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22Y1 -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22Y1
KR200405422Y1 KR2020050029150U KR20050029150U KR200405422Y1 KR 200405422 Y1 KR200405422 Y1 KR 200405422Y1 KR 2020050029150 U KR2020050029150 U KR 2020050029150U KR 20050029150 U KR20050029150 U KR 20050029150U KR 200405422 Y1 KR200405422 Y1 KR 200405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empered glass
frame
glass doo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우식
Original Assignee
류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우식 filed Critical 류우식
Priority to KR2020050029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holl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16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used as a seal between the floor and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에서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측 세로문틀과, 상기 양측 세로문틀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가로문틀과, 상기 상부 가로문틀의 일측과 바닥에 서로 대칭상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힌지장치와, 상기 상,하부 힌지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문을 형성하게 되는 강화유리도어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도어의 일측 단부와 일측 세로문틀 및 도어의 타측 단부와 타측 세로문틀 각각 사이에 방음 및 방풍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가스켓이 마련되어 있는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강화유리도어의 상단 프레임과 상부 가로문틀 사이 및 강화유리도어의 하단 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하측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강화유리도어, 방음 및 방풍장치, 가스켓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Sound and wind proofing device of reinforced glass door}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강화유리도어 설치상태의 일실시예.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강화유리도어의 상,하측 가스켓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상,하측 가스켓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화유리도어 11,12 : 양측 단부
2a,2b : 상,하부 프레임 20a,20b : 끼움홈
21a,21b : 좌측돌부 22a,22b : 우측돌부
3 : 바닥 4a,4b : 양측 세로문틀
5 : 상부 가로문틀 6a,6b : 상,하부 힌지장치
7a,8a : 상측 가스켓 7b,8b : 하측 가스켓
9a,9b : 양측 가스켓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도의 닫힘작동시 도어의 상단과 상부 가로문틀 및 도어의 하단과 바닥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여 방음 및 방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음방풍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도어는 외관이 미려하고 내부를 투명하게 투시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한쪽 방향으로만 열고 닫히는 출입문과는 달리 강화유리도어는 양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사람의 출입이 잦은 건물의 출입문을 비롯하여 음식점의 출입문, 각종 판매점의 출입문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강화유리도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화유리도어의 사방 가장자리는 좌,우측 세로문틀과 상부 가로문틀 및 바닥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야만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있는 한편, 강화유리도어를 출입문으로 하고 있는 건물에서는 출입문을 통한 통풍현상으로 인해 출입문 안쪽의 온도가 바깥쪽의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여름철의 경우 실내에서는 에어컨을 가동시켜 실내를 냉방하게 될 때 출입구에 설치된 강화유리도어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틈새로 실내의 냉기는 빠져나가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으로 인하여 에어컨의 가동에 따른 냉방효율은 떨어지고 에어컨의 가동시간은 길어져 전력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겨울철의 경우에는 실내의 더운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의 난방효율 을 떨어뜨리는 한편 난방기기의 가동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전력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에 방풍용 패킹이 형성된 실용신안등록 제20-270039호의 고안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기존의 강화유리도어에서 힌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도어의 상,하단에 금속재로 된 상,하부 도어프레임을 형성시킨 것과 같이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에도 금속재로 된 좌,우측 도어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좌,우측 도어프레임에 방풍용 패킹이 부착된 금속제케이스를 출몰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로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좌,우측 세로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상기한 금속제케이스의 방풍용 패킹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출입문의 닫힘작동시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좌,우 양측의 세로문틀 사이의 틈새는 차단할 수는 있겠으나, 강화유리도어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틈새는 차단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방음 및 방풍에 대한 효과를 100%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방풍용 패킹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된 금속재의 좌,우측 도어프레임이 강화유리도어의 특징 중에 하나인 투명성의 외관을 해치게 된다는 것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강화유리도어의 좌,우측 및 상,하측 사방 가장자리 전체에 방 풍용 가스켓을 형성시키는 수단으로 강화유리도어가 적용되는 모든 출입문에 방음 및 방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방풍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에서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측 세로문틀과, 상기 양측 세로문틀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가로문틀과, 상기 상부 가로문틀의 일측과 바닥에 서로 대칭상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힌지장치와, 상기 상,하부 힌지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문을 형성하게 되는 강화유리도어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도어의 일측 단부와 일측 세로문틀 및 도어의 타측 단부와 타측 세로문틀 각각 사이에 방음 및 방풍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가스켓이 마련되어 있는 강화유리도어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강화유리도어의 상단 프레임과 상부 가로문틀 사이 및 강화유리도어의 하단 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하측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측 가스켓은 강화유리도어의 상,하단 프레임 각각의 상,하단에 상,하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는 한쌍 이상의 좌,우측 돌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 각각에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가로문틀 및 바닥에 각각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측 가스켓 중 상측 가스켓은 상부 가로문틀에 형성된 조립요부에 삽입 고정된 채 상부 가로문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단 프레임의 상면 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측 가스켓은 하단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채 하향으로 돌출되어 바닥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일측 단부와 일측 세로문틀에 설치되는 일측 가스켓은 상기한 일측 세로문틀에 형성된 요부에 삽입 고정된 채 그 세로문틀에서 돌출되어 도어 닫힘작동시 도어의 일측 단부에 탄력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측 가스켓은 강화유리도어의 타측 단부에 고정 부착되어 타측 세로문틀을 향해 돌출되어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강화유리도어 설치상태의 일실시예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강화유리도어의 상,하측 가스켓의 일실시예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상,하측 가스켓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부호 1은 강화유리도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상,하단에는 금속재로 된 상,하단 프레임(2a)(2b)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화유리도어(1)는 바닥(3)과 이 바닥에서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측 세로문틀(4a)(4b) 및 상기한 바닥(3)에 대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하여 양측 세로문틀(4a)(4b)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 가로문틀(5) 사이에 실내,외측 양방향을 향하여 회전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상기한 상,하단 프레임(2a)(2b)은 도 1을 기준하여 볼 때 우측부분에 상부 가로문틀(5) 및 바닥(3)에 설치된 상,하부 힌지장치(6a)(6b)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강화유리도어(1)는 상,하부 힌지장치(6a)(6b)의 힌지축을 기점으로 하여 실내측 또는 실외측 양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되는 작동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강화유리도어(2)를 출입구에 설치하였을 때 각 문틀과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을 설치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상단 프레임(2a)과 상부 가로문틀(5) 사이 및 하단 프레임(2b)과 바닥(3) 사이에 상,하측 가스켓을 설치함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한 상,하단 프레임(2a)(2b)의 상,하단에 끼움홈(20a)(20b)을 형성시키는 좌,우측 돌부(21a,22a)(21b,22b)가 각각 두쌍씩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각 쌍의 돌부들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20a)(20b) 각각에 상,하측 가스켓(7a)(7b)을 하나씩 끼워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의 상,하측 가스켓(7a)(7b)는 두께는 얇고 길이는 상,하단 프레임(2a)(2b)와 같은 길이를 가진 채 상부 가로문틀(5)과 바닥(3)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상,하측 가스켓(7a)(7b) 각각은 강화유리도어(1)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측 가스켓(8a)은 상부 가로문틀(5)의 저면에 형성된 조립요부(51)에 고정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 프레임(2a)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가스켓(8b)은 하단 프 레임(2b)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채 바닥(3)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의 상,하측 가스켓(8a)(8b) 각각은 상단 프레임(2a) 및 바닥(3)에 탄력적인 접촉기능이 향상되도록 내부에 빈 공간으로 된 중공부(81)(8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좌,우 양측 단부(11)(12)와 양측 세로문틀(4a)(4b) 각각의 사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양측 가스켓(9a)(9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일측 가스켓(9a)은 일측 세로문틀(4a)에 형성된 요부(41)에 고정된 상태로 끼워진 채 강화유리도어(1)의 일측 단부(11)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타측 가스켓(9b)은 강화유리도어(1)의 타측 단부(12)에 고정 부착된 채 타측 세로문틀(4b)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일측 가스켓(9a)에는 강화유리도어(1)의 닫힘작동시 일측 단부(11)에 탄력적인 압착력이 향상되도록 속이 빈 중공부(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타측 가스켓(9b)은 단면이 대략 "H"형으로 형성되어 중간의 연결리브(92)를 기준하여 일측 날개(93)는 강화유리도어(1)의 타측 단부(12) 양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타측 날개(94)는 타측 세로문틀(4b)을 향해 돌출되어 강화유리도어(1)의 닫힘작동시에는 타측 날개(94)가 상기한 세로문틀(4b)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한편, 도어의 열림작동시에는 상기한 세로문틀(4b)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강화유리도어(1)는 상,하부 힌지장치(6a)(6b)에 의하여 실내,외 양 방 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출입문을 출입하는 출입자는 강화유리도어(1)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출입문을 열고 출입하게 될 때에는 기존의 출입문과 같이 방음 및 방풍작용은 기대할 수 없지만, 출입문이 닫혔을 때에는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사방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각 가스켓들은 방음 및 방풍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즉, 강화유리도어(1)의 닫힘작동시 도어의 좌,우 양측 단부(11)(12)의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측 단부(11)는 일측 세로문틀(4a)에 설치되어 있는 일측 가스켓(9a)을 탄력적으로 압착하는 상태로 밀착되고, 타측 단부(12)에 부착되어 있는 타측 가스켓(9b)의 타측 날개(94)가 타측 세로문틀(4b)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강화유리도어(1)의 양측 단부(11)(12)와 양측 세로문틀(4a)(4b) 각각은 양측 가스켓(9a)(9b)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또한 상단 프레임(2a)과 상부 가로문틀(5) 사이에 형성된 상측 가스켓(7a,8a)과 하단 프레임(2b)과 바닥(3) 사이에 형성된 하측 가스켓(7b,8b) 각각은 강화유리도어(1)의 상,하측을 차단하게 되므로서 결국 강화유리도어(1)의 닫힘작동시에는 출입문에는 상기한 각 가스켓들에 의하여 틈새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한 각 가스켓들은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여 실내의 냉,온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 및 방풍기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하측 가스켓(7b)(8b)의 경우는 강화유리도어(1)를 열고 닫을 때 바닥(3)과의 마찰작용에 의해 상측 가스켓(7a)(8a)보다 마모가 빨리 진행될 수 있지만, 상기한 하측 가스켓들은 하단 프레임(2b)의 일측에서 끼워주고 빼내는 구 조로 되어 있으므로서 상기한 가스켓이 바닥(3)과 접촉하지 아니할 정도로 마모되었을 때에는 하측 가스켓(7b)(8b)을 빼내고 새것으로 끼워주는 작업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서 강화유리도어(1)의 하단 프레임(2b)과 바닥(3) 사이를 항시 기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출입문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각 문틀과 바닥 사이를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실외측에서 실내측으로, 또는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음효과와 함께 실외측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측 공기가 실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풍효과가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강화유리도어의 상,하부 프레임과 상부 가로문틀 및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를 막아줄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단 프레임과 상부 가로문틀 및 하단 프레임과 바닥 사이를 상,하측 가스켓으로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서 방음 및 방풍효과가 더욱 향상되므로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하여 에어컨이나 난방기기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력에너지의 절약을 가능케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일정간격을 두고 바닥에서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좌,우 양측 세로문틀(4a)(4b)과, 상기 양측 세로문틀 사이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가로문틀(5)과, 상기 상부 가로문틀과 바닥의 일측에 서로 대칭상으로 설치되는 상,하부 힌지장치(6a)(6b)와, 상기 상,하부 힌지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문을 형성하게 되는 강화유리도어(1)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닫힘작동시 도어의 일측 단부(11)와 일측 세로문틀(4a) 및 도어의 타측 단부(12)와 타측 세로문틀(4b) 각각 사이에 방음 및 방풍기능을 하도록 설치되는 가스켓(9a)(9b)이 마련되어 있는 강화유리도어의 방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닫힘작동시 강화유리도어의 상단 프레임(2a)과 상부 가로문틀(5) 사이 및 강화유리도어의 하단 프레임(2b)과 바닥(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상,하측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가스켓(7a)(7b)은 강화유리도어(1)의 상,하단 프레임(2a)(2b) 각각의 상,하단에 상,하측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는 한쌍 이상의 좌,우측 돌부(21a,21b)(22a,22b)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20a)(20b) 각각에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 가로문틀(5) 및 바닥(3)에 각각 접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가스켓 중 상측 가스켓(8a)은 상부 가로문틀(5)에 형성된 조립요부(51)에 삽입 고정된 채 상부 가로문틀(5)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단 프레임(2a)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측 가스켓(8b)은 하단 프레임(2b)의 하단에 고정 부착된 채 하향으로 돌출되어 바닥(3)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도어(1)의 일측 단부(11)와 일측 세로문틀(4a)에 설치되는 일측 가스켓(9a)은 상기한 일측 세로문틀(4a)에 형성된 요부(41)에 삽입 고정된 채 그 세로문틀(4a)에서 돌출되어 도어 닫힘작동시 도어의 일측 단부(11)에 탄력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측 가스켓(9b)은 강화유리도어(1)의 타측 단부(12)에 고정 부착되어 타측 세로문틀(4b)을 향해 돌출되어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KR2020050029150U 2005-10-13 2005-10-13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KR200405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50U KR200405422Y1 (ko) 2005-10-13 2005-10-13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50U KR200405422Y1 (ko) 2005-10-13 2005-10-13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22Y1 true KR200405422Y1 (ko) 2006-01-10

Family

ID=4175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150U KR200405422Y1 (ko) 2005-10-13 2005-10-13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101A (ko) * 2013-11-11 2015-05-20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KR20190071161A (ko) * 2017-12-14 2019-06-24 강선중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20200028926A (ko) * 2020-03-10 2020-03-17 강선중 측부씰링부를 갖는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20200028925A (ko) * 2020-03-10 2020-03-17 강선중 회전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101A (ko) * 2013-11-11 2015-05-20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KR101588239B1 (ko) * 2013-11-11 2016-01-25 지엘테크(주) 도어 차폐장치
KR20190071161A (ko) * 2017-12-14 2019-06-24 강선중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102090324B1 (ko) * 2017-12-14 2020-04-20 강선중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20200028926A (ko) * 2020-03-10 2020-03-17 강선중 측부씰링부를 갖는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20200028925A (ko) * 2020-03-10 2020-03-17 강선중 회전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102161324B1 (ko) * 2020-03-10 2020-09-29 강선중 측부씰링부를 갖는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KR102161325B1 (ko) * 2020-03-10 2020-09-29 강선중 회전 도어용 방충 및 방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6794A1 (en) Aperture cover with overlapping vig unit and connection profile connected to structural frame member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200405422Y1 (ko) 강화유리도어의 방음 및 방풍장치
KR102094369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KR101390690B1 (ko) 창호의 틈새 밀폐구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1112684B1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KR102094368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CN206468224U (zh) 内置百叶的断桥门窗
KR101167710B1 (ko) 문틀이 경량화된 단열 복합창호
KR102173709B1 (ko) 커튼 월
CN211950131U (zh) 电动遮阳金钢网一体隔热平开窗
KR102450706B1 (ko)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CN209228256U (zh) 一种推移窗框型材
JP3145348B2 (ja) 断熱通風ドア
KR102284824B1 (ko) 커튼 월
KR102093164B1 (ko) 멀티 테크 단열복합창
KR20100137040A (ko) 단열창문
CN221119689U (zh) 一种嵌入式密封推拉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