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071B1 -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071B1
KR101351071B1 KR1020130083750A KR20130083750A KR101351071B1 KR 101351071 B1 KR101351071 B1 KR 101351071B1 KR 1020130083750 A KR1020130083750 A KR 1020130083750A KR 20130083750 A KR20130083750 A KR 20130083750A KR 101351071 B1 KR101351071 B1 KR 10135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door
elevator
door pane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복
Original Assignee
(주)대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8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측의 화재에 대한 방화구조를 같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나 가스 누출시 화염이나 가스가 홀에서 홀도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 각 도어패널들 상호간의 접면에 일체형으로 화염, 열기, 연기, 가스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첩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ELEVATOR FOUR-DOOR ASSEMBLY WITH FIREP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홀측의 화재에 대한 방화구조를 같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나 가스 누출시 화염이나 가스가 홀에서 홀도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과 도어패널, 각 도어패널들 상호간의 접면에 일체형으로 화염, 열기, 연기, 가스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첩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나 가스 누출시 화염이나 가스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투입되어 탑승하고 있던 승객의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방화수단을 도입하여 화염, 열기, 연기, 가스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0339호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와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711636호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390339호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는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는 승강장도어의 접지면에 각각 방화수단으로 사용되는 밀폐부재를 간단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건물 내부와 독립된 공간이 되도록 하여 화재발생시 상기 승강로에 화염 및 연기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상기 승강로를 따라 층간 이동하는 승강카의 내부에 탑승한 승객들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화염이 상기 승강로를 통해 다른 층으로 확산됨을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승강장도어의 마주보는 접지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삽입홈을 형성시켜 구비하고, 각각의 삽입홈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가 삽입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가 상기 승강장도어에 긴밀하게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를 제시하고,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711636호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등에 널리 사용되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에 관한 거으로, 화재시 화염이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각형태의 도어와 'ㄷ'형태를 가지며 정면부가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의 좌우측면에 설치되는 제1프로텍터와 'ㄴ'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마주보도록 상기 도어의 배면에서 연결되는 제 2 프로텍터와 상기 제 1 프로텍터와 제 2 프로텍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속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측면을 향해서 결합되는 도어슈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염차단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도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에 화염차단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연기, 화염, 가스등의 특성상 약간의 틈만 생기더라도 투입될 수 있고,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이 일차적인 화염차단기능으로 통해 완벽하게 화염, 연기, 가스등의 투입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화수단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홀도어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395153호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와 등록실용신안 제20-0322051호 『방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395153호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는 화재 발생시 엘리베이터 승강통로 또는 엘리베이터카 내부로 화염이 침투하여 화재가 확산되거나 엘리베이터 승객이 질식사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개선된 것으로서, 승강통로를 따라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카의 제 1,2 카도어와 함께 일방향으로 개폐되고, 양측에 마감부재를 가진 엘리베이터홀에 일방향으로 개폐되게 설치되는 제 1,2 홀도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마감부재에 수직방향으로 방염부재가 내면에 설치되고 평단면상으로 'ㄷ'자 형태의 화염차단통로를 형성시켜 제 1 홀도어의 도어접촉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를 제시하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22051호 『방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는 각 층 홀에 화재발생시 화염에 의한 열이 엘리베이터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가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 하단 내측에 배치된 상,하 프레임과, 상기 상,하 프레임의 각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홀 도어가 닫힐 때. 도어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플랜지가 외측으로 돌출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대향하는 타측에 횡단면상 요철식으로 제 1 결합부가 형성된 제 1 도어패널과, 상기 제 1 도어패널의 일측에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결합부와 엇갈리는 방향으로 결합하여 홀 더어의 내,외측이 차단되도록 제 2 결합부가 형성된 제 2 도어패널을 포함하여 각 층의 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제 1,2 결합부가 상호 끼워맞춤식으로 닫혀진 제 1,2 도어패널에 의해 화염과 그 화염에 의한 열이 엘리베이터실 내부로 전달되지 않아 다른층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방화구조를 볼트체결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이점이 있는 방화구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 도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도어패널의 접착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화염, 연기등의 투입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굴곡에 의하여 방화기능을 향상시켰으나, 각각의 접촉면에 서로 수용하지 않고 굴곡된 면을 서로 밀착시켜 방화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약간의 틈새등이 생길 수 있어 완벽하게 방화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피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복수개의 도어패널로 이루어져 피수용부에 수용부가 결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염이나 연기, 열기 및 가스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패널은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로 이루어지고, 제3 도어패널과 제4 도어패널에는 상호 접촉가능한 접촉부와 대응접촉부를 각각 구비하여 화염이나 연기가 제3 및 제4 도어패널의 사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접촉부와 대응접촉부는 절곡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절곡부와 제1 내지 제4 대응절곡부가 각각 구비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염 등이 엘리베이터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고, 벽체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의 피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고, 출입구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패널은 상기 제1 도어프레임의 제1 피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다단형 제1 돌출부를 갖는 제1 도어패널과,
상기 제2 도어프레임의 제2 피수용부에 수용되는 제2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다단형 제2 돌출부를 갖는 제2 도어패널 및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3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접촉부를 갖는 제3 도어패널과
상기 제2 돌출부와 결합하는 제4 수용부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상기 접촉부와 결합하는 대응접촉부를 구비한 제4 도어패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는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측 단부에 피수용부를 일체형으로 갖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과, 상기 피수용부에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복수개의 도어패널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염이나 연기, 열기 및 가스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패널은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3 및 제4 도어패널에 상호 접촉되는 접촉부와 대응접촉부를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와 대응접촉부를 각각 일체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화염 등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고,
도어패널 및 도어프레임과 일체형의 절곡 중첩구조를 형성하여 화염 및 열기가 도어패널을 넘어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로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 연기까지 최대한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와 대응접촉부의 변형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와 대응접촉부의 변형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와 대응접촉부의 변형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와 접촉부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는 엘리베이터 카(E) 승강로(E1)측 단부에 제1 및 제2 피수용부(11)(21)를 각각 일체형으로 갖고, 벽체에 고정되어 출입구(E2)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 피수용부(11)(21)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311)(321)를 각각 갖고, 출입구(E2)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을 포함하는 도어패널(3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은 건물등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E)의 승강로측(E1) 단부에 피수용부(11)(21)가 구비되어 벽체에 고정됨으로서 엘리베이터 카(E)를 개폐하는 출입구(E2)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은 출입구(E2)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제1 도어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도어프레임(10)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13)와 상기 고정부(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부(311)와 연결되는 제1 피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는 상기 도어프레임(10)(20)의 피수용부(11)(21)에 수용되는 수용부(311)(321)를 각각 갖고, 상기 출입구(E2)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도어패널(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어패널(30)은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31)(32)(33)(34)로 이루어져 상기 출입구(E2)를 개폐하게 되는데, 화염,연기,열기 등의 투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의 피수용부(11)(21)를 수용하는 수용부(311)(321)가 일측에 구비된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이 각각 출입구(E2)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도어패널(31)과 제2 도어패널(32)은 서로 대칭되어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에, 제1 도어패널(3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도어패널(31)의 일측에는 제1 수용부(3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수용부(311)는 엘리베이터 카(E) 승강로(E1)쪽으로 돌출된 제1 굴절부(311A)와 상기 제1 굴절부(311A)와 연결되어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굴절부(311B) 및 상기 제2 굴절부(311B)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카(E)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3 굴절부(311C)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굴절부(311C)에서 연결되어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 걸림단턱(311D)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피수용부(11)가 상기 제1 수용부(321)의 수용공간으로 투입되고, 상기 제1 걸림단턱(311D)에 의하여 화염이나 열기 및 연기등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피수용부(11)와 제1 수용부(311)사이의 공간을 막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의 타측단에는 다단형의 제1 및 제2 돌출부(313)(323)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이 또한 제1 도어패널(31)과 제2 도어패널(32)이 대칭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제1 도어패널(31)을 기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도어패널(31)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제1 수용부(311)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제1 돌출부(31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돌출부(313)는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된 제4 굴절부(313A)와, 상기 제4 굴절부(313A)와 연결되며 제1 도어패널(31) 쪽으로 굴절된 제5 굴절부(313B)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도어프레임(10)의 제1 피수용부(1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3 도어패널(33)의 제3 수용부(331)가 상기 제1 돌출부(313)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화염이나 열기, 연기등이 제1 도어패널(31)과 제3 도어패널(33)의 틈새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도어패널(32)의 제2 돌출부(323) 또한 후술하는 제4 도어패널(34)의 제4 수용부(341)에 삽입되어 화염이나 열기, 연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 도어패널(33)은 상기 제1 돌출부(313)와 결합하는 제3 수용부(33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접촉부(334)를 갖으며, 상기 제4 도어패널(34)은 상기 제2 돌출부(323)와 결합하는 제4 수용부(34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상기 접촉부(334)와 결합하는 대응접촉부(343)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도어패널(33)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3 수용부(331)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수용부(311)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돌출부(313)를 상기 제1 피수용부(11)를 제1 수용부(311)에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조로 제3 수용부(331)에 수용되어 화염이나 열기, 연기등이 상기 제1 도어패널(31)과 제3 도어패널(33)의 틈새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4 도어패널(34)의 제4 수용부(341)는 상기 제3 수용부(331)와 서로 대칭구조를 이루어 동일하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제4 수용부(341)가 제2 도어패널(32)의 제2 돌출부(323)와 결합하여 화염이나 열기, 연기등이 상기 제2 도어패널(32)과 제4 도어패널(34)의 틈새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제3 도어패널(33)의 타측단에는 접촉부(334)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도어패널(34)의 타측에는 도어패널이 출입구(E2)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334)와 접하는 대응접촉부(343)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3 도어패널(33)과 상기 제4 도어패널(34)이 출입구(E2)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의 접하는 부분으로 화염, 연기, 열기등이 투입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는 상기 제3 도어패널(33)의 접촉부(334)와 상기 제4 도어패널(34)의 대응접촉부(343)를 형성하여 화염, 연기, 열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촉부(334)는 엘리베이터 카 측으로 돌출된 제1 절곡부(334A)와,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34B)와,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334C) 및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334D)가 연속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접촉부(343)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부(334A)(334B)(334C)(334D)와 각각 면접하고,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된 제1 대응절곡부(343A)와,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대응절곡부(343B)와,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절곡된 제3 대응절곡부(343C)와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4 대응절곡부(343D)가 연속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1 내지 제4 절곡부(334A)(334B)(334C)(334D) 및 제1 내지 제4 대응절곡부(343A)(343B)(343C)(343D)를 형성하여 밀착함으로써 절곡된 부분을 통하여 화염이나 연기 열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이중 삼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31)(32)(33)(34)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는 상기 제1 피수용부(11), 제2 피수용부(21), 제1 돌출부(313) 및 제2 돌출부(323)를 각각 내삽하는 제1 내지 제4 걸림단턱(311D)(321A)(331A)(341A)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과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과 상기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이 서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 발생하는 틈새로 화염이나 연기, 열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 제1 내지 제4 걸림단턱(311D)(321A)(331A)(341A)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걸림단턱(311D)(321A)(331A)(341A)이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피수용부(11), 제2 피수용부(21), 제1 돌출부(313) 및 제2 돌출부(323)를 감싸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열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31)(32)(33)(34)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31)(32)(33)(34)이 설치되는 벽체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내지 제4 마감부재(315)(325)(335)(345)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도어패널(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에서 상기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에 각각 구비되는 접촉부(334) 및 대응접촉부(343)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1 과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하되, 접촉부(334)가 돌출된 방향을 엘리베이터 카(E) 측으로 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2 및 도3 은 접촉부(334) 및 대응접촉부(343)의 변형레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334)는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된 제1 절곡부(334A)와 제1 절곡부(334A)에 연결되어 벽체 일측으로 돌출된 제2 절곡부(334B), 상기 제2 절곡부(334B)와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된 제3 절곡부(334C)와 상기 제3 절곡부(334C)와 연결되고 벽체 타측으로 돌출된 제4 절곡부(334D) 및 제4 절곡부(334D)와 연결되어 제3 도어패널(33) 측으로 돌출된 제5 절곡부(334E) 및 제5 절곡부(334E)와 연결되어 벽체 일측으로 돌출된 제6 절곡부(334F)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6 절곡부(334A)(334B)(334C)(334D)(334E)(334F)는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6 절곡부(334F)는 제3 도어패널(33)과 가까이 구성되어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3 절곡부(334C)에는 관통공(334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34c)은 도면에는 하나의 관통공(334c)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관통공(334c)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관통공(334c)이 구비되는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대응접촉부(343)의 형상도 복수개의 관통공(334c)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대응접촉부(343)는 상기 접촉부(334)의 형상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절곡부(334A)와 접하는 제1 대응절곡부(343A)와 상기 제1 대응절곡부(343A)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절곡부(334B)와 접하여 벽체 일측으로 돌출된 제2 대응절곡부(343B), 상기 제2 대응절곡부(343B)와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돌출되어 제3 절곡부(334C)와 면접하는 제3 대응절곡부(343C) 및 상기 제3 대응절곡부(343C)와 연결되어 상기 제4 절곡부(334D)와 면접하도록 벽체 타측으로 돌출된 제4 대응접촉부(343D)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대응절곡부(343C)에는 상기 관통공(334c)에 삽입되는 삽입부(343a)가 구비되는데, 상기 삽입부(343a)는 상기 제4 대응절곡부(343D)와 평행하게 벽체의 타측으로 상기 제3 대응절곡부(343C)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34)와 대응접촉부(343)가 면접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343a)가 상기 관통공(334c)으로 투입되어 엘리베이터 카(E) 내부로 투입되는 화염, 연기, 열기 등이 상기 삽입부(343a)와 제4 대응절곡부(343D)로 인하여 이중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대응절곡부(343D)는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제4 대응절곡부(343D)의 사이에 상기 접촉부(334)의 관통공(334c)에 삽입되는 삽입부(343a)를 구비하여 접촉부(334)의 관통공(334c)이 형성되지 않는 개방부(343b)의 상부와 하부는 제4 대응절곡부(343d)를 통하여 화염이나 연기등의 투입을 방지하고, 개방부(343b)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삽입부(343a)가 상기 관통공(334c)에 투입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등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4 대응절곡부(343D) 사이의 개방부(343b)에 보강재(343c)를 상기 제4 절곡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접촉부(334)의 제3 절곡부(334C)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는 상기 보강재(343c)를 단일의 보강재(343c)로 도시하였으나, 보강재(343c)가 복수개로 배열되는 것도 권리범위에 포함되도록 한다.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P)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는 보강프레임(400)이 각각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프레임(4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일반적으로 수용공간과 동일한 사각의 보강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프레임(400)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화염등이 수용공간 내부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는 또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피수용부(11)에는 엘리베이터 카 측으로 돌출된 제1 굴절부(311A)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굴절부(311A)와 상기 제1 피수용부(11)를 감싸는 고정프레임(500)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상기 제1 굴절부(311A)와 제1 피수용부(11)와 면접하는 지지부(510)와 상기 지지부(510)의 양 단부에 각각 제1 굴절부(311A)와 제1 피수용부(11)를 감싸는 돌출형성되는 감개부(530)로 이루어져 있어 화염등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상기 제1 굴절부(311A)에 볼트(540)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제1 굴절부(311A)와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 피수용부(11)와는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도어프레임(10)이 상기 도어패널(3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상기 피수용부(11)와 제1 및 제2 수용부(311)(321)에 구비되고, 제3 및 제4 수용부(331)(341)와 제1 및 제2 돌출부(313)((323))에도 동일하게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도 5[C] 및 도 5[D]는 상기 접촉부(334)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접촉부(334)는 엘리베이터 카 측으로 돌출된 제1 절곡부(334A)와,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34B)와, 엘리베이터 카(E)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334C) 및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334D), 상기 제4 절곡부(334D)에 구비되어 제3 도어패널(33)쪽으로 돌출된 제5 절곡부(334E) 및 상기 제5 절곡부(334E)에서 상기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 6 절곡부(334F)가 연속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절곡부(334F)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절곡부(334E)와 수직을 이루어 상기 제2 절곡부(334B)와 접하도록 절곡형성되거나, 도 5[D]와 같이 상기 제5 절곡부(334E)로부터 경사지게 절곡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의 사이로 화염이나 연기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방화구조를 갖는 포도어 어셈블리
E : 엘리베이터 카 E1 승강로 E2 : 출입구
10 : 제1 도어프레임 11 : 제1 피수용부 13 : 고정부
20 : 제2 도어프레임 21 : 제2 피수용부 30 : 도어패널
31 : 제1 도어패널 311 : 제1 수용부 311A : 제1 굴절부
311B : 제2 굴절부 311C : 제3 굴절부 311D : 제1 걸림단턱
315 : 제1 마감부재 32 : 제2 도어패널 321 : 제2 수용부
321A : 제2 걸림단턱 323 : 제2 돌출부 325 : 제2 마감부재
33 : 제3 도어패널 331 : 제3 수용부 331A : 제3 걸림단턱
334 : 접촉부
334A,334B,334C,334D,334E,334F : 제1 내지 6 절곡부
334c : 관통공 335 : 제3 마감부재
34 : 제4 도어패널 341 : 제4 수용부 341A : 제4 걸림단턱
343 : 대응접촉부 343A,343B,343C,343D : 제1 내지 4 대응절곡부
343a : 삽입부 343b : 개방부 343c : 보강재
345 : 제4 마감부재 400 : 보강프레임 500 : 고정프레임
510 : 지지부 530 : 감개부 540 : 볼트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측 단부에 제1 및 제2 피수용부(11)(21)를 각각 일체형으로 갖고, 벽체에 고정되어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
    상기 제1 및 제2 도어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 피수용부(11)(21)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수용부(311)(321)를 각각 갖고,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과, 상기 제1 및 제2 도어패널(31)(32)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 도어패널(33)(34)을 포함하는 도어패널(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도어패널(31)은 상기 제1 도어프레임(10)의 제1 피수용부(11)에 수용되는 제1 수용부(31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다단형 제1 돌출부(3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도어패널(32)은 상기 제2 도어프레임(20)의 제2 피수용부(21)에 수용되는 제2 수용부(32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다단형 제2 돌출부(3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도어패널(33)은 상기 제1 돌출부(313)와 결합하는 제3 수용부(33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접촉부(334)를 갖으며,
    상기 제4 도어패널(34)은 상기 제2 돌출부(323)와 결합하는 제4 수용부(341)를 일측단에 갖고, 타측단에 상기 접촉부(334)와 결합하는 대응접촉부(343)를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334)는 엘리베이터 카 측으로 돌출된 제1 절곡부(334A)와,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34B)와, 엘리베이터 카측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 (334C)및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334D)가 연속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응접촉부(343)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절곡부(334A)(334B)(334C)(334D)와 면접하고,
    카측으로 돌출된 제1 대응절곡부(343A)와, 벽체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대응절곡부(343B)와, 엘리베이터 카측으로 절곡된 제3 대응절곡부(343C)와 벽체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4 대응절곡부(343D)가 연속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는
    상기 제1 피수용부(11)와 제2 피수용부(21)와 제1 돌출부(313) 및 제2 돌출부(323)를 각각 내삽하는 제1 내지 제4 걸림단턱(311D)(321A)(331A)(341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334)의 제3 절곡부(334C)에는 관통공(334c)이 형성되고,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제3 대응절곡부(343C)에는 상기 관통공(334c)에 삽입되는 삽입부(343a)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343a)는 상기 제4 대응절곡부(343D)와 평행하게 벽체의 타측으로 상기 제3 대응절곡부(343C)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334)와 대응접촉부(343)가 면접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343a)가 상기 관통공(334c)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도어패널(31)(32)(33)(34)에는
    고정프레임(500)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지지부(510)와, 상기 지지부(510)의 양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감개부(5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수용부(311)(321)(331)(341)에는 보강프레임(400)이 각각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제4 대응절곡부(343D)는 상기 대응접촉부(34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제4 대응절곡부(343D) 사이에는 개방부(343b)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343b)에는 복수개의 보강재(343c)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KR1020130083750A 2013-07-16 2013-07-16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KR10135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50A KR10135107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50A KR10135107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71B1 true KR101351071B1 (ko) 2014-01-15

Family

ID=5014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750A KR101351071B1 (ko) 2013-07-16 2013-07-16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6925A (zh) * 2020-06-23 2020-10-16 宁波申菱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中分双折隔热层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630A1 (fr) 2001-08-28 2003-03-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e de monte-charge
WO2003086938A1 (fr) 2002-04-16 2003-10-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e paliere d'ascenseur
KR200395153Y1 (ko) * 2005-06-20 2005-09-07 (주)하나금속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101048808B1 (ko) * 2011-03-10 2011-07-13 (주)대원엔지니어링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0630A1 (fr) 2001-08-28 2003-03-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e de monte-charge
WO2003086938A1 (fr) 2002-04-16 2003-10-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e paliere d'ascenseur
KR200395153Y1 (ko) * 2005-06-20 2005-09-07 (주)하나금속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101048808B1 (ko) * 2011-03-10 2011-07-13 (주)대원엔지니어링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6925A (zh) * 2020-06-23 2020-10-16 宁波申菱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中分双折隔热层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24B1 (ko) 슬라이딩 방식 방화문
KR101351071B1 (ko)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US9845225B2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KR200390339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200476513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1048809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사이드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200395153Y1 (ko)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1048808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KR20130048668A (ko) 개방형방범장치
JP7229903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
KR20220042921A (ko) 난간대 일체형 방충창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0854097B1 (ko) 차연승강도어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CN205419441U (zh) 一种可供担架进出的轿厢
KR20110100818A (ko) 엘리베이터 도어
JPH01139492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KR102600024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상면부와 측면부의 차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