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623B1 -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623B1
KR102134623B1 KR1020190012478A KR20190012478A KR102134623B1 KR 102134623 B1 KR102134623 B1 KR 102134623B1 KR 1020190012478 A KR1020190012478 A KR 1020190012478A KR 20190012478 A KR20190012478 A KR 20190012478A KR 102134623 B1 KR102134623 B1 KR 10213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asket
fastening
fram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9001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서 서로 결합되게 되는 부분의 구조를 이중 결합구조로 형성하여 수직프레임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단열성은 물론 수밀성과 방풍성 및 방음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Vertical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sliding door with improved watertightness and wind protection}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서로 결합되면서 연결되게 되는 내측창과 외측창 수직프레임을 이중 결합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수직프레임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단열성은 물론 수밀성과 방풍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미서기창은 사용자가 창문의 수직프레임 또는 핸들을 잡고 측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창문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된 롤러가 창틀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레일 위를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여 창문이 개폐되도록 된 창이다. 따라서 창틀프레임 내에서 창문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야 하므로 창틀과 창문프레임 사이 및 실내와 실외측 창문프레임 사이에는 각각 유격(틈새)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방음 및 수밀성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354822호 "미서기창문의 이동창문과 창문틀의 기밀유지구", 실용신안등록 제309088호 "창문의 기밀구조" 등과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이들을 포함한 지금까지 출현한 대부분의 기술은 미서기창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기밀부재를 장착하여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미서기창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의 더운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수 십년 동안 창호를 제작하여 시공을 해오면서 창호에 관하여 5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여 대부분 등록받았고, 창호의 방풍과 방음 및 단열을 위한 많은 기술을 개발했으며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한편, 미서기창의 창문프레임은 재질이 알루미늄이기 때문에 창문을 닫았을 때 창문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내측창과 외측창 수직프레임이 서로 접촉되게 되는데, 금속재끼리 접촉된 부위에서 단열이 전혀 안 되기 때문에 내측창과 외측창 창문이 연결되는 수직프레임을 통해 실외의 냉기 또는 열기가 실내로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문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의 다양한 색상이지만, 창문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 수직프레임 본체의 측면에 PVC로 된 커버를 끼웠을 경우에는 측면에 부착시킨 PVC 커버가 검정색이기 때문에 창문프레임의 프레임 본체와 측면에 위치한 커버의 색상이 서로 맞지 않게 되어 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열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지금까지의 출현한 기술 및 제품화 된 모든 미서기창의 프레임은 창문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서 서로 조립되는 부분이 프레임의 중간부분에서만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심한 비바람이 몰아칠 경우에는 창문에 가해지는 높은 풍압 때문에 내측창과 외측창의 연결되는 부분이 벌어지면서 내측창과 외측창 사이에 유격(틈)이 생기게 되어 창문이 덜컹거리면서 바람과 소음은 물론 유격(틈)을 통해 비와 바람 및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서 서로 결합되게 되는 부분의 구조를 이중 결합구조로 형성하여 수직프레임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단열성은 물론 수밀성과 방풍성 및 방음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는,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이 연결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에서 각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프레임 본체와 커버 사이에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게 되는 단열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측면평판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본체와 결합되는 제1체결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他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의 외측면에 모헤야체결부가 구비된 제1차단부; 상기 제1차단부에서 제1체결부 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차단부 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분분의 선단부(先端部)에서 상기 단열재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 제2체결부; 상기 제1차단부와 제2체결부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제1가스켓체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단열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 일측 외측면과, 상기 커버의 제2체결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격벽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中空部)가 구비된 제1단열부; 상기 제1단열부의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일측 단부(端部)와, 커버의 측면평판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커버의 측면평판부와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일측 단부 사이를 이격시키게 되는 제2단열부; 상기 제1단열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가스켓체결부;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 선단의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제2차단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본체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1본체;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2본체의 한쪽 끝부분에서 제1본체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연결부; 상기 돌출연결부와 제1본체의 한쪽 끝부분에서 돌출연결부 쪽을 향해 각각 형성된 돌부 사이에 삽입되어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열연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연결부 및 제1본체에 각각 형성된 돌부와 단열연결재는 널링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2차단부의 선단이 제1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게 되고, 제2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1차단부의 선단이 제2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면서,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어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제2체결부의 선단부에는 단열재의 제1단열부 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볼록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열재의 제1단열부에는 오목 형상이 형성되어, 이들 볼록과 오목 형상이 서로 결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연결 결합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이 연결 결합되는 각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면과 결합되면서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커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본체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1본체;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로 연결하며 중공부가 형성된 연결체;를 구비하여 제1본체와 제2본체 및 연결체가 일체로 구성되고, 커버는, 프레임 본체와 결합하여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측면평판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제1 및 제2본체의 각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는 체결돌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제2본체와 체결되는 체결돌부의 외측에서 측면평판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의 외측면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측면결합부; 상기 측면결합부 외측으로 측면평판부에 형성된 제1가스켓체결부; 상기 제1가스켓체결부 외측에서 측면평판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차단부; 상기 측면결합부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제2가스켓체결부;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 외측에서 측면결합부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차단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단부(端部)에서 제1차단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모헤야체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수직프레임 연결구조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서 서로 결합되게 되는 부분의 구조가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에서 봤을 때 결합되는 개소가 수직프레임의 양단(兩端) 부분 2군데에서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강한 바람이 불거나 심한 비바람이 몰아쳐서 창문에 높은 풍압이 가해지더라도 내측창과 외측창의 연결되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내측창과 외측창 사이에 유격(틈)이 생기지 않게 되어 창문이 덜컹거리지도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바람과 소음은 물론 비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속(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 본체와 커버가 결합되어 구성된 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본체와 커버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조립한 구조이기 때문에,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금속재끼리 접촉되거나 인접되게 되더라도 프레임 본체와 커버 사이에 전도되는 열이 단열재로 인하여 차단되게 되므로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끼리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여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이 적용된 미서기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알루미늄 창호에 적용되는 도 1에서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PVC 창호에 적용되는 도 1에서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수직프레임 연결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서 결합되게 되는 부분이 2군데서 이중 결합구조로 구성하여 수직프레임끼리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단열성은 물론 수밀성과 방풍성 및 방음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수직프레임 연결구조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연결 결합되는 부분을 2군데서 결합되게 하여 이중 결합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기밀성과 수밀성 및 결합력을 높여 실외측의 열기나 냉기 또는 실내측의 열기나 냉기가 서로 연결되는 문짝의 수직프레임을 통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태풍이나 강풍이 불면서 비바람이 치더라도 바람이나 빗물 및 소음이 실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단창이나 이중창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알루미늄 창호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알루미늄 창호의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연결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에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은 '1'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고, 실외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은 '2'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수직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고 서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방향만 서로 반대로 조립된다는 점을 밝혀둔다. 도면부호 50은 프레임에 끼워지는 유리이다.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112, 212)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11, 21)와, 프레임 본체(11, 21)와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시키도록 결합되는 커버(13, 23) 및 프레임 본체(11, 21)와 커버(13, 23)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에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5, 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된 프레임 본체(11, 21)는 개방된 부분으로 창문의 유리(50)가 결합되는 유리결합부(111, 211)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112, 212)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판상(板狀)의 금속재(알루미늄)로 제작된 커버(13, 23)는,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되는 측면평판부(131, 231)와, 측면평판부(131, 231)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말함)을 따라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본체(11, 21)와 결합되는 제1체결부(132, 232)와, 측면평판부(131, 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他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모헤야체결부를 구비한 제1차단부(134, 234)와, 단열재(15, 25)와 결합되는 제2체결부(133, 233)와, 제1차단부(134, 234)와 제2체결부(133, 233) 사이에 형성된 제1가스켓체결부(135, 2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측면평판부(131, 231)는 판상(板狀)의 부재로, 프레임 본체(11, 21)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데, 프레임 본체(11, 21)의 제1면('제1면'이란, 미서기창을 닫아서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끼리 결합되었을 때,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의 외측 양쪽에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하다)의 선단부(先端部)와 결합된다. 제1체결부(132, 232)는 측면평판부(131, 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본체(11, 21)의 제1면 단부(端部)와 결합되게 되는데, 프레임 본체(11, 21)의 제1면 선단부분에 돌기를 형성해 놓고, 커버의 제1체결부(132, 232) 선단을 제1면의 돌기와 대응하는 결합부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킨다(도 2 참조). 물론 제1체결부(132, 232)와 프레임 본체(11, 21)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상관없다.
제1차단부(134, 234)는 측면평판부(131, 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他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절곡된 부분의 외측면에 모헤야(134a, 234a)가 체결되는 모헤야체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제2체결부(133, 233)는 제1차단부(134, 234)에서 제1체결부(132, 232) 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측면평판부(131, 231)에서 제1차단부(134, 234) 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분분의 선단부(先端部)에서 단열재(15, 25)와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제1차단부(134, 234)와 제2체결부(133, 233)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는 제1가스켓체결부(135, 235)가 형성되어 가스켓이 체결되게 된다.
단열재(15, 25)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된 수직프레임(10, 20) 사이에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를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재질은 PVC, 폴리아미드 또는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단열재(15, 25)는 프레임 본체(11, 21)의 제2면('제2면'이란, 미서기창을 닫아서 내측창과 외측창의 수직프레임끼리 결합되었을 때, 결합되는 프레임의 내측, 다시 말하면 프레임과 프레임의 측면끼리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면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하다)과 커버의 제2체결부(133, 233)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단열재(15, 25)는 제1단열부(151, 251), 제2단열부(152, 252), 제2가스켓체결부(155, 255) 및 제2차단부(154, 254)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1단열부(151, 251)는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112, 212) 일측 외측면과, 커버의 제2체결부(133, 233)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되지 않은 하나의 블록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지만,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격벽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중공부가 구비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커버의 제2체결부(133, 233)의 선단부는 단열재의 제1단열부(151, 251) 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절곡되고, 볼록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열재의 제1단열부(151, 251)에는 오목 형상이 형성되어, 이들 볼록과 오목 형상이 서로 결합되면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 고정된다. 도면부호 153, 253은 커버결합부인데 단열재(15, 25)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제2단열부(152, 252)는 제1단열부(151, 251)의 일단(一端) 부분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112, 212)의 개방된 일측 단부(端部)와, 커버의 측면평판부(131, 231) 사이에 위치하면서 커버의 측면평판부(131, 231)와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112, 212)의 일측 단부 사이를 이격시키게 된다. 제2단열부(152, 252)는 측면평판부(131, 231)와 측면개방부(112, 212) 사이를 이격시켜야 하므로, 끝부분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제2단열부(152, 252)의 단면(斷面) 형상을 '┏'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열부(151, 251)의 선단에는 제2가스켓체결부(155, 255)를 형성하여 가스켓을 체결하여 문짝을 닫았을 때 서로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사이의 기밀성과 수밀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스켓체결부(155, 255) 선단의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차단부(154, 25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스켓체결부(135, 235)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2차단부(154, 254)의 선단이 제1가스켓체결부(135, 235)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게 되고, 또한 제2가스켓체결부(155, 255)에도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1차단부(134, 234)의 선단이 제2가스켓체결부(155, 255)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면서,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게 되므로 결합력이 현저하게 상승되고, 강한 바람이 불거나 태풍이 불더라도 문짝이 덜컹거리거나 흔들리지 않게 되며, 간격(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바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본체(11, 21)는 실내측을 향한 면과 실외측을 향한 면 및 이들을 연결하는 부재를 일체로 금속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분할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단열연결재를 삽입하여 일체로 연결 결합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분할 제작한 프레임 본체(11, 21)는 제1본체(113, 213)와 돌출연결부(114a, 214a)가 형성된 제2본체(114, 214) 및 단열연결재(115, 215)를 구비하여 이들이 널링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제1본체(113, 213)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 즉 제1면에 위치하게 되며, 제1본체(113, 213)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본체(114, 214)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즉 제2면에 위치하게 되고, 제2본체(114, 214)도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본체(114, 214)의 한쪽 끝부분에서 제1본체(113, 213)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연결부(114a, 214a)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돌출연결부(114a, 214a)는 제1본체(113, 213)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폴리아미드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단열연결재(115, 215)는 돌출연결부(114a, 214a)와 제1본체(113, 213)의 한쪽 끝부분에서 돌출연결부(114a, 214a) 쪽을 향해 각각 형성된 돌부 사이에 삽입되어 제1본체(113, 213)와 제2본체(114, 214)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이며, 돌출연결부(114a, 214a) 및 제1본체(113, 213)에 각각 형성된 돌부와 단열연결재(115, 215)는 널링 방식에 의해 자동 기계결합 시킴으로써 결합작업도 수월하고 결합력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단열연결재(115, 215)로 제1본체(113, 213)와 제2본체(114, 214)를 일체로 결합시켰을 때, 단열연결재(115, 215)와 돌출연결부(114a, 214a)를 기준으로 유리결합부(111, 211)와 측면개방부(112, 212)로 구분되게 된다. 이때 제1본체(113, 213)는 제1면 쪽에서 유리결합부(111, 211) 쪽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고, 유리결합부(111, 211)에는 유리(30)가 끼워지면서 제2본체(114, 214)에는 유리(50)를 고정시키는 오사이(도면부호 미지정)가 끼워지게 되고, 커버(13, 23)의 제1차단부(134, 234)에 형성된 모헤야체결부에 체결되고, 모헤야(134a, 234a)의 선단이 오사이에 접하게 되면서 간격(틈새)을 막아서 바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수직프레임은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 프레임 본체(11, 21)와 커버(13, 23)만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으로 할 수도 있어서 외관이 미려하고, 프레임 본체(11, 21)와 커버(13, 23) 사이에 단열재(15, 25)가 삽입되어 있어서 수직프레임을 통해 실외의 열기나 냉기가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단열효과도 매우 높다.
도 3은 PVC 창호에 적용되는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인데, PVC 창호가 도 2에 도시한 알루미늄 창호와 크게 다른 점은 프레임 본체가 일체로 제작되고, 알루미늄 창호에서 커버와 단열재가 일체로 제작된다는 점이며, 그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PVC 창호에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PVC 창호의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연결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에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은 '3'으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고, 실외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은 '4'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수직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고 서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방향만 서로 반대로 조립된다는 점을 밝혀둔다.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31, 41)와, 프레임 본체(31, 41)의 일측면과 결합되면서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커버(33, 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PVC로 제작된 프레임 본체(31, 41)에는 개방된 부분으로 창문의 유리(50)가 결합되는 유리결합부(311, 411)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312, 412)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프레임 본체(31, 41)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1본체(313, 413)와,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2본체(314, 414)와, 제1본체(313, 413)와 제2본체(314, 414)를 일체로 연결하며 중공부가 형성된 연결체(315, 415)로 구성되며, 제1본체(313, 413)와 제2본체(314, 414) 및 연결체(315, 415)가 PVC 재질로 일체로 구성되며, PVC 재질이기 때문에 중공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커버(33, 43)는,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되는 측면평판부(331, 431)와, 측면평판부(331, 431)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말함)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31, 41)와 체결되는 체결돌부(316, 416)와, 프레임 본체의 제2본체(314, 414)와 결합되게 되는 측면결합부(332, 432)와, 제1가스켓체결부(335, 435)와 제2가스켓체결부(336, 436), 제1차단부(333, 433)와 제2차단부(334, 434) 및 모헤야체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측면평판부(331, 431)는 프레임 본체(31, 41)와 결합하여 측면개방부(312, 412)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형상이고, 체결돌부(316, 416)는 측면평판부(331, 43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제1 및 제2본체(313, 413, 314, 414)의 각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게 된다. 결합하는 방식은 체결돌부(316, 416)와 제1 및 제2본체(313, 413, 314, 414)의 각 단부(端部)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밀어서 서로 결합하게 할 수도 있고, 나사체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측면결합부(332, 432)는 프레임 본체의 제2본체(314, 414)와 체결되는 체결돌부(316, 416)의 외측(제2본체와 체결되는 체결돌부보다 외측에 위치한다는 의미이며, 이하 같다)에서 측면평판부(331, 431)의 내측 방향(프레임 본체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이며, 이하 같다)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의 외측면과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1가스켓체결부(335, 435)는 측면결합부(332, 432) 외측으로 측면평판부(331, 431)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가스켓체결부(336, 436)는 측면결합부(332, 432)의 선단(先端)에 형성되어 각각 가스켓이 체결되게 된다.
제1차단부(333, 433)는 제1가스켓체결부(335, 435) 외측에서 측면평판부(331, 43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차단부(334, 434)는 제2가스켓체결부(336, 436) 외측에서 측면결합부(332, 432)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측면평판부(331, 431)의 단부(端部)에서 제1차단부(333, 433)와 수직방향으로 모헤야체결부(도면부호 미지정)가 형성되고 모헤야(331a, 431a)가 체결되어 모헤야(331a, 431a)의 선단이 오사이에 접하게 되면서 간격(틈새)을 막아서 바람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20 : 수직프레임
11, 21 : 프레임 본체 111, 211 : 유리결합부
112, 212 : 측면개방부 113, 213 : 제1본체
114, 214 : 제2본체 115, 215 : 단열연결재
13, 23 : 커버 131, 231 : 측면평판부
132, 232 : 제1체결부 133, 233 : 제2체결부
134, 234 : 제1차단부 135, 235 : 제1가스켓체결부
15, 25 : 단열재 151, 251 : 제1단열부
152, 252 : 제2단열부 153, 253 : 커버결합부
154, 254 : 제2차단부 155, 255 : 제2가스켓체결부
30, 40 : 수직프레임
31, 41 : 프레임 본체 311, 411 : 유리결합부
312, 412 : 측면개방부 313, 413 : 제1본체
314, 414 : 제2본체 315, 415 : 연결체
316, 416 : 체결돌부
33, 43 : 커버 331, 431 : 측면평판부
332, 432 : 측면결결부 333, 433 : 제1차단부
334, 434 : 제2차단부 335, 435 : 제1가스켓체결부
336, 436 : 제2가스켓체결부
50 : 유리

Claims (8)

  1.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연결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이 연결 결합되는 각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프레임 본체와 커버 사이에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게 되는 단열재;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측면평판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본체와 결합되는 제1체결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단(他端)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의 외측면에 모헤야체결부가 구비된 제1차단부;
    상기 제1차단부에서 제1체결부 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차단부 보다 더 길게 돌출 형성되어, 돌출된 분분의 선단부(先端部)에서 상기 단열재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 제2체결부;
    상기 제1차단부와 제2체결부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제1가스켓체결부;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 일측 외측면과, 상기 커버의 제2체결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격벽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中空部)가 구비된 제1단열부;
    상기 제1단열부의 일단(一端)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일측 단부(端部)와, 커버의 측면평판부 사이에 위치하면서 커버의 측면평판부와 프레임 본체의 측면개방부의 일측 단부 사이를 이격시키게 되는 제2단열부;
    상기 제1단열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2가스켓체결부;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 선단의 일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제2차단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프레임 본체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1본체;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2본체의 한쪽 끝부분에서 제1본체쪽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연결부;
    상기 돌출연결부와 제1본체의 한쪽 끝부분에서 돌출연결부 쪽을 향해 각각 형성된 돌부 사이에 삽입되어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열연결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연결부 및 제1본체에 각각 형성된 돌부와 단열연결재는 널링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2차단부의 선단이 제1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게 되고,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1차단부의 선단이 제2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면서,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어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제2체결부의 선단부에는 단열재의 제1단열부 쪽으로 볼록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볼록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열재의 제1단열부에는 오목 형상이 형성되어, 이들 볼록과 오목 형상이 서로 결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6.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연결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이 연결 결합되는 각 수직프레임은,
    일측면이 개방된 측면개방부를 구비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면과 결합되면서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커버;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의 반대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1본체;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이 서로 접하게 되는 면 쪽에 위치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제2본체;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일체로 연결하며 중공부가 형성된 연결체;
    를 구비하여 제1본체와 제2본체 및 연결체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프레임 본체와 결합하여 측면개방부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측면평판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제1 및 제2본체의 각 단부(端部)와 각각 결합되는 체결돌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제2본체와 체결되는 체결돌부의 외측에서 측면평판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의 외측면과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중공부가 형성된 측면결합부;
    상기 측면결합부 외측으로 측면평판부에 형성된 제1가스켓체결부;
    상기 제1가스켓체결부 외측에서 측면평판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차단부;
    상기 측면결합부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제2가스켓체결부;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 외측에서 측면결합부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차단부;
    상기 측면평판부의 단부(端部)에서 제1차단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모헤야체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내측창과 외측창 문짝의 수직프레임끼리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2차단부의 선단이 제1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게 되고,
    상기 제2가스켓체결부에는 가스켓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문짝에 형성된 제1차단부의 선단이 제2가스켓체결부에 체결된 가스켓과 접하면서,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2군데서 이중으로 결합되어 이중으로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0190012478A 2019-01-31 2019-01-31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13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78A KR102134623B1 (ko) 2019-01-31 2019-01-31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78A KR102134623B1 (ko) 2019-01-31 2019-01-31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623B1 true KR102134623B1 (ko) 2020-07-16

Family

ID=7183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478A KR102134623B1 (ko) 2019-01-31 2019-01-31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64B1 (ko) * 2021-08-25 2022-04-08 주식회사 반석 기밀과 수밀기능을 가진 창호의 세로변 실외측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137A (en) * 1978-11-08 1980-05-13 Three Rivers Aluminum Company Sliding door or window
KR20160113780A (ko) * 2015-03-23 2016-10-04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70031540A (ko) * 2015-09-11 2017-03-21 김순석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2137A (en) * 1978-11-08 1980-05-13 Three Rivers Aluminum Company Sliding door or window
KR20160113780A (ko) * 2015-03-23 2016-10-04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70031540A (ko) * 2015-09-11 2017-03-21 김순석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64B1 (ko) * 2021-08-25 2022-04-08 주식회사 반석 기밀과 수밀기능을 가진 창호의 세로변 실외측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US5692349A (en) Molded window frame free of fasteners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ES2296703T3 (es) Elemento de resorte para fijar una hoja de vidrio.
KR102134623B1 (ko)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200068834A (ko) 단열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유리받침대의 조립구조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JP2000145304A (ja) 複合サッシ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KR200400851Y1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20190114382A (ko) 연결 문짝 수직프레임의 단열구조
KR102064613B1 (ko)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035936B1 (ko) 개선된 단열 및 방풍 구조를 갖는 현관문
JP2939972B2 (ja) サッシ
KR20160076107A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JP3266233B2 (ja) 引き違い窓
KR102662445B1 (ko) 윈도우프레임조립체
CN210948217U (zh) 一种铝包木门窗
GB2216580A (en) A composite section frame element
GB2565796A (en) Cladding assembly
JP2000314275A (ja) 窓 枠
JP3118507B2 (ja) ドア、引戸等の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