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533B1 -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 Google Patents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533B1
KR102375533B1 KR1020210064839A KR20210064839A KR102375533B1 KR 102375533 B1 KR102375533 B1 KR 102375533B1 KR 1020210064839 A KR1020210064839 A KR 1020210064839A KR 20210064839 A KR20210064839 A KR 20210064839A KR 102375533 B1 KR102375533 B1 KR 102375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익
차정윤
Original Assignee
차경익
차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익, 차정윤 filed Critical 차경익
Priority to KR102021006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삽설되는 상하에 배치되는 수직 창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이격 배치된 수직 창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 창틀프레임으로 형성된 창틀에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과, 상기 수평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 창문프레임과 제2 수직 창문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은 두 개의 창문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의 내측에는 PVC 소재의 단열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 수직 창문프레임의 양끝단에 방풍부재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풍부재 삽입구에 창문용 방풍부재가 삽입된 후 L형상의 수직 보강 프레임으로 마감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Window having a wind-break subsidiary materials}
본 발명은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의 내외부를 구분짓고, 건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통칭하며,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문 또는 창틀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여닫이식, 고정식 등으로 구분되고, 창호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재질에 따라 목재 창호, PVC(Poly Vinyl Choride) 창호, 알루미늄 창호 등으로 구분된다.
목재 창호는 재질 특성상 성형 등의 작업이 번거로워 대량 생산이 곤란한 반면, PVC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는 압출 공법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성형되어 대량 생산이 원활하므로 최근 창호의 대다수가 PVC 창호 또는 알루미늄 창호로 제작된다.
특허 제10-1206755호 및 제10-1269668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창틀 사이의 공기 흐름이 있다. 창틀(30)에는 한 쌍의 창(20, 40)이 창틀(3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레일(33, 34)이 창틀(30)의 상단 및 하단 안쪽의 양면에 설치되고, 한 쌍의 창(20, 40)의 레일(33, 3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복수의 롤러(27, 27)가 설치되어서, 롤러(27, 27)가 레일(33, 34) 상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창(2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한 쌍의 창(20, 40)이 창틀(30)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창(20)과 창(40) 사이, 창(20)과 레일(33) 사이, 창(20)과 롤러(27) 사이, 한 쌍의 레일(33)과 레일(34) 사이에는 최소한의 간격이 있을 수밖에 없고, 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이들 간격을 통해서 실내 및 실외 사이에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기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따라서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실외의 열이나 냉기가 실내로 유입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한 쌍의 창(20)과 창(40)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창(20)과 창(40)이 중첩되는 부분에 기밀용 모를 설치하여, 창이 폐쇄된 상태에서 걸쇠 등에 의해 한 쌍의 창(20)과 창(40)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실내외에서의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차폐방식이다.
이러한 공기 흐름은 창과 레일 사이, 창과 롤러 사이, 한 쌍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창호는 대량 생산이 원활한 것 외에 고유의 질감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장점 등이 있으나, 제품 단가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특히, PVC 창호에 비해 열전달율이 높아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KR 10-1206755 B KR 10-126966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창호 혹은 알루미늄과 PVC가 결합된 복합창호의 단열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 내측에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도록 일체형 제작하여 창호 외관을 훼손하지 않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삽설되는 상하에 배치되는 수직 창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이격 배치된 수직 창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 창틀프레임으로 형성된 창틀에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과, 상기 수평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 창문프레임과 제2 수직 창문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은 두 개의 창문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의 내측에는 PVC 소재의 단열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 수직 창문프레임의 양끝단에 방풍부재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풍부재 삽입구에 창문용 방풍부재가 삽입된 후 L형상의 수직 보강 프레임으로 마감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은 상기 창문프레임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일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 타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연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수직 연장된 끝단 일측에는 창문프레임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수직 연장된 끝단에서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은 창문용 방풍부재의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레일 폭에 따라 움직이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에서 창문프레임들은 금속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문은 금속재 형상 일측에 수지로 형성된 수지 형성부가 접합된 복합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은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은 창문용 방풍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창호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문에는 금속재질의 창문 프레임 내측에 PVC의 단열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열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창틀의 레일사이 공기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부재가 형성된 창문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창문 수평프레임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의 수평 복합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에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부재가 형성된 창문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창문 수평프레임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 분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수직 보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수직 보강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1000)은 건축물의 벽체에 삽설되는 상하에 배치되는 수직 창틀프레임(112)과 상기 상하 이격 배치된 수직 창틀프레임(112)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 창틀프레임(114)으로 형성된 창틀(110)에 창문(1200)이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이다.
상기 창문(1200)은 제1 수직 창문프레임(1220), 제1 수평 창문프레임(1240), 제2 수평 창문프레임(1260),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 및 유리(G)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1200)은 두 개의 창문(1200)의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창문(1200)은 금속재 형강, 알루미늄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A')에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삽입되도록 방풍부재 삽입구(1282)가 형성된다. 상기 창문용 방풍부재(1800)는 창문(1200)을 기준으로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창호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창문(1200)의 프레임(1220, 1240, 1260, 1280)에는 단열프로파일(1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창문(1200)은 알루미늄 샷시인 경우 단열에 취약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1220, 1240, 1260, 1280)내부 공간에 단열프로파일(1300)을 삽입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수평 창문프레임(1240)에는 PVC(Poly Vinyl Chloride) 소재의 단열프로파일(1300)이 삽입되어 단열성, 밀폐성이 향상되어 실내 생활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고 냉난방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수평 창문프레임(1240)은 제1 금속편(1241), 제2 금속편(1242) 및 연결부재(1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편(1241)은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타측에 제2 금속편(1242)과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결합부(1243, 1245)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금속편(1241)은 상측에 유리(G)가 고정되고, 하부에 단열프로파일(1300)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1247)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금속편(1242)은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타측에 제1 금속편(1241)과 결합되기 위하여 복수개의 결합부(1244, 1246)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금속편(1242)은 상측에 유리(G)가 고정되고, 하부에 단열프로파일(1300)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1248)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금속편(1241)과 제2 금속편(1242)은 연결부재(1250)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250)는 탄성부재일 수 있으며, 제1금속편(1241)과 제2 금속편(1242)에 형성된 결합부(1243, 1244)의 홈에 끼워맞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금속편(1241)과 제2 금속편(1242)에 형성된 결합부(1245, 1246)의 돌기와, 홈은 하기에 설명될 단열프로파일(13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1300)은 베이스부(1301), 제1 연장부(1303) 및 제2 연장부(1305)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1300)은 제1 금속편(1241)과 제2 금속편(124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1300)은 제1 금속편(1241)과 제2 금속편(1242)의 사이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부(1301)와, 상기 베이스부(1301) 일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1 연장부(1303)와, 상기 베이스부(1301) 타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연장부(1305)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303)는 제1금속편(1241)의 하단에 고정홈(1247)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1307)가 형성되고,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1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305)는 제2금속편(1242)의 하단에 고정홈(1248)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1309)가 형성되고,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1313)가 형성된다.
상기 모헤어 삽입부(1311, 1313)는 모헤어(앙골라 산양에서 얻은 모섬유), 합성수지제의 기모 등 창틀 슬라이딩 레일에 부드러우면서도 기밀이 최대한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 재료를 모두 포함한다.
도 3 및 도 6(a), 6(b)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은 양끝단에 창문용 방풍부재(1800)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1283, 128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은 하기에 설명된 수직 보강프레임(1500)으로 마감되어 삽입부(1283, 128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은 양끝단에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단열프로파일(13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1500)은 제1 수직 마감부(1510)와 상기 제1 수직 마감부(1510)에서 절곡 연장된 제2 수직 마감부(1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 마감부(1510)는 창문용 방풍부재(1800)의 조작용 손잡이(1880)가 노출되고 조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홀(15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 마감부(1510)는 배면에 복수개의 고정돌기(1540)가 형성되어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의 측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1 수직 마감부(1510)의 일측면에는 창문용 방풍부재(180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가이드 홀(15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홀(1513)은 관통홀의 형상으로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에는 ㄴ자 형상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직 마감부(1520)는 길이방향으로 측면 모헤어 삽입부(1550)가 형성된다. 상기 모헤어 삽입부(1550)는 서로 다른 레일에 배치된 미닫이 창문의 중첩부분이 부드러우면서도 기밀이 최대한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직 마감부(1520)의 양끝단에는 창문용 방풍부재(1800)의 수평이동부(1830)의 이동 부재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홈(1570, 1590)이 형성된다.
상기 창문용 방풍부재(1800)는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2개의 창문이 중첩되는 측의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의 양끝단(상단과 하단, 도2에서 A, A'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용 방풍부재(1800)는 제2 수직 창문프레임(1280)에 수용되는 수직이동부(1810)과 상기 수직이동부(1810)에 수용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이동부(18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이동부(1810)는 개방된 면과 이웃하는 양면의 바깥쪽 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수직이동부(1810)의 수직방향에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부(1810)는 개방된 면과 이웃하는 양면의 내측 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맞물리도록 수평이동부(1820)의 수직부 양측에 형성된 홈 형성된다.
상기 수평이동부(1820)는 수직부에서 절곡 연장되고 모헤어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이동부(1820)는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간의 간격을 충분하게 폐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직 마감부(1520)의 홈(1570, 1590)의 크기는 수평이동부(1820)가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1000)은 레일과 레일 사이로 이어지는 간격에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배치되어 창의 내외부 간의 공기의 이동통로를 근본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창문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창호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1000)은 금속재질의 창문 프레임 내측에 PVC의 단열프로파일(130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 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의 수평 복합프레임의 분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수직 보강프레임의 측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은 알루미늄 프레임과 PVC의 재료가 접합된 복합창호에 관한 것이다. 복합창호는 알루미늄 창호에서 실내공간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CV 재료를 부착하여 단열효과와 장식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복합창호에서 수직 복합프레임은 도 2 내지 3에서 제2 수직 창문프레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수직 복합프레임에 창문용 방풍부재(1800)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에서 도시된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1000)과 비교하여 알루미늄 프레임(2240)에 PVC 성형부(2300)가 결합된 구성에 대하여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2의 제1 수평 창문프레임(124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수평 복합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수평 복합프레임은 알루미늄 프레임(2240)과 수지 성형부(2400)를 포함한다. 상기 알루미늄 프레임(2240)은 제1 금속편(2241), 제2 금속편(2242) 및 연결부(2243, 22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편(2241)은 일측이 수지(PVC) 성형부(2400)에 접합되는 면과, 타측에 제2 금속편(2242)에 복수개의 연결부(2243, 2245)로 연결된다. 또한, 제1 금속편(2241)은 상측에 유리(G)가 고정되고, 하부에 단열프로파일(2300)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돌기(2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금속편(2242)은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과, 타측에 제1 금속편(2241)에 복수개의 연결부(2243, 2245)로 연결된다. 또한, 제2 금속편(1242)은 상측에 유리(G)가 고정되고, 하부에 단열프로파일(2300)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돌기(2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금속편(2241)과 제2 금속편(2242)에 형성된 결합부(2247, 2248)의 돌기와, 홈은 하기에 설명될 단열프로파일(23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2300)은 베이스부(2301), 제1 연장부(2303) 및 제2 연장부(2305)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2300)은 제1 금속편(2241)과 제2 금속편(224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단열프로파일(2300)은 제1 금속편(2241)과 제2 금속편(2242)의 사이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부(2301)와, 상기 베이스부(2301) 일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1 연장부(2303)와, 상기 베이스부(2301) 타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연장부(2305)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2303)는 제1금속편(2241)의 하단에 고정홈(2247)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2307)가 형성되고,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23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2305)는 제2금속편(2242)의 하단에 고정홈(2248)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2309)가 형성되고, 수평 창틀프레임(114)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2313)가 형성된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1220: 제1 수직 창문프레임 1240: 제1 수평 창문프레임
1260: 제2 수평 창문프레임 1280: 제2 수직 창문프레임
1300: 단열프로파일
1500: 수직 보강 프레임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에 삽설되는 상하에 배치되는 수직 창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이격 배치된 수직 창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평 창틀프레임으로 형성된 창틀에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과, 상기 수평으로 이격 배치된 제1 수평 창문프레임 및 제2 수평 창문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수직 창문프레임과 제2 수직 창문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은 두 개의 창문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창문프레임들의 내측에는 PVC 소재의 단열프로파일이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 수직 창문프레임의 양끝단에 방풍부재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방풍부재 삽입구에 창문용 방풍부재가 삽입된 후 L형상의 수직 보강 프레임으로 마감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은 창문용 방풍부재의 이동 부재가 슬라이딩 레일 폭에 따라 움직이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프로파일은
    상기 창문프레임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일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1 연장부;
    상기 베이스부 타측단에서 이격되어 수직 연장된 제2 연장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수직 연장된 끝단 일측에는 창문프레임에 삽입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수직 연장된 끝단에서 슬라이딩 레일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헤어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에서 창문프레임들은 금속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에서 창문프레임들은 상기 금속재 형상 일측에 수지로 형성된 수지 형성부가 접합된 복합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KR1020210064839A 2021-05-20 2021-05-20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KR102375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39A KR102375533B1 (ko) 2021-05-20 2021-05-20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39A KR102375533B1 (ko) 2021-05-20 2021-05-20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533B1 true KR102375533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839A KR102375533B1 (ko) 2021-05-20 2021-05-20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40B1 (ko) * 2022-04-25 2023-03-08 김종태 방풍 장치 내장형 미서기 창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55B1 (ko) 2010-09-13 2012-11-30 김화정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1269668B1 (ko) 2011-02-25 2013-06-04 이근천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KR20130087797A (ko) * 2012-01-30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844499B1 (ko) * 2017-08-02 2018-04-03 (주)영남유리산업 단열저장공간을 갖는 단열내진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55B1 (ko) 2010-09-13 2012-11-30 김화정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1269668B1 (ko) 2011-02-25 2013-06-04 이근천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KR20130087797A (ko) * 2012-01-30 2013-08-07 (주)엘지하우시스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844499B1 (ko) * 2017-08-02 2018-04-03 (주)영남유리산업 단열저장공간을 갖는 단열내진 창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340B1 (ko) * 2022-04-25 2023-03-08 김종태 방풍 장치 내장형 미서기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19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2375533B1 (ko) 창문용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창문
KR102347829B1 (ko) 커튼월 프로젝트창 단열구조체
KR101877471B1 (ko) 복합 미서기 창호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265279B1 (ko) 창호용 틈새 차단구
KR20130087797A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2450987B1 (ko) 방풍용 간편 체결구
CN109415924B (zh) 左右推拉窗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214193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미닫이 창호 시스템
KR20220143354A (ko) 승강식 도어패널 구조체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10266463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2399349B1 (ko)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KR102308815B1 (ko) 다중 기밀구조를 가진 창호 어셈블리
KR102106597B1 (ko) 슬림 슬라이딩 창호의 프로파일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