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993B1 -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 Google Patents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993B1
KR101447993B1 KR1020120158191A KR20120158191A KR101447993B1 KR 101447993 B1 KR101447993 B1 KR 101447993B1 KR 1020120158191 A KR1020120158191 A KR 1020120158191A KR 20120158191 A KR20120158191 A KR 20120158191A KR 101447993 B1 KR101447993 B1 KR 101447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ntilation
window
sub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660A (ko
Inventor
정광순
Original Assignee
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순 filed Critical 정광순
Priority to KR102012015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된 투광패널과, 상기 투광패널의 일면에 마련된 보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광패널에는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통풍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패널에는 상기 통풍구와 연결되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는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된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패널은 상하로 배열된 상기 통풍구를 감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보조패널은 단면이 C자 또는 ㄷ자인 하프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통기공이 상기 보조패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Description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WINDOW FOR WATERPROOF AND VENTILATION}
본 발명은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환기, 채광, 조망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창문은 개폐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힌지에 의해 결합된 창이 창틀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과, 창이 창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이 대표적이다.
상술한 방식 중 미닫이 방식은, 창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므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보통 미닫이 방식의 창문은 창틀에 적어도 2개가 교차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어느 하나를 완전히 열거나 닫을 수 있으며, 2개를 창문틀에 서로 겹치도록 하여 열 수도 있다.
한편, 비가 올 때 창문을 열면 바람 등의 영향을 빗물이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열린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가 올 때에는 창문을 닫아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기온이 높고 비가 오는 여름철에 창문을 닫으면 환기 및 통풍이 불가능하므로 실내온도가 높아지고, 높아진 실내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에어컨디셔너 등의 냉방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냉방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을 통해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물 등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은,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된 투광패널과, 상기 투광패널의 일면에 마련된 보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광패널에는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통풍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패널에는 상기 통풍구와 연결되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는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된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패널은 상하로 배열된 상기 통풍구를 감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보조패널은 단면이 C자 또는 ㄷ자인 하프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통기공이 상기 보조패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은,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통풍구가 형성된 제1투광패널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통풍구가 형성된 제2투광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투광패널과 상기 제2투광패널은 상기 창문틀 내에서 전후로 이격된다.
상기 제1투광패널과 상기 제2투광패널 사이에는 보조패널 또는 스페이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투광패널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보조패널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통풍구와 연결된 통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투광패널과 상기 제2투광패널은 물결모양으로 벤딩된 패널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통풍구와 상기 제2통풍구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은,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통풍구가 형성된 제1투광패널과,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통풍구가 형성된 제2투광패널과, 상기 제1투광패널과 상기 제2투광패널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와,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통풍방지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풍방지패널은 그 이동시 상기 제1통풍구 또는 상기 제2통풍구를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투광패널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보조패널에 통기공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통풍구와 통기공을 통해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실외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을 열지 않더라도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패널에 형성된 통풍구를 보조패널이 감싸거나 통풍구가 형성된 투광패널이 복수로 마련되므로, 우천시 통풍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될 우려가 적다. 특히, 실외측에 방충망을 추가할 경우 벌레 등의 유입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문을 열지 않고도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개폐식 미닫이 창문의 실외측 창문과 일렬로 설치할 경우, 실내측 창문을 개방하더라도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별도의 방범창 없이도 방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변형례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을 미닫이 창문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100)은, 고리 형상의 창문틀(110)과, 창문틀(110)의 내부에 설치된 투광패널(120)과, 투광패널(120)의 일면에 마련된 보조패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문틀(110)은 투광패널(12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 등으로부터 투광패널(1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창문틀(110)은 직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투광패널(12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설치홈(1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문틀(110)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건축물의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이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일 경우 창문틀(110) 또한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투광패널(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이다. 투광패널(120)에는 환기 및 통풍을 위한 다수개의 통풍구(122)가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된다. 이때, 투광패널(120)은 실외에서 조사된 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리와 합성수지(또는 금속), 합성수지와 금속의 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풍구(122)가 형성된 부분은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하고, 통풍구가(1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투광성이 우수한 유리로 제작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보조패널(130)은 투광패널(120)의 통풍구(122)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조패널(130)은 투광패널(120)의 실외측에 마련되고, 상하로 배열된 통풍구(122)를 감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보조패널(130)의 내부에는 통풍구(122)와 연결되는 공간(132)이 형성되며, 보조패널(130)의 양측에는 상술한 공간(132)과 연결되는 통기공(134)이 형성된다.
상술한 투광패널(120)과 보조패널(130)에 따르면, 실외공기는 통기공(134)으로 유입된 후 공간(132)을 거쳐 통풍구(12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반면, 실내공기는 통풍구(122)로 배출된 후 공간(132)을 거쳐 통기공(134)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보조패널(130)은 C자형 단면을 가진 하프파이프의 형상(도 1 및 도 2 참조)이거나, ㄷ자형 단면을 가진 구형강(channel, ㄷ형강)의 형상(도 3 및 도 4 참조)일 수 있다. 또한, 보조패널(13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보조패널(130)을 상술한 형상 및 구조로 제작할 경우 통기공(134)을 통해 보조패널(13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보조패널(130)이 하단만 개방된 구조일 경우 빗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입된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100)은 투광패널(120)과 보조패널(130)에 통풍구(122)와 통기공(134)이 각각 형성되어, 창문을 열지 않더라도 통풍구(122)와 통기공(134)을 통해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환기 및 통풍이 통풍구(122)와 통기공(134)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우천시 통풍구(122)를 통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적다. 특히, 통기공(134)이 형성된 보조패널(130)이 통풍구(122)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200)은, 고리 형상의 창문틀(210)과, 창문틀(2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투광패널(220,230)과, 한 쌍의 투광패널(220,230)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문틀(210)은 투광패널(220,23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직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창문틀(210)의 내벽에는 투광패널(220,2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설치홈(212)이 형성된다.
투광패널(220,230)은, 실외측에 위치된 제1투광패널(220)과, 실내측에 위치된 제2투광패널(230)로 구성된다.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은 전후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250)이 형성된다. 투광패널(220,230)은 상술한 것처럼 유리, 합성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에는 환기 및 통풍을 위한 제1통풍구(222)와 제2통풍구(23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통풍구(222)와 제2통풍구(232)는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되되 서로 다른 수평선상(창문의 전후로 연장되는 수평선)에 위치된다. 따라서 우천시 통풍구(222,232)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은 물결모양으로 벤딩된 판재 형상(도 7 및 도 8 참조)이거나 지그재그로 벤딩된 판재 형상(도 9 및 도 10 참조)일 수 있다.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을 물결모양 또는 지그재그로 벤딩하면 투광패널(220,230)에 부착된 빗물이 쉽게 흘러내린다. 따라서 제1투광패널(220)의 외벽을 따라 흐르던 빗물이 제1통풍구(222)를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240)는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며,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다. 소정의 탄성을 가진 스페이서(240)는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투광패널(220)과 제2투광패널(230)을 설치홈(212)의 내벽에 밀착시키므로, 창문틀(210)과 투광패널(220,23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300)은, 고리 형상의 창문틀(310)과, 창문틀(3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투광패널(320,330)과, 한 쌍의 투광패널(320,330) 사이에 개재된 보조패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문틀(310)은 투광패널(320,33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직사각형 고리 형상이며, 그 내벽에는 투광패널(320,3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설치홈(312)이 형성된다.
투광패널(320,330)은, 실외측에 위치된 제1투광패널(320)과, 실내측에 위치된 제2투광패널(330)로 구성되고, 제1투광패널(320)과 제2투광패널(330)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350)이 형성된다. 제1투광패널(320)과 제2투광패널(330)에는 환기 및 통풍을 위한 제1통풍구(322)와 제2통풍구(332)가 각각 형성되며, 제1통풍구(322)와 제2통풍구(332)는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되되 서로 다른 수평선상(창문의 전후로 연장되는 수평선)에 위치된다.
보조패널(340)은 투광패널(320,330)의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다수개로 구성된다. 각 보조패널(340)은 투광패널(320,330)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보조패널(340)에는 제1통풍구(322)와 제2통풍구(332)를 연결하는 통기공(342)이 형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4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400)은, 고리 형상의 창문틀(410)과, 창문틀(4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투광패널(420,430)과, 한 쌍의 투광패널(420,430)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440)와, 창문틀(4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통풍방지패널(450)을 포함한다.
창문틀(410)은 투광패널(420,43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직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창문틀(410)의 내주면에는 투광패널(420,4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설치홈(412)이 형성된다. 또한, 창문틀(4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통풍방지패널(450)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414)이 형성되고, 고정홀(414)에는 고정볼트(416)가 체결된다. 이때, 설치홈(412)은 상술한 투광패널(420,430) 외에 통풍방지패널(45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투광패널(420,430)은, 창문(400)의 실외측에 위치된 제1투광패널(420)과, 실내측에 위치된 제2투광패널(430)로 구성된다. 제1투광패널(420)의 외측에는 방충망(460)이 설치되고, 제2투광패널(430)의 내측에는 상술한 통풍방지패널(450)이 설치된다.
상술한 제1투광패널(420)과 제2투광패널(430)에는 환기 및 통풍을 위한 제1통풍구(422)와 제2통풍구(432)가 각각 형성된다. 제1통풍구(422)는 제1투광패널(42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제1투광패널(420)의 상단을 기준으로 첫 번째 영역과 세 번째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통풍구(432)는 제2투광패널(43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상단을 기준으로 두 번째 영역과 네 번째 영역에 각각 형성된다.
스페이서(44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며, 제1투광패널(420)과 제2투광패널(430)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스페이서(440)는 제1투광패널(420)과 제2투광패널(430) 사이에서 제1투광패널(420)과 제2투광패널(430)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설치홈(212)에 밀착시킴으로써 창문틀(410)과 투광패널(420,430) 사이의 틈을 최소화한다.
통풍방지패널(450)은 소정의 너비와 높이를 가진 판재 형상이다. 통풍방지패널(450)은 실외에서 조사된 빛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통풍방지패널(450)은, 제1 및 제2투광패널(420,43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첫 번째 영역과 두 번째 영역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세 번째 영역과 네 번째 영역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통풍방지패널(450b)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은 상하로 이동하며, 제2투광패널(430)에 형성된 제2통풍구(432)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이 첫 번째 영역과 세 번째 영역에 각각 위치되면, 제2투광패널(430)의 제2통풍구(432)를 개방하여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도록 한다. 반면,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이 두 번째 영역과 네 번째 영역에 각각 위치되면, 제2투광패널(430)의 제2통풍구(432)를 밀폐하여 환기 및 통풍이 불가능하다.
한편,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한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을 고정홀(414)에 체결된 고정볼트(416)에 의해 지지되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즉,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는 제1홀(414a)과 제3홀(414c)에 고정볼트(416)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제1통풍방지패널(450a)과 제2통풍방지패널(450b)을 하부로 이동시킨 후에는 제2홀(414b)과 제4홀(414d)에 고정볼트(41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다른 한편,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제1홀(414a)과 제2홀(414b) 사이, 그리고 제3홀(414c)과 제4홀(414d) 사이에 고정홀을 추가하였는데, 이 고정홀은 제2투광패널(430)에 형성된 제2통풍구(432) 중 상부에 위치된 제2통풍구(432)만을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제2통풍구(432)를 통한 환기량 및 통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400)의 변형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400)은, 고리 형상의 창문틀(410)과, 창문틀(41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투광패널(420,430)과, 한 쌍의 투광패널(420,430)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440)와, 창문틀(4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통풍방지패널(450)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 중 투광패널(420,430)은, 창문(400)의 실외측에 위치된 제1투광패널(420)과, 실내측에 위치된 제2투광패널(4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투광패널(420)과 제2투광패널(430)에는 환기 및 통풍을 위한 제1통풍구(422)와 제2통풍구(432)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통풍구(422)는 제1투광패널(42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네 번째 영역에 형성되고, 제2통풍구(432)는 제2투광패널(43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첫 번째 영역에 형성된다.
통풍방지패널(450)은, 제1 및 제2투광패널(420,430)을 상하로 4등분 했을 때 첫 번째 영역과 두 번째 영역 사이에서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통풍방지패널(450)이 하부로 이동하여 두 번째 영역에 위치되면, 제2투광패널(430)의 제2통풍구(432)가 개방된다. 반면, 통풍방지패널(450)이 상승하여 첫 번째 영역에 위치되면, 제2투광패널(430)의 제2통풍구(432)가 밀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가진 본 발명에 의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100~400)은 개폐가 불가능한 고정 창문,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 창문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고정 창문에 설치할 경우 투광패널에 형성된 통풍구와 통기공을 통해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미닫이 창문에 설치할 경우 환기 및 통풍 외에 방범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400)을 미닫이 창문(500)의 실외측 창틀에 설치하여 실외측 창문(510)과 일렬로 배치할 경우, 실내측 창문(520)을 개방하더라도 본 발명(400)에 의해 사람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방범기능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창문 110: 창문틀
112: 설치홈 120: 투광패널
122: 통풍구 130: 보조패널
132: 공간 134: 통기공

Claims (12)

  1. 삭제
  2. 창문틀;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설치되고, 통풍구가 형성된 투광패널; 및
    상기 투광패널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통풍구를 감싸는 보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통풍구는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된 다수개이고, 상기 보조패널은 상하로 배열된 상기 통풍구를 감싸는 하프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보조패널에는 상기 통풍구와 연결되는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의 단면이 C자 또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통기공이 상기 보조패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158191A 2012-12-31 2012-12-31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KR101447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91A KR101447993B1 (ko) 2012-12-31 2012-12-31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91A KR101447993B1 (ko) 2012-12-31 2012-12-31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660A KR20140087660A (ko) 2014-07-09
KR101447993B1 true KR101447993B1 (ko) 2014-10-13

Family

ID=5173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191A KR101447993B1 (ko) 2012-12-31 2012-12-31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556A (ja) * 1998-07-10 2000-01-25 Satoru Tokashiki 通気構造
KR100898490B1 (ko) * 2008-12-08 2009-05-19 고군행 방수 및 통기성을 구비한 창문 구조
KR20120076050A (ko) * 2010-12-29 2012-07-09 채창호 자연환기장치
JP2012225005A (ja) * 2011-04-15 2012-11-15 Fumihiro Saito 住宅用防雨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7556A (ja) * 1998-07-10 2000-01-25 Satoru Tokashiki 通気構造
KR100898490B1 (ko) * 2008-12-08 2009-05-19 고군행 방수 및 통기성을 구비한 창문 구조
KR20120076050A (ko) * 2010-12-29 2012-07-09 채창호 자연환기장치
JP2012225005A (ja) * 2011-04-15 2012-11-15 Fumihiro Saito 住宅用防雨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660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08B1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JP5231596B2 (ja) 住宅用防雨パネル
DK201770587A1 (en) Roof window system with improved transition means between a roof window and a ventilation assembly
KR102265493B1 (ko) 통기 성능과 빗물유입방지 기능이 우수한 차수 방충망
KR101799394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복합식 창호
KR101447993B1 (ko)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창문
JP4691172B2 (ja) 換気フード
KR101981600B1 (ko) 빗물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창구조
JP4411246B2 (ja)
KR101233680B1 (ko) 고효율 공조 친환경 현관문
JP2010121311A (ja) 建物の窓用サイドバイザー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KR101829053B1 (ko) 창문 구조물
KR20170018264A (ko) 창호 시스템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KR10149587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101581676B1 (ko) 온실의 지붕창용 방충장치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JP2005105527A (ja) 住宅の換気装置、及び換気用の通気口を備えた開口部枠
KR100907365B1 (ko) 통풍구가 형성된 창호
CN202937144U (zh) 一种改进的内平开窗
JP5435314B2 (ja) 一体成形透明樹脂製雨戸
KR20220081634A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방충망 장치
KR200373238Y1 (ko) 창문의 눈비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