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95B1 - 도어 끼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끼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95B1
KR101645995B1 KR1020140139110A KR20140139110A KR101645995B1 KR 101645995 B1 KR101645995 B1 KR 101645995B1 KR 1020140139110 A KR1020140139110 A KR 1020140139110A KR 20140139110 A KR20140139110 A KR 20140139110A KR 101645995 B1 KR101645995 B1 KR 10164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r
guide
jam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286A (ko
Inventor
최원우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면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좁히는 끼임 방지 봉, 끼임 방지 봉의 상부측 및 하부측 중 적어도 일측에 근접하여 위치한 문설주의 일면에 설치되며 문설주의 일면과 접촉된 일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판, 및 끼임 방지 봉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결합되며 가이드 판의 구멍을 관통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가이드 바에 의해 끼임 방지 봉의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의 위치가 유지된다.

Description

도어 끼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AUGHT IN DO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구성된 도어(door)와 문설주(jamb) 사이에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 항상 일정 크기의 틈새가 유지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시, 사람의 신체 및 물체 등이 접촉되어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같이 움직이면서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새에 끼이는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승객 중 어린이 및 노약자는 도어와 신체 부위가 접촉하는 경우가 많아 쉽게 끼임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사람의 신체나 물체가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305719호(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 도어의 손 끼임 방지용 안전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표면에 구비되되 다수의 도어용 LED가 도어용 인쇄회로기판(PCB)의 표면에 설치되는 도어용 LED 기판, 인체의 전류가 감지되면 도어용 LED가 점등되도록 도어용 LED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도어용 전도성 부재, 카프레임과 승장프레임의 모서리의 표면에 다수의 프레임용 LED가 프레임용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는 프레임용 LED 기판, 프레임용 LED 기판의 표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프레임용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문설주에 바(bar) 형태의 가이드 판을 붙이는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만으로는, 도어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좁히는데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좁아진 틈새로도 통과가 가능한 가느다란 물체가 틈새에 끼이게 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사고 및 파손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잦은 사용으로 도어나 문설주에 휨이 발생하면, 문설주 또는 문설주에 설치된 가이드와 도어가 서로 교차하면서 도어 표면에 긁힘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끼임 발생을 막으면서도 동시에 즉각적으로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안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물체 끼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동시에 끼임 발생 사실을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면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좁히는 끼임 방지 봉;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부측 및 하부측 중 적어도 일측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문설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문설주의 일면과 접촉된 일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판; 및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구멍을 관통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의 위치가 유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끼임 방지 봉을 설치하여 두 설치물 사이의 틈새 자체를 좁혀 물체의 끼임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도어와 문설주 사이의 틈새에 약간의 끼임 발생하더라도, 끼임 방지 봉에 물체가 닿자마자 끼임 방지 봉의 움직임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도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끼임 방지 봉을 통해 물체가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끼이는 것을 직접적으로 막을 뿐만 아니라, 물체의 끼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도어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이중으로 승객의 부상 방지 및 승강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끼임 방지 봉의 몸체보다 외경(외부 둘레)이 큰 회전체(즉, 회전 롤러)를 끼임 방지 봉에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도어 및 문설주가 휘어지더라도 회전체가 도어에 접촉함으로써 도어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끼임 방지 봉이 도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하여 표면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형의 끼임 방지 봉을 설치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장기 사용으로 도어와 문설주의 틈새가 더욱 좁아지게 되더라도, 종래의 문설주에 설치된 가이드 형태의 끼임 방지 장치보다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의 설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임 방지 봉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가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건물에서 승객이 상/하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각 층별로 설치된 승강장 및 승강로를 상/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car)가 포함되며, 각 층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에는 승객의 승/하차 출입구로서의 엘리베이터 도어(1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카(미도시)에 설치되는 카 도어(미도시)와 상기 카 도어(미도시)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각 층 승강장의 승강구에 설치되는 승장 도어(미도시) 모두를 의미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엘리베이터 도어(10)로서 승장 도어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는 엘리베이터 카 및 승강장에 각각 설치된 도어 프레임인 문설주(jamb)(20)가 포함되며, 도 1에서는 편의상 문설주(20)로서 승강장의 문설주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1의 (b)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어’라고 지칭함)(10)와 문설주(20)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P1)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어(10)는 도어 구동 장치(예를 들어, 도어 구동용 모터 등)(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개폐 동작하며, 도어 구동 장치는 도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 동작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어(10)는 도어 구동 장치(미도시)에 상부가 고정되고, 도어 안내 장치(미도시)에 도어(10) 하부의 가이드 장치(미도시)가 끼워져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도어(10)가 설치되면,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틈새(즉, P1)가 발생되며, 도어(10)가 개폐되는 동안 틈새는 항상 유지된다.
승객의 승/하차 시 도어(10)가 좌/우로 이동할 때, 도어(10)와 문설주(20)의 가까운 위치에서 승객의 신체 등의 물체가 닿는 경우 상기 틈새(P1)로 끼이거나 말려들어가는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 구성이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물체가 끼일 수 없을 정도로 상기 틈새(P1)를 최소화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의 설치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하, 설명의 편의상 ‘끼임 방지부’라고 지칭함)이 도어(10)와 문설주(20)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의 (b)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의 (a) 및 (b)에서와 같이,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는 양쪽 도어(10) 및 문설주(20)의 출입구 방향 일단측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10)의 개폐 시 물체의 끼임을 방지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양쪽 문설주(20)의 도어(10) 방향 일부가 절단된 위치에 끼임 방지부가 위치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끼임 방지부는 하기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할 끼임 방지 봉, 회전 롤러 및 원형 가이드 등을 포함하며, 끼임 방지부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끼임 방지부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적어도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즉, 하나의 끼임 방지부가 출입구 전구간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출입구를 여러 구간으로 분할한 경우 복수 개의 끼임 방지부가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끼임 방지부가 문설주(20)의 일부면을 절단한 하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문설주(20)는 도 2에서와 같이 끼임 방지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도어(10) 방향 일부면이 절단된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끼임 방지부가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끼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문설주(20)의 도어(10) 방향 일면에 끼임 방지부에 대응하는 일정 길이 및 너비의 홀(hole)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임 방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는 끼임 방지 봉(111), 회전 롤러(112), 원형 가이드(113), 스프링(114), 가이드 바(115), 가이드 판(116), 끼임 감지 센서(117), 센서 고정판(118), 신호 케이블(119)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끼임 방지부는 끼임 방지 봉(111), 회전 롤러(112) 및 원형 가이드(113)를 포함한다.
끼임 방지 봉(111)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면이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위치하여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의 틈새(P1)가 물체가 낄 수 없을 정도로 좁게 유지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물체의 끼임이 발생하는 경우, 물체는 우선적으로 끼임 방지 봉(111)의 몸체에 닿게 되어 도어(10)가 움직이는 방향 안쪽으로 더 이상 끼임이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끼임 방지 봉(111)은 닿은 물체에 의해 발생된 힘 또는 움직임에 따라 끼임 방지 봉(111) 자체가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끼임 방지 봉(111)의 움직임에 따라, 끼임 방지 봉(111)은 근접하여 설치된 끼임 감지 센서(117)를 밀어낸다. 즉, 끼임 방지 봉(111)의 움직임이 발생되면 끼임 감지 센서(117)가 끼임 발생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도어(10)를 향한 방향을 '앞'이라고 정의할 경우, 끼임 방지 봉(111)이 도어(10)와 수직 방향으로 '뒤'로 이동하여 끼임 감지 센서(117)를 밀어내거나, '앞'으로 이동하여 끼임 감지 센서(117)로부터 떨어져 제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끼임 방지 봉(111)의 몸체보다 외경(외부 둘레)이 큰 회전 롤러(112)가 설치되며, 회전 롤러(112)는 끼임 방지 봉(111)에 끼워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끼임 방지 봉(111) 및 회전 롤러(112)는 도어(10)와 약간의 틈새가 있어, 회전 롤러(112)가 도어(10)와 접촉하지 않아 도어(10)의 동작이 자유롭다.
또한, 도어(10)나 문설주(20)가 휘어진 경우가 발생되어도, 회전 롤러(112)가 도어(10)와 접촉하여 도어(10)의 개폐 시 도어(10)로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롤링하여 도어(1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끼임 방지 봉(111)과 도어(10) 간에 회전 롤러(112)에 의한 일정 틈새가 유지되어 끼임 방지 봉(111)이 도어(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끼임 방지 봉(111)과 도어(10) 사이에 일정 틈새가 유지됨으로써 도어(10)의 표면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회전 롤러(112)가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회전 롤러(112)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112)의 수량 또한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에서는 회전 롤러(112)를 제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끼임 방지 봉(111)의 형상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각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회전 롤러(112)는 끼임 방지 봉(111)에 끼워지는 형태이므로 회전 롤러(112)의 내부 형태는 끼임 방지 봉(111)의 단부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끼임 방지 봉(111)의 양단부는 몸체보다 둘레 크기가 작은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전 롤러(112)의 내부 형태 또한 끼임 방지 봉(111)의 단부 형태(즉, 원형)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 롤러(112)의 회전이 용이하여, 회전 롤러(112)와 도어(10) 간의 접촉 시에도 도어(1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끼임 방지 봉(111)의 재질은 플라스틱(plastic) 계열, 고무 계열(예를 들어, 우레탄 등), 비철 금속 계열, 철 계열, 스테인리스(stainless)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복수의 종류의 재질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원형 가이드(113), 가이드 바(115) 및 가이드 판(116)은 끼임 방지 봉(111)의 출입구 구간 내 위치를 고정하여 도어(10)와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더불어, 원형 가이드(113), 가이드 바(115) 및 가이드 판(116)은 끼임 방지 봉(111)이 도어(10)와 수직 방향(즉, 앞 또는 뒤)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끼임 방지 봉(111)의 상부측 및 하부측 중 적어도 일측 근처에 위치한 문설주(20)의 일면에는 가이드 판(116)이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설주(20)의 도어(10) 방향 일단면의 뒷부분에 가이드 판(11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판(116)은 문설주(20)에 부착되는 제 1 측면(116a), 제 1 측면(116a)과 마주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제 2 측면(116b), 및 제 1 및 제 2 측면(116a, 116b) 사이에 위치하여 두 측면을 연결하는 밑면(116c)을 포함한다. 가이드 판(116)의 제 1 측면(116a) 및 제 2 측면(116b)에는 가이드 바(115)가 관통할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가이드 판(116)의 제 2 측면(116b)에 형성된 구멍은 이후 설명할 스프링(114)의 둘레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 판(116)의 밑면(116c)에는 원형 가이드(113)의 모양에 대응된 홈(P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판(116)의 밑면(116c)에 형성된 홈(P2)은 원형 가이드(113)의 일측이 가이드 판(116)에서 제 2 측면(116b) 방향으로 드러나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가이드 판(116) 밑면(116a)의 홈(P2)은, 원형 가이드(113)의 평상 시(즉, 끼임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 위치로부터 끼임 방지 봉(111)이 뒤로 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공간이 확보될 만큼 깊게 파여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111a) 및 하단부(111b)는 끼임 방지 봉(111)의 몸체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며,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111a) 및 하단부(111b)에 원형 가이드(113)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111a) 및 하단부(111b)에서 원형 가이드(113) 외부로 돌출된 각 단이 가이드 바(115)와 결합된다. 이때, 끼임 방지 봉(111)과 결합되지 않은 가이드 바(115)의 나머지 일단은 가이드 판(116)에 형성된 상기 구멍에 끼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 구비된 가이드 바(115)는 끼임 방지 봉(111)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끼임 발생 시 끼임 방지 봉(111)의 앞/뒤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111a) 및 하단부(111b)는 몸체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가이드(113)는 끼임 방지 봉(111)의 상단부(111a) 및 하단부(111b)에 각각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원형 가이드(113)의 지름은 끼임 방지 봉(111)의 몸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형 가이드(113)의 형태가 원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끼임 방지 봉(111)의 몸체보다 외경이 작은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특정 형상의 가이드(113)의 둘레는 끼임 방지 봉(111)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임 방지 봉(111)의 일단부 및 가이드 판(116)의 제 2 측면(116b) 사이에는 스프링(114)이 구비되며, 스프링(114)은 가이드 바(115)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해, 평상 시(즉, 끼임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 끼임 방지 봉(111)이 틈새(P1) 쪽으로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끼임 발생 시 끼임 방지 봉(111)이 뒤로 이동한 이후 끼임이 해제되면, 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해 끼임 방지 봉(111)이 자동으로 틈새(P1) 방향으로 복귀된다. 즉, 스프링(114)은 평상 시 끼임 방지 봉(111)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고, 끼임 감지 센서(117)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참고로, 끼임 발생 시 끼임 방지 봉(111)은 뒤로 밀리되, 가이드 판(116)의 밑면(116c)에 형성된 홈(P2)에 의해 원형 가이드(113)가 닿음으로써 더 이상 밀리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끼임 방지 봉(111)이 일정 거리 이상 밀리지 않도록 하여 끼임 발생 시 물체가 더 이상 말려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좁은 틈새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끼임 방지 봉(111)의 앞/뒤 이동을 가이드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의 사용 대신에 가이드 바(115) 자체가 일정 크기의 인장력을 갖는 인장 구조를 이용하여 끼임 방지 봉(11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가이드 판(116)의 제 2 측면(116b)에는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가이드 바(115)의 일단부(즉, 끼임 방지 봉(111)과 결합되지 않은 일단)가 제 2 측면(116b)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끼임 발생 시 끼임 방지 봉(111)이 이동하여 끼임 감지 센서(117)가 밀리면, 끼임 감지 센서(117)로부터 끼임 발생을 감지한 센싱 신호가 발생된다. 끼임 감지 센서(117)로부터 발생된 센싱 신호는 신호 케이블(119)를 통해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끼임 감지 센서(117)는 센서 고정판(118)에 의해 지지되어, 끼임 방지 봉(111)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고정판(118)은 문설주(20)의 도어 방향 일면과 마주한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로의 끼임이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 끼임 감지 센서(117)가 끼임 방지 봉(111)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 고정판(118)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문설주(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끼임 감지 센서(117)가 끼임 방지 봉(111)으로부터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끼임 방지 센서(177)로부터 발생된 센싱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0)는, 도어 구동 장치(미도시)로 도어(10)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신호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도어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여 도어 구동 장치(미도시)가 도어(10)의 개방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끼임 방지 장치(100)는 끼임 방지 봉(111)을 통해 물체가 도어(10)와 문설주(20) 사이에 끼이는 것을 직접적으로 막을 뿐만 아니라, 물체의 끼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도어(1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이중으로 승객의 부상 방지 및 승강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어
20: 문설주
100: 도어 끼임 방지 장치
111: 끼임 방지 봉
112: 회전 롤러
113: 원형 가이드
114: 스프링
115: 가이드 바
116: 가이드 판
117: 끼임 감지 센서
118: 센서 고정판
119: 신호 케이블
120: 제어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면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문설주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와 상기 문설주 사이의 틈새를 좁히는 끼임 방지 봉;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부측 및 하부측 중 적어도 일측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기 문설주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문설주의 일면과 접촉된 일측면에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판; 및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판의 구멍을 관통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에 의해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의 위치가 유지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 봉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의 회전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 롤러의 둘레는 상기 끼임 방지 봉의 몸체의 외부 둘레보다 큰 도어 끼임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끼임 방지 봉의 몸체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원형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끼임 방지 봉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끼임 방지 봉의 몸체 및 상기 원형 가이드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은,
    상기 문설주에 부착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제 2 측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을 연결하는 밑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판의 밑면에는 상기 원형 가이드의 모양에 대응되되, 상기 끼임 방지 봉이 움직일 공간을 확보하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도어 끼임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 봉의 근처에 설치되되, 상기 끼임 방지 봉이 상기 도어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밀려나면 상기 끼임 방지 봉과 접촉되어 센싱 값을 발생시키는 끼임 감지 센서;
    상기 끼임 감지 센서를 고정 지지하되, 상기 문설주의 일면에 설치된 센서 고정판; 및
    상기 끼임 감지 센서로부터 발생된 센싱 값을 신호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센싱 값 수신 시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 동작 처리부로 상기 도어의 움직임을 멈추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은,
    상기 문설주에 부착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제 2 측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을 연결하는 밑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 바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사이에, 상기 가이드 바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은,
    상기 문설주에 부착되는 제 1 측면,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제 2 측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을 연결하는 밑면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는 인장력을 갖는 재질이며,
    상기 제 1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바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의 상기 끼임 방지 봉과 결합되지 않은 일단부가 상기 제 2 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방지 봉은,
    플라스틱 계열, 고무 계열, 비철 금속 계열, 및 철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도어 끼임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끼임 방지 봉, 상기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임 방지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구간에서 적어도 일영역을 커버하도록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도어 끼임 방지 장치.
KR1020140139110A 2014-10-15 2014-10-15 도어 끼임 방지 장치 KR10164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10A KR101645995B1 (ko) 2014-10-15 2014-10-15 도어 끼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10A KR101645995B1 (ko) 2014-10-15 2014-10-15 도어 끼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86A KR20160044286A (ko) 2016-04-25
KR101645995B1 true KR101645995B1 (ko) 2016-08-05

Family

ID=5591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110A KR101645995B1 (ko) 2014-10-15 2014-10-15 도어 끼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32B1 (ko) * 2018-01-18 2019-06-27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04B1 (ko) * 2017-04-24 2017-11-03 윤일식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840973B1 (ko) * 2017-04-24 2018-03-22 윤일식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9160A (ja) * 1995-03-29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140023170A (ko) * 2012-08-17 2014-02-26 안소현 전동차 출입문의 문틈 끼임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032B1 (ko) * 2018-01-18 2019-06-27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구조 및 손 끼임 방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286A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839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1645995B1 (ko) 도어 끼임 방지 장치
US20200010304A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for Protecting Hand from Getting Jammed
KR10121732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2009249155A (ja) エレベータの戸開閉装置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1673425B1 (ko) 엘리베이터 손끼임 방지 장치
JP4620484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2010023951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06143443A (ja) 扉の安全装置
CN109153543B (zh) 电梯门装置
JP6633798B1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1517194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S6366084A (ja) エレベ−タの出入口安全装置
JP551720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862349B2 (ja) エレベータのスクリーン案内溝の点検装置
KR102525211B1 (ko) 끼임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장치
US20220090432A1 (en) Safety System for Automatic Door
KR101795899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JP2008037627A (ja) エレベータの戸案内装置
JP201006486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敷居装置
JP2020186104A (ja) 検知装置及びその検知装置を用いた安全装置
JP5744121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柱間開口閉塞装置
JPH0885690A (ja) エレベータ用引き戸の異物挟み込み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