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398B1 -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398B1
KR101904398B1 KR1020170082813A KR20170082813A KR101904398B1 KR 101904398 B1 KR101904398 B1 KR 101904398B1 KR 1020170082813 A KR1020170082813 A KR 1020170082813A KR 20170082813 A KR20170082813 A KR 20170082813A KR 101904398 B1 KR101904398 B1 KR 10190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indow
horizonta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로
Original Assignee
(유)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테크 filed Critical (유)원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with different frame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는: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 및 수직틀프레임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틀 프레임 유닛;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문프레임과, 상기 수평문프레임의 양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문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수평틀프레임과 수직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되게 마련되고, 외부 표면상으로는 나무 질감이 표현되도록 마련된 단열 마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단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며, 흡음 및 흡습성도 우수해지도록 하고,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외관도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는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window frame assembly improved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건물은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구분하고, 시야 확보와 채광성을 확보하는 창 유리를 구비하는 창호를 과거의 건물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설치 시공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의 창호 기술은 상기와 같이 건물에 시공되는 창호의 안정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력벽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재질의 벽체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다소 부족한 유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창호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창문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의 기밀성, 방음성, 단열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19994호는 레일이 구비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수평프레임에는 두 개의 롤러가 장착되도록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롤러유입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에 대응되는 개수로 두 개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외주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창틀과 레일의 연결부위는 상기 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창문의 하중에 견디도록 양측으로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레일의 사이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게 돌출되며, 상기 롤러유입부를 이루는 내측차단판 및 외측차단판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의 양 측면에는 각각 모헤어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홈에는 상기 레일의 차단돌기에 접촉되게 모헤어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격벽의 선단부에 차단재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재삽입홈에는 상기 창틀의 내측 상부면에 접촉되게 차단재가 삽입결합되는 것으로서, 창틀과 창문 사이의 틈새를 더욱 긴밀하게 차단하였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134319호는 창틀과, 유리창을 결합하고 상기 창틀의 레일에 안착하는 호차를 양측의 레일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레일홈에 결합하고 상기 양측의 레일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T형 내측요홈에 모헤어를 결합한 창문프레임이 슬라이드 개폐가능케 설치되는 좌,우 창문으로 구성된 슬라이드 창호에 있어서, 상기 T형 내측요홈을 상기 양측의 레일프레임의 끝단부에 T형 단부요홈으로 형성하고 이에 조립되어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상기 창틀의 레일 양측의 외측면의 높이를 2/3 이상으로 접촉하는 모헤어를 결합한 방풍몰딩을 조립하고, 상기 T형 단부요홈에 조립되고 상기 레일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좌우 창문프레임의 창문이 만나는 상기 창틀의 레일 간에 형성된 활주공간의 폭 1/2을 메우는 모헤어를 구비한 바람막이 몰딩을 더 구비하여 효과적인 방음 및 방풍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서로 이웃하는 창문 사이와 창문을 닫았을 때 수직창틀과 창문 사이에 모헤어 또는 추가적인 기밀부재를 이용하여도 각각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외풍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고, 단열 기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9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3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하여 단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며, 흡음 및 흡습성도 우수해지도록 하고,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외관도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는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는: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 및 수직틀프레임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틀 프레임 유닛;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문프레임과, 상기 수평문프레임의 양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문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수평틀프레임과 수직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되게 마련되고, 외부 표면상으로는 나무 질감이 표현되도록 마련된 단열 마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 마감 부재는 목재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 마감 부재는 톱날 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물림 돌기로 상기 수평틀프레임과 수직틀프레임에 억지 끼움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단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며, 흡음 및 흡습성도 우수해지도록 하고,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외관도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는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 유닛, 창문 프레임 유닛 및 단열 마감 부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의 평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의 측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창틀 프레임 유닛(100)과, 창문 프레임 유닛(200)과, 단열 마감 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 유닛(100)에 창문 프레임 유닛(20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마감 부재(300)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창틀 프레임 유닛(100)의 전면에 단열 마감 부재(300)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가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창틀 프레임 유닛(1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에서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틀프레임(110)과, 수평틀프레임(110)의 일측과 타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틀프레임(120)과, 수평틀프레임(110) 및 수직틀프레임(1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레일프레임(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 유닛(200)에 구비된 롤러(150)가 안착되어 창문 프레임 유닛(200)을 레일프레임(1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형상의 레일프레임(14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틀프레임(120)에 구비된 레일프레임(140)은 결합돌기(160)가 말단에 구비되어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한다.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은 서로 이웃하는 레일프레임(14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 유닛(100)은 양측으로 기밀부재(171)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기밀프레임(170)을 더 포함한다. 이때, 기밀프레임(170)은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의 타측면 중앙에 타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는 적어도 레일프레임(140)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되어 기밀성을 더욱 증대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기밀프레임(170)의 기밀부재(171)는 모헤어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기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스켓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틀프레임(110)의 기밀프레임(170)은 상 하부 말단이 각각의 수평틀프레임(110)의 기밀프레임(170)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고, 창틀 프레임 유닛(100)은 양측으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기밀부재(171)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양측에 후술할 수직문프레임(220)이 밀착되는 수직기밀프레임(180)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창문 프레임 유닛(200)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이동된 상태, 즉 창문이 닫힌 상태일 때, 수직기밀프레임(180)이 양측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창문 프레임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문프레임(210)과, 수평문프레임(210)의 양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대략 사각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수직문프레임(220)을 포함하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 유닛(100)의 레일프레임(1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문프레임(210)과 수직문프레임(220)은 내측에 창 유리(230)가 설치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문프레임(210)의 내측에 회전축(151)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레일프레임(14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50)가 구비되는 한편, 회전축(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러(150)가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롤러(15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201)을 더 포함한다.
즉,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문프레임(210)은 레일프레임(14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50)가 회전축(151)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롤러(150)가 회전축(15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롤러(15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201)을 내측에 구비하는 것이다.
단열 마감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 유닛(100)의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이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되게 마련되고, 외부 표면상으로는 나무 질감이 표현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미서기 창호에 적용되어 외풍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견고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 마감 부재(300)에 의해 단열 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며, 흡음 및 흡습성도 우수해지도록 하고, 실내를 향해 노출되는 외관도 더욱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단열 마감 부재(300)는 목재를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의 단열 마감 부재(300)의 제조가 간편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단열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마감 부재(300)는 목재와 발포수지를 포함하여 마련되고, 외부 표면상으로는 나무 질감이 표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 프레임 유닛(10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단열 마감 부재(300)는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발포수지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단열 마감 부재(300)를 형성하는 발포수지에는 폐 기저귀와 같은 폐 펄프 재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폐 기저귀와 같은 폐 펄프 재료를 이용하여 자원의 재활용도를 높이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흡음, 흡습 및 단열성이 더욱 증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마감 부재(300)는, 합성 목 재질의 베이스 기재와, 베이스 기재 100 중량부에 45~55 중량부로 혼입된 폐 펄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폐 펄프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이면 단열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고, 5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단열 마감 부재(300)의 내구성이 다소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폐 펄프의 함량은 베이스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45~55 중량부인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에 따라, 합성 목 재질의 베이스 기재에 가장 최적화된 비율로 폐 펄프가 혼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마감 부재(300)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과 내구성 및 흡음, 흡습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기재 100 중량부에는 물 50~70 중량부와,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합성수지 20~40 중량부와, 접착성분으로 된 바인더 5~20 중량부가 함께 혼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기재는 물과 함께 가열하여 반죽 상태가 되도록 하고, 반죽 상태의 베이스 기재에 혼입되는 폐 펄프는 폐 기저귀나 폐 종이를 잘게 분쇄하여 분말 형태가 되도록 한 후, 베이스 기재에 섞이도록 하는데, 이때 용융된 합성수지와 바인더를 함께 투입하여 잘 혼합되도록 섞어 반죽 상태가 되게 한 다음, 발포시켜 압출 또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단열 마감 부재(3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마감 부재(300)는 톱날 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물림 돌기(301)로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에 억지 끼움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수평틀프레임(110) 및 수직틀프레임(120)의 전면에는 물림 돌기(301)의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되고 물림 돌기(301)의 접촉면에 맞물리도록 마찬가지로 톱날 형태의 접촉면을 갖는 끼움 홈(10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열 마감 부재(300)를 창틀 프레임 유닛(100)의 전면에 편리하게 결합 되도록 할 수 있고, 일단 단열 마감 부재(300)를 창틀 프레임 유닛(100)에 결합한 뒤에는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에는 끼움 홈(101)이 약간 벌어지도록 하여 단열 마감 부재(300)를 창틀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 설치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마감 부재(300)가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에 용이한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수평틀프레임(110) 및 수직틀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실내를 향한 방향으로 단부에 쐐기 형상의 측 단면을 갖는 마감재 결합부(130)가 돌출 형성되고, 단열 마감 부재(300)의 후방에는 마감재 결합부(130)에 맞물리도록 마감재 결합부(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물림 홈(310)이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열 마감 부재(3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여러가지 모양으로 변형되어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프레임 유닛(100)의 수평틀프레임(110)과 수직틀프레임(120)에서 단열 마감 부재(300)가 결합된 전면의 후방 내측 홈부에는 단열 마감 부재(300)와 동일한 재질로 오목한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바람 차단 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바람 차단 부재(400)의 오목면에는 단면상 호의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 형성 홈(410)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와류 형성 홈(410)이 형성된 바람 차단 부재(400)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풍은 와류 형성 홈(410)으로 유도되어 더운 외기나 차가운 외기의 열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며, 실내에서 온도 조절된 열은 외부로 빠져나가기 전에 와류 형성 홈(410)에 의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더욱 증대되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와류 형성 홈(410)이 형성된 바람 차단 부재(400)에 의하면 외부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되어 조용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창틀 프레임 유닛 110 : 수평틀프레임
120 : 수직틀프레임 140 : 레일프레임
200 : 창문 프레임 유닛 210 : 수평문프레임
220 : 수직문프레임 300 : 단열 마감 부재
301 : 물림 돌기

Claims (3)

  1.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틀프레임과, 상기 수평틀프레임 및 수직틀프레임에 구비된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으로 구성된 창틀 프레임 유닛;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평문프레임과, 상기 수평문프레임의 양측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수직문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창문 프레임 유닛; 및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수평틀프레임과 수직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기공들이 형성되게 마련되고, 외부 표면상으로는 나무 질감이 표현되도록 마련된 단열 마감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 프레임 유닛의 상기 수평틀프레임과 상기 수직틀프레임에서 상기 단열 마감 부재가 결합된 전면의 후방 내측 홈부에는 상기 단열 마감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오목한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바람 차단 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바람 차단 부재의 오목면에는 단면상 호의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와류 형성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70082813A 2017-06-29 2017-06-29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KR10190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13A KR101904398B1 (ko) 2017-06-29 2017-06-29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13A KR101904398B1 (ko) 2017-06-29 2017-06-29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398B1 true KR101904398B1 (ko) 2018-10-04

Family

ID=6386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13A KR101904398B1 (ko) 2017-06-29 2017-06-29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3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92Y1 (ko) 2004-03-03 2004-08-06 영흥기업(주) 단열패널의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KR100993701B1 (ko) 2010-05-31 2010-11-1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창틀 새시
KR101203941B1 (ko) * 2012-03-23 2012-11-22 (주)융기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101331743B1 (ko) * 2012-11-09 2013-11-20 (주)점보산업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499460B1 (ko) 2014-04-02 2015-03-06 주식회사 알프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392Y1 (ko) 2004-03-03 2004-08-06 영흥기업(주) 단열패널의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KR100993701B1 (ko) 2010-05-31 2010-11-1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창틀 새시
KR101203941B1 (ko) * 2012-03-23 2012-11-22 (주)융기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101331743B1 (ko) * 2012-11-09 2013-11-20 (주)점보산업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499460B1 (ko) 2014-04-02 2015-03-06 주식회사 알프 창호용 측면 풍지판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27457B1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1904398B1 (ko) 단열 기능이 향상된 창틀 조립체
CN205638087U (zh) 一种可内倾斜隔热折叠门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0405422Y1 (ko)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US11199043B2 (en) Horizontally sliding window
KR102375533B1 (ko)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JPH10325279A (ja) 断熱形材
KR102134623B1 (ko)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CN111502514B (zh) 推拉门窗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KR10214193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101975663B1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슬림 창호
KR20040040004A (ko) 이중레일을 구성한 문틀 및 이중롤러바
KR200241471Y1 (ko) 미닫이 창문
KR101865248B1 (ko) 연동형 미닫이문용 사이드문틀
JP7345319B2 (ja) 建具
CN212478932U (zh) 一种用于内开扇的门窗型材结构
CN105840058A (zh) 一种隔热多层玻璃窗
KR20170119244A (ko) 틈새 밀봉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창호
JP3270376B2 (ja) 断熱サッシ用換気体
JPS585016Y2 (ja) ニジユウマ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