 홀에서 홀도어를 넘에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의 접면에 일체형 화염, 열기 및 연기 침투방지 중첩구조를 도입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 화재시 통상 건물의 내측에 화재원인이 있으므로 화염이나 연기가 엘리베이터 카에 침투하게 된다면 폐쇄된 공간인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은 치명적인 상태에 놓이기 쉽다.
따라서 화재시 화염은 확실하게 엘리베이터용 홀도어를 넘어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나아가 가급적 연기 역시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다년간 엘리베이터 분야에서 종사하여 한우물을 판, 엘리베이터 전문기업이며, 산업재산권으로는 특허등록 제0819450호(2008년03월28일)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안전 개선에 일조하였다.
종래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홀도어와 관련된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395153호(2005년09월01일)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사이드오픈형 도어에 관한 것인데, 승강통로를 따라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카의 제1,2카도어와 함께 일방향으로 개폐되고 양측에 마감부재를 가진 엘리베이터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제1,2홀도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마감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방염부재가 내면에 설치되고 평단면상으로 "ㄷ"자 형태의 화염차단통로를 형성시켜 제1홀도어의 도어접촉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두 도어패널의 연동을 위한 수직프레임과 타측(우측) 도어프레임과 접하는 도어패널의 수직프레임의 볼트 결합된 구조여서 생산성 저하의 문제와 화염에 대한 취약부위에 해당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나아가 상기 등록고안은 일측(좌측)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의 접면 부위에서는 비교적 방화구조에 대한 개선이 있으나 타측 부위에서는 방화구조에 취약한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322051호(2003년07월23일) [방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각 층 홀에 화재발생시 화염에 의한 열이 엘리베이터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가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 하단 내측에 배치된 상, 하 프레임과, 상기 상,하 프레임의 각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홀 도어가 닫힐 때, 도어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플랜지가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대향하는 타측에 횡단면상 요철식으로 제 1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도어패널과, 상기 제 1도어패널의 일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결합부와 엇갈리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홀 도어의 내, 외측이 차단되도록 제 2결합부가 형성된 제 2도어패널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홀 도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센어오픈형 두 도어패널의 접면에 별도의 결합브라켓을 볼트 결합한 형태이고,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접면에도 별도의 수직프레임을 볼트 결합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 문제를 갖는다. 나아가 화염에 대한 취약부위 해당할 수 있어 안전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상기 등록고안은 도어프레임과 도어의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상황에 대한 확실한 대처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0322052호(2003년07월23일) [방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센터오픈형 도어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연동하며 일측 단부에는 제 1수직프레임이 도어프레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 제 1도어패널과, 상기 제 1도어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 2수직프레임이 상기 제 1도어패널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요철식으로 제 1결합부가 형성된 제 2도어패널로 이루어진 제 1도어와, 상기 제 2도어패널과 대칭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결합부에 끼워맞춤되는 제 2결합부가 마련된 제 3도어패널과, 상기 제 3도어패널의 일측에 상기 제 1도어패널과 대칭형으로 배치된 제 3도어패널로 이루어진 제 2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 역시 두 도어패널의 접면에 별도의 볼트로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도입하고 있고, 도어프레임과의 접면에도 역시 볼트로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도입하고 있어 생산성 저하의 문제와 화염에 대한 취약부위에 해당하는 문제, 그리고 도어프레임측에서의 화염 침투 문제 해결방안의 미제시 문제를 안고 있다.
또 특허등록 제0921713호(2009년10월07일)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가 있는데,
건물 화재 발생시 엘리베이터 안으로 화재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개폐되는 한 쌍의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내측단에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차단부와, 상기 전방 차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도어의 두께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연장된 중간 차단부와, 상기 중간 차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도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차단부와 어긋난 위치에 배열된 후방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도어의 내측단에는 상기 제1도어의 전방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된 전방 차단부와, 상기 전방 차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의 중간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차단부와, 상기 중간 차단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도어의 상기 후방 차단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된 후방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전방 차단부와 중간 차단부 및 후방 차단부에 의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서로 만나는 내측단에 화염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 역시 도어에 볼트 결합되고 프레임과 접하는 수직차단판으로 인하여 별도의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 저하문제와 화염에 대한 취약 부위 제공 문제를 안고 있으며, 두 도어의 접면 부위와 도어와 프레임의 접면 부위에서 화염 침투 방지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측의 화재에 대한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홀도어 어셈블리, 특히 사이드오픈형 엘리베이터 홀도어 어셈블리에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 및 도어패널과 도어프레임의 접면에 화염침투방지 중첩구조를 도입함에 있어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과 일체형의 절곡 중첩구조를 형성하여 화염 및 열기가 홀도어를 넘어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로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 연기까지 최대한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한 일체형, 다단형, 절곡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의 접면에 화염, 열기 및 연기 침투 방지구조를 도입함에 있어 제1도어패널에 포켓타입 수용부를 도입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의 결합을 통하여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에는 연동걸림부를 형성하여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의 접면의 수용부 및 피수용부와 함께,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 연동걸림부 역시 포켓형 방화구조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가져 화염, 열기 및 연기가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갖는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도어프레임의 도어접촉부와 제2도어패널의 프레임접촉부 각각은 제1 내지 제4 절곡부를 갖는 다단형 절곡부로 구성하여 여기서도 화염, 열기 및 연기의 침입이 방지되는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수용부 및 피수용부와 연동걸림부, 각 접촉부의 절곡구조를 변형하여 보다 확실한 방화구조를 구현한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일(一)측 제1도어프레임;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다단형 도어접촉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타(他)측 제2도어프레임;
제1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를 위한 포켓형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제1연동걸림부를 갖는 일체형 제1도어패널; 및
제1도어프레임의 도어접촉부와 엇물리는 다단형 프레임접촉부를 타측단에 갖고, 제1연동걸림부에 구속되는 제2연동걸림부를 일측단에 갖는 일체형 제2도어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수용부는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1절곡부, 벽체 방향 제2절곡부, 홀측 방향 제3절곡부, 출입구 방향 제4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서, 제1도어패널의 포켓형 수용부는 도어패널 전면을 기준으로 승강로쪽으로 후퇴된 형태여서 화염, 열기 및 연기가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갖고,
제2도어패널의 프레임접촉부는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1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2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3절곡부, 일(一)벽체 방향 제4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제2프레임패널의 도어접촉부는 타(他)벽체 방향 제1절곡부,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2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3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4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5절곡부, 홀측 방향 제6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도어패널의 수용부 각각은 제4절곡부와 연결되고 승강로측 방향 제5절곡부, 벽체 방향 제6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7절곡부, 출입구 방향 제8절곡부가 연속적으로 더 형성되어 있어 화염 및 연기 침입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는 특히 사이드오픈형 엘리베이터 홀도어 어셈블리에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 및 도어패널과 도어프레임의 접면에 화염침투방지 중첩구조를 도입함에 있어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과 일체형의 절곡 중첩구조를 형성하여 화염 및 열기가 홀도어를 넘어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로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 연기까지 최대한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또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의 접면에 화염, 열기 및 연기 침투 방지구조를 도입함에 있어 제1도어패널에 포켓타입 수용부를 도입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의 결합을 통하여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에는 연동걸림부를 형성하여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도록 하고, 나아가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의 접면의 수용부 및 피수용부와 함께, 도어패널과 도어패널의 접면 연동걸림부 역시 포켓형 방화구조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가져 화염, 열기 및 연기가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제공하고, 아울러 제2도어프레임의 도어접촉부와 제2도어패널의 프레임접촉부 각각은 제1 내지 제4 절곡부를 갖는 다단형 절곡부로 구성하여 여기서도 화염, 열기 및 연기의 침입이 방지되고, 또 각 구성요소의 수용부 및 피수용부와 연동걸림부, 각 접촉부의 절곡구조를 변형하여 보다 확실한 방화구조를 구현하여, 결국 건물 화재시 화염, 열기 및 연기이 홀에서 홀도어를 넘에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의 승강로측 배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의 결합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R)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4 및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홀(H)측을 정면으로 정하고, 승강로(P)츠글 후면으로 정하며, 도 1에서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또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어의를 확장하여 포괄적이고 범용적으로 기술하고자 '일(一)측'과 '타(他)측'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도면과 관련해서는 각각 좌측과 우측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A)는 문틀 역할을 하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과, 이 도어프레임이 형성하는 출입구(E)(도 4 참조)를 개폐하는 사이드오픈 타입의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50)에는 모터, 감속기, 타이밍벨트(또는 체인)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구동부(D)가 구비되며, 상부프레임(50)에 도어패널의 하중을 지탱하는 상부레일(R1)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도어패널에는 상부레일(R1)의 상하면을 따라 이동하는 메인롤러(30R) 및 이탈방지롤러(30r)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 롤러(30R)(30r)는 브라켓을 통하여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 상단 후면에 배열되는 연동프레임(F)(보강프레임 역할도 한다)에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구동부(D)의 타이밍벨트(또는 체인)와 연계하여 안정된 도어패널의 개폐 동작을 돕는 공지의 승강 부하부재, 특히 스프링 타입의 부하부재(S)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레일(R2)의 레일홈을 따라 움직이는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의 안정된 동작을 위하여 테프론 소재 등의 윤활성을 갖는 도어슈(51)가 각 도어패널 하단에 구비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0819450호(2008년03월28일)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기초한 이탈방지 브라켓(53)이 각 도어패널(30)(40)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레일(R2)의 레일홈을 따라 안정된 슬라이딩 개폐 동작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의 후면에는 상단 연동프레임(F) 및 하단 도어슈(51)가 결합된 하단 프레임(미지칭됨)과 함께 종방향(또는 횡방향이 종횡방향 모두에)으로 다수의 보강프레임(미지칭됨)이 구비되어 있어 통상 SUS패널로 이루어진 도어패널의 강도를 보완하도록 되어 있다.
방화구조, 특히 화염 및 열기의 승강로(P)측 침입방지는 물론, 엘라스토머 씰 등 별도의 부품 없이 SUS패널로 이루어진 도어프레임(10)(20)과 도어패널(30)(40)의 각 접면부 중첩 구조만으로도 연기 침투 억제 내지 방지구조까지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은 도어프레임(10)(20)과 도어패널(30)(40) 자체의 일체형 다단형 절곡부를에 있다.
이를 위하여 좌측 제1도어프레임(10)은 피수용부(11)(도 4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a"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제1도어패널(30)에는 수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은 건물의 콘크리트로 성형된 승장로(P)의 출입구(E)를 형성하는 양 벽체(W) 단부를 감싸며 앵커 등을 통하여 확고히 고정되는 벽체고정용 포켓(10P)(20P)이 홀(H)측에 배열되고(도 1 및 도 4 참조),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 및 제2도어프레임(20)의 도어접촉부(21)가 사이드오픈 타입 도어패널(30)(40)의 전면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카(car)(C)가 승하강하는 승강로(P)측에 위치한다.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에 대응되는 제1도어패널(30)의 수용부(31)와 상응하는 형태로
제2도어프레임(20)의 도어접촉부(21)에는 제2도어패늘(40)의 프레임접촉부(41)가 대응되며, 공히 일체형의 다단형 절곡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제1도어패널(30)의 일체형, 다단형, 절곡형, 포켓형 수용부(31)는
도 4의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car)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1절곡부(31a), 벽체 방향(좌측) 제2절곡부(31b), 홀측 방향(전방) 제3절곡부(31c), 출입구 방향(우측) 제4절곡부(31d)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서 포켓형 수용부(31)를 형성하게 된다.
화재 등의 비상시 엘리베이터의 홀도어는 폐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31)의 제4절곡부(31d)는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와 중첩되어 보다 완벽한 포켓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부(31)의 제4절곡부(31d)와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의 중첩 구간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도 4의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a"에서
제1도어패널(30)과 제1도어프레임(10)의 각 수용부(31)와 피수용부(11)가 형성하는 포켓의 초입(약간 과장되게 표현한)의 미세한 틈으로 유입되는
화염, 열기 및 연기는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 이 포켓은 도어패널 전면을 기준으로 승강로(P)쪽으로 후퇴된 형태여서 홀도어 도어패널(30)(40)의 수평이동 동작과, 엘리베이터 카(C)의 수직 이동 동작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면서 화염 및 열기와 함께 심지어는 연기까지 승강로(P)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최적화된 방화, 방염, 방연 구조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일변형예로서 도 4의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1도어패널(30)의 수용부(31)의 절곡부 형태는 상기 제4절곡부(31d)에 이어 연속적으로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5절곡부(31e), 벽체 방향(좌측) 제6절곡부(31f),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7절곡부(31g), 출입구 방향(우측) 제8절곡부(31h)가 연속적으로 더 형성되어 있어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 단부를 보다 확실하게 수용하여 화염 및 연기 침입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4의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 "C1b"에서의 제1도어패널(30) 수용부(31)의 제5 내지 제8 절곡부에 대응하여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 단부 역시 홀(H) 방향(전방) 제1절곡부(11a), 출입구(E) 방향(우측) 제2절곡부(11b), 홀(H) 방향(전방) 제3절곡부(11c), 벽체(W) 방향(좌측) 제4절곡부(11d)가 연속 형성되어 있어 수용부(31)의 제5 내지 제8 절곡부와 함께 상호 엇물려 추가적인 미로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확실한 방화, 방염, 방연 구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추가 변형예로서 도 4의 좌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1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도어프레임(10)의 피수용부(11) 단부만이 제1 내지 제4 절곡부(11a,11b,11c,11d)를 형성하고, 제1도어패널(30)의 수용부(31)는 제1 내지 제4 절곡부(31a,31b,31c,31d)만을 갖는 구조에서 제4절곡부(31d)가 수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제2도어프레임(20)과 제2도어패널(40)의 일체형, 다단형, 절곡형 접면부 구조를 살펴본다.
우선, 제2도어패널(40)의 도어접촉부(21)는 도 4의 우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3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접촉부(41)가 카(car)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1절곡부(41a), 타(他)벽체 방향(우측) 제2절곡부(41b),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3절곡부(41c), 일(一)벽체 방향(우측) 제4절곡부(41d)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도어접촉부(21)는 타벽체방향(우측) 제1절곡부(21a), 카(car)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2절곡부(21b), 타(他)벽체 방향(우측) 제3절곡부(21c),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4절곡부(21d), 타(他)벽체 방향(우측) 제5절곡부(21d), 그리고 추가적으로 홀측 방향 제6절곡부(21e)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각 절곡부가 상호 엇물려 제2도어프레임(20) 및 제2도어패널(40)의 접촉부(21)(41)에서도 미로구조를 통하여 현저히 강화된 방화, 방염, 방연 구조를 제공한다.
또 원 "C3a"에서, 도어접촉부(21) 또는 프레임접촉부(41), 또는 이들 모두의 절곡부 접면에는 완충부재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미도시됨), 예를 들어 해당 절곡부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디스크 타입(구멍 삽입부는 원추 타입)의 노출부를 갖는 다수의 완충부재를 도입할 수 있고, 완충부재는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기타 엘라스토머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수단은 이하의 변형예들의 절곡부에도 도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로서 도 4의 우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3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접촉부(41)의 제4절곡부(41d)에 이어 승강로(P)측 방향(후방) 제5절곡부(41e)와 일벽체 방향(우측) 제6절곡부(41f)를 더 형성하고, 도어접촉부(21)는 제4절곡부(21d)에 이어 일벽체 방향(좌측) 제5절곡부(21e'), 승강로 방향(후방) 제6절곡부(21f')와, 타벽체 방향(우측) 제7절곡부(21g), 홀측 방향(전방) 제8절곡부(21h)를 더 형성하여
보다 확실한 미로구조를 제공하여 화염, 열기, 연기의 침입방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4의 우측 확대된 일점쇄선 원 "C3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접촉부(41)의 제4절곡부(41d)에 이어 승강로 방향(후방) 제5절곡부(41e)와 연결된 제6절곡부(41f')는 타벽체 방향(우측)으로 형성하여 향상된 미로구조와 함께 일정정도 화염, 열기, 연기를 홀(H)측으로 되돌리는 포켓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 변형예로서 도 4의 확대된 일점쇄선 원 "C3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접촉부(41)의 제5 및 제6절곡부(41e,41f')에 대응하여, 이를 감싸도록 도어접촉부(21)의 제7절곡부(21g)에 이어 후방 제8절곡부(41h')와 좌측 제9접촉부(41i)를 더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미로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과 제1 및 제2 연동걸림부(33)(43)를 살펴본다.
도 1 및 도 4의 중앙 확대된 일점쇄선 원 "C2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도어패널(40)의 일체형, 다단형, 절곡형, 포켓형 제2연동걸림부(43)는
카(car)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1절곡부(43a), 출입구(E) 방향(좌측) 제2절곡부(43b), 홀측 방향(전방) 제3절곡부(43c), 벽에 방향(우측) 제4절곡부(43d)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제1도어패널(30)의 일체형, 절곡형 제1연동걸림부(33)는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1절곡부(33a)와 벽체 방향(좌측) 제2절곡부(33b)가 형성되어 있어,
역시 화재 등의 비상시 엘리베이터의 홀도어는 폐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및 제2 도어패널(30)(4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동걸림부(43)의 제4절곡부(43d)는 제1도어패널(30)의 제1연동걸림부(33)의 제2절곡부(33b)와 중첩되어 보다 완벽한 포켓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연동걸림부(43)의 제4절곡부(43d)와 제1연동걸림부(33) 제2절곡부(33b)의 중첩 구간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도 4의 중앙 확대된 일점쇄선 원 "C2a"에서
제1도어패널(30)의 제1연동걸림부(33)와 제2도어패널(40)의 제2연동걸림부(43)와 형성하는 포켓의 초입(약간 과장되게 표현한)의 미세한 틈으로 유입되는
화염, 열기 및 연기는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 이 포켓은 도어패널 전면을 기준으로 승강로(P)쪽으로 후퇴된 형태여서 홀도어 도어패널(30)(40)의 수평이동 동작과, 엘리베이터 카(C)의 수직 이동 동작을 전혀 방해하지 않으면서 화염 및 열기와 함께 심지어는 연기까지 승강로(P)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최적화된 방화, 방염, 방연 구조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일변형예로서 도 4의 중앙 확대된 일점쇄선 원 "C2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2도어패널(40)의 제2연동걸림부(43)의 절곡부 형태는 상기 제4절곡부(43d)에 이어 연속적으로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5절곡부(43e), 벽체 방향(좌측) 제6절곡부(43f), 승강로측 방향(후방) 제7절곡부(43g), 출입구 방향(우측) 제8절곡부(43h)가 연속적으로 더 형성되어 있어
제1도어패널(30)의 제1연동걸림부(33)의 절곡단부인 제2절곡부(33b)를 보다 확실하게 수용하여 화염 및 연기 침입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4의 중앙 확대된 일점쇄선 원 "C2c"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 "C2b"에서의 제1도어패널(30) 제2연동걸림부(43)의 제5 내지 제8 절곡부에 대응하여
제1도어패널(30)의 제1연동걸림부(33) 단부 역시 제2절곡부(33b)에 이어 승강로(P) 방향(후방) 제3절곡부(33c)와, 출입구(E) 방향(우측) 제4절곡부(33d)가 추가로 연속 형성되어 있어 제2연동걸림부(43)의 제5 내지 제8 절곡부와 함께 상호 엇물려 추가적인 미로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확실한 방화, 방염, 방연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구동부 구성 및 작동, 각 구성요소의 소재 및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홀도어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홀도어 어셈블리 10,20: 도어프레임
11: 피수용부 21: 도어접촉부
30,40: 도어패널 31: 수용부
41: 프레임접촉부 33,43: 연동걸림부
50: 상부프레임 D: 구동부
F: 연동프레임 S: 부하부재
30R: 롤러 R1,R2: 레일
W: 벽체 C: 엘리베이터카
P: 승강로 H: 홀
E: 출입구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일(一)측 제1도어프레임;
    카(car) 승강로측 단부에 다단형 도어접촉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타(他)측 제2도어프레임;
    제1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를 위한 포켓형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제1연동걸림부를 갖는 일체형 제1도어패널; 및
    제1도어프레임의 도어접촉부와 엇물리는 다단형 프레임접촉부를 타측단에 갖고, 제1연동걸림부에 구속되는 제2연동걸림부를 일측단에 갖는 일체형 제2도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패널의 수용부는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1절곡부, 벽체 방향 제2절곡부, 홀측 방향 제3절곡부, 출입구 방향 제4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서,
    제1도어패널의 포켓형 수용부는 도어패널 전면을 기준으로 승강로쪽으로 후퇴된 형태여서 화염, 열기 및 연기가 포켓에서 맴돌이 한 후 다시 홀측으로 되돌려지는 구조를 갖고,
    제2도어패널의 프레임접촉부는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1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2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3절곡부, 일(一)벽체 방향 제4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고,
    제2프레임패널의 도어접촉부는 타(他)벽체 방향 제1절곡부, 카(car) 승강로측 방향 제2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3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4절곡부, 타(他)벽체 방향 제5절곡부, 홀측 방향 제6절곡부가 연속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패널의 수용부 각각은
    제4절곡부와 연결되고 승강로측 방향 제5절곡부, 벽체 방향 제6절곡부, 승강로측 방향 제7절곡부, 출입구 방향 제8절곡부가 연속적으로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20110021538A 2011-03-10 2011-03-10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104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38A KR101048809B1 (ko) 2011-03-10 2011-03-10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538A KR101048809B1 (ko) 2011-03-10 2011-03-10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809B1 true KR101048809B1 (ko) 2011-07-13

Family

ID=4492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538A KR101048809B1 (ko) 2011-03-10 2011-03-10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97B1 (ko) 2013-09-16 2014-01-20 (주)대원엔지니어링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907B2 (ja) * 1994-03-09 2001-03-0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JP2003012256A (ja)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100455501B1 (ko) * 2002-11-06 2004-11-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200395153Y1 (ko) * 2005-06-20 2005-09-07 (주)하나금속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907B2 (ja) * 1994-03-09 2001-03-0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JP2003012256A (ja)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の引き戸装置
KR100455501B1 (ko) * 2002-11-06 2004-11-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200395153Y1 (ko) * 2005-06-20 2005-09-07 (주)하나금속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97B1 (ko) 2013-09-16 2014-01-20 (주)대원엔지니어링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KR102600035B1 (ko) * 2023-03-14 2023-11-08 (주)트라비스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접면부와 하면부의 차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KR101048809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1048808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093127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KR20170054590A (ko)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GR1005665B (el) Συστημα συρομενων μεταλλικων φυλλων ασφαλειας θυρων και παραθυρων.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KR200476513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1351071B1 (ko)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CN206581839U (zh) 阻滞烟的滑动门组合体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EP1694595B1 (en) Elevator landing door system having fire protection device
KR10258095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화염차단 방화도어
JP200732668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84683B1 (ko) 인터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NZ726011A (en) Overhead door highwind retention system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WO2009128687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US9212027B1 (en) Gate system for residential elevators
TWI646037B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KR100831953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KR10272592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도어 시스템
JP6626932B1 (ja) 戸開走行制限装置
JP7534125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乗り場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