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809B1 -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809B1
KR102499809B1 KR1020220143116A KR20220143116A KR102499809B1 KR 102499809 B1 KR102499809 B1 KR 102499809B1 KR 1020220143116 A KR1020220143116 A KR 1020220143116A KR 20220143116 A KR20220143116 A KR 20220143116A KR 102499809 B1 KR102499809 B1 KR 10249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elevator
restoration
remodeling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엘테크
Priority to KR102022014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마감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을 리모델링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틈 사이로 화염 또는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단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방화차단부를 갖는 측면틀에 겹쳐져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에 있어서,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방화차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 및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기 측면틀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복원 잠과 상기 측면틀을 덮어 가리는 측면 리모델링 잠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화기능을 유지하면서 출입구를 리모델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Jamb for remodeling of elevator fire safety jamb and construction method to construct i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마감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을 리모델링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는 엘리베이터를 보호함과 동시에 출입구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마감하는 잠(jamb)이 설치된다.
엘리베이터의 잠은 출입구의 양측면을 마감하는 측면틀과 출입구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틀로 구성되는 데, 오랜 기간 사용하면 출입구를 지나면서 충돌에 의해 찌그러짐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고, 스크레치가가 발생하는 등에 의해 외관의 미감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8555호(2018.3.22.공고) 및 제10-2271682(2021.7.1.공고)에 "리모델링용 삼방틀"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리모델링용 삼방틀은 기존에 설치된 잠에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덧대어 설치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리모델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리모델링용 삼방틀은 기존에 잠에 덧대어 설치하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잠이 방화의 기능을 갖는 방화 잠인 경우, 방화 잠에서 노출되는 부분이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처리하지 못해 방화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모델링용 삼방틀을 기존의 잠에 덧대어 설치할 때, 양면접착테이프로 부착하기 때문에 삼방틀과 잠의 사이 간격이 이격되면서 상대적으로 출입 시에 충격이 많이 가해지는 하단부분이 쉽게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에 설치된 측면틀에 형성된 방화차단부를 절단하고, 방화차단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차단복원부가 형성된 측면 복원 잠을 설치하여 방화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면 복원 잠을 취급이 용이한 재료로 형성하여 복수 개를 겹쳐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취급 및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절단부를 형성하여 측면 복원 잠이 측면틀에 겹쳐지더라도 겹쳐지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면 복원 잠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위치조절공을 형성하여 측면 복원 잠을 측면틀에 설치 시에 차단복원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면 복원 잠과 기존의 측면틀의 하부에 하부 보강판을 설치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충격이 가해지는 하부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측면 리모델링 잠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틈 사이로 화염 또는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단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방화차단부를 갖는 측면틀에 겹쳐져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에 있어서,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방화차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 및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기 측면틀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복원 잠과 상기 측면틀을 덮어 가리는 측면 리모델링 잠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차단복원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틀에 겹쳐지는 측면겹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복원 잠은 화재에 의한 내구성을 갖도록 복수 개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가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 중에서, 상기 측면틀과 마주하는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측면틀에 겹쳐지는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측면틀과는 겹쳐지는 부분을 절단한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측면 복원 잠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차단복원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위치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방화차단부가 절단된 상기 측면틀에 상기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을 설치하여 상기 방화차단부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틀에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틀과 상기 측면 복원 잠이 가려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리모델링 잠을 겹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측면틀에 형성된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후 방화차단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단복원부가 형성된 측면 복원 잠을 설치하여 새로운 차단복원부가 방화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방화기능을 유지하면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리모델링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을 복수 개로 구성하여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재료로 형성된 측면 복원 잠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위치조절공이 형성되어 기존에 설치된 측면틀에서 측면 복원 잠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차단복원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리모델링 잠과 측면틀의 사이를 하부 보강판이 메우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충격이 많이 가해지는 하단 부분에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측면 리모델링 잠이 쉽게 찌그러지거나, 측면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써, 측면 리모델링 잠을 측면틀에 양면접착테이프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써, 하부 보강판을 겹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도시한 측면도로써, 측면틀에 측면 복원 잠 및 하부 보강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jamb)은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을 리모델링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에 겹쳐져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은 측면 복원 잠(11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복원 잠(110)은 화재의 발생에 따라 화염 및 연기가 엘리베이터 도어(250)과 출입구(210)의 둘레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측면 복원 잠(110)은 기존에 설치되었던 엘리베이터의 방화 잠(200) 중에서 측면틀(220)에 형성된 방화차단부를 절단하고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위치에 설치되어 방화차단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은 출입구(210)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틀(230)과, 출입구(210)의 양측면을 마감하는 측면틀(220)로 구성되는 데, 방화 잠(200)의 경우 내화성을 위해 철(Fe)의 함유량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여 손상된다.
특히, 측면틀(220)에는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로 방화를 수행하도록 기밀하는 방화차단부가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데, 측면틀(220)의 대부분은 출입구(210)의 벽면에 콘크리트로 매립되기 때문에 측면틀(220)을 전체 교체할 경우, 출입구(210)의 둘레를 파괴하고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원발명은 측면틀(220)에서 외기와 접촉이 가장 많아 부식이 많이 발생하는 방화차단부를 절단하고, 절단한 부분에 측면 복원 잠(110)을 설치하여 방화차단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측면 복원 잠(110)은 측면겹침부(113)와 차단복원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겹침부(113)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측면틀(22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측면틀(220)의 외측면에 마주하여 겹쳐질 수 있다.
측면겹침부(113)에는 측면 복원 잠(110)을 기존의 측면틀(220)에 겹쳐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117) 예를 들어 리벳 또는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117)를 체결하기 위한 위치조절공(115)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공(115)은 측면틀(220)에 측면겹침부(113)가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여 차단복원부(111)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17)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도어(250)를 향해 가로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위치조절공(115)은 측면겹침부(113)에 상하로 복수 개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차단복원부(111)는 측면겹침부(113)에서 출입구(210)와 마주하는 단부에서 엘리베이터 도어(25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복원부(111)는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차단복원부(111)에서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 사이로 삽입된 부분의 끝단은 엘리베이터 도어(250)가 위치한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더 절곡된 형상으로 가져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로 화염 또는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복원부(111)의 상하의 길이도 측면틀(220)의 상하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복원 잠(110)은 복수 개가 겹쳐져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측면 복원 잠(110)이 겹쳐져 구성될 때에는 측면 방화 잠(200)에 측면 복원 잠(110)의 겹쳐짐으로 인한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 복원 잠(110)과 마주하는 측면 방화 잠(200)의 측면겹침부(113)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겹침부(11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단부가 절단된 절단부(111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로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110)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만 측면틀(220)에 겹쳐지고, 나머지 측면 복원 잠(110)은 측면틀(220)에서 방화차단부의 절단된 부분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의 길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의 길이가 더 짧아지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은 측면겹침부(113)의 단부가 절단된 절단부(111a)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측면틀(220)만 방화차단부를 절단하고 측면 복원 잠(110)을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부틀(230)에도 방화차단부가 형성된 경우, 상부틀(230)의 방화차단부를 절단하고, 측면 복원 잠(110)과 동일한 형태의 상부 복원 잠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부 복원 잠은 양측단이 하부로 절곡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걸림부가 측면 복원 잠(110)의 외측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복원 잠이 상부틀(230)에서 분리되더라도 측면 복원 잠(110)에 상부 복원 잠이 걸쳐지면서 상부 복원 잠이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로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110)은 철재보다는 취급이 용이하고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인리스는 철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부식성을 가지며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지만, 철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기 때문에 내화성을 부여하기 위해 측면 복원 잠(110)을 복수 개로 겹쳐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복수 개로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110) 중에 어느 하나는 강성을 가지도록 철재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취급이 용이하고 부식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때, 철재로 형성되는 측면 복원 잠(110)이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측면 복원 잠(110)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는 측면 복원 잠(110)이 철재로 형성된 측면 복원 잠(110)을 덮어 덮어 보호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철재로 형성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가 측면틀(220)에 겹쳐져 고정됨으로써, 측면틀(220)에 측면 복원 잠(11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측면 복원 잠(110)은 측면틀(220)에 체결부재(117)로 결합 시에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더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은 측면 리모델링 잠(1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리모델링 잠(130)은 측면틀(220)에 측면 복원 잠(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측면틀(220)과 측면 복원 잠(110)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덮어 가리는 형태로 마감할 수 있다.
측면 리모델링 잠(130)은 출입구(210)의 외측에서 출입구(2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출입구(210)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덮어 가릴 수 있으며, 측면 리모델링 잠(130)에서 엘리베이터 도어(250)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엘리베이터에서 내릴 때, 걸리거나 신체가 베이이는 등의 신체손상을 방지하도록 측면 리모델링 잠(130)에 대해 출입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대략 10 내지 20°가량)로 절곡된 걸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리모델링 잠(130)은 측면틀(220)에 겹쳐진 측면 복원 잠(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양면접착테이프(170)를 측면틀(220)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측면 리모델링 잠(130)을 측면틀(220)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측면 리모델링 잠(130)은 양면접착테이프(170)뿐만 아니라, 실리콘 또는 핫멜트 또는 금속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더 사용하거나, 접착제에 의해서만 부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측면 리모델링 잠(130)을 설치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상부틀(230)에도 상부틀(230)을 덮어 가리는 상부 리모델링 잠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리모델링 잠은 차단복원부(111)가 형성된 상부 복원 잠을 상부틀(230)에 설치한 상태에서 둘이 가려지도록 상부틀(230)에 부착되어 마감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은 하부 보강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보강판(150)은 측면틀(220)에 겹쳐진 측면 복원 잠(110)의 두께로 인해 측면 리모델링 잠(130)과 측면틀(220) 하부 사이를 메워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210)는 사람이 왕래함과 동시에 무거운 짐을 나르는 카트가 드나들기 때문에 출입구(210)의 하부에서 많은 충돌이 발생하며 출입구(210)의 하부에 찌그러짐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
특히 본원발명과 같이 측면 리모델링 잠(130)과 측면틀(220)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하부가 더 쉽게 찌그러짐이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찌그러짐으로 인해 측면 리모델링 잠(130)이 측면틀(220)에서 떨어져 출입구(210)를 지나는 사람을 충격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기존에는 측면 리모델링 잠(130)과 측면틀(220) 사이에 양면접착테이프(170)를 설치하더라도 양면접착테이프(170)의 특성상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하부의 충격에 따른 찌그러짐의 발생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원발명의 하부 보강판(150)은 충돌이 많이 발생하는 측면 리모델링 잠(130)과 측면틀(220)의 하부 사이를 메워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하부에 찌그러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고, 측면 리모델링 잠(130)이 측면틀(220)에서 분리되어 지나는 사람을 충격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보강판(150)은 탄성력을 갖지 않으면서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보강판(150)은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하단에서 충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분을 보호하도록 대략 15~30cm의 높이를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보강판(150)의 두께는 측면틀(220)에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1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져 측면틀(220)과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사이를 메울 수 있다.
하부 보강판(150)은 측면 복원 잠(110)의 하단을 미리 설정된 높이로 겹쳐지도록 접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보강판(150)은 측면 리모델링 잠(130)과 측면틀(220)에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용접되는 형태로 측면 리모델링 잠(130) 또는 측면틀(220)에 겹쳐져 부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을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을 시공하는 시공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은 먼저, 기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측면틀(220)에서 방화차단부를 일직선의 형태로 절단한다.
방화차단부를 절단할 때에는 출입구(210)의 측벽에 매립되지 않은 방화차단부를 커터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의 형태로 절단한다.
측면틀(220)에 방화차단부가 절단되면, 방화차단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방화차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복원부(111)를 갖는 측면 복원 잠(110)을 설치한다.
측면 복원 잠(110)은 측면겹침부(113)를 방화차단부가 절단된 측면틀(220)에 겹친 상태에서 차단복원부(111)가 출입구(210)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위치시키고, 위치조절공(115)에 체결부재(117)를 가체결한다.
이때, 측면 복원 잠(110)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 개가 겹쳐진 상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측면 복원 잠(110)이 겹쳐질 경우, 측면틀(220)의 단부에 겹쳐지는 측면겹침부(113)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내측에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된 절단부(111a)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17)에 의해 가체결된 측면 복원 잠(110)의 차단복원부(111)와 엘리베이터 도어(250)의 간격 사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가체결된 체결부재(117)를 완전히 체결하여 측면틀(220)에 측면 복원 잠(110)을 설치한다.
물론, 측면 복원 잠(110)은 출입구(210)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틀(220)에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설치한다.
측면틀(220)에 측면 복원 잠(110)이 고정설치되면,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의 두께로 인한 측면틀(220)과 측면 복원 잠(110)의 사이 간격이 이격되는 부분을 메우기 위해 측면겹침부(113)의 두께를 갖는 하부 보강판(150)을 측면틀(220)의 하부에 겹쳐 부착하거나,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하부에 겹쳐 부착한다.
하부 보강판(150)이 부착되면, 측면틀(220)과 측면틀(220)에 겹쳐진 측면 복원 잠(110)이 외부에서 가려 보이지 않도록 측면 리모델링 잠(130)을 부착하여 마감한다.
측면 리모델링 잠(130)은 측면틀(220)에 양면접착테이프(170)에 의해 부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양면접착테이프(170)의 두께는 측면 복원 잠(110)의 측면겹침부(113)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져 측면틀(220)과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사이 간격을 메우면서 측면 리모델링 잠(130)을 측면틀(220)에 부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양면접착테이프(170)는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전면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방화 잠(200)의 리모델링용 잠(100)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리모델링용 잠(100)은 부식된 방화 잠(200)을 측면 복원 잠(110)에 의해 복원하여 방화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110)에 출입구(210)의 출입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의 위치조절공(115)이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250)와 차단복원부(111)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110)을 복수 개를 겹쳐 구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취급이 용이한 재료로 제작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110)을 복수 개로 겹쳐 구성할 때, 내측에 위치하는 측면 복원 잠(110)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도록 절단부(111a)를 형성하여 측면틀(220)에 겹쳐지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복원 잠(110)과 측면 리모델링 잠(130)의 사이 하부에 하부 보강판(150)이 설치되어 사이 간격을 메움으로써, 하단부분이 충돌에 의해 용이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리모델링용 잠 110: 측면 복원 잠
111: 차단복원부 113: 측면겹침부
115: 위치조절공 117: 체결부재
130: 측면 리모델링 잠 150: 하부 보강판
170: 양면접착테이프 200: 엘리베이터 방화 잠
210: 출입구 220: 측면틀
230: 상부틀 250: 엘리베이터 도어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틈 사이로 화염 또는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단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방화차단부를 갖는 측면틀에 겹쳐져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에 있어서,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방화차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 및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기 측면틀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복원 잠과 상기 측면틀을 덮어 가리는 측면 리모델링 잠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복원 잠은 화재에 의한 내구성을 갖도록 복수 개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차단복원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측면틀에 겹쳐지는 측면겹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가 겹쳐지는 측면 복원 잠 중에서, 상기 측면틀과 마주하는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측면틀에 겹쳐지는 두께를 최소화도록 상기 측면틀과는 겹쳐지는 부분을 절단한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복원 잠은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측면 복원 잠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차단복원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위치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6.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틈 사이로 화염 또는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단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방화차단부를 갖는 측면틀에 겹쳐져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에 있어서,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방화차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 및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기 측면틀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복원 잠과 상기 측면틀을 덮어 가리는 측면 리모델링 잠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측면틀에서 상기 방화차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방화차단부가 절단된 상기 측면틀에 상기 차단복원부를 갖는 측면 복원 잠을 설치하여 상기 방화차단부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틀에 상기 측면 복원 잠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틀과 상기 측면 복원 잠이 가려 보이지 않도록 상기 측면 리모델링 잠을 겹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220143116A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249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16A KR102499809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16A KR102499809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09B1 true KR102499809B1 (ko) 2023-02-14

Family

ID=8522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16A KR102499809B1 (ko) 2022-10-31 2022-10-31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563A (ja) * 2001-09-25 2003-04-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2005008287A (ja) * 2003-06-16 2005-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10034397A (ko) * 2019-09-20 2021-03-30 최준호 사전 제작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563A (ja) * 2001-09-25 2003-04-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三方枠
JP2005008287A (ja) * 2003-06-16 2005-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10034397A (ko) * 2019-09-20 2021-03-30 최준호 사전 제작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818B2 (en) Repair and reinforcement device for wooden door jambs
CN101076650B (zh) 安全屏
US20100154350A1 (en) Security Device for a Door
US20100269431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door and jambs
US78661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able repair and reinforcement of non-standard doors and jambs
US5934024A (en) Jamb construction for entry doors
US20100115862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non-standard doors and jambs
US202103557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oor clearance modification
US6598350B1 (en) Doorjamb reinforcement plates
US4724634A (en) Security windows
KR102499809B1 (ko) 엘리베이터 방화 잠의 리모델링용 잠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US6082049A (en) Metal door frame reinforcements
FR2494760A1 (fr) Blindage pour porte
US20100126088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non-standard doors and jambs
CN205654249U (zh) 型材式楼宇门
EP1795690A1 (en) Crime prevention structure of steel door
US4376353A (en) Building structure
KR102271682B1 (ko) 사전 제작이 가능한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삼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1163085A (ja) 建物の引き戸またはドア
US4972639A (en) Security window
KR100937718B1 (ko) 일방향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
US20100307078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for doors and jambs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CN206737772U (zh) 一种室内窗台防盗防撞护栏结构
JP3472861B2 (ja) 建築用シャッタ−のガイドレ−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