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051B1 - 승강장 안전바 - Google Patents

승강장 안전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051B1
KR101633051B1 KR1020140064775A KR20140064775A KR101633051B1 KR 101633051 B1 KR101633051 B1 KR 101633051B1 KR 1020140064775 A KR1020140064775 A KR 1020140064775A KR 20140064775 A KR20140064775 A KR 20140064775A KR 101633051 B1 KR101633051 B1 KR 10163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door
landing
platform
faste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248A (ko
Inventor
노정열
노건우
Original Assignee
노정열
노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열, 노건우 filed Critical 노정열
Priority to KR102014006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0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 문의 전방에 설치되고 승강장 문과 연동하는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를 포함하고, 좌측안전바(30)에는 체결편(33)이 돌출되며 우측안전바(32)에는 상기 체결편(33)이 체결되는 체결홈(35)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장 좌측문(11)과 우측문(12)이 닫히면, 상기 체결편(33)이 상기 체결홈(35)에 삽입 체결되어, 승강장 문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 문에 기대거나 압력을 직접 가하는 것을 방지해주어 승강장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장 안전바{Platform safety barrier}
본 발명은 승강장 안전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 문이 우발적인 압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안전바에 관한 것이다.
승강장은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한 입구이며, 승강장에는 승강기의 수직 이동 통로를 차폐하기 위한 승강장 문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문 안쪽에는 우발적인 압력에 의해 승강장 문이 승강기 이동 통로 쪽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슈라는 안전장치가 있다. 이러한 가이드슈는 승강기 탑승자가 승강장 문을 발로 차거나 힘껏 밀었을 때 쉽게 파손되는데, 승강장 문이 승강기 이동 통로 쪽으로 열리게 되면 승강기 통로 쪽 틈새로 추락 가능성이 있어 매우 위험하다.
승강기 홀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슈의 강도를 개선하는 방안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승강장 문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장 문에 임의의 외력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고 승강장 문이 임의의 외력으로도 승강기 이동 통로 쪽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강장 문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 좌측문과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좌측 단부가 상기 승강장의 좌측벽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좌측안전바; 상기 승강장 문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 우측문과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우측 단부가 상기 승강장의 우측벽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우측안전바; 상기 좌측안전바와 우측안전바의 서로 마주하는 어느 한 면에 돌출형성되는 체결편; 상기 좌측안전바와 우측안전바의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장 좌측문과 우측문이 닫힐 때 상기 체결편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좌측안전바 또는 우측안전바의 일면에서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편안착홈에 삽입 설치되어 그 선단이 좌측안전바 또는 우측안전바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체결편안착홈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편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안전바에 의하면, 승강장 문에 기대거나 압력을 직접 가하는 것을 방지해주어 승강장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승강장 안전바를 설치하면, 승강장 문에 기대지 말라는 주의, 경고 알림기능을 하게 되어 승강장 주변에서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바의 설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승강장 안전바의 동작과정을 보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안전바의 설치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승강장 안전바의 동작과정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승강장 문의 전방에 승강장 문과 연동하여 이동하는 안전바를 설치하여, 승강장 문이 닫혀있을 때 안전바가 승강장 문의 전방에서 승강장 문을 보호하는 구조이다.
먼저, 도 1에는 건물의 층별로 승강기의 입구가 되는 승강장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승강장에는 승강기의 수직이동통로를 차폐하기 위한 승강장 문이 설치된다. 승강장 문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승강기 수직이동통로를 개폐하는 좌측문(11)과 우측문(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문(11)과 우측문(12)의 전방에는 승강장 안전바(30,32)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바(30,32)는 좌측문(11)과 연동하는 좌측안전바(30)와, 우측문(12)과 연동하는 우측안전바(3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안전바(30)는 승강장 좌측벽체(20)에 형성된 삽입부(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우측안전바(32)도 승강장 우측벽체(21)에 형성된 삽입부(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승강장 좌측문과 우측문이 닫힘 상태일 때,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승강장 좌측문과 우측문을 보호한다.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의 서로 마주하는 어느 한 면에는 체결편(33)이 돌출되고, 상기 체결편(33)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의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면에는 상기 체결편(33)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35)이 형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안전바(30)에 체결편(33)이 돌출되고, 상기 우측안전바(32)에 상기 체결편(33)이 삽입체결되는 체결홈(3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3)과 체결홈(35)의 체결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편(33)은 상기 좌측안전바(30)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하다. 즉, 상기 좌측안전바(30)의 내측에 체결편안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안착홈(31)에는 상기 체결편(33)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탄성부재(34)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편(33)의 선단이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좌측안전바(30)에서 일부 돌출된 상태인데, 상기 체결편(33)이 체결홈(35) 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사람의 손 등이 끼이게 되는 경우, 상기 체결편(33)이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체결편안착홈(31)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사람의 손이 다치지 않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4)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에는 고정편(37,38)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7,38)이 상기 좌측문(11)과 우측문(1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가 승강기 문(11,12)과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은 승강장 안전바는 승강장 문에 외력이 가해지기 쉬운 승강장 문 하단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승강장 안전바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체결편(33)과 체결편안착홈(31)이 우측안전바(32)에 설치되고, 체결홈(35)이 좌측안전바(3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승강장 안전바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의 (a)와 같이, 승강장 문(11,12)이 닫힌 상태에서는, 좌측안전바(30)의 체결편(33)이 우측안전바(32)의 체결홈(35)에 삽입되어 서로 체결되며,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가 서로 체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장 문(11,12)을 보호하게 된다. 즉, 임의의 외력이 상기 승강장 문(11,12)에 가해지기 전에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에 먼저 가해져 승강장 문(11,12)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다음으로 도 2의 (b)와 같이, 승강장 문(11,12)이 열리게 되면,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가 각각 좌측문(11)과 우측문(12)과 함께 연동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체결편(33)이 체결홈(35)을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실시예에서는 승강기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바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 안전바가 열차 승강장에도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11: 좌측문 12: 우측문
20: 좌측벽체 21: 우측벽체
25, 26: 삽입부 30: 좌측안전바
31: 체결편안착홈 32: 우측안전바
33: 체결편 34: 탄성부재
35: 체결홈 37, 38: 고정편

Claims (2)

  1. 승강장 문의 전방에 설치되고, 승강장 좌측문(11)과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좌측 단부가 상기 승강장의 좌측벽체(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좌측안전바(30);
    상기 승강장 문의 전방에 설치되고, 승강장 우측문(12)과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우측 단부가 상기 승강장의 우측벽체(2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우측안전바(32);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의 서로 마주하는 어느 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편(33);
    상기 좌측안전바(30)와 우측안전바(32)의 서로 마주하는 다른 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33)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홈(3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장 좌측문(11)과 우측문(12)이 닫힐 때 상기 체결편(33)이 상기 체결홈(35)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체결편(33)은 상기 좌측안전바(30) 또는 우측안전바(32)의 일면에서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편안착홈(31)에 삽입 설치되어 그 선단이 좌측안전바(30) 또는 우측안전바(32)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체결편안착홈(31)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편(33)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편(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바.
  2. 삭제
KR1020140064775A 2014-05-29 2014-05-29 승강장 안전바 KR10163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75A KR101633051B1 (ko) 2014-05-29 2014-05-29 승강장 안전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75A KR101633051B1 (ko) 2014-05-29 2014-05-29 승강장 안전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48A KR20150137248A (ko) 2015-12-09
KR101633051B1 true KR101633051B1 (ko) 2016-07-08

Family

ID=5487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75A KR101633051B1 (ko) 2014-05-29 2014-05-29 승강장 안전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9368B (zh) * 2016-08-29 2018-08-28 天津利福特电梯部件有限公司 对开电梯门闭合安全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498U (ko) * 1994-12-15 1996-07-20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48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JP5704715B2 (ja) 乗客コンベアのインレット安全装置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030209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232283B1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200443973Y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JP5893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53994B1 (ko) 이탈방지판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JP2008100799A (ja) エレベータの戸装置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KR101977184B1 (ko) 탑승 안전 유도형 엘리베이터
KR200455992Y1 (ko) 도어 이탈 방지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JP572159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62716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093841A (ko) 엘리베이터의 보조 안전도어 개폐장치
EP3231759A1 (en)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JP201708837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05391A (ko)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5344428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180000758A (ko) 승강장도어 이탈방지핀 및 그 제조방법
KR102466052B1 (ko)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KR20180017763A (ko) 엘리베이터용 틈새끼임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