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97Y1 - 현관 방화문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 방화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197Y1
KR200492197Y1 KR2020180001623U KR20180001623U KR200492197Y1 KR 200492197 Y1 KR200492197 Y1 KR 200492197Y1 KR 2020180001623 U KR2020180001623 U KR 2020180001623U KR 20180001623 U KR20180001623 U KR 20180001623U KR 200492197 Y1 KR200492197 Y1 KR 20049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re door
hinge
edg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640U (ko
Inventor
송교덕
Original Assignee
송교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교덕 filed Critical 송교덕
Priority to KR2020180001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19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1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 방화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홀을 갖는 문틀, 설치홀을 개폐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문들에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 방화문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 결합되어 외부 돌출을 줄인 매립홀더, 및 매립홀더에 조립되어 문틀과 방화문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방화문의 테두리에 매립홀더를 삽입되게 설치하여 방화문 전체 면적을 줄이고, 매립홀더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관 방화문 장치{DOOR}
본 고안은 현관 방화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테두리에 매립홀더를 삽입되게 설치하여 방화문 전체 면적을 줄이고, 매립홀더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현관 방화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주택, 아파트, 사무실 등의 가설건물에 화재의 확대,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에 설치되는 문이다. 이러한 방화문은 국토교통부는 아파트 대피공간에 설치하는 방화문의 성능기준을 강화하고, 계단과 계단참의 너비기준을 명확히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공포하고 2016년 4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상기 규칙에 의하면, 방화문의 차열성능을 아파트 대피공간의 외부 온도를 30분 이상 60℃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는 성능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방화문은 문틀과 기밀이 유지되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연기, 가스 등의 누출방지는 물론 평상시엔 열손실방지와 방음을 위한 실링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방화문의 실링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2039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현관 방화문은 문틀에 가스켓을 설치함에 따라 가스켓의 설치 두께를 감안하여 문틀의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화문의 테두리에 매립홀더를 삽입되게 설치하여, 방화문 전체 면적을 줄이고, 매립홀더의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현관 방화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는: 설치홀을 갖는 문틀; 상기 설치홀을 개폐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문들에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 상기 방화문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 결합되어 외부 돌출을 줄인 매립홀더; 및 상기 매립홀더에 조립되어, 상기 문틀과 상기 방화문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한다.
상기 방화문은, 실외측을 향하는 실외패널; 상기 실외패널과 설정 거리만큼 유격되고, 실내측을 향하는 실내패널; 및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과 방음 기능을 증대시키는 우레탄폼을 포함한다.
상기 매립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를 따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립홀더는, 상기 문틀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힌지홀더; 및 상기 문틀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방화문의 해당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구비되는 패킹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힌지조립블록; 상기 힌지조립블록에서 연장되어, 피벗핀을 통해 상기 방화문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측힌지플랜지; 및 상기 힌지바디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내측힌지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패킹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조립블록; 상기 패킹조립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측플랜지; 및 상기 패킹조립블록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내측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플랜지는 상기 문틀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외측브라켓을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방화문의 테두리에 매립홀더를 삽입되게 설치하여, 방화문 전체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매립홀더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닫힌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열린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매립홀더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닫힌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열린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의 매립홀더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 방화문 장치는 문틀(10), 방화문(20), 매립홀더(100) 및 가스켓(200)을 포함한다.
문틀(10)은 방화문(20)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는 것으로서, 방화문(20)의 개폐 및 사람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설치홀(12)을 통공한다.
특히, 문틀(10)은 통상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문틀(1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방화문(20)은 설치홀(12)을 개폐 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문들에 힌지 연결된다. 물론, 방화문(2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방화문(20)은 일측 가장자리가 피벗핀(22)을 통해 설치홀(12)의 내부 일측에 해당되는 문틀(10)에 힌지 연결되어 호 궤적을 따라 왕복 회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방화문(20)이 설치홀(12)을 닫은 상태에서, 힌지 부위인 방화문(20)의 일측 가장자리가 문틀(10)에 패킹 처리되도록, 패킹부(30가 구비된다.
이때, 패킹부(30는 방화문(20)을 개방시에는 방화문(20)에 간섭을 주지 않고, 방화문(20)을 닫을 경우에는 밀봉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된다.
한편, 매립홀더(100)는 방화문(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끼움 결합되어 외부 돌출을 줄이게 됨에 따라, 기존 대비 방화문(20) 전체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스켓(200)은 매립홀더(100)에 조립되어, 문틀(10)과 방화문(20)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가스켓(20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설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방화문(20)은 실외패널(13), 실내패널(15) 및 우레탄폼(17)을 포함한다.
실외패널(13)은 실외측을 향하고, 실내패널(15)은 실내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때,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은 설정거리만큼 유격되게 구비된다.
물론,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우레탄폼(17)은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과 방음 기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우레탄폼(17)은 스티로폼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때, 매립홀더(100)는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사이를 따라 삽입된다. 그래서, 매립홀더(100)는 방화문(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크기를 기존 대비 줄일 수 있다.
한편, 매립홀더(100)는 힌지홀더(110) 및 패킹홀더(120)를 포함한다.
힌지홀더(110)는 문틀(10)에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패킹홀더(120)는 문틀(10)에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20)의 해당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구비된다.
상세히, 힌지홀더(110)는 힌지조립블록(111), 힌지바디(112), 외측힌지플랜지(113) 및 내측힌지플랜지(114)를 포함한다.
힌지조립블록(111)은 문틀(10)과 힌지 결합되는 방화문(20)의 해당 테두리로 한정되는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힌지조립블록(111)은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내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물론, 힌지조립블록(11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힌지바디(112)는 힌지조립블록(111)에서 연장되어 방화문(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피벗핀(22)을 통해 방화문(20)을 문틀(10)에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힌지바디(11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힌지바디(112)는 피벗핀(22)을 통해 문틀(10)에 연결된다.
외측힌지플랜지(113)는 힌지바디(11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실외패널(13)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실외패널(13)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외측힌지플랜지(113)는 실외패널(13)의 가장자리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볼팅 등에 의해 실외패널(13)과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물론, 외측힌지플랜지(11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내측힌지플랜지(114)는 힌지바디(112)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실내패널(15)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실내패널(15)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측힌지플랜지(114)는 실내패널(15)의 가장자리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볼팅 등에 의해 실내패널(15)과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내측힌지플랜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내측힌지플랜지(114)는 패킹부(30를 통해 방화문(20)의 힌지 부위와 문틀(10)의 틈새를 막게 된다.
여기서, 패킹부(30는 패킹돌기(32), 수용홈부(34) 및 밀봉부재(36)를 포함한다.
패킹돌기(32)는 내측힌지플랜지(114)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방화문(20)이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시에 호 궤적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패킹돌기(32)는 방화문(20)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20)의 힌지 부위에 인접되게 위치한다.
그리고, 수용홈부(34)는 문틀(10)에 함몰 형성되어, 방화문(20)이 닫힘시, 패킹돌기(32)가 수용된다. 이때, 패킹돌기(32)는 수용홈부(34)의 내부 일측면에 접한 채 안내되며 삽입된다.
또한, 밀봉부재(36)는 수용홈부(34)에 수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밀봉부재(36)는, 패킹돌기(32)가 가압시, 측방향으로 퍼짐으로써 수용홈부(34)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방화문(20)의 힌지 부위의 테두리와 설치홀(12)의 내측면 사이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밀봉부재(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힌지바디(112)는 장착홈부(105)를 형성하고, 장착홈부(105)는 가스켓(20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힌지조립블록(111)은 장착홈부(105)를 형성하고, 해당 장착홈부(105)는 가스켓(20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한편, 패킹홀더(120)는 패킹조립블록(121), 외측플랜지(122), 내측플랜지(123) 및 외측브라켓(124)을 포함한다.
패킹조립블록(121)은 문틀(10)과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20)의 해당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걸쳐,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패킹조립블록(121)은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 사이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구비되고,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외패널(13)과 실내패널(15)에 결속될 수 있다. 물론, 패킹조립블록(121)은 형상 및 재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측플랜지(122)는 패킹조립블록(12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실외패널(13)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실외패널(13)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측플랜지(122)는 실외패널(13)의 가장자리를 억지 삽입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외측플랜지(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외패널(13)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플랜지(123)는 패킹조립블록(121)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실내패널(15)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실내패널(15)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측플랜지(123)는 실내패널(15)의 가장자리를 억지 삽입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내측플랜지(12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내패널(15)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아울러, 외측브라켓(124)은 문틀(10)의 외측, 특히 실외패널(13)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대향하도록 외측플랜지(122)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외측플랜지(122) 및 외측브라켓(124)은 장착홈부(105)를 형성하고, 각 장착홈부(105)는 가스켓(20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문틀 12: 설치홀
20: 방화문 22: 피벗핀
30: 패킹부 32: 패킹돌기
34: 수용홈부 36: 밀봉부재
100: 매립홀더 110: 힌지홀더
111: 힌지조립블록 112: 힌지바디
113: 외측힌지플랜지 114: 내측힌지플랜지
120: 패킹홀더 121: 패킹조립블록
122: 외측플랜지 123: 내측플랜지
124: 외측브라켓 200: 가스켓

Claims (6)

  1. 설치홀을 갖는 문틀; 상기 설치홀을 개폐하도록,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문들에 힌지 연결되는 방화문; 상기 방화문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 결합되어 외부 돌출을 줄인 매립홀더; 및 상기 매립홀더에 조립되어, 상기 문틀과 상기 방화문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방화문은, 실외측을 향하는 실외패널; 상기 실외패널과 설정 거리만큼 유격되고, 실내측을 향하는 실내패널; 및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과 방음 기능을 증대시키는 우레탄폼을 포함하며,
    상기 매립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매립홀더는, 상기 문틀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방화문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되는 힌지홀더; 및 상기 문틀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방화문의 해당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구비되는 패킹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힌지조립블록; 상기 힌지조립블록에서 연장되어, 피벗핀을 통해 상기 방화문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측힌지플랜지; 및 상기 힌지바디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내측힌지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문이 상기 설치홀을 닫은 상태에서, 힌지 부위인 상기 방화문의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문틀에 패킹 처리되도록, 패킹부가 구비되며,
    상기 패킹부는 상기 내측힌지플랜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내측힌지플랜지는 상기 패킹부를 통해 상기 방화문의 힌지 부위와 상기 문틀의 틈새를 막고,
    상기 패킹홀더는, 상기 실외패널과 상기 실내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패킹조립블록; 상기 패킹조립블록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외패널의 실외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측플랜지; 및 상기 패킹조립블록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상기 실내패널의 실내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내측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플랜지는 상기 문틀의 외측에 대향하도록 외측브라켓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힌지바디, 상기 힌지조립블록, 상기 외측플랜지 및 상기 외측브라켓은 각각 장착홈부를 형성하며, 각 장착홈부는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방화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80001623U 2018-04-12 2018-04-12 현관 방화문 장치 KR20049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23U KR200492197Y1 (ko) 2018-04-12 2018-04-12 현관 방화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23U KR200492197Y1 (ko) 2018-04-12 2018-04-12 현관 방화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40U KR20190002640U (ko) 2019-10-23
KR200492197Y1 true KR200492197Y1 (ko) 2020-08-26

Family

ID=6838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23U KR200492197Y1 (ko) 2018-04-12 2018-04-12 현관 방화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1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473B1 (ko) * 2020-02-27 2022-03-29 문종배 문틈 밀착형 손 끼임 방지용 여닫이문
KR102447378B1 (ko) * 2020-10-23 2022-09-27 전희섭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2455524B1 (ko) * 2022-01-24 2022-10-19 민주홍 도어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626Y1 (ko) * 2001-06-07 2001-10-29 노진복 실내출입구의 방음구조
KR101607927B1 (ko) * 2015-06-12 2016-03-31 정재형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101676712B1 (ko) * 2015-11-30 2016-11-16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62U (ko) * 2007-08-21 2009-02-25 (주)이씨씨비앤피 난연 발포폴리스티로폼을 이용한 방화도어
KR101707047B1 (ko) * 2014-12-11 2017-02-21 (주)삼선씨에스에이 방화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626Y1 (ko) * 2001-06-07 2001-10-29 노진복 실내출입구의 방음구조
KR101607927B1 (ko) * 2015-06-12 2016-03-31 정재형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KR101676712B1 (ko) * 2015-11-30 2016-11-16 조준영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40U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20049219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40149757A1 (en) Cabinet for air handling equipment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FI121729B (fi) Postiluukku
GB2470058A (en) Loft door access assembly
KR101578393B1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2074524B1 (ko)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KR102095390B1 (ko) 프로젝트 창호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2114832B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1199847B1 (ko) 선박용 도어의 패킹구조
KR100800172B1 (ko) 방화문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20049171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20150067669A (ko) 냉열 차단용 문과 문틀
KR20190027451A (ko) 편의설비 설치용 창호 프레임 조립체
KR20130110284A (ko) 창호용 필링 피스
KR101116643B1 (ko) 다기능 미닫이 창호
KR200309088Y1 (ko) 창문의 기밀 구조
KR101515799B1 (ko) 발코니 시스템창호
KR101840710B1 (ko) Al창호 단열차단구조
KR20160077648A (ko) 방음 및 방풍 기능을 갖는 요철식 도어
KR101791189B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