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718B1 -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 Google Patents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718B1
KR100937718B1 KR1020080137781A KR20080137781A KR100937718B1 KR 100937718 B1 KR100937718 B1 KR 100937718B1 KR 1020080137781 A KR1020080137781 A KR 1020080137781A KR 20080137781 A KR20080137781 A KR 20080137781A KR 100937718 B1 KR100937718 B1 KR 10093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all
door frame
outer en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원
Original Assignee
장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원 filed Critical 장병원
Priority to KR102008013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의 전면에서 일측으로 개폐되는 전방도어(10)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안쪽 위치에서 상기 전방도어(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후방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10)는 내측단 위치에 내측단 절곡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도어(20)는 내측단과 외측단 중에서 적어도 내측단에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맞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 차단부(32)를 갖는 화염 차단패널(30)이 구비되며,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의 상기 메인 차단부(32)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의해 미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로의 화염 침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방도어, 후방도어, 화염 차단패널, 도어 프레임, 복합도어 프레임

Description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One way opening type elevator fire protection door}
본 발명은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열리는 두 개의 도어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것과 두 개의 도어 외측단과 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케이지 자체의 도어에 더하여 화재시 탑승객 보호를 위한 방화도어가 추가로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방화도어는 두 방화도어가 양쪽으로 열리는 양방향 개폐식과 두 방화도어가 같은 방향으로 열리는 일방향 개폐식이 있다.
이러한 방화도어는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장의 레일을 따라 열리고 닫히는 동작을 함으로써, 승강장에서 승객이 엘리베이터 케이지 안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건물 화재시에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방화도어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방화도어와 벽체에 설치된 도어 프레임 사이에도 틈새가 생겨서, 건물 화재시에는 화염이 엘리베이터 안으로 침투하여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며 인체에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방향으로 열리는 두 개의 도어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두 개의 도어 외측단과 벽체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전면에서 일측으로 개폐되는 전방도어(10)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안쪽 위치에서 상기 전방도어(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후방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10)는 내측단 위치에 내측단 절곡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도어(20)는 내측단과 외측단 중에서 적어도 내측단에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맞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 차단부(32)를 갖는 화염 차단패널(30)이 구비되며,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의 상기 메인 차단부(32)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의해 미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로의 화염 침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 화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요부인 후방도어의 내측단에는 전방도어의 내측단 절곡부에 맞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 차단부를 갖는 화염 차단패널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화염 차단패널의 메인 차단부와 전방도어의 내측단 절곡부 사이에 화염을 차단하는 미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화염 차단패널에 의해 전방도어의 내측단과 후방도어의 내측단(즉, 전방도어와 후방도어를 닫았을 때 중간 부분) 사이로 화염의 진입이 차단되어 건물 화재시 화염이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침투하지 않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도어의 외측단에 구비된 수직 차단판의 차단부와 도어 프레임의 후단 절곡부가 맞결합되어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미로를 형성하고, 전방도어의 전면과 도어 프레임의 후단 절곡부 사이로 혹시라도 침입하는 화염은 수직 차단판에 의해 완전 차단되어, 전방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염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안전에 더욱 기여하며, 후방도어의 외측단 부분에 인접하여 벽체에 설치된 복합도어 프레임은 디귿자 형상의 중간 차단벽에 의해 후방도어(2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1차로 미로를 형성하고, 후방도어에 장착된 수직 차단벽의 전단 차단부와 복합도어 프레임의 디귿자 형상의 중간 차단벽 안쪽에 의해 2차로 미로가 형성되어, 건물 화재시 복합도어 프레임과 후 방도어의 외측단에 형성된 1차 미로에 의해 화염이 차단되고 2차 미로에 의해 화염이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후방도어와 복합도어 프레임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도어에 있어서, 전방도어(10)와 후방도어(20)를 닫았을 때 이들 도어의 중간 부분에 화염 차단을 위한 미로가 형성되고 전방도어(10)와 후방도어(20)의 외측단에 설치된 도어 프레임(40)과 복합도어 프레임(50) 사이에도 화염 차단을 위한 미로를 형성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방도어(10)는 사각판 형상의 도어본체(12)의 내측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벽부(14)가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벽부(14)의 끝단에는 너비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내측단 절곡부(15)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전방도어(10)는 외측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16)가 형성되고, 이러한 외측벽부(16)에는 너비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외측단 절곡부(17)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방도어(10)는 도어본체(12)의 내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보강재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후방도어(20) 역시 사각판 형상의 도어본체(22) 내측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내측벽부(24)가 형성되고, 이러한 내측벽부(24)의 끝단에는 너비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내측단 절곡부(25)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후방도어(20)는 외측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외측벽부(26)가 형성되고, 이러한 외측벽부(26)에는 너비 방향으로 내향 연장된 외측단 절곡부(27)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후방도어(20) 역시 도어본체(22)의 내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보강재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후방도어(20)는 내측단에 전방도어(10)의 내측단 절곡부(15)에 맞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 차단부(32)를 갖는 화염 차단패널(30)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화염 차단패널(30)의 메인 차단부(32)와 전방도어(10)의 내측단 절곡부(15)에 의해 화염을 차단하는 미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화염 차단패널(30)에 의해 전방도어(10)의 내측단과 후방도어(20)의 내측단(즉, 전방도어(10)와 후방도어(20)를 닫았을 때 중간 부분) 사이로 진입될 수 있는 화염이 차단되어 건물 화재시 화염이 엘리베이터의 내부로 침투하지 않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도어(10)의 외측벽부(16)에는 제1수직 차단판(65)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수직 차단판(65)은 전단부에 차단부(67)가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전방도어(10)의 외측벽부(16)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후방도어(20)의 외측벽부(26)에 형성된 외측단 절곡부(27)에는 제2수직 차단판(72)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2수직 차단판(72)은 후방 차단부(74)와, 이 후방 차단부(74)에 이어져 후방도어(20)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 결합부(76)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 결합부(76)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후방도어(20)의 외측벽부(26)에 구비된 외측단 절곡부에 고정된다. 부호 74a는 보강 절곡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방도어(10)의 외측단 부분에 인접 배치되어 전방도어(10)와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기 위한 도어 프레임(40)과, 후방도어(20)의 외측단 부분에 인접 배치되어 후방도어(20)와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합도어 프레임(5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40)은 전방도어(10)의 외측단에 구비된 제1수직 차단판(65)의 전단 차단부(67)와 맞걸림식으로 결합되는 후단 절곡부(42)와, 후단 절곡부(42)에 이어져 벽체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벽부(44)와, 중간 벽부(44)에 이어진 전방 벽부(46)와, 제1전방 벽부(46)에 이어진 전단 절곡부(4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합도어 프레임(50)은 후방도어(20)의 외측단 부분에 구비된 제2수직 차단판(72)의 후방 차단부(74)와 마주하는 후방 연장부(52)와, 전단 미로벽(56a)과 후단 미로벽(56b)을 갖는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단 미로벽(56b)이 후방 연장부(52)에 이어지며 후방도어(2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중간 차단벽(54)과, 중간 차단벽(54)의 전단 미로벽(56b)에 이어져 벽체 방향으로 소정 각도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벽부(56)와, 이러한 중간 벽부(56)에 이어진 전방 벽 부(58)와, 이 전방 벽부(58)에 이어진 전단 절곡부(59)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부호 52a는 후방도어(20)의 너비 방향과 나란하게 외향 연장된 평행 절곡부이고, 부호 52b는 후방도어(20)의 두께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직각 절곡부이다.
이에 따라, 전방도어(10)의 외측단에 구비된 제1수직 차단판(65)의 차단부(67)와 도어 프레임(40)의 후단 절곡부(42)가 서로 맞걸림 식으로 결합되어 화염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미로를 형성하고, 전방도어(10)의 전면과 도어 프레임(40)의 후단 절곡부(42) 사이로 침입할 수 있는 화염은 제1수직 차단판(65)에 의해 완전 차단되어, 전방도어(10)와 도어 프레임(40) 사이로 화염 침투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안전에 더욱 기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도어 프레임(50)은 디귿자 형상의 중간 차단벽(54)에 의해 후방도어(2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1차로 미로를 형성하고, 후방도어(20)에 장착된 제2수직 차단판(72)의 후방 차단부(74)와 복합도어 프레임(50)의 디귿자 형상의 중간 차단벽(54) 안쪽에 의해 2차로 미로가 형성되어, 건물 화재시 복합도어 프레임(50)과 후방도어(20)의 외측단에 형성된 1차 미로에 의해 화염이 차단되고 2차 미로에 의해 다시 화염이 이중으로 차단되므로, 후방도어(20)와 복합도어 프레임(50) 사이로 화염이 침투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40)의 내부에는 각각 제1보조 프레임(80)이 더 설치된다. 이러한 제1보조 프레임(80)은 도어 프레임(40)의 후단 절곡부(42)에 접합되는 후단 접합부(82)와, 도어 프레임(40)의 중간 벽부(44) 내면에 접합되는 중간 접 합부(84)와, 중간 접합부(84)에 이어져 외향으로 연장된 연장부(86)와, 이러한 연장부(86)에 이어져 도어 프레임(40)의 전단 절곡부(48)에 접합되는 전단 접합부(8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보조 프레임(80)의 후단 접합부(82)는 전방도어(10)를 닫았을 때 제1수직 차단판(65)의 전단 차단부(67)와 맞걸림식으로 결합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미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제1보조 프레임(80)과 도어 프레임(40)의 자체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프레임(40)과 제1보조 프레임(80)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판(90)이 연결된다. 이러한 보강판(90)의 양단부측은 각각 제1보조 프레임(80)의 전단 접하부(88)와 도어 프레임(40)의 전단 절곡부(48)에 용접 접합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판(90)은 도어 프레임(40)이 형상을 유지하도록 더욱 보강하는 기능을 함은 물론, 벽체 타설을 위한 철근에 체결구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도어 프레임(40)을 벽체에 보다 강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복합도어 프레임(50)의 내부에도 보조 프레임(80)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보강판(90)이 보조 프레임(80)과 복합도어 프레임(50) 사이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전면에서 일측으로 개폐되는 전방도어(10)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안쪽 위치에서 상기 전방도어(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후방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10)는 내측단 위치에 내측단 절곡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도어(20)는 내측단과 외측단 중에서 적어도 내측단에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맞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 차단부(32)를 갖는 화염 차단패널(30)이 구비되며,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의 상기 메인 차단부(32)와 상기 전방도어(10)의 상기 내측단 절곡부(15)에 의해 미로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화염 차단패널(30)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로의 화염 침투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도어(10)의 외측단 부분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전방도어(10)와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40)과, 상기 후방도어(20)의 외측단 부분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후방도어(2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복합도어 프레임(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40)은 상기 전방도어(10)의 외측단에 구비된 제1수직 차단판(65)의 전단 절곡부(67)와 맞걸림식으로 결합되는 후단 절곡부(42)와, 상기 후단 절곡부(42)에 이어져 벽체에 대해 소정 각도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벽부(44)와, 상기 중간 벽부(44)에 이어진 전방 벽부(46)와, 상기 전방 벽부(46)에 이어진 전단 절곡부(4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합도어 프레임(50)은 상기 후방도어(20)의 외측단 부분에 구비된 제2수직 차단판(72)의 후방 차단부(74)와 마주하는 후방 연장부(52)와, 디귿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후방 연장부(52)에 이어지며 상기 후방도어(20)의 외측단과의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중간 차단벽(54)과, 상기 중간 차단벽(54)의 전단부에 이어져 벽체 방향으로 외향 경사지게 연장된 중간 벽부(56)와, 상기 중간 벽부(56)에 이어진 전방 벽부(58)와, 상기 전방 벽부(58)에 이어진 제2전단 절곡부(59)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40)에는 제1보조 프레임(8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 프레임(80)은 후단 접합부(82)와, 상기 후단 접합부(82)에 이어진 중간 접합부(84)와, 상기 중간 접합부(84)에서 도어 프레임(40)의 너비 방향으로 이어진 연장부(86)와, 상기 연장부(86)에서 도어 프레임(40)의 두께 방향으로 이러진 전단 접합부(88)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40)과 상기 제1보조 프레임(80)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판(9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20080137781A 2008-12-31 2008-12-31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093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81A KR100937718B1 (ko) 2008-12-31 2008-12-31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81A KR100937718B1 (ko) 2008-12-31 2008-12-31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718B1 true KR100937718B1 (ko) 2010-01-20

Family

ID=4181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781A KR100937718B1 (ko) 2008-12-31 2008-12-31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587A (zh) * 2016-05-30 2016-08-10 浙江联合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旁开防火层门
KR101946871B1 (ko) * 2018-10-01 2019-02-12 윤병희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337A (en) * 1978-04-05 1979-10-15 Hitachi Ltd Structure of elevator entrance
KR20040040045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337A (en) * 1978-04-05 1979-10-15 Hitachi Ltd Structure of elevator entrance
KR20040040045A (ko) * 2002-11-06 2004-05-1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587A (zh) * 2016-05-30 2016-08-10 浙江联合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旁开防火层门
KR101946871B1 (ko) * 2018-10-01 2019-02-12 윤병희 차연기능을 갖는 승강기용 방화도어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713B1 (ko) 양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100524283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도어 행거 장치
EP2269936B1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0476513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JP5937256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
KR200395153Y1 (ko) 방화가 되는 일방향 개폐 엘리베이터 홀도어장치
KR101048808B1 (ko) 일체형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센터오픈 홀도어 어셈블리
KR101206703B1 (ko) 엘리베이터 방화도어의 열 차단 구조
CN109132818B (zh) 电梯门套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CN112424107B (zh) 电梯的层站出入口装置
EP2311770B1 (en)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for a lift
KR100455501B1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방화장치
KR20130121375A (ko) 엘리베이터 방화 도어
KR200352929Y1 (ko) 버스운전자 보호용 칸막이
KR100831953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CN210286412U (zh) 中分防火层门装置
KR102499809B1 (ko)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1351071B1 (ko) 방화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포도어 어셈블리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KR1006618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용 차연부재 및 그를 이용한 방화셔터
KR20180017763A (ko) 엘리베이터용 틈새끼임 방지구조
KR20140055269A (ko) 엘리베이터의 방화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