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128B1 -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28B1
KR101148128B1 KR1020110025858A KR20110025858A KR101148128B1 KR 101148128 B1 KR101148128 B1 KR 101148128B1 KR 1020110025858 A KR1020110025858 A KR 1020110025858A KR 20110025858 A KR20110025858 A KR 20110025858A KR 101148128 B1 KR101148128 B1 KR 10114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r
upper cover
main body
link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영
Original Assignee
에스제이테크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제이테크윈(주) filed Critical 에스제이테크윈(주)
Priority to KR1020110025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건물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화재, 지진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 시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하고 피해가 확산하지 않도록 하며, 본 발명은,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연결된 제1링크바와,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핀에 결합하여 제1링크바에 절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중심핀의 일측으로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링크바와, 상기 중심핀에 연결되고 중심핀에 끼워진 탄성부재에 의해 제2링크바에 밀착한 채로 저면이 상기의 정지턱에 걸쳐져 있는 제3링크바와, 상기 제3링크바와 하부덮개를 절첩식으로 연결하는 제4링크부재에 의해 상부덮개의 작동에 따라 하부덮개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된 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바의 일측 구비된 전환레버가 제2링크바를 전방으로 밀어젖혀 제3링크바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의 제1, 제2링크바가 접히면서 상부덮개를 닫히도록 하는 통로차단수단과;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부덮개가 닫히면서 본체에 충돌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The under type of emergency escaping equipment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상가, 사무실, 오피스텔, 고층건물(이하 '건물'이라 통칭함)에 설치되는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화재, 지진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 시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하고 피해가 확산하지 않도록 된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는 건물에 화재, 지진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 시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코니 등의 바닥면에 해치(Hatch)형태로 매설된 본체의 덮개를 열고 내부의 절첩식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서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로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각층의 바닥에 매립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 통로를 개폐하는 덮개, 본체 내부의 절첩식 사다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들은 긴급상황 발생시, 상/하부 덮개가 열리지 않거나 사다리로 내려가기 전에 덮개가 닫히는 등 오작동의 발생위험이 매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주로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는데, 본체가 바닥면에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아래로 처짐이 발생하는 등 불안정할 뿐만 라니라 긴급상황이 발생시 오작동하게 되는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미 국내특허출원 제10-2010-0114235호(2010.11.17.)를 선 제안한 바에 있다. 하지만, 덮개를 열고 사다리를 펴서 아래층으로 대피 후, 상부덮개를 닫기 위해 로프를 당겨 통로차단수단을 작동시키면 전환레버 및 링크부재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부덮개가 제대로 닫히지 않는 오작동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국내특허출원 제10-2010-0114235호(2010.11.17.미공개) 2.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060033호(2009.06.11.공개) 3.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29767호(2009.12.17.공개) 4.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7451호(2009.11.09.공개)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나 지진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 시, 비상탈출장치의 상/하부 덮개를 열고 절첩식 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있도록 하고자,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와 연결되어 링크작동하는 링크부재의 작동을 원활히 함과 더불어 통로차단수단에 의해 상부덮개가 안정적으로 작동하여 신속히 위층과의 통로를 차단할 수 있는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덮개를 개방 시 탄성실린더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됨은 물론 아래층으로 대피한 후에 로프를 당겨 상부덮개를 차단 시, 본체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바닥면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하향 절첩식 사다리로 된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연결된 제1링크바와, 상기 본체의 내측 중심핀에 결합하여 제1링크바에 절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중심핀의 일측으로 정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링크바와, 상기 중심핀에 연결되고 중심핀에 끼워진 탄성부재에 의해 제2링크바에 밀착한 채로 저면이 상기의 정지턱에 걸쳐져 있는 제3링크바와, 상기 제3링크바와 하부덮개를 절첩식으로 연결하는 제4링크부재에 의해 상부덮개의 작동에 따라 하부덮개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된 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바의 일측 구비된 전환레버가 제2링크바를 전방으로 밀어젖혀 제3링크바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의 제1, 제2링크바가 접히면서 상부덮개를 닫히도록 하는 통로차단수단과; 상기 상부덮개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부덮개가 닫히면서 본체에 충돌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로차단수단은, 상기 본체에 힌지로 조립되며, 일측 전방의 제1누름부가 제2링크바의 측면에 돌출되고 경사면을 가지는 안내부에 미끄럼 접촉함에 따라 제2링크바가 제3링크바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제1누름부의 후측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가 제2링크바를 전방으로 밀어젖히며, 타측 단부에는 끼움홈가 형성되어 있는 전환레버와; 상기 본체의 후측에 힌지로 조립되고 가로로 설치하여 중간 연결핀에 의해 서로 이어지며, 외측 끝단의 연결부가 끼움홈에 끼움 조립하여 상기 전환레버를 작동시키는 제1, 제2작동아암과; 상기 제1, 제2작동아암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저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완충수단은, 상부덮개의 내측 브라켓과 본체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대를 연결하는 탄성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탈출장치의 덮개를 개방하고 사다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한 아래층에서 로프를 당겨 탈출장치의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 등의 위험요소나 피해가 아래층은 물론 건물 전체로 확산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링크부재 및 통로차단수단에 의해 상부덮개 및 하부덮개가 원활하게 동작함은 물론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한 후 링크부재를 작동시키면 전환레버가 제2링크바를 안정적으로 작동시켜 신속히 상부덮개가 닫히게 되며,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 및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작동이 원활하여 긴급상황 시, 오작동을 방지하여 우선적으로 안전성이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충수단에 의해 상부덮개 및 본체의 충돌을 방지하여 충격음 발생은 물론 장치의 손상을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완충수단으로 탄성실린더를 구비하여서, 상부덮개를 열 때는 쉽게 열리고 역으로, 닫힐 때에는 부드럽게 닫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내부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링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상탈출장치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로프를 당길 때 상부덮개를 닫고 있는 작동상태도.
도 8 내지는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덮개 및 링크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1은 상부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부덮개가 닫힌 상태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물 바닥면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14) 및 하부덮개(16)와, 상기 상부덮개(14)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70)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하향 절첩식 사다리(80)로 된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4)의 저면에 연결된 제1링크바(22)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중심핀(33)에 결합하여 제1링크바(22)에 절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중심핀(33)의 일측으로 정지턱(27)이 형성되어 있는 제2링크바(24)와, 상기 중심핀(33)에 연결되고 중심핀에 끼워진 탄성부재(35)에 의해 제2링크바에 밀착한 채로 저면이 상기의 정지턱(27)에 걸쳐져 있는 제3링크바(30)와, 상기 제3링크바(30)와 하부덮개(16)를 절첩식으로 연결하는 제4링크부재(36)에 의해 상부덮개(14)의 작동에 따라 하부덮개(16)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된 링크부재(20)와; 상기 제2링크바(24)의 일측 구비된 전환레버(42)가 제2링크바(24)를 전방으로 밀어젖혀 제3링크바(30)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의 제1, 제2링크바(22,24)가 접히면서 상부덮개(14)를 닫히도록 하는 통로차단수단(40)과; 상기 상부덮개(14)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부덮개(14)가 닫히면서 본체(10)에 충돌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6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위/아래로 개방된 중공의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상부덮개(14) 및 하부덮개(16)와, 상기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부재(20)와, 상기의 상부덮개를 닫기 위한 통로차단수단(40)과, 잠금수단(70)과,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하향식 절첩식 사다리(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중공의 케이스로 위/아래로 개통되고, 상/하단부에 형성된 테두리(12)가 각층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고정된다. 이때 본체의 외측면에는 개구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8)가 부착되고, 내측면에는 손잡이(6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18)는 단면이 'ㄷ'자로 절곡되어 있고 개구부 내측면에 밀착 고정하여 본체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의 상/하부 덮개(14,16)는 본체의 후측에 힌지(17a,17b)로 조립하여 상/하로 개폐된다.
상기 링크부재(20)는 본체 내부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구비되며, 제1링크바(22)와, 제2링크바(24)와, 제3링크바(30)와, 제4링크바(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바(22)는 상부덮개의 저면 브라켓(23)에 핀 결합하여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며, 상기 제2링크바(24)의 일측이 제1링크바의 단부에 연결핀(29)으로 조립되고 타측은 본체 저부의 중심핀(33)에 비스듬히 조립된다. 상기 제2링크바(24)에는 측면에 경사면(26)을 가지는 안내부(25)가 후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정지턱(2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바와 함께 중심핀(33)에 조립된 제3링크바(30)가 정지턱(27)에 걸쳐진 채 후측을 향해 위로 비스듬히 구비되고, 상기 하부덮개의 윗면 브라켓(38)에 핀 결합된 제4링크바(36)와 연결핀(37)으로 결합하여 링크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링크바(30)는 정지턱(27)에 걸쳐진 채 덮개를 위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중간 부분이 제2링크바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상부덮개(14)가 닫힘 상태에서 제1, 제2링크바(22,24)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접혀있고, 상기 제3링크바(30)는 정지턱(27)에 걸쳐진 채로 후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로 제4링크바(36)를 위로 지탱함에 따라, 상기 하부덮개(16)가 하부 테두리에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중심핀(33)에는 제2링크바(24)를 제3링크바(30)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35)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2링크바가 제3링크바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게 되고 제3링크바는 정지턱에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35)는 중심핀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성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한다.
다음, 도 3 내지는 도 5를 참조하면 긴급상황이 발생시, 상기 상부덮개(14)를 개방하면 제1, 제2링크바(22,24)가 직선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하부덮개의 자중에 의해 제3, 제4링크바(30,36)가 아래로 펼쳐지면서 본체 통로가 개방된다. 이어 상기의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서 아래층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되며, 아래층에 로프(60)를 당겨 상부덮개를 닫아 통로를 차단하도록 된다.
이는 상기의 링크부재(20) 중에서 제2링크바의 후측에 구비된 통로차단수단(40)에 의해 제1, 제2링크바가 작동하면서 상부덮개가 닫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환레버(42)는 중심핀(33)의 후측 브라켓에 핀(46) 조립되며, 상부 전/후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1누름부(43a)와 제2누름부(43b)가 구비되고 후측에 끼움홈(4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누름부(43b)에는 롤러를 구비하여 제2링크바에 구름 접촉하면서 작동을 원활히 한다. 상기 제1누름부(43a)는 경사면(26)을 따라 안내부(25)에 미끄럼 접촉함에 따라 제2링크바가 본체 측으로 밀려나면서 정지턱이 제3링크바로부터 이탈하여 제1, 제2링크바가 별도로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통로차단수단(40)은, 상기 본체(10)에 핀(46)으로 조립되며, 일측 전방의 제1누름부(43a)가 제2링크바(24)의 측면에 돌출되고 경사면(26)을 가지는 안내부(25)에 미끄럼 접촉함에 따라 제2링크바(24)가 제3링크바(30)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제1누름부(43a)의 후측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43b)가 제2링크바(24)를 전방으로 밀어젖히며, 타측 단부에는 끼움홈(44)이 형성되어 있는 전환레버(42)와;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핀(54)으로 조립되고 가로로 설치하여 중간 연결핀(56)에 의해 서로 이어지며, 외측 끝단의 연결부(52)가 끼움홈(44)에 끼움 조립하여 상기 전환레버(42)를 작동시키는 제1, 제2작동아암(50a,50b)과; 상기 제1, 제2작동아암(50a,50b)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저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프(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통로차단수단(40)은 전환레버(42)의 후측 끼움홈(45)에 연결되는 제1, 제2작동아암(50a,50b)과, 닫힘레버(62)와, 로프(6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작동아암(50a,50b)는 본체의 후측면에 가로로 구비되며, 중간부가 본체의 브라켓에 연결핀(59)으로 조립되고, 연결핀(56)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외측 끝단부의 연결부(52)가 전환레버(42) 후측의 끼움홈(44)에 끼워진다. 상기 닫힘레버(62)는 제1, 제2작동아암(50a,50b)의 하부에 나란하게 구비되고 연결핀(59) 아래의 핀(64)으로 조립되며, 일측 끝단부가 세로바를 통해 제2작동아암에 연결핀(58)으로 조립되고 타측 끝단에 로프(6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프(60)는 내식성 및 내화성을 가지는 와이어, 체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부덮개를 닫기 위해 상기 로프(60)를 아래로 당기면 도 6 내지는 도 10에처럼, 닫힘레버(62)가 제2작동아암의 외측 연결핀(58)을 위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1, 제2작동아암(50a,50b)에 의해 연결부(52)에 맞물려 있는 전환레버(42)가 전방으로 구간 회전하게 되고, 제1누름부(43a)는 안내부(25)에 접촉하면서 제2링크바(24)를 외측으로 밀어젖혀 제3링크바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5)는 도 7에서처럼 압축상태로 된다. 이어 상기 전환레버(42)의 제2누름부(43b)가 제2링크바(24)에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밀어젖힘에 따라, 제1, 제2링크바가 도 10에서처럼, 소정의 각도로 접히게 되며, 이후에는 상부덮개의 자중에 의해 스스로 닫힌다.
한편, 상기 닫힘레버(62)는 로프를 아래로 당기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작동아암을 들어올리게 되며, 상기 로프(60)를 제1, 제2작동아암(50a,50a)이 연결되는 부분 또는, 상기의 연결핀(56)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완충수단(65)은 상부덮개(14)가 닫힐 때 본체(10)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소음 및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덮개(14)의 저면 양측에 완충부재(66)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66)는 하단부에 절곡 형성된 탄성부(67)가 본체 내측면에 마련된 요입홈(68)에 탄성적으로 맞물림에 따라, 상부덮개(14)가 닫힐 때 급속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손상 및 충격력, 충돌음을 완화한다.
상기 본체(10)에는 도 12에서처럼, 상부덮개의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수단(70)은 긴급상황 발생시 간편하게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체의 전면 상부에 마련된 요입홈(78)에 버클(72)을 부착하고 상기 상부덮개에 걸고리(76)를 부착하여서, 상기 버클의 연결구(74)를 걸고리에 걸고 요입홈으로 속으로 누르면 잠김 상태로 되고 역으로, 버클을 밖으로 당기면 걸고리로부터 연결구가 분리되어 용이하게 잠김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70)은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슬라이드방식의 빗장 또는 경첩 등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덮개 및 보호커버의 상면에는 잠금수단의 위치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절첩식 사다리(80)는 후측의 사다리 고정대(82)를 본체 내부의 후측면에 부착하며, 덮개를 개방 후 아래로 펼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14)는 내/외측면이 보호커버(15)로 감싸져 있어서, 외부의 충격력을 완화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모서리에 부딪혀 신체부위의 부상 등,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더불어 방음 및 층간 소음을 차단한다. 또한 보호커버가 빛을 흡수하여 반사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눈이 부시지 않아 실내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난연성, 내화성, 단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는 평상시, 건물의 배란다 등에 설치된 채 상부덮개가 닫힌 상태이며,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부덮개에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신속하게 잠금수단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부덮개(14)를 위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하부덮개(16)도 아래로 개방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덮개가 열리면서 로프(60)가 아래로 펼쳐져 아래층으로 연장되어 진다. 이때, 제1, 제2링크부재(22,24)가 직선으로 펼쳐지면서 상부덮개를 비스듬히 지탱함과 동시에 도 4와 도 5에서처럼, 상기의 제3링크바(30)가 중심핀(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4링크바(36)도 브라켓의 연결핀을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직선으로 펼쳐져 하부덮개가 아래로 하향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바(22)가 연결핀 상부에 형성된 제2링크바(24)의 정지턱(28)에 밀착한 채로 상부덮개를 정지하며, 상기 제4링크바(36)는 제3링크바의 끝단부가 정지턱(34)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어,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절첩식 사다리(80)를 아래로 펼쳐서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한다.
다음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대피한 상태에서, 상기의 로프(60)를 당겨 상부덮개를 닫아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위험요소를 차단한다. 즉, 상기 제1, 제2작동아암(50a,50b)에 의해 전환레버(42)가 도 6에서처럼, 전방(반 시계방향)으로 구간 회전하면서 제1누름부(43a)가 경사면(26)을 따라 안내부(25)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링크바(24)는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면서 본체 내측면 쪽으로 밀려나 정지턱(27)에서 분리된다. 이어 도 9에서처럼, 제2누름부(43b)가 제2작동아암(24)을 전방으로 밀어젖힘에 따라, 제1, 제2링크부재가 원래대로 접히면서 상부덮개는 닫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의 완충수단(65)은, 상부덮개(14)의 내측 브라켓(96)과 본체(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대(84)를 연결하는 탄성실린더(9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상기 탄성실린더(90)에 의해 상부덮개(14)를 개방시 용이하게 개방되고 역으로, 상부덮개(14)가 닫힐 시에는 완충작용을 하여 서서히 닫히도록 된다.
상기 탄성실린더(90)는 피스톤로드(91)가 내부의 탄성부재(92)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으로 공간부(94)가 마련되도록 실린더보다 다소 짧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실린더(90)은 실린더의 일단이 상부덮개의 중간 브라켓(96)에 핀 조립되고 피스톤로드(91)의 타단을 본체 후측에 부착되어 있는 사다리 고정대(82)의 상단에 힌지대를 형성시키고 상기 힌지대(84)에 핀 결합하여 후방으로 비스듬히 하향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덮개(14)를 개방시키면 탄성부재(9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로드(91)가 밀려나면서 신장하여 상부덮개를 밀어 올림으로, 긴급상황이 발생시 노약자나 어린이 등도 적은 힘으로 손쉽게 상부덮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상기 로프(60)를 당겨 상부덮개(14)를 닫으면, 피스톤로드가 공간부(94) 만큼 무 부하상태로 신속히 작동하는 데, 이때 상부덮개는 수직상태에서 15~30도 정도 기울여진 후 피스톤로드가 탄성부재에 접촉한다. 이어, 상기 탄성실린더는 상부덮개의 하중이 탄성부재에 작용하여 압축시키고 서서히 축소되면서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10:본체 12:테두리 14:상부덮개
15:보호커버 16:하부덮개 20:링크부재
22:제1링크바 24:제2링크바 25:안내부
26:경사면 27:정지턱 30:제3링크바
33:중심핀 34:정지턱 35:탄성부재
36:제4링크바 40:통로차단수단 42:전환레버
43a:제1누름부 43b:제2누름부 44:끼움홈
46,54,64:핀 50a:제1작동아암 50b:제2작동아암
52:연결부 56:연결핀 58:연결핀
60:로프 62:닫힘레버 65:완충수단
66:완충부재 67:탄성부 68:요입홈
69:손잡이 70:잠금수단 72:버클
74:연결구 76:걸고리 80:사다리
82:사다리 고정대 84:힌지대 90:탄성실린더
91:피스톤로드 92:탄성부재 94:공간부
96:브라켓

Claims (3)

  1. 건물 바닥면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를 개폐하는 상부덮개(14) 및 하부덮개(16)와, 상기 상부덮개(14)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70)과,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된 하향 절첩식 사다리(80)로 된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14)의 저면에 연결된 제1링크바(22)와, 상기 본체(10)의 내측 중심핀(33)에 결합하여 제1링크바(22)에 절첩식으로 조립되며 상기 중심핀(33)의 일측으로 정지턱(27)이 형성되어 있는 제2링크바(24)와, 상기 중심핀(33)에 연결되고 중심핀에 끼워진 탄성부재(35)에 의해 제2링크바에 밀착한 채로 저면이 상기의 정지턱(27)에 걸쳐져 있는 제3링크바(30)와, 상기 제3링크바(30)와 하부덮개(16)를 절첩식으로 연결하는 제4링크부재(36)에 의해 상부덮개(14)의 작동에 따라 하부덮개(16)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된 링크부재(20)와;
    상기 제2링크바(24)의 일측 구비된 전환레버(42)가 제2링크바(24)를 전방으로 밀어젖혀 제3링크바(30)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의 제1, 제2링크바(22,24)가 접히면서 상부덮개(14)를 닫히도록 하는 통로차단수단(40)과;
    상기 상부덮개(14)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부덮개(14)가 닫히면서 본체(10)에 충돌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완충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통로차단수단(40)은,
    상기 본체(10)에 힌지(46)로 조립되며, 일측 전방의 제1누름부(43a)가 제2링크바(24)의 측면에 돌출되고 경사면(26)을 가지는 안내부(25)에 미끄럼 접촉함에 따라 제2링크바(24)가 제3링크바(30)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제1누름부(43a)의 후측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43b)가 제2링크바(24)를 전방으로 밀어젖히며, 타측 단부에는 끼움홈(44)이 형성되어 있는 전환레버(42)와;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힌지(54)로 조립되고 가로로 설치하여 중간 연결핀(56)에 의해 서로 이어지며, 외측 끝단의 연결부(52)가 끼움홈(44)에 끼움 조립하여 상기 전환레버(42)를 작동시키는 제1, 제2작동아암(50a,50b)과;
    상기 제1, 제2작동아암(50a,50b)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저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로프(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65)은,
    상부덮개(14)의 내측 브라켓(96)과 본체(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대(84)를 연결하는 탄성실린더(9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KR1020110025858A 2011-03-23 2011-03-23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KR10114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58A KR101148128B1 (ko) 2011-03-23 2011-03-23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858A KR101148128B1 (ko) 2011-03-23 2011-03-23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28B1 true KR101148128B1 (ko) 2012-05-23

Family

ID=4627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858A KR101148128B1 (ko) 2011-03-23 2011-03-23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837A1 (ko) * 2017-06-16 2018-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110528584A (zh) * 2019-09-25 2019-12-03 通号万全信号设备有限公司 一种逃生井盖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0754903B1 (ko) 2006-07-14 2007-09-04 다스칼코리아(주)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0992852B1 (ko) 2010-08-17 2010-11-08 (주) 미래기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017078B1 (ko) 2010-08-09 2011-02-25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피난 사다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67B1 (ko)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100754903B1 (ko) 2006-07-14 2007-09-04 다스칼코리아(주)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KR101017078B1 (ko) 2010-08-09 2011-02-25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피난 사다리 장치
KR100992852B1 (ko) 2010-08-17 2010-11-08 (주) 미래기전 바닥설치형 화재피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837A1 (ko) * 2017-06-16 2018-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CN110528584A (zh) * 2019-09-25 2019-12-03 通号万全信号设备有限公司 一种逃生井盖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612B2 (ja) 自重降下式シャッターにおける機械式避難時停止装置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148128B1 (ko)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US10662708B2 (en) Window well egress apparatus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6325918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20120053139A (ko) 건물의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KR20200029709A (ko) 피난용 사다리장치
KR20120028526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1141301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JP4391249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防火防煙装置
KR100852390B1 (ko)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JP5138971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JP5755323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5632939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0702150B1 (ko) 아파트 발코니용 대피수단
JP6006844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120013001A (ko) 비상문을 갖는 방화셔터
JP6219467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200411322Y1 (ko) 아파트 발코니용 대피수단
JP5311603B2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