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729B1 - 복합 창호 - Google Patents
복합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4729B1 KR102654729B1 KR1020210075186A KR20210075186A KR102654729B1 KR 102654729 B1 KR102654729 B1 KR 102654729B1 KR 1020210075186 A KR1020210075186 A KR 1020210075186A KR 20210075186 A KR20210075186 A KR 20210075186A KR 102654729 B1 KR102654729 B1 KR 102654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window frame
- profile
- rail
- ca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Screw or pin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창호는 창틀부와, 상기 창틀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을 포함하는 창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부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창틀프로파일과,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외면에 끼움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을 포함하는 창틀 마감캡과, 상기 창짝부에 포함된 실외측 창짝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상면에 결합되고 단열 재질의 레일단열재가 구비된 레일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은,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 상호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창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프로파일의 구성요소 사이에 일체화된 결합구조를 가져 외관이 미려하여 디자인성이 향상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복합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창과 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건물의 창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개폐 방법에 따라 슬라이딩 창호(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고정창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건축물의 개구부를 창짝 또는 문짝을 이동시켜 개폐하는 일반창호와 창호의 기밀성, 수밀성, 단열성, 방음성, 내풍압성 등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창틀(문틀 포함)과 창짝(문짝 포함)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특수한 하드웨어가 포함된 시스템창호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창호 중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창호는 창짝 개방시 핸들(개폐장치)의 회전 작동에 의해 창짝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창짝 폐쇄시에는 핸들의 회전 작동을 통해 창짝을 내려주어 창틀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창짝이 창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구비하여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등을 향상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한편, 창호의 외관 디자인과, 내구성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합 재질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복합 재질의 창호는 창호의 기본 골격인 프로파일은 열복사와 결로 현상에 장점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하고, 외관에서 보여지는 부분은 사용자의 심미감을 자극시킬 수 있는 재질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복합 재질 창호는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에 판 형의 알루미늄 캡을 단순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거나,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롤링으로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순 끼움 결합 방식에 따르면, 알루미늄 캡과 프로파일 사이의 결착력을 강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창틀과 창짝의 코너부에서 단차가 발생하여 누수 및 누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프로파일에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알루미늄 캡과 결합하는 방식에 따르면, 알루미늄 캡 절단 시에 전용 절단기를 필요로 하는 등 가공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는 창짝이 창틀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구비하여 창호의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코너부의 누기와 누수가 더욱 증가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부자재를 결합하거나, 실외 측에 실리콘 처리공정을 수행하고 있으나, 누수 방지와 외관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복합 재질 창호(이하, 복합 창호)에서 리프트 슬라이딩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누수를 최소화하고 외관을 향상시키면서 가공 작업성이 향상되는 기술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창틀 마갑캡과의 프로파일 사이의 체결력을 향상시켜서 창틀 마감캡의 들뜸 현상이나 이탈을 최소화하는 복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 마감캡이 구비된 창틀의 코너 부분에 틈새 발생을 최소화하는 복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동일한 재질이 연속되는 마감 구조를 구현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복합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창호는 창틀부와, 상기 창틀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을 포함하는 창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부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창틀프로파일과,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외면에 끼움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을 포함하는 창틀 마감캡과, 상기 창짝부에 포함된 실외측 창짝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상면에 결합되고 단열 재질의 레일단열재가 구비된 레일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은,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 상호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평 창틀캡 및 상기 수직 창틀캡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로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창틀 마감캡에 구비된 상기 중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창틀 마감캡은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실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외측 창틀캡과,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실내측을 향하는 내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내측 창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짝부는 상기 창틀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창짝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창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조립체는 상기 실외측 창짝을 지지하는 실외측 레일을 포함하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레일몸체와, 상기 제1 레일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외측 창틀캡에 접하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레일몸체와, 상기 제1 레일몸체와 상기 제2 레일몸체의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단열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창틀프로파일에 끼움결합되는 상기 레일단열재와, 상기 제2 레일몸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단열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커버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틀부는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실내측 창짝과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실내측 레일에 끼움결합되는 레일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창짝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의 실내 측을 향하는 면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과 함께 레일홈을 형성하고, 중공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창짝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은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과, 결합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창짝은 상기 창틀프로파일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실내측 창짝은, 한 쌍의 상기 실내측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창짝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 및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결합되게 구비되고 단열 재질을 포함하는 제1 단열재와, 상기 제1 단열재를 커버하게 구비되며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단열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창짝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끼움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제1 방풍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재는 한 쌍의 상기 실내측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창짝들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후크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풍틀에 의해 커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실외측 창짝등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실외측 창짝은, 외측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외측 창짝프로파일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과, 상기 외측 창짝프로파일의 내면과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재질의 프로파일 및 부재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복합 창호는 창틀 마감캡이 창틀 프로파일에 다중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금속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 및/또는 부재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의해 창틀 마감캡의 들뜸, 이격 현상이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이음부의 마감이 미려하여 창호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와 체결홈을 통해 창틀 마감캡의 수직 창틀캡과 수평 창틀캡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창틀 마감캡의 코너 부분에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동일한 재질인 금속재질의 프로파일 및/또는 부품이 연속되는 마감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창호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창틀 마감캡 및/또는 레일조립체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외부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이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재질의 연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이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재질의 연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복합 창호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외부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창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을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이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재질의 연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측 창짝의 여밈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B-B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 창호(10)는 창틀부(100)와, 창짝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부(100)는 복합 창호(10)의 주 외곽틀을 이룰 수 있다.
창짝부(200)는 창틀부(10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창과 내부창을 포함하는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짝부(200)는 실외측 창짝(210)과, 실내측 창짝(2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 창짝(210)은 창틀부(100)에 설치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창짝(250)은 창틀부(100)에 설치되고 실외측 창짝(210)로부터 실내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금속 재질의 프로파일과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이 서로 결합되어 복합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측 창짝(250)과 실외측 창짝(210)을 포함하여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창호(10)는 이중창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창 구조 또는 삼중 이상의 다중창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측 창짝(250)이 복수로 구비되어 삼중 이상의 다충창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창틀부(100)는 창틀프로파일(110)과 창틀 마감캡(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프로파일(110)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틀프로파일(110)은 복수의 프로파일이 조립되어 사각 틀을 이룰 수 있고, 예를 들어 창틀프로파일(110)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 라 함)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창틀 마감캡(130)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외면을 마감하도록 구비되고 창틀프로파일(110)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중공(h)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틀 마감캡(130)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실외측을 향하는 면과 실내측을 향하는 면을 마감하기 위한 부품이다. 창틀 마감캡(13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창틀프로파일(110)에 금속 재질의 창틀 마감캡(130)을 결합한 복합 재질의 창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마감캡(130)은 내부에 중공(h)이 형성되고, 창틀프로파일(110)에 다중 걸림구조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 마감캡(130)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창틀프로파일(110)에는 결합돌기가 후크 걸림 등의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창틀 마감캡(130)이 판 형으로 형성되고 창틀프로파일(110)에 단순 부착되어 마감캡과 창틀프로파일(110)의 결착력을 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마감캡(130)은 창틀프로파일(110)과 다중으로 끼움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창틀프로파일(110)과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창틀 마감캡(130)은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과, 체결홈(s)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창틀캡(130a)은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창틀캡(130b)은 수평 창틀캡(130a)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창틀캡(130a)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수평부재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 창틀캡(130b)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수직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코너 부분에서 결합될 수 있고,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이 서로 접하는 면은 지면에 대하여 45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체결부재(140)는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 상호간을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40)는 수평 창틀캡(130a) 및 수직 창틀캡(130b)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체결부재(14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을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체결홈(s)은 체결부재(140)가 체결되도록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홈(s)은 창틀 마감캡(130)에 구비된 중공(h)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140)인 체결스크류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마감캡(130)은 판 형의 단순한 형태로 구비된 것이 아닌, 중공(h)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창틀프로파일(110)에 다중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구현함과 동시에, 수평 창틀캡(130a)과 수직 창틀캡(130b)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4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홈(s)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 마감캡(130)이 창틀프로파일(110)에 다중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창틀 마감캡(130)의 체결력이 향상되고, 이에 의해 창틀 마감캡(130)의 들뜸 현상이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40)와 체결홈(s)을 통해 창틀 마감캡(130)의 수직 창틀캡(130b)과 수평 창틀캡(130a)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창틀 마감캡(130)의 코너 부분에서 들뜸 현상이나 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 마감캡(13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별도의 부자재를 결합하거나 실리콘 처리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가공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생산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창틀 마감캡(130)은 외측 창틀캡(131)과, 내측 창틀캡(135)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창틀캡(131)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실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측 창틀캡(135)은 창틀프로파일(110)의 실내측을 향하는 내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창틀캡(131)과 내측 창틀캡(135) 각각은 상술한 창틀 마감캡(13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외측 창틀캡(131)과 내측 창틀캡(135) 각각은 수직 창틀캡(130b)과 수평 창틀캡(130a) 및 체결홈(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측 창틀캡(131)과 내측 창틀캡(135)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창틀프로파일(11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32,13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창틀부(100)에 설치되고 실외측 창짝(2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방충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충창(400)은 창틀부(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창틀캡(131)은 방충창레일(133)과 보조레일(134)이 형성될 수 있다. 방충창레일(133)에는 방충창(4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조레일(134)은 방충창레일(133)의 외측에 형성되어, 방충창(400)의 개폐 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창틀캡(131)은 방충창레일(133)과 보조레일(134)을 포함한 이중 레일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방충창(40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외측 창틀캡(131)은 상기한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합 창호(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복합 창호(10)의 외측에 고정창(350)이 설치되는 경우, 외측 창틀캡(131)에는 방충창레일(133)과 보조레일(134)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창틀캡(131)은 창틀프로파일(110)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레일조립체(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창틀부(100)는 레일조립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조립체(150)는 창틀프로파일(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실외측 창짝(2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측 창짝(210)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실외측 창짝(210) 중 적어도 하나는 창틀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조립체(150)는 창틀프로파일(110)의 상면에 조립되며 실외측 창짝(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실외측 창짝(21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조립체(150)는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와, 레일단열재(154) 및, 커버몸체(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몸체(151)는 실외측 창짝(210)을 지지하는 실외측 레일(152)을 포함하고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실외측 레일(152)은 실외측 창짝(210)의 레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롤러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레일몸체(151)는 창틀 마감캡(130)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몸체(151)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몸체(151)에도 창틀프로파일(110)에 걸려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몸체(153)는 제1 레일몸체(15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외측 창틀캡(131)에 접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몸체(153)는 제1 레일몸체(151)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레일몸체(153)는 적어도 외측 창틀캡(131)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외측 창틀캡(131)과 연속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는 중공(h)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나사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중공(h)에 체결홈(s)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 각각은, 이에 구비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체결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레일단열재(154)는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의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단열 재질로 마련되며 창틀프로파일(11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단열재(154)는 폴리아미드(Polyamide)로 마련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재질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선팽창계수가 알루미늄 재질과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로 된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의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합할 수 있다. 다만 레일단열재(154)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단열재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일단열재(154)는 제1 레일몸체(151)로부터 제2 레일몸체(153)를 향하는 방향으로 광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제1 레일몸체(151)와 제2 레일몸체(153) 사이를 효과적으로 단열할 수 있다.
또한 레일단열재(154)는 제1 레일몸체(151)의 조립홈과 제2 레일몸체(153)의 조립홈에 삽입되는 조립돌기(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단열재(154)는 제1 레일몸체(151) 및 제2 레일몸체(153)와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단열재(154)는 창틀프로파일(110)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15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조립체(150)는 레일단열재(154)를 보호하도록 레일단열재(154)를 커버하는 레일단열커버(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단열커버(155)는 레일단열재(154)와 동일한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몸체(156)는 제2 레일몸체(153)의 상부에 끼움결합되고 제2 레일몸체(153)와 레일단열재(154)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몸체(156)는 제2 레일몸체(153)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156a)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레일몸체(153)와 커버몸체(156)를 커버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레일단열재(154)와 커버몸체(15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몸체(156)는 제2 레일몸체(153) 및 실외측 창짝(210)과 함께 알루미늄 재질이 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몸체(156)는 복합 창호(10)의 구조에 따라 형상과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리난간대(310)가 설치되는 경우에, 커버몸체(156)의 상면은 유리난간대(310)와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레일단열재(154)를 커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창(350)이 설치되는 경우 레일단열재(154)를 커버하는 역할과 동시에, 고정창(35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실내측 창짝(250)은 창틀프로파일(110)에 리프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창틀프로파일(110)은, 창짝을 향하는 면인 바닥면(113)과, 바닥면(113)으로부터 돌출되고 실내측 창짝(2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실내측 레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레일(111)은 실내측 창짝(250)의 레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롤러를 지지할 수 있다. 실내측 레일(111)은 창틀프로파일(1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내측 창짝(250)은 리프트 슬라이딩(Lift Sliding) 창호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창호를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를 돌리는 경우, 실내측 창짝(250)이 실내측 레일(111)로부터 일정 거리 들어 올려져 조용하고 부드럽게 열리고, 닫힌 상태에서는 실내측 창짝(250)과 실내측 레일(111)이 밀착되어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구조적 특성상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창짝(250)과 창틀프로파일(110)의 바닥면(113)이 이격되어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구비된 창틀부(100)는 레일마감캡(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마감캡(170)은 바닥면(113)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마감캡(170)은 실내측 창짝(250)과 바닥면(113)에 밀착되도록 실내측 레일(1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마감캡(17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창틀프로파일(110)은 실내측 레일(111)의 실내 측에 구비된 물막이턱(112)과 실내측 레일(111)의 실외측에 구비된 중간레일(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마감캡(170)은 실내측 레일(111)들 사이, 실내측 레일(111)과 물막이턱(112) 사이, 실내측 레일(111)과 중간레일(114)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측 창짝(250)과 바닥면(11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레일마감캡(170)은 실내측 레일(111)과 중간레일(114)과 물막이턱(112)에 걸려서 끼움결합되도록, 측면에 결합돌기(171)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마감캡(170)은 리프트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동되는 실내측 창짝(250)과 바닥면(113)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또한 레일마감캡(17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창틀프로파일(110)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틀부(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인, 외측 창틀캡(131)과, 제2 레일몸체(153)와, 커버몸체(156)와, 실외측 창짝(210) 및 레일마감캡(170)이 금속 재질(일례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서, 동일한 재질이 연속되게 구비됨으로써, 창호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측 창짝(250)은 제1 창짝프로파일(251)과, 제2 창짝프로파일(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창짝프로파일(251)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실내측 창짝(250)의 외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창짝프로파일(251)은 PVC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창짝프로파일(251)의 내부에는 스틸 재질의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제1 창짝프로파일(251)의 실내 측을 향하는 면에 끼움결합되고, 제1 창짝프로파일(251)과 함께 레일홈을 형성하고, 중공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실내측 창짝(250)은 합성수지 재질의 프로파일과 금속 재질의 프로파일이 결합된 복합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재질로 된 제2 창짝프로파일(253)이 실내측에 배치됨으로써, 내측 창틀캡(135)과 재질의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합 창호(10)의 디자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창짝프로파일(251)은 중공(h)을 포함한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이에 대응되게 중공(h)을 포함한 프로파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창짝프로파일(251)과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함께 레일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복수의 결합돌기(254)를 포함하고 제1 창짝프로파일(251)과 다중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와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단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제2 창작프로파일은 결합부재(미도시)와 체결홈(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을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는 스크류부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체결홈(s)은 결합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홈(s)은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의 중공(h)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2 창짝프로파일(253)은 제1 창짝프로파일(251)에 다중으로 결합가능하여, 제1 및 제2 창짝프로파일(253)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와 체결홈(s)을 통해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253)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2 창짝프로파일(253)의 코너부분에서 들뜸 현상이나 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는 부분인 제2 창짝프로파일(253)을 금속재질로 구비함으로써, 내측 창틀캡(135)과 함께 재질의 연속성을 이루어서 창호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실내측 창짝(250)은, 제1 단열재(260)와 제1 방풍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재(260)는 한 쌍의 실내측 창짝(250)이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창짝(250)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여밈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제1 창짝프로파일(251) 및 제2 창짝프로파일(253)에 결합되게 구비되고 단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열재(26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단열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단열재(260)는 단열부(263)와 결합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263)는 한 쌍의 실내측 창짝(250)이 닫힌 상태에서 실내측 창짝(250)들의 사이 공간에 개재될 수 있다. 단열부(263)는 중공(h)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263)에 의해 한 쌍의 실내측 창짝(250) 사이의 열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단열부(263)에는 제1 방풍틀(270)의 돌기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기 위한 걸림홈(26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61)는 단열부(263)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창짝프로파일(251)과 제2 창짝프로파일(253)에 후크결합되는 결합돌기(262)를 포함하고, 제1 방풍틀(27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1 방풍틀(270)은 제1 단열재(260)를 커버하게 구비되며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측이 제1 단열재(260)와 타측이 제1 창짝프로파일(251) 또는 제2 창짝프로파일(253)에 끼움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풍틀(270)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풍틀(270)은 제1 단열재(260)와 창짝프로파일에 동시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1 단열재(260)와 제1 창짝프로파일(251)을 커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실내측에서 보았을 때, 제2 창짝프로파일(253)과 재질의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창호의 디자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실외측 창짝(21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측 창짝(210)들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실외측 창짝(210)은, 외측 창짝프로파일(211)과, 보강부재(213)와, 단열커버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213)는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213)는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보강부재(213)는 스틸 재질로 마련되므로 외기의 온도를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단열커버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커버부재(214)는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의 내면과 보강부재(213)의 외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단열커버부재(214)는 보강부재(213)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강부재(213)의 실내 측을 향하는 면과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커버부재(214)에 의해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에 스틸 재질의 보강부재(213)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호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스틸 재질의 보강부재(213)에 의해 풍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실외측 창짝(210) 각각은, 제2 단열재(220)와, 제2 방풍틀(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재(220)는 한 쌍의 실외측 창짝(210)이 닫힌 상태에서 실외측 창짝(210)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에 결합되게 구비되고 단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열재(220)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단열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방풍틀(230)은 제2 단열재(220)를 커버하게 구비되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2 단열재(220)와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에 끼움결합되며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풍틀(230)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풍틀(230)은 제2 단열재(220)와 외측 창짝프로파일(211)에 동시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2 단열재(220)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외측에서 보았을 때, 외측 창짝프로파일(211)과 재질의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창호의 디자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창호를 이용하면 창틀 마감캡이 창틀프로파일에 다중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체결력이 향상되고, 이에 의해 창틀 마감캡의 들뜸 현상이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와 체결홈을 통해 창틀 마감캡의 수직 창틀캡과 수평 창틀캡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창틀 마감캡의 코너 부분에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측과 실외 측에, 동일한 재질이 연속되는 마감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복합 창호 100: 창틀부
110: 창틀프로파일 111: 실내측 레일
112: 물막이턱 113: 바닥면
130: 창틀 마감캡 130a: 수평 창틀캡
130b: 수직 창틀캡 131: 외측 창틀캡
132: 결합돌기 133: 방충창레일
134: 보조레일 135: 내측 창틀캡
136: 결합돌기 140: 체결부재
150 레일조립체 151: 제1 레일몸체
152: 실외측 레일 153: 제2 레일몸체
154: 레일단열재 154a: 조립돌기
154b: 결합돌기 155: 레일단열커버
156: 커버몸체 170: 레일마감캡
200: 창짝부 210: 실외측 창짝
211: 외측 창짝프로파일 213: 보강부재
214: 단열커버부재 220: 제2 단열재
230: 제2 방풍틀 250: 실내측 창짝
251: 제1 창짝프로파일 253: 제2 창짝프로파일
254: 결합돌기 260: 제1 단열재
261: 결합부 262: 결합돌기
263: 단열부 264: 걸림홈
270: 제1 방풍틀 310: 유리난간대
350: 고정창 400: 방충창
s: 체결홈 h: 중공
110: 창틀프로파일 111: 실내측 레일
112: 물막이턱 113: 바닥면
130: 창틀 마감캡 130a: 수평 창틀캡
130b: 수직 창틀캡 131: 외측 창틀캡
132: 결합돌기 133: 방충창레일
134: 보조레일 135: 내측 창틀캡
136: 결합돌기 140: 체결부재
150 레일조립체 151: 제1 레일몸체
152: 실외측 레일 153: 제2 레일몸체
154: 레일단열재 154a: 조립돌기
154b: 결합돌기 155: 레일단열커버
156: 커버몸체 170: 레일마감캡
200: 창짝부 210: 실외측 창짝
211: 외측 창짝프로파일 213: 보강부재
214: 단열커버부재 220: 제2 단열재
230: 제2 방풍틀 250: 실내측 창짝
251: 제1 창짝프로파일 253: 제2 창짝프로파일
254: 결합돌기 260: 제1 단열재
261: 결합부 262: 결합돌기
263: 단열부 264: 걸림홈
270: 제1 방풍틀 310: 유리난간대
350: 고정창 400: 방충창
s: 체결홈 h: 중공
Claims (8)
- 창틀부와, 상기 창틀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창짝을 포함하는 창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부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창틀프로파일;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외면에 끼움결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금속 재질의 수평 창틀캡과 수직 창틀캡을 포함하는 창틀 마감캡; 및
상기 창짝부에 포함된 실외측 창짝을 지지하도록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상면에 결합되고 단열 재질의 레일단열재가 구비된 레일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은, 상기 수평 창틀캡과 상기 수직 창틀캡 상호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 마감캡은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실외측을 향하는 외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외측 창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조립체는
제1 레일몸체 및 상기 제1 레일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레일몸체;
상기 제1 레일몸체와 상기 제2 레일몸체의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단열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창틀프로파일에 끼움결합되는 상기 레일단열재;
상기 레일단열재를 보호하도록 상기 레일단열재를 커버하는 레일단열커버; 및
상기 제2 레일몸체의 상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레일몸체와 상기 레일단열재 및 상기 레일단열커버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는 복합 창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수평 창틀캡 및 상기 수직 창틀캡에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로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창틀 마감캡에 구비된 상기 중공에 형성되는 복합 창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마감캡은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실내측을 향하는 내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내측 창틀캡;을 더 포함하는 복합 창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부는 상기 창틀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측 창짝의 내측에 배치되는 실내측 창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몸체는 상기 실외측 창짝을 지지하는 실외측 레일을 포함하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레일몸체는 상기 외측 창틀캡에 접하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복합 창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부는 상기 창틀프로파일의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실내측 창짝과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실내측 레일에 끼움결합되는 레일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복합 창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짝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창짝프로파일; 및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의 실내 측을 향하는 면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과 함께 레일홈을 형성하고, 중공부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창짝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은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의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과, 결합부재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 제2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수직 제2 창짝프로파일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복합 창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창짝은 상기 창틀프로파일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실내측 창짝은,
한 쌍의 상기 실내측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창짝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 및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결합되게 구비되고 단열 재질을 포함하는 제1 단열재; 및
상기 제1 단열재를 커버하게 구비되며 수직하게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단열재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1 창짝프로파일 또는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끼움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제1 방풍틀;을 더 포함하는 복합 창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재는
한 쌍의 상기 실내측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실내측 창짝들의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단열부; 및
상기 단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제2 창짝프로파일에 후크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풍틀에 의해 커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실외측 창짝등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실외측 창짝은, 외측 창짝프로파일과, 상기 외측 창짝프로파일의 내부 중공부에 삽입되는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과, 상기 외측 창짝프로파일의 내면과 상기 보강부재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복합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186A KR102654729B1 (ko) | 2021-06-10 | 2021-06-10 | 복합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5186A KR102654729B1 (ko) | 2021-06-10 | 2021-06-10 | 복합 창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6446A KR20220166446A (ko) | 2022-12-19 |
KR102654729B1 true KR102654729B1 (ko) | 2024-04-05 |
Family
ID=8453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5186A KR102654729B1 (ko) | 2021-06-10 | 2021-06-10 | 복합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472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8360B1 (ko) * | 2013-05-08 | 2013-09-16 |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
KR101913569B1 (ko) * | 2018-04-24 | 2018-10-31 | 합자회사 대동창호 |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5007B1 (ko) * | 2013-12-30 | 2015-12-07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
KR101947224B1 (ko) * | 2015-10-28 | 2019-02-12 | (주)엘지하우시스 | 복합 소재 창호 |
KR20190022179A (ko) * | 2017-08-25 | 2019-03-06 | 주식회사 케이씨씨 | 다중 챔버를 구비한 창짝과 이를 포함한 창호 |
-
2021
- 2021-06-10 KR KR1020210075186A patent/KR102654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8360B1 (ko) * | 2013-05-08 | 2013-09-16 |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
KR101913569B1 (ko) * | 2018-04-24 | 2018-10-31 | 합자회사 대동창호 |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6446A (ko) | 2022-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2298B1 (ko) | 알루미늄과 피브이씨를 적용한 복합 미서기 이중창 시스템 창호 | |
EP2672051B1 (en) | Door or window | |
US12091906B2 (en) | Thermally enhanced multi-component glass doors and windows | |
KR20130133451A (ko) |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 |
KR101230032B1 (ko) | 커튼월형 창호 | |
KR102654729B1 (ko) | 복합 창호 | |
JP2002121969A (ja) | 上げ下げ窓 | |
JP2003120136A (ja) | 複層ガラス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US11634941B2 (en) | Window/shutter/door for outdoor settings | |
CN218150457U (zh) | 一种新型无中挺对开窗纱一体式结构 | |
US20070186494A1 (en) | Joinery system | |
JPH10331526A (ja) | 引違い窓 | |
JP2002242542A (ja) | サッシ窓の製造方法 | |
JP2021510781A (ja) | 保護プロファイルを備える開放可能ガラス構造 | |
CN210003120U (zh) | 一种构建防火安全窗用的中框型材 | |
US12000202B2 (en) | Clear view panel for overhead door | |
CN216406554U (zh) | 一种省料的断桥铝外开窗 | |
KR200196530Y1 (ko) | 베란다용 난간구조 | |
CN216406555U (zh) | 一种简易断桥铝外开窗 | |
EP3740640B1 (en) | Frameless casement with u-shaped profile | |
JP2002004729A (ja) | サッシ窓の施工方法 | |
JPH108843A (ja) | サッシ窓 | |
JPS6128869Y2 (ko) | ||
AU2014100446A4 (en) | Improved Glazed Unit and Method of Glazing | |
BG3140U1 (bg) | Система за остъкляван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