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38B1 -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Google Patents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238B1 KR101627238B1 KR1020150146719A KR20150146719A KR101627238B1 KR 101627238 B1 KR101627238 B1 KR 101627238B1 KR 1020150146719 A KR1020150146719 A KR 1020150146719A KR 20150146719 A KR20150146719 A KR 20150146719A KR 101627238 B1 KR101627238 B1 KR 101627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frame
- guide blade
- construction site
- frame
- displacement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구를 형성하여 바람이 맞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풍력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되,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의 통로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통풍구를 통한 건설 현장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대한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있도록 한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가림막;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가림막;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구를 형성하여 풍압 면적을 최소화하되,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공사시 사용되는 자재가 널려져 있어 주위 환경의 미관을 해치고, 공사로 인해 발생되는 먼지와 각종 기계음 등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므로, 공사 현장 주변 건물에 입주해 있는 사람들은 공사가 끝날때까지 상기한 유해 환경으로 인해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나아가, 건설현장 주변에 위치한 주택이나 사무실, 학교 등으로부터의 민원이 발생할 경우, 공사는 상당한 차질을 입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 등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주민 및 보행자를 보호하면서 공사를 원활하게 실행 가능케 하는 다양한 방식들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공사 구역과 일반 구역을 구획하는 가설 울타리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가설 울타리는 상기한 유해환경이 건설현장 주변 일반인들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최대한 억제하는 역할을 할 뿐만아니라, 위험지역임을 알려 일반인들의 접근을 방지하고, 건설현장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경고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가설 울타리는 EGI(Electrolytic Galvanized Iron) 휀스(fence)라 불리기도 하며, 건설현장의 주변을 따라 담장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설 울타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히 건축공사에 비계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파이프(P1)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일정간격으로 박아서 지지하고, 수직되는 파이프(P1)에 대해서 횡으로는 또 다른 파이프(P2)를 덧대어 양방향 클램프(C)를 이용하여 지주를 구성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해 상기 지주의 전면에 가림막(10)함으로써 완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가설 울타리는, 건설현장에서 공사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사용되는 특성상, 지주의 설치가 견고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가설되어 있는게 사실이다.
이에 따라, 강풍이 발생할 경우, 강풍에 의한 공기 저항을 지주가 버티지 못함에 따라 가림막(10)이 쓰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즉, 가림막(10)에는 바람이 통할 수 있는 통풍구가 없어, 실질적으로 가림막(10)에 가해지는 바람의 저항은 상당하므로, 가설 울타리의 지주를 견고하게 설치하더라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림막(10)에 복수의 통풍구를 설치하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한 가설 울타리가 『등록실용 20-0415962』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가설 울타리는 통풍구의 방향 및 통풍구의 크기가 획일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변화무쌍한 바람의 저항에 대처하기가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단판이 통풍구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통풍구를 가리고 있는 형태라서, 바람이 통풍구를 효과적으로 통과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통풍구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림막에 통풍구를 마련하되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의 크기를 유연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가림막;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예로써,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가림막;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상기 가림막의 설치공에 탈착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탈착판;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탈착판의 둘레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 주위에는 탈착판의 플랜지가 설치공 상방에서 하강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판은 가림막에 볼팅 체결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림막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가림막에 가해지는 풍압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 블레이드가 설치됨으로써 통풍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통풍구가 가림막의 양측을 완전히 개방하고 있어 바람의 통과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가림막의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 블레이드가 통풍구를 가리고 있으므로 울타리 외부에서는 울타리 내부가 보이지 않아 풍압 최소화 및 미관유지에 대한 두가지 특징을 갖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둘째, 보강프레임의 하방으로 변위센서가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설치 각도 또는 변위 센서와의 거리 등의 측정을 통해 가설 울타리의 설치 상태가 관리되도록함으로써, 유지 보수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태풍과 같은 기상 요인 및 파손을 통한 외부 침입에 의해, 가설 울타리의 손상된 부위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시설물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통풍구가 형성된 탈착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가림막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풍구 교체 및 유지 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가림막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의 통풍구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의 통풍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의 통풍구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의 통풍구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이하, '가설 울타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가설 울타리는 통풍구를 형성하여 풍압 면적을 최소화하되,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의 크기가 유연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가설 울타리는 가림막(100)과, 전방지주(200)와, 후방지주(300)와, 보강프레임(400)과, 가이드 블레이드(500)와, 스프링(600)과, 변위센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림막(100)은 건설 현장의 여러 유해 환경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건설 현장이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가림막(100)의 재질은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임이 바람직하나,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림막(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로 조립된 전면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10)은 전방지주(200)에 고정된다.
또한, 가림막(100)에는 복수의 통풍구(120)가 형성된다.
통풍구(120)는 가림막(100)의 내,외부를 관통하여 바람이 통과되는 통로로서, 건설 현장에 바람이 불때, 상기 통풍구(120)를 통해 바람이 새어나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림막(100) 상에서의 통풍구(120) 개수 및 위치는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러 여건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방지주(200)는 가림막(100)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지하에 박혀(piling) 고정이 된다.
이때, 전방지주(200)와 전면프레임(110) 사이에는 비계 등의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후방지주(300)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전면프레임(1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방지주(200)의 후방 지하에 박혀(piling) 고정이 된다.
다음으로, 보강프레임(400)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전면프레임(110)을 보강하며, 전면프레임(110)과 후방지주(300)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보강프레임(400)의 양단부는 각각, 전면프레임(110) 및 후방지주(300)에 힌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풍에 의해 가림막(100)이 기울어질 경우, 보강프레임(400)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통풍구(120)를 차폐하여, 외부에서 건설 현장이 보이지 않도록함과 더불어, 바람의 세기에 따라 가림막(100)의 후방으로 유연하게 젖혀지면서 통풍구(120)를 통해 바람이 새어 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통풍구(120)를 차폐한다는 의미는 통풍구(120)를 폐쇄한다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통풍구(120)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각도상 건설 현장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2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그 힌지를 중심으로 통풍구(120)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가림막(100)의 내부 즉, 건설 현장 측에 힌지 결합된다.
다음으로, 스프링(600)은 가림막(100)에 가이드 블레이드(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 블레이드(500)의 저면과 가림막(1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500)를 탄성지지한다.
이때, 스프링(600)은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120)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100)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가림막(100)의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됨에 따라, 건설 현장 외부에서는 가이드 블레이드(500)로 인해 건설 현장이 보이지 않게 되고, 바람은 통풍구(120)를 통해 가이드 블레이드(500)를 따라 가림막(100)의 상방으로 통과됨으로써 가림막(100)에 직접 가해지는 풍력은 줄어들게 된다.
특히, 건설 현장을 둘러싸고 있는 가림막(100) 곳곳에 부는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은 모두 상이한바, 통풍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젖혀지는 각도도 모두 상이하게 된다.
즉, 바람의 세기에 따라, 가이드 블레이드(500)를 탄성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600)의 탄성력도 달라지므로 통풍구(120)가 개방되는 크기도 바람의 세기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어 본 발명의 가설 울타리는 바람 세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통풍구(120)에 가이드 블레이드(500)의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면, 바람이 통풍구(120)를 통해 효율적으로 새어나갈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건설 현장이 보일 뿐만아니라, 건설 현장의 유해 환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회동없이 통풍구(120)에 고정이 되어 있다면, 통풍구(120)의 개방이 획일적으로 이루어져 있게 되므로 강풍시에는 통풍구(120)의 공간 확보가 덜 이루어져 바람의 세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풍구(120)를 차폐하되,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120)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어 상기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600)은 한정되지 않지만, 토션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변위센서(700)는 강풍에 의한 가림막(100)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손상된 가림막(100)을 확인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강풍에 의해 가림막(100)이 기울어진 경우, 변위센서(700)는 가림막(10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시설물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가설 울타리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가림막(100)이 완전하게 전도되기 전, 미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수 및 교체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변위센서(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400) 하방의 지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변위센서(700)가 보강프레임(400)의 설치각도 또는 보강프레임(400)과의 거리 등을 측정하여, 기 입력된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를 경고음으로 알릴 수도 있으며,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해 시설물 관리실에 변위센서(700)의 위치 및 보강프레임(400)의 기울기 정도를 알림으로써 시설물 관리자는 이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가설 울타리를 신속하게 보수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설 울타리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건설 현장 둘레를 따라 전면프레임(110) 및 각 지주(200,300)들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프레임(110)에는 가림막(100)이 설치된다.
이때, 가림막(100)의 통풍구(120) 후방으로는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보강프레임(400)의 하방에는 변위센서(7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설 울타리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 경우, 바람은 가림막(100)의 통풍구(120)를 통해 새어나가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후방으로 더 젖혀지면서 통풍구(120)의 크기를 확대한다.
이와 같이, 바람의 세기에 따라 각 통풍구(120)의 크기가 각기 다르게 확보되므로, 가림막(100)에 가해지는 풍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가림막(100)은 통풍구(120)가 형성된 부위만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가림막(10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가설 울타리는 가림막(100)과, 탈착판(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림막(100)에는 복수의 설치공(130)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130)은 가림막(100)의 양측을 관통한다.
이때, 설치공(130)의 위치는 가림막(1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탈착판(800)은 설치공(130)에 탈착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풍구(120)를 형성한다.
이때, 통풍구(120)에는 가이드 블레이드(50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500)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탈착판(800)의 둘레와 가림막(100)에는 각각 체결공(8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착판(800)은 볼팅 체결을 통해 가림막(100)에 탈착이 된다.
이와 같이 통풍구(120)를 구성한 탈착판(800)이 가림막(100)에 탈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가이드 블레이드(500)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가림막(100)으로부터 탈착판(800)만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풍구(120) 파손시에도 탈착판(800)만 교체하면 되므로 가림막(100)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도 높은 특징이 있다.
한편, 가림막(100)에 탈착판(80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부(900)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가이드부(900)는 가림막(100)에 탈착판(800) 결합시, 체결 위치를 가이드해주고 탈착판(800)이 체결될 때까지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가이드부(900)는 설치공(130) 주변에 상방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홈(910)을 형성한다.
즉, 가이드부(900)는 설치공(130)의 상방으로만 개구되어 탈착판(800)의 하강을 가이드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착판(800)을 가림막(100)에 설치할 경우 가이드부(900)의 슬라이딩홈(910)을 통해 탈착판(800)을 하강시켜 가이드부(900) 안에 위치시킨 후, 탈착판(800) 및 가림막(100)에 형성된 체결공(810)에 볼팅 체결함으로써 탈착판(800)의 결합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는 가림막(100)에 복수의 통풍구(120)를 형성하되, 각 통풍구(120)마다 바람의 세기에 따라 통풍구(120)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가이드 블레이드(500)를 설치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풍압에 대해 가림막(100)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가림막(100) 전도 및 가림막(100) 전도에 의한 2차 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변위센서(700)가 보강프레임(400) 하방에 설치됨으로써, 가설 울타리의 손상 및 파손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가림막 110 : 전면프레임
120 : 통풍구 130 : 설치공
200 : 전방지주 300 : 후방지주
400 : 보강프레임 500 : 가이드 블레이드
600 : 스프링 700 : 변위센서
800 : 탈착판 810 : 체결공
900 : 가이드부 910 : 슬라이딩홈
120 : 통풍구 130 : 설치공
200 : 전방지주 300 : 후방지주
400 : 보강프레임 500 : 가이드 블레이드
600 : 스프링 700 : 변위센서
800 : 탈착판 810 : 체결공
900 : 가이드부 910 : 슬라이딩홈
Claims (5)
-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가림막;
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
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삭제
- 격자 형태로 결합된 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설치공이 형성된 가림막;
상기 전면 프레임을 지지하며, 지하에 매립된 전방 지주;
상기 전방 지주의 후방 지하에 매립된 후방지주;
상기 가림막과 후방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가림막의 설치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가림막의 설치공에 탈착되며, 복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탈착판;
상기 통풍구의 하단부로부터 가림막의 후방을 향해 힌지 결합된 가이드 블레이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의 저면과 가림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를 상향 경사지게 지지하며, 가이드 블레이드의 회동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탈착판의 둘레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 주위에는 탈착판의 플랜지가 설치공 상방에서 하강하면서 가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판은 가림막에 볼팅 체결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단부는 전면프레임 및 후방지주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하방에는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가 설치되고, 변위센서에 의한 측정값이 설정값을 벗어나면 알람을 울리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측정값이 건설현장의 통제실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변위센서는 보강프레임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보강프레임의 각도 및 보강프레임과의 거리에 따른 보강프레임의 변위를 측정하며,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건설현장 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719A KR101627238B1 (ko) | 2015-10-21 | 2015-10-21 |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719A KR101627238B1 (ko) | 2015-10-21 | 2015-10-21 |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238B1 true KR101627238B1 (ko) | 2016-06-03 |
Family
ID=5619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6719A KR101627238B1 (ko) | 2015-10-21 | 2015-10-21 |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23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194B1 (ko) | 2017-12-27 | 2019-02-27 | 송유진 | 안전 경보음 발생기구 |
KR20220000594A (ko) | 2020-06-26 | 2022-01-04 | 송유진 | 안전 경보음 발생기구 |
KR102496264B1 (ko) * | 2022-03-08 | 2023-02-06 | 하의진 | 개폐판이 설치되는 가설방음판 |
CN118167123A (zh) * | 2024-05-14 | 2024-06-11 | 德州博俊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交通工程施工防风抑尘网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1099A (ja) * | 1999-05-10 | 2000-11-24 | Sho Bond Constr Co Ltd | 落石等の監視装置 |
KR200336580Y1 (ko) * | 2003-09-04 | 2003-12-18 | 우동욱 | 안내표지판 |
KR200415962Y1 (ko) | 2006-02-10 | 2006-05-09 | 김광부 | 건축공사용 가설펜스 |
KR101471308B1 (ko) * | 2013-12-03 | 2014-12-09 | 박종원 | 경사를 갖는 흡음형 방음판 |
-
2015
- 2015-10-21 KR KR1020150146719A patent/KR1016272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1099A (ja) * | 1999-05-10 | 2000-11-24 | Sho Bond Constr Co Ltd | 落石等の監視装置 |
KR200336580Y1 (ko) * | 2003-09-04 | 2003-12-18 | 우동욱 | 안내표지판 |
KR200415962Y1 (ko) | 2006-02-10 | 2006-05-09 | 김광부 | 건축공사용 가설펜스 |
KR101471308B1 (ko) * | 2013-12-03 | 2014-12-09 | 박종원 | 경사를 갖는 흡음형 방음판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194B1 (ko) | 2017-12-27 | 2019-02-27 | 송유진 | 안전 경보음 발생기구 |
KR20220000594A (ko) | 2020-06-26 | 2022-01-04 | 송유진 | 안전 경보음 발생기구 |
KR102496264B1 (ko) * | 2022-03-08 | 2023-02-06 | 하의진 | 개폐판이 설치되는 가설방음판 |
CN118167123A (zh) * | 2024-05-14 | 2024-06-11 | 德州博俊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交通工程施工防风抑尘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7238B1 (ko) | 건설 현장의 가설 울타리 | |
KR101481023B1 (ko) |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 | |
CN206987537U (zh) | 一种建筑施工护栏 | |
CN207583245U (zh) | 一种防水通风百叶窗 | |
KR101470486B1 (ko) | 방충망 이탈을 방지하는 창틀용 우수 배수장치 | |
KR101577945B1 (ko) | 안전 방충망 구조체 | |
KR101968578B1 (ko) | 권양기 커버 | |
KR200418432Y1 (ko) | 수배전반의 차양도어 장치 | |
JP2016089492A (ja) | 開口部の防水装置 | |
KR101482716B1 (ko) | 몽골식 천막 | |
KR200492777Y1 (ko) | 개폐형 안전휀스 | |
EP3009591A1 (en) | Ventilation grid | |
KR101553609B1 (ko) | 바람에 강한 외벽 작업용 작업대 | |
KR101570982B1 (ko) | 배전반용 안전장치 | |
KR101536971B1 (ko) |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 |
RU156020U1 (ru) | Шкаф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антивандальный | |
KR100893786B1 (ko) | 창틀용 빗물 차단창 및 차단창 조립체 | |
KR101158808B1 (ko) |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 |
US20200165864A1 (en) | Shield for mobile home door | |
CN205896636U (zh) | 新式的用于安装手机信号放大器的支架 | |
KR101988854B1 (ko) | 통풍 가림막 | |
GB2529553A (en) | Drained louvres and method of making drained louvres | |
KR101581676B1 (ko) |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 |
KR20110108639A (ko) |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 |
KR101447993B1 (ko) |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