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394B1 -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394B1
KR101223394B1 KR1020100034667A KR20100034667A KR101223394B1 KR 101223394 B1 KR101223394 B1 KR 101223394B1 KR 1020100034667 A KR1020100034667 A KR 1020100034667A KR 20100034667 A KR20100034667 A KR 20100034667A KR 101223394 B1 KR101223394 B1 KR 10122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hutter
support
fire prot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267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0003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39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회전수단 형성되고 회전수단을 상하로 연결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상하측에 방화블록(121)을 결합하되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방화블록(121)이 중첩되고 절곡되도록 하는 방화부(120), 및
상기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을 지지부(110)에 조립하는 결합부(130)로 구성하므로, 방화 부재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차열 및 차연성을 향상시켜 화재를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100)를 권회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필요에 따라 방화셔터나 방화문 또는 방화벽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Fireproof wall with function insulating heat, combined multipurpose 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은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화부재 등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차열 및 차연 효과를 향상시켜 화재를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방화셔터나 방화문 또는 방화벽은 화재의 고열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여기서 방화셔터나 방화문의 경우에는 현재 국내에서 방화문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건축용 자재는 스틸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철재 슬레이트나 철재 도어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은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만큼 화염과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는 있으나, 차열성능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재료의 다양한 조성 변화를 통해 여러 종류의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가 갖추어야 할 필요·충분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사용에 제한을 받는 등 단편적인 특성만을 가진 자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연성이 있는 자재를 철재문 위에 부착하려고 시도는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작업성이 쉽지 않아 완전한 방화기능을 갖추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현행 건축법과 소방법에는 건축물 내부에 사용되는 마감 및 내장재료는 불연·준불연·난연 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화재 확산방지와 인명보호를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방화구획을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규제에 따른 기준과 성능 시험방법은 마감 및 내장재료의 경우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71(건축물의 난연성능 시험방법)의 성능기준에 따라 난연 1급(불연재료), 난연 2급(준불연재료), 난연 3급(난연재료)을 만족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규정으로 내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성능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화재에 대한 대비로 화염의 확산방지와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나 방화문 또는 방화벽 등은 차열성능이 극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의 한정으로 공간 확보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방화 부재를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차열 및 차연 효율을 향상시켜 화재를 효과적으로 차단 할 수 있도록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회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필요에 따라 방화셔터나 방화문 또는 방화벽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회전수단 형성하되, 각각의 플레이트 상하 단을 만곡시켜 외부회전축과 내부회전축에 형성하고 다수개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외부회전축에 내부회전축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상하로 연결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하 측에 방화블록을 결합하되, 지지부의 회전수단을 기준으로 상하측 전후면에 방화블록을 조립하고 방화블록의 상하 단에 회전수단에서 상호 중첩되는 겹침편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며, 방화블록의 상하 단에 개구된 커버축공과 개구된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부; 및 상기 방화부의 방화블록을 지지부에 조립하는 결합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개구부를 통해 하부로 내려와 화재 지역을 차단하여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에 전후면에 방화블록이 결합되어 화염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화염이 근접하더라도 그 열기 효과적으로 차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유독 가스를 더욱 용이하게 차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방화블록의 상하 단이 상호 중첩되고 지지부의 전후면에 결합되어 이중 삼중으로 차열 및 차연하므로 방화 효과의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의 일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회전수단 형성되고 회전수단을 상하로 연결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상하측에 방화블록(121)을 결합하되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방화블록(121)이 중첩되고 절곡되도록 하는 방화부(120), 및 상기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을 지지부(110)에 조립하는 결합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10)는 각각의 플레이트(111) 상하 단을 만곡시켜 외부회전축(112)과 내부회전축(113)에 형성하되 다수개의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외부회전축(112)에 내부회전축(113)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원하는 크기를 형성한다.
더불어, 지지부(110)는 다수개의 회전봉(114)을 구비하고 일정간격으로 지지편(115)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110)의 플레이트(111)와 지지편(115)에는 체결공(116)을 각각 형성한다.
한편, 지지부(110)의 회전수단은 외부회전축(112), 내부회전축(113), 회전봉(114)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화부(120)는 지지부(110)의 회전수단을 기준으로 상하측 전후면에 방화블록(121)을 조립하되 방화블록(121)의 상하 단에 회전수단에서 상호 중첩되는 겹침편(122)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이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에는 상하 단에 개구된 커버축공(123)과 개구된 가이드홈(124)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방화부(120)의 커버축공(123)은 지지부(110)의 외부회전축(112)이나 회전봉(114)을 감싸도록 하고 커버축공(123)의 개구부 단부에 개구된 가이드홈(124)이 단부가 걸려 그 사이 공간에 삽입되면서 절곡되도록 한다.
따라서 방화부(120)의 커버축공(123)은 타원으로 형성하여 외부회전축(112)이나 회전봉(114)에 커버축공(123)의 일부면이 떨어져 틈새를 형성하고 그 틈새로 가이드홈(124)의 단부가 가이드되어 무리 없이 절곡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에는 지지부(110)의 플레이트(111)와 지지편(115)에 형성된 체결공(116)에 대응되는 체결공(125)을 형성한다.
더불어,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 상하에 형성되는 겹침편(122)에는 방화블록(121)의 길이방향(횡방향)으로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밀착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은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내화·불연·난연·단열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플레이트(131)를 횡으로 형성하되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에 형성된 체결공(125)과 지지부(110)의 플레이트(111)와 지지편(115)에 형성된 체결공(116)에 대응되는 체결공(132)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16,125,132)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체결수단(133)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는 보관하우징(10)의 내부에 방화셔터(100)가 감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다 화재 등의 상황이 발생되면 모터(12)의 구동으로 작동개구부(11)를 통해 하부로 내려와 화재 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10)의 전후면에 방화블록(121)이 결합되어 화염의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화염이 근접하더라도 그 열기 효과적으로 차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유독 가스를 더욱 용이하게 차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 상하 단이 상호 중첩되고 지지부(110)의 전후면에 결합되어 이중 삼중으로 차열 및 차연하므로 방화 효과의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를 설치 후 보관하는 경우에는 모터(12)를 구동하여 보관하우징(10)의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샤프트에 결합된 지지부(110)가 좌우측 가이드프레임(20)의 가이드홈(21)에 가이드 되면서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절곡되면서 감기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0)에 전후면에 부착된 방화부(120)도 절곡되면서 감겨 작동개구부(11)를 통해 보관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된다.
이때 지지부(110)의 회전수단에 의해 지지부(110)가 원활하게 절곡된다.
더불어, 방화블록(121)의 상하 단에 형성된 겹침편(122)이 밀착상태를 해제하면서 절곡되고 커버축공(123)의 개구부 단부가 가이드홈(124)의 단부에 가이드 되면 원활하게 절곡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를 설치 후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모터(12)의 구동으로 방화셔터(100)가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110)의 회전수단에 의해 지지부(110)가 원활하게 수직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방화블록(121)의 상하 단에 형성된 겹침편(122)이 상호 중첩되어 밀착하고, 커버축공(123)의 개구부 단부가 가이드홈(124)의 단부에 가이드 되면 원활하게 펼쳐지면서 중첩되어 다양한 방화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10 : 보관하우징 11 : 작동개구부
12 : 모터 20 : 가이드프레임
21 : 가이드홈 30 : 하부프레임
100 : 방화셔터
101 : 비상탈출문 110 : 지지부
111 : 플레이트 112 : 외부회전축
113 : 내부회전축 114 : 회전봉
115 : 지지편 116 : 체결공
120 : 방화부 121 : 방화블록
122 : 겹침편 123 : 커버축공
124 : 가이드홈 125 : 체결공
130 : 결합부 131 : 플레이트
132 : 체결공 133 : 체결수단

Claims (7)

  1. 다수개의 회전수단을 형성하되 회전수단을 상하로 연결하는 지지부(110)와,
    상기 지지부(110)의 전면이나 후면에 방화블록(121)을 결합하되 회전수단을 중심으로 방화블록(121)이 중첩되고 절곡되도록 하는 방화부(120), 및
    상기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을 지지부(110)에 조립하는 결합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각각의 플레이트(111) 상하 단을 만곡시켜 외부회전축(112)과 내부회전축(113)에 형성하되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외부회전축(112)에 내부회전축(113)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다수개의 플레이트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다수개의 회전봉(114)을 수평으로 형성하되 회전봉(114)을 지지편(115)으로 결합하여 다수개의 회전봉(114)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120)는 지지부(110)의 회전수단을 기준으로 상하측 전후면에 방화블록(121)을 조립하되 방화블록(121)의 상하 단에 회전수단에서 상호 중첩되는 겹침편(122)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은 회전수단의 외주연을 감싸는 개구된 커버축공(123)과 커버축공(123)에 중첩되는 개구된 가이드홈(124)을 형성하여 상호 연접부분이 겹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120)의 방화블록(121)은 상하에 겹침편(122)을 형성하되 겹침편(122)의 밀착면에 방화블록의 길이방향으로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밀착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플레이트(131)를 횡으로 형성하되 방화블록(121)과 플레이트(111) 및 지지편(115)을 관통하여 조립하는 체결수단(133)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KR1020100034667A 2010-04-15 2010-04-15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KR10122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67A KR101223394B1 (ko) 2010-04-15 2010-04-15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667A KR101223394B1 (ko) 2010-04-15 2010-04-15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67A KR20110115267A (ko) 2011-10-21
KR101223394B1 true KR101223394B1 (ko) 2013-01-16

Family

ID=4502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667A KR101223394B1 (ko) 2010-04-15 2010-04-15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13954B (zh) * 2015-09-18 2017-03-01 安徽安旺门业有限公司 一种特级防火卷帘
KR101701085B1 (ko) * 2016-03-30 2017-01-31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75A (ja) * 1992-06-29 1994-01-18 Sanwa Shutter Corp 防火シャッターのシャッターカーテン
JPH07119368A (ja) * 1993-10-25 1995-05-09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ヤツターにおけるシヤツターカーテン
KR200396158Y1 (ko) 2005-05-30 2005-09-20 제일설계(주) 배전반 보호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75A (ja) * 1992-06-29 1994-01-18 Sanwa Shutter Corp 防火シャッターのシャッターカーテン
JPH07119368A (ja) * 1993-10-25 1995-05-09 Sanwa Shutter Corp 建築用シヤツターにおけるシヤツターカーテン
KR200396158Y1 (ko) 2005-05-30 2005-09-20 제일설계(주) 배전반 보호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267A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73B1 (ko) 방염 케이블 트레이
JP2012140785A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411604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101828148B1 (ko) 방화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형 방화문
KR101223394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101186378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차열 방화벽 겸용 다용도 차열 방화셔터
KR101278165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101278166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20150119844A (ko) 내화성 구조체
KR101936903B1 (ko) 단열재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방화문 조립체
JP6138030B2 (ja) 防火ドア
KR101951918B1 (ko)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방화문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2219234B1 (ko) 보강재를 갖춘 방화문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JP6664295B2 (ja) 防火サッシ
JP2016166516A (ja) 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101292474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JP2015140542A (ja) 遮熱シート防火設備
JP6764729B2 (ja) 防火サッシ
JP6216623B2 (ja) 防火採風ドア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