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052B1 -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052B1
KR102466052B1 KR1020210135550A KR20210135550A KR102466052B1 KR 102466052 B1 KR102466052 B1 KR 102466052B1 KR 1020210135550 A KR1020210135550 A KR 1020210135550A KR 20210135550 A KR20210135550 A KR 20210135550A KR 102466052 B1 KR102466052 B1 KR 10246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ar
door
side frame
lan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용
유성빈
Original Assignee
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도어 표면에 자국을 내지 않으면서 주로 어린이의 손가락 끼임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본 발명은 승강기의 승강장과 승강장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중에서 측방향의 틈새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승강장도어의 표면에서 2 ~ 3m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Device For Preventing Being Finger Tighten To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승강기의 도어 표면에 자국을 내지 않으면서 주로 어린이의 손가락 끼임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관련 안전사고에 대한 보고가 끊이지 않고 들려온다. 승강기 사고는 추락사고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승강기 도어 사이에 신체 일부가 끼임으로써 생기는 사고도 그에 못지않게 많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승강장에서 승강기를 기다리는 중에 승강기가 도착하여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는 순간 승강장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도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5696호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플렉시블한 차단수단이 승강장 도어와 도어 프레임의 틈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플렉시블한 부분이 승강장 도어의 표면에 살짝 닿게끔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랙시블한 부분은 발포체인 경우도 있고 브러쉬인 경우도 있다. 이 부분이 승강장 도어의 개폐시마다 그의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 그래서 승강장 도어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곤 하였다. 근래 승강장 도어는 화려한 색의 필름으로 코팅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그 손상의 정도가 더 크게 느껴지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569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장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강기용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승강장 도어의 표면에 닿지 않게 함으로써 승강장 도어에 스크래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장과 승강장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 중에서 측방향의 틈새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승강장 도어의 표면에서 2 ~ 3mm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가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엘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가림바가 고정되는 곳이 되는 가림바장착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림바는 직사각 형태의 가림바 몸체와, 상기 가림바몸체에서 상기 승강장도어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가림바몸체와 일체형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가림바몸체의 승강기 출입구를 향해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림바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림바는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전체 높이 중 일정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도어와 사이드프레임 간에 2 ~ 3mm의 간격을 가지는 틈이 있게 된다. 이 작은 틈을 통해서는 어린이의 손가락도 끼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장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히 어린이의 손가락이 승강장 도어에 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승강장 도어의 표면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가 적용된 승강장의 전체적인 개략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5에 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승강장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승강기(1)의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공간이 승강장(3)이다. 승강장(3)에는 승강기(1)의 주행공간(5)과 승강장(3)을 공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승강장도어(7)가 설치된다.
승강장도어(7)는 양문개폐식이 일반적이다. 승강기(1)의 주행공간(5)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는 도어프레임(9)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프레임(9)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헤드프레임(11)과 좌우측에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13)과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5, 또는 문인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13)과 승강장도어(7) 사이의 틈(G)으로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도어(7)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손끼임 방지기구는 승강장도어(7)와 사이드프레임(13) 사이의 틈(G)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도어(7)의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손끼임 방지기구는 사이드프레임(13)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다란 가림바(17)를 포함한다.
가림바(17)는 사이드프레임(13)에서 승강장도어(7)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승강장도어(7)의 표면(7a)에서 2 ~ 3mm 간격(T)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가림바(17)는 길이가 800~ 1,200mm일 수 있으며 승강장의 바닥에서부터 600mm의 높이부터 설치될 수 있다. 가림바(17)는 어린이 내지 학생의 키높이에 맞춰 일정 구간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도어(7)와 사이드프레임(13) 간에 2 ~ 3mm의 간격을 가지는 틈(G)이 있게 된다. 이 작은 틈(G)을 통해서는 어린이의 손가락도 끼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장도어(7)와 도어프레임(9)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문제를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승강장도어의 표면(7a)은 타부재와 마찰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깨끗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드프레임(13)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가림바장착브래킷(25)을 제공한다.
사이드프레임(17)은 승강기도어를 향한 방향 및 그와 직각을 이루는 승강기도어의 개폐방향을 향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림바설치공간(27)을 제공한다.
엘(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가림바장착브래킷(25)이 내측판(19)에 고정 설치된다. 가림바장착브래킷(25)은 접착, 용접, 볼팅 또는 리벳팅 등에 의해 내측판(19)에 고정된다.
가림바(17)는 가림바장착브래킷(25)과 외측판(21) 사이의 공간, 즉 외측으로부터 가림바설치공간(27)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가림바(17)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2조 이상의 볼트(29)와 너트(31)에 의해 가림바장착브래킷(25)에 고정 설치된다.
가림바(17)는 가림바장착브래킷(25)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평단면이 직사각 형태의 가림바 몸체(33)와, 상기 가림바 몸체(33)에서 상기 승강장도어(7)를 향해 뾰족하게 돌출 연장되는 블레이드(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35)는 가림바몸체(33)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가림바(17)는 강성을 지닌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블레이드(35)는 승강기 출입구를 향해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35)는 소재의 특성상 손가락이 끼는 정도를 크게 넘어서는 큰 힘에 의해서는 부러지거나 휨으로써 승강장도어(7) 내지 사이드프레임(13)을 보호할 수 있다.
가림바 몸체(33)에는 외측판(21)의 단부에 안착되어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걸림턱(37)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가림바(17)와 외측판(21) 간의 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림바(17)의 이러한 설치구조에 의하면 가림바(17)를 외측에서, 즉 승강장의 위치에서 쉽게 분리 및 조립(또는 설치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블레이드(35)는 계단식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평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35)가 설치되어 있는 가림바 몸체(33)의 전방측면(33a)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림바(17)는 도 6의 화살표(K)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스프링(3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39)은 가림바(17)로 하여금 승강장도어(7)를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다만 가림바(17)는 내측판(19)의 끝에 걸려 승강장도어(7)를 향해 돌출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볼트(29)와 너트(31)는 가림바(17)의 화살표(K) 방향으로의 유동을 허용할 수 있는 정도의 체결력으로 가림바(17)를 고정한다. 볼트(29)가 끼워지는 가림바의 볼트공(41)은 장공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39)은 가림바(17)의 길이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설치되며 사이드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된 스프링고정핀(43)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어떤 사정으로 승강장도어(7)와 사이드프레임(13) 간의 간격이 좁혀질 때 부재 간의 충돌로 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승강기 3 : 승강장
5 : 주행공간 7 : 승강장도어
9 : 도어프레임 11 : 오버헤드프레임
13 : 사이드프레임 15 : 바닥프레임
17 : 가림바 19 : 내측판
21 : 외측판 25 : 가림바 장착브래킷
27 : 가림바설치공간 29 : 볼트
1 : 너트 33 : 가림바몸체
35 : 블레이드 37 : 걸림턱
39 : 스프링 41 : 볼트공
43 : 스프링고정핀
G : 틈

Claims (6)

  1. 승강기의 승강장과 승강장도어(7)와 도어프레임(9) 사이의 틈 중에서 측방향의 틈새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13);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3)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승강장도어의 표면에서 2 ~ 3mm 간격( T)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가림바(17);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은;
    상기 승강장도어(7) 및 상기 승강장도어(7)의 개폐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림바설치공간(27)이 마련되도록 하기 위한 내측판(19)과 외측판(21)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판(19)에는 엘(L)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가림바(17)가 고정되는 가림바 장착브래킷(25)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림바(17)는 상기 가림바설치공간(27)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설치 및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가림바(17)는;
    평면상 직사각 형태로 되어 있는 가림바몸체(33)와; 상기 가림바몸체(33)에서 상기 승강장도어(7)를 향해 뾰족하게 돌출 연장되는 블레이드(35);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 끼는 정도를 크게 넘어서는 큰 힘에 의해서는 부러지거나 휨으로써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을 보호하게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바몸체(33)에는 상기 외측판(21)의 단부에 안착되어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걸림턱(37)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가림바(17)와 외측판(21) 간의 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5)와 가림바몸체(33)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35)는 상기 가림바몸체(33)의 승강기 출입구를 향해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바(17)는 승강장도어(7)를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스프링(39)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가림바(17)는 상기 내측판(19)의 끝에 걸려 상기 승강장도어(7)를 향해 돌출되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바(17)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의 전체 높이 중 일정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KR1020210135550A 2021-10-13 2021-10-13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KR10246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50A KR102466052B1 (ko) 2021-10-13 2021-10-13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50A KR102466052B1 (ko) 2021-10-13 2021-10-13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052B1 true KR102466052B1 (ko) 2022-11-11

Family

ID=8404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550A KR102466052B1 (ko) 2021-10-13 2021-10-13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513A (ja) * 2005-02-07 2006-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1746644B1 (ko) * 2017-01-10 2017-06-27 (주)대원엔지니어링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 틈새에 손끼임을 방지하는 프로파일 어셈블리
KR200485696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20180062306A (ko) * 2016-11-30 2018-06-08 이금기 엘리베이터용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513A (ja) * 2005-02-07 2006-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0485696Y1 (ko) 2016-11-21 2018-02-08 윤호원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음방지 및 손끼임방지장치
KR20180062306A (ko) * 2016-11-30 2018-06-08 이금기 엘리베이터용 안전 장치
KR101746644B1 (ko) * 2017-01-10 2017-06-27 (주)대원엔지니어링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 틈새에 손끼임을 방지하는 프로파일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4282B2 (ja) エレベータの手挟み防止用安全装置
KR101062083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US20150224858A1 (en) Automobile door structure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66052B1 (ko) 승강기의 손가락 끼임 방지기구
KR10088057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101645995B1 (ko) 도어 끼임 방지 장치
JP5909254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ラットホームドア用防護体
CN111065597B (zh) 电梯的门装置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2004026316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2477998B1 (ko) 끼임 방지 장치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101960735B1 (ko) 오버헤드 도어의 안전장치
WO2018155840A1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JP4531577B2 (ja)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KR2006008415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도어 조립체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CN113966309B (zh) 电梯门
US20170297871A1 (en) Elevator landing do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22994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20230111980A (ko) 엘리베이터용 리미트 스위치의 결선단자보호 기능을 갖는 브라켓
JP7435858B1 (ja) 乗場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