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85B1 -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85B1
KR101692385B1 KR1020160014403A KR20160014403A KR101692385B1 KR 101692385 B1 KR101692385 B1 KR 101692385B1 KR 1020160014403 A KR1020160014403 A KR 1020160014403A KR 20160014403 A KR20160014403 A KR 20160014403A KR 101692385 B1 KR101692385 B1 KR 10169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window
curtain wal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금속
Priority to KR102016001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커튼월 창호 시공을 위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에 결합부가 구비된 고정 프레임, 일단이 결합부에 결합 설치되며, 측 방향에 유리창이 설치되는 연결 부재, 및 연결 부재의 타단에 결합 설치되되, 유리창의 단부에서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외부 캡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Frame Structure for Curtain Wall Type Window Construction}
본 발명은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월 창호를 시공함에 있어서, 유리창 단부에 설치된 외부 캡 부위에서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건물 내,외부의 열차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커튼월 창호는 연속 설치된 유리창 사이의 결합 구조에서의 단열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여 건물 내,외부의 열차단율이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커튼월 창호에서는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유리창의 단부에 외부 캡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외부 캡의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단열 금속 재료로 외부 캡을 제작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외부 캡을 알루미늄 등의 단열 금속 재료로 제작하는 방법만으로는 최근 요구되고 있는 커튼월 창호에서의 보다 높은 수준의 단열 성능을 구현하기에 부족하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 창호를 시공함에 있어서, 유리창 단부에 설치된 외부 캡 부위에서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건물 내,외부의 열차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는, 커튼월 창호 시공을 위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에 결합부(110)가 구비된 고정 프레임(100); 일단이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 설치되며, 측 방향에 유리창(300)이 설치되는 연결 부재(130); 및 상기 연결 부재(130)의 타단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에서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외부 캡(2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110)에는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캡(200)과 상기 고정 프레임(10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튼월 창호를 시공함에 있어서, 유리창 단부에 설치된 외부 캡 부위에서의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건물 내,외부의 열차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창 단부에서의 단열 성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리창 설치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창 단부에서의 단열 성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 설치된 고정 프레임과 외부 캡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창의 측단부에서의 단열 성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시공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시공 단면도, 및
도 5는 도 4에서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시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는 고정 프레임(100), 연결 부재(130), 외부 단열재(150), 외부 캡(200), 및 내부 단열재(25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 프레임(100)은 커튼월 창호 시공을 위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일면에는 결합부(110)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캡(200)은 유리창(300)의 단부에서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연결 부재(130)를 통해 고정 프레임(100)의 결합부(110)에 연결 설치된다.
연결 부재(130)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을 연결 설치하며, 연결 부재(130)의 일단은 고정 프레임(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10)에 결합 설치되며, 연결 부재(130)의 타단은 외부 캡(200)의 내부에 구비된 결합홈(211)에 결합 설치된다.
한편, 연결 부재(130)는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을 연결함과 동시에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이격 공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스페이서(350)에 의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유리창(300)이 삽입 설치된다.
즉, 연결 부재(130)의 측 방향에는 스페이서(350)에 의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유리창(300)이 설치되며, 해당 유리창(300)은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의 공간에서 실링부(37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캡(200)의 내측에는 외부 캡(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단열재(250)가 삽입 설치되는 공간인 결합구(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외부 캡(20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 단열재(250)가 설치됨으로써, 외부 캡(200)에 의한 외기 차단 및 단열 효율은 더욱 개선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된 결합부(110)에는 결합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외부 단열재(150)가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유리창(300)의 단부가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 설치됨에 있어서, 유리창(300)의 단부와 고정 프레임(100) 사이에는 외부 단열재(150)가 게재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된 결합부(110)와 외부 단열재(15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외부 단열재(150)는 고정부(151), 고정부(151)에서 연장 형성된 본체부(153), 및 본체부(153)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부(155)를 포함하며, 결합부(110)는 연결 부재(130)가 결합되는 결합홈(111), 외부 단열재(15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홈(113), 및 일면이 부분 개방된 고정홈(113)에서의 개구부의 양단부인 개구 단부(115)를 포함한다.
먼저, 외부 단열재(150)의 고정부(151)는 결합부(110)의 고정홈(113)에 삽입 설치되며, 고정홈(113)에는 개구 단부(115)가 상,하측에 각각 일체로서 형성됨으로써, 외부 단열재(15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 결과, 외부 단열재(15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한다.
즉, 외부 단열재(150)의 도 3에서의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측에 형성된 개구 단부(115)에 고정부(151)가 걸림으로써 저지되며, 외부 단열재(150)의 도 3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은 하측에 형성된 개구 단부(115)에 본체부(153)가 걸림으로써 저지된다.
또한, 외부 단열재(150)의 도 3에서의 위쪽으로의 이동은 상측에 형성된 개구 단부(115)에 본체부(153)가 걸림으로써 저지되고, 외부 단열재(150)의 도 3에서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하측에 형성된 개구 단부(115)에 고정부(151)가 걸림으로써 저지된다.
한편, 본체부(153)는, 일면은 개구 단부(115)에 연결되고 있고, 타면은 유리창(300)이 부착됨으로써 유리창(300)을 결합부(110)에 연결 설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단열재(150)의 도 3에서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지지부(155)가 결합홈(111)의 외부면에 걸림으로써 또한 저지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 프레임(100)에 구비된 결합부(110)와 외부 단열재(150)의 결합 구조로 인해, 실링부(370)를 통해 외부 단열재(150)와 결합된 유리창(300)의 단부가 외부 하중으로 인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우에 외부 단열재(150)는 고정 프레임(100)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유리창(300)의 단부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결과 유리창(300)의 설치 구조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정 프레임(100)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외부 단열재(15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업자가 유리창(300)의 단부를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설치함에 있어서, 외부 단열재(150)에 의한 유리창(300)의 단부의 받침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유리창(300)의 결합 설치에 있어서의 시공 용이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시공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는 고정 프레임(100), 보강 단열재(170), 연결 부재(130), 및 외부 캡(200)을 포함한다.
도 4에서의 고정 프레임(100), 연결 부재(130), 및 외부 캡(200)의 상호 결합 구조 및 기능은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에서의 고정 프레임(100), 연결 부재(130), 및 외부 캡(200)과 동일하다.
다만,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에는 보강 단열재(17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130)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보강 단열재(170)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캡(200)에서의 단열 성능, 유리창(300)의 단부에서의 단열 성능, 및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의 단열 성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설치된 보강 단열재(170)는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충진시킴으로써 연결 부재(130)를 통해 결합 설치된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프레임(100)과 외부 캡(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 보강 단열재(170)는 도 5에서와 같이 일단은 고정 프레임(100)의 결합부(110)에 구비된 개구 단부(115)에 결합 설치되고, 타단은 외부 캡(200)의 내부면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보강 단열재(170)는 고정 프레임(100) 및 외부 캡(200)과의 일체로서의 거동 특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에는 유리창(300)의 측단부에 측부 단열재(370)를 설치함으로써 유리창(300)의 측단부에서의 단열 성능을 보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고정 프레임, 110: 결합부,
111,211: 결합홈, 113: 고정홈,
115: 개구 단부, 130: 연결 부재,
150: 외부 단열재, 170: 보강 단열재,
200: 외부 캡, 230: 결합구,
250: 내부 단열재, 300: 유리창,
330: 실링부, 350: 스페이서,
370: 측부 단열재.

Claims (3)

  1. 커튼월 창호 시공을 위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면에 결합부(110)가 구비된 고정 프레임(100);
    일단이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 설치되며, 측 방향에 유리창(300)이 설치되는 연결 부재(130);
    상기 연결 부재(130)의 타단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에서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며,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외부 캡(200); 및
    상기 결합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10)에 결합 설치되는 외부 단열재(15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 설치되는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와 상기 고정 프레임(100) 사이에 상기 외부 단열재(150)가 게재되고,
    상기 외부 단열재(150)는,
    상기 결합부(110)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부(151), 상기 고정부(151)에서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153), 및 상기 본체부(153)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15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연결 부재(130)가 결합되는 결합홈(111), 상기 외부 단열재(150)의 상기 고정부(151)가 삽입 설치되는 고정홈(113), 및 일면이 부분 개방된 상기 고정홈(113)에서의 개구부의 양단부인 개구 단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113)에는 상기 개구 단부(115)가 양측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부 단열재(150)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본체부(153)의 일면은 상기 개구 단부(115)에 연결되어 있고, 타면은 상기 유리창(300)이 부착되며,
    상기 외부 단열재(150)의 상기 지지부(155)는 상기 연결 부재(130)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111)의 외부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외부 단열재(150)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0)에는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의 이동을 저지하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300)의 단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인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20160014403A 2016-02-04 2016-02-04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169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03A KR101692385B1 (ko) 2016-02-04 2016-02-04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03A KR101692385B1 (ko) 2016-02-04 2016-02-04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385B1 true KR101692385B1 (ko) 2017-01-03

Family

ID=5779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403A KR101692385B1 (ko) 2016-02-04 2016-02-04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16B1 (ko) * 2018-01-12 2019-05-31 (주) 예광창호 커튼 월
KR102121166B1 (ko)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CN112211533A (zh) * 2020-10-17 2021-01-12 安徽宇之瀚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保温隔热铝合金门窗
KR20210043336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경연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2615289B1 (ko) * 2023-06-23 2023-12-19 주식회사 대진산업 방화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40A (ko) * 2010-03-09 2011-09-1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멀리언 및 트랜섬 체결 기구
KR101203941B1 (ko) * 2012-03-23 2012-11-22 (주)융기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101273960B1 (ko) * 2013-04-03 2013-06-12 주식회사 중앙알텍 커튼월 어셈블리
KR101305147B1 (ko) *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40A (ko) * 2010-03-09 2011-09-1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멀리언 및 트랜섬 체결 기구
KR101203941B1 (ko) * 2012-03-23 2012-11-22 (주)융기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101273960B1 (ko) * 2013-04-03 2013-06-12 주식회사 중앙알텍 커튼월 어셈블리
KR101305147B1 (ko) * 2013-05-28 2013-09-12 주식회사 디엔건설산업 리브가스켓을 갖는 커튼월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16B1 (ko) * 2018-01-12 2019-05-31 (주) 예광창호 커튼 월
KR20210043336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경연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2394291B1 (ko) * 2019-10-11 2022-05-04 주식회사 경연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2121166B1 (ko) 2020-01-10 2020-06-09 이지영 광투과율 조절기능을 가진 방화단열 커튼월
CN112211533A (zh) * 2020-10-17 2021-01-12 安徽宇之瀚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保温隔热铝合金门窗
KR102615289B1 (ko) * 2023-06-23 2023-12-19 주식회사 대진산업 방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85B1 (ko) 커튼월 창호 시공용 프레임 구조체
KR101334229B1 (ko) 커튼월 유닛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854143B1 (ko) 커튼월 유닛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717570B1 (ko) 창틀 프레임 구조체
KR102183010B1 (ko) 내진성능을 갖는 단열 커튼월 시스템
JP2018071237A (ja) 建具
KR101710526B1 (ko) 창문과 창문 틀 프레임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0764145B1 (ko) 페어그라스 및 창문의 고정구조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153944B1 (ko) 실내시공이 용이한 방충망 구조
KR101932983B1 (ko) 커튼월 창호 시공 방법
KR101956069B1 (ko) 3d 단열 시스템
KR101234284B1 (ko) 문짝 및 폐쇄창의 설치용 유리 실외 끼움 창호프레임 구조
KR101569494B1 (ko) 창호용 프로파일
KR101591091B1 (ko) 커튼 월
JP7098541B2 (ja) 建物の壁構造、サッシ及び建物の壁の構築方法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094461B1 (ko) 창호
JP6697238B2 (ja) 下枠及び建具
KR101847089B1 (ko) 이격된 유리창 고정부를 갖는 내진형 창호프레임
KR101653704B1 (ko) 유리창을 실내에서 장착하는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1818444B1 (ko)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