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390B1 -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390B1
KR100852390B1 KR1020070074374A KR20070074374A KR100852390B1 KR 100852390 B1 KR100852390 B1 KR 100852390B1 KR 1020070074374 A KR1020070074374 A KR 1020070074374A KR 20070074374 A KR20070074374 A KR 20070074374A KR 100852390 B1 KR100852390 B1 KR 10085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screen
fire
fixing brack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성
Original Assignee
(주) 피앤에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앤에이건설 filed Critical (주) 피앤에이건설
Priority to KR102007007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는, 복수 개의 제 1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 주변 스크린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제 2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폐쇄 단 주변 스크린 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 사이 공간으로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토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비상문이 일정 각도 유동성을 가지도록 하는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상문 폐쇄 시에 상기 제 1고정 브라켓 어셈블리와 접촉하고 있되,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결합부에 의하여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스크린의 단부와 연결된 코어를 상기 결합부 내에 구비하는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경첩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내 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경첩에 탄성지지 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함으로 비상문의 개방 시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비상문의 접철을 보장하는 접철 모듈;로 구성되어, 비상문이 슬라이딩 좌우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 접철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방화, 방염, 개폐, 제연

Description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DEVICE OF SCREEN FOR FIRE AND SMOK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건물 화재 시 화염과 연기, 가스 등이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피 중인 인명의 질식사, 화상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피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스크린에서 인명이 대피하고 나서 연기 등이 셔터 틈새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대피의 신속성과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은 방화구획의 용도로 화재 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되는 것으로 천장에 매설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눈에 띠지 않다가 화재 시에 건물의 특정 부위를 차단하기 위하여 스크린이 자동으로 내려오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금속재, 내열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셔터와 천장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스크린을 와인딩(winding) 및 리와인딩(rewinding)하는 롤링 모듈 내지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스크린은 화재 상황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스크린이 롤링 모듈에서부 터 리와인딩되어 유독가스 내지 불길이 확산되는 것을 임시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때 차단성만을 강조하다보면 건물 내 잔여 인원이 미처 대피하지 못해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일부에 대피용 문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대피 문은 인명 대피의 용이성과 인명 대피 후에 신속히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유독 가스 내지 불길이 이 대피 문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외 특허 및 실용신안공보를 살펴보면, 스크린에 대한 기술이 상당수 공개되어 있고 이 중 특정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424828호 '피난문 고정기능을 포함된 스크린 방화방면 셔터'를 참조하면, 스크린 셔터가 차단되었을 경우 스크린 셔터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난문이 개방 및 자동 폐쇄됨으로 대피 인명의 달리는 속도를 줄이거나 피난문을 열기 위해 멈추지 않고 밀면서 바로 통과할 수 있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피난문은 상부 고정식으로 상하 개폐가 되기 때문에 대피 인명이 이러한 피난문을 손으로 밀어 제치는 과정에서 시야 확보가 되지 않거나 문이 충분히 개방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대피 인원이 연이어져 있을 경우 선행 인원에 의하여 개방된 피난문이 낙하하면서 후속 인원에 타격을 주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6-0021142호 '일체용 자동 방화셔터'는 탄성 개폐 가능한 비상문을 방염 스크린에 설치하여 법적 유효너비 및 유효높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되어 있으나, 방염 스크린에 비상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탄성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은 이 출원 이전에 공개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으로 특별한 진보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2-0086826호 '방화구획용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도 스크린 셔터에 도어를 형성하여 힌지 방식에 의하여 이 도어가 개폐된다고 하고 있으나 이 역시 이전에 공개된 기술적 사상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비롯하여 공지되어 있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셔터)의 기술을 정리하여 분석하면,
1) 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부 고정식으로 손으로 제치고 나가는 스크린 셔터는 대피 중인 인원이 이러한 비상문을 손으로 제치고 나가기에 번잡하고 조잡하다는 불편함이 있고,
2) 인명이 대피한 후에 탄성 모듈 등의 기능에 의하여 비상문이 자동으로 폐쇄가 되기는 하나 그 방식이 탄성 스프링 내지 힌지에 의존하여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라 보다 완벽하게 비상문 틈새로 연기 내지 불길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며,
3) 특히 화재로 인한 공기압 팽창으로 셔터의 내외 사이에 압력 차가 발생해 기능성을 저하하는 스크린 셔터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4) 현행 법규(건축법 시행령 제 46조에 의한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에서 마련된 비상문 오픈 시 폭 0.9m, 높이 2.0m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기에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스크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좌 내지 우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 방식과 접이식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개방 및 자동 폐쇄가 되는 비상문을 일체적으로 스크린에 구비하여 대피 인원의 탈출시간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비상문에 대피 인원이 타격을 받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문이 자동 폐쇄되었을 때 주변 스크린과 밀착 결합을 하여 틈새 발생을 최소화함으로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문의 상하에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화재 시 팽창공기압에 의하여 비상문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법규 규정에 따른 충분한 폭과 너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문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는, 화재 시 자동으로 하강이 되되, 대피 인원의 탈출을 위한 비상문이 스크린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로서, 복수 개의 제 1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 주변 스크린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제 2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폐쇄 단과 스크린 간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 사이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비상문이 일정 각 범위로 유동되게 하는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에 설치되어 비상문 폐쇄 시에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와 접촉하고 있되,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결합부에 의하여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비상문의 개방 측 부위와 연결된 코어를 상기 결합부 내에 종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하는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의 경첩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첩에 탄성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함으로 비상문 개방 시 접철을 보장하는 접철모듈;
스크린에 고정 설치되어 비상문의 상부 측 직선 횡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모듈;과 비상문 하부 측에 설치되어 비상문의 하부 측 직선 횡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지지모듈;로 구성이 되어, 비상문이 슬라이딩 좌우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일정 각도 접철이 됨으로 비상문의 신속하고 편리한 개방 상태를 보장함과 동시에 충분한 대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문 상부 주변 스크린 부위에는 볼록부를 구비한 경첩이 1세트로 결합된 상태로 복수 개 연결되어 있고, 이 볼록부 내부 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는 볼이 스크린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비상문의 상부 측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비상문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지지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하부 지지모듈은, 일정 하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바닥 면에 인접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단에서 1세트로 결합되어 복수 개로 연결되되 볼록부를 구비한 경첩;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비상문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볼록부 내부 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는 볼;을 포함하여 일정 무게를 가져 고정 상태를 가지는 하부 지지모듈에서의 반작용으로 비상문의 하부 측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1) 좌 내지 우 방향으로 비상문을 밀게 되면 비상문이 슬라이딩 이동을 함과 동시에 접철이 되는 방식으로 개방 및 자동 폐쇄가 되기 때문에, 충분한 대피 공간을 확보하면서 대피 인원의 탈출시간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비상문에 대피 인원이 타격을 받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비상문이 폐쇄된 상태를 가질 경우 주변 스크린과 밀착 결합을 하여 틈새 발생을 최소화함으로 연기 내지 열이 비상문 건너편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3) 스크린의 적재 위치에 와이어를 매설하고 보강 철판을 구비하여 화재 시 팽창 공기압에 의하여 비상문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화재 시 연기 내지 열을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천장에 매립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감지모듈의 신호에 의하여 스크린을 하강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바, 이는 공지의 스크린 장치와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스크린(10)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비상문(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핵심적인 구성인 비상문(20)은 상하 개폐식이 아니라 좌우 개폐식으로 이루어져 있되, 좌우 일 측이 고정되어 있어 비상문이 좌우 한정 범위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던 공지의 좌우 개폐식과 달리 비상문(20)이 이동할 때 비상문(20)의 대략 중앙부위가 접철되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비상문이 개방될 때 접철이 동시에 이루어져 충분한 개방 폭과 너비를 발휘할 수 있으면서 비상문(20)이 폐쇄되었을 때에는 개폐 부위가 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스크린(10)의 양측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측벽에 설치된 구조체(15)를 따라 스크린(10)의 하강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과 스크린(10)의 일 부위, 즉 대략 중앙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비상문(20), 비상문(20)의 개방 단(도 1에서 비상문의 좌측 단) 주변 스크린(10) 부위에 형성된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 비상문(20)의 고정 단(도 1에서 비상문의 우측 단) 주변 스크린 부위(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과 비상문의 연결부위에 걸쳐서) 형성된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40), 비상문의 개방 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에 접경해 있는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50), 비상문 상부의 스크린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상문(20) 상부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하는 슬라이딩 모듈(70), 스크린(10)의 수직 지지를 보장하는 와이어(13)와, 와이어 고정대(60), 스크린(10)의 수평 지지를 보장하는 보강 철판(12), 비상문(20)의 접철을 보장하는 접철모듈(80), 상기 슬라이딩 모듈에 대응하여 비상문 하부의 수평 이동을 보장하는 하부 지지모듈(90)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10)은 공지되어 있는 방염 재질로 이루어져 내연성 및 내열성을 가지고 있고, 비상문(20)의 개방 부위 내지 정면 부위에는 개방의 용이성 및 휨 방지를 위하여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고, 비상문(20)을 알리는 그림 내지 식별 표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측벽에 설치된 구조체(15)는 앵커에 의하여 측벽에 고정 결합되어 내측 방향으로 대략 뾰족하게 2면이 돌출된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에 상응하여 가이드 레일(11)은 스크린(10)을 중앙에 낀 상태로 구조체(15)의 돌출된 2면에 면 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크린(10)에 비상문(20)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비상문(20)이 개방되는 개방 단에 맞닿는 스크린 부위에는 종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 1 고정 브라켓(31)이 연결된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대향 단인 비상문(20)의 폐쇄 단 주변 스크린 부위(즉, 스크린과 비상문의 연결 부위)에는 역시 종 방향을 따라 제 2 고정 브라켓(41)이 복수 개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4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비상문(20)에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와 결합이 되는 비상문의 개방 단 부위에는 역시 종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결된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고정 브라켓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3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는 고정 수단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제 1 고정 브라켓(31)이 연결되는바, 2개의 횡 방향 결합을 통해 1세트를 이루는 제 1 고정 브라켓(31)은 그 사이로 스크린(1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결합이 되어 있으며, 도 2의 부분 확대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이 중 하나는 볼록하게 돌출되어 이에 와이어(14)를 구비하게 된다.
와이어(14)는 화재 시 압력의 내외 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 없이 스크린(10)의 측 단의 팽팽한 수직 유지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40) 역시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와 마찬가지로 2개로서 1세트를 이루는 제 2 고정 브라켓(41)의 어느 하나에 볼록하게 돌출된 공간을 구비하여 역시 이에 와이어(14)가 삽입됨으로 스크린(10) 측 단의 팽팽한 수직 유지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되, 제 1 고정 브라켓(31)과 달리 볼록한 공간을 마련하는 제 2 브라켓(41) 반대 측에 토션 스프링(45)이 장착되어 1세트를 이루는 제 2 고정 브라켓(41)의 중앙 부위가 일정 각도 이내에서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와 같은 기능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토션 스프링(45)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 성질을 가지는 예를 들어 공지의 스프링 힌지 내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이에 근거하여 토션 스프링(45)의 장착 방식 내지 형태는 공지되어 있는 복원력을 가진 스프링 힌지(즉, 스프링을 매설하여 접철되었을 때 다시 초기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진 힌지)의 구성에 준하므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당업자 수준에서 충분히 파악 가능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린(10)의 상부에는 스크린(10)의 팽팽한 수평 유지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보강 철판(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스크린(10) 내부의 팽팽한 수직 유지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비상문(20)의 폭을 기준으로 1쌍의 와이어(13)가 매설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 및 결합 브라켓 상부에 와이어 연결대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비상문(20)의 상측, 즉 비상문 상부에 위치한 스크린(10) 부위(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모듈의 위쪽)에는 상기 와이어(13)의 종단이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고정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13)의 상단은 보강 철판(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와이어(13)의 안정된 지지 상태를 보장하고, 와이어 고정대(60) 역시 비상문 상부의 스크린 부위가 비상문의 개폐 시에 행여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 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 2를 참조하면,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30)에 결합이 되는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50)가 비상문(20)의 일 측, 즉 개방 단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50)는 종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연결되어 있는 결합 브라켓(51)이 고정 수단에 의하여 결합 형성되어 있되, 결합 브라켓(51)은 2개 결합에 의한 1세트로 이루어져 이 사이에 비상문(20)의 개방 측 부위가 지나가되 스크린 방향 단에는 마치 ㄷ 자 형상(도 2를 보면 Y 자 형상과도 유사)으로 벌어진 결합부(52)가 형성되어 이에 제 1 고정 브라켓(31)의 측 단을 수용한다.
또한, ㄷ 자 형상으로 벌어진 결합부(52) 내에는 비상문(20)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 상태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코어(53)가 형성되되 이 코어(53)는 개방문(20)의 개방 측 부위의 종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결합 브라켓(51) 사이에 끼워진 비상문(2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비상문(20)이 폐쇄 상태에 있을 경우 이러한 결합부(52) 내에 제 1 고정 브라켓(31)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사이의 틈새를 최대한 방지하여 연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결합부(52)의 단부 내측에는 제 1 고정 브라켓(31)과의 마찰에 따른 파손 방지를 위해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2a)를 추가로 형성할 수가 있다.
도 7a, 7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비상문(20)의 개방은 비상문(20) 상측 스크린(10)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모듈(70)에 의하여 달성(물론 비상문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모듈과 연동되어 달성)이 되는바, 비상문(20)의 개방 측 부위 상단은 연결부(74)(도 4b 참조)를 매개로 슬라이딩 모듈(70)의 경첩(71)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볼(73)과 연결이 되어 있다.
볼(ball)(73)은 이 경첩(71)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비상문(20)의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미닫이식 문을 참조할 때, 볼과 연결부는 롤러와 같은 기능을 하고 경첩을 가이드 레일과 같은 기능을 함)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70)에 사용되는 경첩(71)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7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슬라이딩 모듈(70)은 볼록부(72)를 구비한 1세트의 경첩(71)과 볼(73), 연결부(74)로 이루어져 비상문(20)의 개방 단(구체적으로는 비상문의 개방 단 상부 지점)의 좌우 이동을 이루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횡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72)가 형성되어 있는 도 4a에 따른 경첩(71)이 2개로 결합되어 1세트를 이루고 이 1세트의 경첩(71)이 비상문(20)의 상단에 있는 스크린(10) 부위에서 횡 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1 세트의 경첩(71)의 볼록부(72)에 의한 공간이 마치 가이드 레일과 같은 기능을 하여 비상문이 개방될 당시에 이를 따라 볼(73)이 볼록부(72) 내 공간을 따라 이동을 하고 볼(72)과 비상문(20)의 개방 측 상단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74)에 의하여 볼(72)의 이동력을 비상문(20) 상부에 전달하여 비상문을 개방하게 된다.
볼(73)은 일 측이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부(74)를 통해 비상문(20)의 개방 측 부위 상단과 연결되어 있고, 비상문(20)의 개방 시에 비상문 상부의 스크린(10) 부위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첩(71)의 볼록부(72) 사이 공간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경첩(71)의 1세트 결합에 의하여 마련된 볼록부(72) 공간은 상하로 일정 공간이 트여 있도록 구성되어 이 트인 공간을 통해 볼(73)에 연결된 연결부(74) 역시 개방문(20)의 개방 측 부위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보장한다.(이러한 기능은 하부 지지모듈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남)
대피 인원이 손잡이(21)를 잡고 비상문에 개방 힘을 가하면 슬라이딩 모듈(70)의 볼(73)이 직선(즉, 좌우) 이동을 하게 됨과 동시에 비상문(20)은 연결부(74)에 의하여 볼(73)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문(20)의 개방 측 상단 부위가 같이 볼 이동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하면서 비상문(20)이 개방되기 시작하는데, 도 1, 2를 참조하면 비상문(20)의 대략 중앙 부위에는 비상문(20)의 접철을 보장하는 접철 모듈(80)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 모듈(8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 모듈(80)은 비상문(20)의 일 측, 구체적으로는 비상문의 중앙 부위에서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비상문(20)의 개방 시에 비상문(20)의 중앙 부위를 접철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 1 고정 브라켓(31)과 유사하게 2개가 결합하여 1 세트를 이루면서 스크린(10)을 그 사이에 포함하고 있는 경첩(81)을 구비한 상태에서 1세트의 경첩(81) 중앙 부위 사이에 종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경첩의 접철 시 복원 성질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82)이 장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82)은 양측이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83)를 구비하여, 이 연장부(83)가 1세트를 이루는 경첩(81)의 전후 면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연장부(83) 하나가 경첩(81) 일 단에 고정되고, 연장부(83)의 다른 하나가 경첩(81)의 타 단에 고정됨으로 이를 통해 경첩(81)이 접철되면서 토션 스프링(82)에 압축력을 제공하며, 경첩(81)을 접철하는 힘이 사라진 경우에는 토션 스프링(82)이 다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경첩(81)과 토션 스프링(82)에 대한 도 5의 실시예는 일 례로서, 이는 공지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회동(접철) 시 자체 복원 성질을 가지는 스프링 힌지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당업자 수준에서 충분히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 토션 스프링(82)은 비상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될 경우, 비상문 자체의 구겨지는 성질보다 우선하여 압축되는 성질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어, 비상문의 개방 시에 토션 스프링에 압축력을 전달하기 이전에 비상문 자체가 구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더불어 비상문 역시 스프링이 압축되기 이전에 구겨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야하며, 이는 본 발명이 구현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성립되기 위한 전제가 되는 것으로 당업자 수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82)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상문(20)이 개방될 경우 비상문(20)을 접철하도록 하고, 대피 인원이 비상문(20)에서 손을 놓게 된 이후 토션 스프링(82)이 복원하면서 비상문(20)의 자동 폐쇄 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 때, 토션 스프링(82)의 연장부(83)가 경첩(81)의 전후 면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비상문(20)의 전후 면에 탄성력을 모두 제공하는 이유는, 만일 접철 모듈(80)의 토션 스프링(82)에 의한 연장부(83)가 경첩(81)의 어느 한 면에만 탄성 지지되어 일 방향 특성을 가지면서 접철된다면 화재 시 내외 압력 차에 의하여 토션 스프링(82)이 형성된 부위부터 제일 먼저 접철되면서 비상문(20)의 배부름 현상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즉 토션 스프링(82)이 경첩(81)의 양측에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특정 방향을 타지 않고 화재 시 압력 차이에 의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대피 인원이 비상문(20)을 열었을 때 접철의 규칙성과 대피 인원의 접철 방향 예측성을 가짐과 동시에,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가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방향으로만 접철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연장부(83)에 작용하는 탄성계수를 달리 하여 탄성 계수 차이에 의하여 비상문이 가급적 특정 방향으로만 접철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모듈(9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은 화재 발생에 의하여 하강이 이루어질 때 연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 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크린(10) 내지 비상문(20)의 하부가 외력에 의하여 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상문(20)의 하부에 하중을 부여하여 출렁이거나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상술한 슬라이딩 모듈(70)이 비상문(20)의 상부 이동을 보장하는 것에 대응하여 비상문(20)의 하부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문(20)의 하부에는 하부 지지모듈(90)이 연결되어 있다.
하부 지지모듈(90)은 일정 하중을 보장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부(95)와 지지부(95) 상단에 결합되는 경첩(91), 경첩(91) 내 공간을 이동하는 볼(93)과, 이러한 볼(93)과 비상문(20)의 개방 측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94)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부(95)는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아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대략 시계 반대방향으로 ㄷ 자를 90도 회전시킨 형상과 같이 이루어져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짐으로 스크린(10)이 하강하여 바닥 면에 접촉할 당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이 공간에 수용하여 충격 완화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비상문의 하측 부위에 수평 강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비상문에 하중을 부여하여 비상문이 원활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 및, 비상문이 개폐되더라도 자체 하중에 의하여 비상문과 함께 움직이지 않고 바닥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하중 부여 역할을 가진다.
또한, 경첩(91)과 볼록부(92), 볼(93), 연결부(94)는 상술한 슬라이딩 모듈(70)의 세부 구성과 유사하게 이루어져 비상문(20)의 하부 측 이동을 보장하는 것으로, 볼록부(92)를 구비한 경첩(91)이 2개로 1세트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이 볼록부(92)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볼(93)을 구비하고 볼(93)의 일 측에서 연장된 연결부(94)를 통하여 비상문(20)의 개방 측 하단 부위와 결합을 이루고 있다.
비상문(20)이 개방될 경우, 경첩(91) 사이 볼록부(92) 공간을 따라 볼(93)이 비상문 개방 측 하단 부위와 함께 직선 이동을 하고, 볼록부(92) 상하부 사이로 트인 공간을 따라 연결부(94) 역시 이동을 하여 비상문(20)의 좌우 이동을 보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발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작용을 다시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서 비상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서 비상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재 발생으로 감지모듈의 화재 감지 신호에 의하여 롤러가 작동함으로 스크린(10)이 구조체(15) 및 가이드 레일(11) 형상에 따른 결합에 의하여 유동성 없이 하강을 하는 동안, 일단 비상문(20)은 도 7a와 같이 초기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 때, 제 1 고정 브라켓(31)이 결합 브라켓(51)의 결합부(5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사이로 연기가 유출되는 개연성을 확실하게 보장하게 된다.
더불어, 보강 철판(12)과 와이어(13,14)에 의하여 스크린(10)의 팽팽한 수평 및 수직 유지 상태를 보장하기 때문에 일 측으로 볼록하게 스크린(10)이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연기 유출 내지 비상문(20)의 원활한 개폐 상태 보장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대피 인원이 스크린(10)에 접근하여 비상문(20)의 손잡이를 잡고 측 방향으로 밀어 비상문(20)을 개방하게 되면, 슬라이딩 모듈(70) 및 하부 지지모듈(90)의 경첩(71,91)에 의해 마련된 공간(72,92)을 따라 볼(73,93)이 수평 직선 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개방 시 압력에 의하여 접철 모듈(80)의 토션 스프링(82)이 탄성 압축을 하면서 접철 모듈(82)이 형성된 개방문(20) 부위가 종 방향을 따라 접철된다.
이때, 비상문(20)의 재질은 방염 성질을 가짐과 동시에 대피 인원이 작용한 힘에 의하여 먼저 구부러지거나 구겨지지 않고 토션 스프링(82)을 압축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야 하고 이는 상기에서도 잠시 언급한 바가 있다.
또한 제 2 고정 브라켓(41)의 토션 스프링(45) 역시 탄성 압축이 되어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40)도 일정 범위 접철이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 따라 도 7b에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문(20)의 원활한 접철 상태를 보장하게 된다.
즉, 비상문(20)은 슬라이딩 이동과 접철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충분한 대피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이론적으로 볼(73,93)은 비상문의 상하 측 개방 부위와 함께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40)가 형성되어 있는 비상문(20)의 폐쇄 부위까지 직선 이동이 가능함으로 비상문(20) 크기만큼의 개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상문(20)은 개방 단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삿갓 형상으로 접철이 되면서 개방이 되며, 대피 인원이 방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작동성과 충분한 공간 확보를 보장할 수 있다.
대피 인원이 대피를 마친 경우, 즉 비상문(20)에서 손을 뗀 경우에는 접철 모듈(80)의 토션 스프링(82)이 탄성 복원됨과 동시에 접철상태가 해제되면서 역 방향으로 볼(73,93)이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비상문(20)의 자동 폐쇄상태를 보장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 및 결합 브라켓 상부에 와이어 연결대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에 사용되는 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지지모듈의 개략적인 구성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서 비상문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에서 비상문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크린 52: 코어
11: 가이드 레일 60: 와이어 고정대
12: 보강철판 70: 슬라이딩 모듈
13,14: 와이어 72: 볼록부
20: 비상문 73: 볼
30: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74: 연결부
40: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80: 접철모듈
50: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 90: 하부 지지모듈
52: 결합부 95: 지지부

Claims (6)

  1. 화재 시 자동으로 하강이 되되, 대피 인원의 탈출을 위한 비상문이 스크린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로서,
    복수 개의 제 1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 주변 스크린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제 2 고정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폐쇄 단과 스크린 간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 사이에 구비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비상문이 일정 각 범위로 유동되게 하는 제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 개의 결합 브라켓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개방 단에 설치되어 비상문 폐쇄 시에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와 접촉하고 있되,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결합부에 의하여 틈새 발생을 방지하고, 비상문의 개방 측 부위와 연결된 코어를 상기 결합부 내에 종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비하는 결합 브라켓 어셈블리;
    복수의 경첩이 종 방향을 따라 비상문의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첩에 탄성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함으로 비상문 개방 시 접철을 보장하는 접철모듈;
    스크린에 고정 설치되어 비상문의 상부 측 직선 횡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모듈;과 비상문 하부 측에 설치되어 비상문의 하부 측 직선 횡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지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볼록부를 구비한 경첩이 1세트로 결합된 상태로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내부 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는 볼이 상기 비상문의 개방 측 상부 일 측과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비상문 상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보강 철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의 양측 상부 스크린 부위에 1쌍으로 종 방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비상문의 상부 측 스크린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고정대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고정 브라켓 어셈블리를 이루는 고정 브라켓 사이로 종 방향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모듈은,
    일정 하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바닥 면에 접촉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단에서 1세트로 결합되어 복수 개로 연결되되 볼록부를 구비한 경첩;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비상문의 개방 측 하부 일 측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볼록부 내부 공간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KR1020070074374A 2007-07-25 2007-07-25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KR10085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74A KR100852390B1 (ko) 2007-07-25 2007-07-25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374A KR100852390B1 (ko) 2007-07-25 2007-07-25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390B1 true KR100852390B1 (ko) 2008-08-14

Family

ID=398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374A KR100852390B1 (ko) 2007-07-25 2007-07-25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1442A3 (en) * 2012-05-16 2014-06-05 Coopers Fire Limited Smoke or fire barr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46A (ja) 1999-05-28 2000-12-05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防煙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KR200331193Y1 (ko) 2003-07-24 2003-10-22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화이어 가드 장치
KR20060087082A (ko) * 2005-01-28 2006-08-02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717137B1 (ko) 2006-07-18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46A (ja) 1999-05-28 2000-12-05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防煙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KR200331193Y1 (ko) 2003-07-24 2003-10-22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화이어 가드 장치
KR20060087082A (ko) * 2005-01-28 2006-08-02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717137B1 (ko) 2006-07-18 2007-05-11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1442A3 (en) * 2012-05-16 2014-06-05 Coopers Fire Limited Smoke or fire b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02180B2 (ja)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AU608453B2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TWI429466B (zh) 隔熱防火簾
KR100842219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TW491809B (en) Elevator door and door hanger device
KR100852390B1 (ko)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TWM496677U (zh) 防火捲門之捲幕箱布幕氣密結構改良
WO2009139554A2 (ko) 긴급 피난설비
KR1007897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034714B1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2082224B1 (ko) 계단실을 통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 구조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JP4725424B2 (ja) 防火引き戸
TWM491718U (zh) 捲幕式防火捲門之門軌氣密結構改良
JP2016014239A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2106786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148128B1 (ko)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JP426643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JP5556125B2 (ja) スクリーン装置、及びスクリーンの錘部材の引き上がり防止機構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JP3999139B2 (ja) 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