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42Y1 - 창틀 우수 배수용구 - Google Patents

창틀 우수 배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42Y1
KR200377242Y1 KR20-2004-0033008U KR20040033008U KR200377242Y1 KR 200377242 Y1 KR200377242 Y1 KR 200377242Y1 KR 20040033008 U KR20040033008 U KR 20040033008U KR 200377242 Y1 KR200377242 Y1 KR 200377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indow frame
pipe
guid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원
Original Assignee
백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원 filed Critical 백종원
Priority to KR20-2004-0033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 우수 배수용구에 관한 것으로,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멘트면으로 흐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멘트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창문용 섀시의 하부측 창틀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사이에 고이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를 안내하는 우수 안내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우수 안내관; 우수 안내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우수 안내관의 우수 안내공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는 우수 배출공이 형성된 우수 배출관; 및 우수 안내관의 상단면 테두리에 하부측 창틀의 하부 평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창틀 우수 배수용구{Rainwater supply of water tool for a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 우수 배수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주택이나 공동주택 및 기타 건축물의 외측 창틀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섀시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창틀에 고인 물을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설치된 우수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창틀 우수 배수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이란 건축물에 있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는 동시에 내부의 밀폐된 공간을 환기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창은 근래에 들어서 외부의 소음이나 오염원 및 외부인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려는 목적 이외에 냉난방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창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창의 이중창 구조는 주거용이 아닌 사무용 빌딩군에서는 알루미늄 섀시를 이중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었고, 일반 주택이나 공동주택과 같이 주거용 건물에서는 대체적으로 알루미늄 섀시와 목재 창틀을 이중으로 설치한 이중창 구조가 일반화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창 구조는 통상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및 유리창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의 이중창 구조는 유리창 고정틀에 의해 유리창이 고정된 상태로 창틀에 끼워져 창틀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창 구조는 비가 오는 날이나 물 청소를 하는 경우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공간상에 물이 고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공간상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창틀의 가이드 레일 상에 구멍을 뚫어 가이드 레일 상에 고인 물이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구멍은 섀시를 창틀로 제조할 때 형성되어져 나오거나 필요에 의해 인위적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상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창 밖의 시멘트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때문에 시멘트는 물과의 접촉으로 백화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시멘트가 석인 물은 벽면 상에 물이 흐르는 자국을 남기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 상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에 의해 시멘트의 백화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건축물의 노후화가 가속되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멘트의 백화현상으로 인하여 벽면 상에 물이 흐르는 자국이 남게 되면 건물 전체의 외관이 지저분해 지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멘트면으로 흐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멘트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이 벽체 내부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면을 물이 흘러내림으써 발생할 수 있는 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는 창문용 섀시의 하부측 창틀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사이에 고이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를 안내하는 우수 안내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우수 안내관; 우수 안내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우수 안내관의 우수 안내공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는 우수 배출공이 형성된 우수 배출관; 및 우수 안내관의 상단면 테두리에 하부측 창틀의 하부 평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창틀 우수 배수용구는 하부측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 하부측에 우수 유입공과 배수공이 연계되도록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플랜지 상부면을 면첩촉시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시키되 우수 안내관과 우수 배출관의 부분은 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매입 고정하여 우수 배출관의 끝단을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지면으로 설치되는 우수관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창틀에 고이는 우수가 창틀의 배수공과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우수 안내공 및 우수 배출공을 경유하여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우수 안내관과 우수 배출관의 각도는 91∼95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시 상기 우수 배출관이 우수 안내관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됨이 양호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서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플랜지를 창틀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는 결합나사 또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다른 예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는 앞서의 목적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벽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벽체로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고인 물이나 우수가 흘러내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시멘트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우수를 안내하는 우수 안내공(112)이 형성된 우수 안내관(110), 우수 안내관(110)의 하단에 일정 각도의 횡방향으로 일체 연결되어 우수 안내관(110)의 우수 안내공(112)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는 우수 배출공(122)이 형성된 우수 배출관(120) 및 우수 안내관(110)의 상단면 테두리에 평면상으로 이루진 플랜지(13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구성에서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의 연결된 각도는 91∼95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직립 상태로 구성되는 우수 안내관(110)에 대하여 우수 배출관(120)이 하향의 일정 경사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우수 안내관(110)에 대하여 우수 배출관(120)을 하향의 일정 경사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우수 안내관(110)으로 유입된 물이나 우수가 우수 배출관(12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는 플랜지(130)의 상부면이 창틀(10)의 배수공(12) 하부에 연결되어 창틀(10)의 배수공(12)과 우수 안내관(110)의 우수 안내공(112)이 상호 연계되고,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은 창을 구성하기 위한 하부측 벽체의 내측에 매몰된 상태로 우수 배출관(120) 끝단이 벽체의 외벽으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창을 구성하는 벽체에 매몰시키는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창을 구성하기 위한 벽체 하부면 상에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매몰시킬 깊이로 홈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홈에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삽입하여 플랜지(130)의 상부면을 제외한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의 상부는 미장을 통해 매몰시킨다. 이때, 우수 배출관(120)의 끝단은 외벽으로 일정 길이 노출되게 구성되어 배출되는 물이나 우수가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도 있고, 우수 배출관(120)의 끝단을 지붕이나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설치되어 옥상이나 지붕의 우수를 지면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우수관(20)의 일측에 연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홈에 삽입하여 미장을 통해 매몰시킨 후에는 창을 구성하기 위한 벽체 내부면에 알루미늄 섀시로 이루어진 창틀(10)을 설치한다. 이때, 매몰된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플랜지(130) 상부면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창틀(10)에 형성된 배수공(12) 하부면 상에 면접촉되도록 하여 결합나사(134)를 통해 창틀 상부면으로부터 플랜지(130)의 나사공(132)으로 결합시켜 플랜지(130)의 상부면이 창틀(10)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창틀(10)의 배수공(12) 하부면 벽체에 매몰되게 설치함으로써 하부측 창틀(10)의 가이드 레일 사이로 고이는 물이나 우수는 배수공(12)을 통해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안내관(110)에 형성된 우수 안내공(112)으로 안내되어 우수 배출관(120)의 우수 배출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10)의 배수공(12)을 통해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안내관(110)에 형성된 우수 안내공(112)으로 안내되어 우수 배출관(120)의 우수 배출공(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하부측 창틀(10) 사이에 고인 물이나 우수는 우수 배출관(120)이 노출된 경우에는 지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우수 배출관(120)의 끝단이 우수관(20)에 연결된 경우에는 우수관(20)으로 배출하여 우수관(20)을 통해 지면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설치를 통해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안내공(112)과 우수 배출공(122)을 통해 배출시켜 지면으로 낙하시키거나 우수관(20)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창틀(10)의 고인 물이나 우수가 벽체의 시멘트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통해 창틀(10)의 고인 물이나 우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벽체의 시멘트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물이 시멘트에 접촉되어 발생할 수 있는 시멘트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벽체에 시멘트의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관(20)에 우수 배출관(120)을 연결하여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안내공(112)과 우수 배출공(122)을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으나 일이층 정도의 저층 건물인 경우 우수 배출관(120)을 우수관(20)에 연결하지 않고 벽체의 외측으로 노출시켜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 안내관(110)은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창틀(10)에 형성된 배수공(12)을 통해 유입시켜 후술하는 우수 배출관(120)의 우수 배출공(122)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 우수 안내관(110)은 상하의 일정 길이로 직립되게 구성된다. 이때, 우수 안내관(110)은 중공의 사각이나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중공은 창틀(10)에 형성된 배수공(12)으로부터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유입 안내하기 위한 우수 안내공(112)을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우수 배출관(120)은 우수 안내관(110)을 통해 하부로 안내된 물이나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우수 배출관(120)은 우수 안내관(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경사각의 횡방향으로 구성되어 우수 안내관(110)을 통해 하부로 유입 안내된 물이나 우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이 이루는 경사각은 91∼95도의 경사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이 이루는 경사각을 91∼95도의 경사각으로 형성한 이유는 우수 안내관(110)을 상하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우수 배출관(120)이 수평면에 대하여 그 끝단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우수 안내관(110)의 우수 안내공(112)을 통해 유입 안내된 창틀(10) 사이에 고인 물이나 우수가 그 끝단이 하향 경사진 우수 배출관(120)의 우수 배출공(122)을 통해 고임이 없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을 통해 일체로 결합시킬 수도 있고, 하나의 파이프를 일정 경사각으로 절곡시켜 수직하게 구성되는 상부와 일정 경사각의 횡방향으로 구성되는 하부 각각을 우수 안내관(110)과 우수 배출관(120)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의 플랜지(130)는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배수공(12)이 형성된 창틀(10)의 하부면에 밀착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플랜지(130)는 우수 안내관(110) 상단의 테두리 상에 창틀(10)의 하부 평면에 대응하는 평면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30)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나사(134)를 통해 플랜지(130)를 창틀(10)의 배수공(12) 하부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공(132)이 다수 형성되거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36)가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플랜지(130)의 구성에서 결합나사(134)를 통해 플랜지(130)를 창틀(10)의 배수공(12) 하부면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결합면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창틀(10)의 상부면으로부터 플랜지(130)의 나사공(132)으로 결합나사(134)를 결합시킬 때 타이트하게 결합시켜 결합면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창틀(10)의 하부측 벽체에 매몰시켜 플랜지(130)를 통해 창틀(10)의 배수공(12) 하부면에 밀착 결합시키는 한편 우수 배출관(120)의 끝단은 우수관(20)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를 창틀 우수 배수용구(100)를 통해 우수관(20)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가 벽체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창틀(10)에 고인 물이나 우수가 벽체를 통해 흘러내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벽체의 시멘트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하여 벽체에 백화현상이 발생된 물이나 우수가 흘러내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자국으로 인한 더러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멘트면으로 흐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멘트의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이 벽체 내부로 흘러 들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창문용 섀시의 설치시 섀시의 하부면 상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출공을 형성한 후 배출공과 옥상으로부터 지면으로 연결되는 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섀시의 가이드 레일에 고이는 물이 배출공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면을 물이 흘러내림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다른 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창틀 우수 배수용구 110. 우수 안내관
112. 우수 안내공 120. 우수 배출관
122. 우수 배출공 130. 플랜지

Claims (3)

  1. 창문용 섀시의 하부측 창틀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사이에 고이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창틀 우수 배수용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유입되는 우수를 안내하는 우수 안내공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우수 안내관;
    상기 우수 안내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우수 안내관의 우수 안내공을 통해 유입된 우수를 배출시키는 우수 배출공이 형성된 우수 배출관; 및
    상기 우수 안내관의 상단면에 테두리에 상기 하부측 창틀의 하부 평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측 창틀의 가이드 레일 사이의 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하부측에 우수 유입공과 배수공이 연계되도록 상기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플랜지 상부면을 면첩촉시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시키되 상기 우수 안내관과 우수 배출관의 부분은 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매입 고정하여 상기 우수 배출관의 끝단을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지면으로 설치되는 우수관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창틀에 고이는 우수가 창틀의 배수공과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우수 안내공 및 우수 배출공을 경유하여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우수 배수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안내관과 우수 배출관의 각도는 91∼95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설치시 상기 우수 배출관이 우수 안내관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우수 배수용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우수 배수용구의 플랜지를 창틀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는 결합나사 또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우수 배수용구.
KR20-2004-0033008U 2004-11-22 2004-11-22 창틀 우수 배수용구 KR200377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08U KR200377242Y1 (ko) 2004-11-22 2004-11-22 창틀 우수 배수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008U KR200377242Y1 (ko) 2004-11-22 2004-11-22 창틀 우수 배수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42Y1 true KR200377242Y1 (ko) 2005-03-11

Family

ID=4367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008U KR200377242Y1 (ko) 2004-11-22 2004-11-22 창틀 우수 배수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4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15B1 (ko) 2007-03-05 2008-08-04 이봉학 창틀 장착용 배출관
KR101308949B1 (ko) * 2011-07-12 2013-09-24 백종원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KR101473048B1 (ko) 2011-08-08 2014-12-16 (주) 엘지토스템비엠 결로수 배출 유닛을 구비하는 시스템 창호와 결로수 배출 유닛
KR101552545B1 (ko) 2014-02-18 2015-09-14 백종원 건물 외벽 얼룩방지 방충망
KR102511921B1 (ko) * 2022-05-17 2023-03-17 노명서 단열성을 개선한 알루미늄 창호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15B1 (ko) 2007-03-05 2008-08-04 이봉학 창틀 장착용 배출관
KR101308949B1 (ko) * 2011-07-12 2013-09-24 백종원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KR101473048B1 (ko) 2011-08-08 2014-12-16 (주) 엘지토스템비엠 결로수 배출 유닛을 구비하는 시스템 창호와 결로수 배출 유닛
KR101552545B1 (ko) 2014-02-18 2015-09-14 백종원 건물 외벽 얼룩방지 방충망
KR102511921B1 (ko) * 2022-05-17 2023-03-17 노명서 단열성을 개선한 알루미늄 창호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58B2 (en) Water draining spandrel assembly and insulated panel window walls
KR100985829B1 (ko)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US20110017301A1 (en) Facad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200377242Y1 (ko) 창틀 우수 배수용구
KR101467319B1 (ko)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101096647B1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
KR200425124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101329390B1 (ko) 배수가 용이한 창호용 조립부재
KR100493687B1 (ko) 건축용 난간 일체형 발코니 창틀
KR200382106Y1 (ko) 창호시스템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101312013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44550B1 (ko)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20100103273A (ko) 외동창형 창호프레임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101308949B1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AU771413B2 (en) Window assembly
KR102168197B1 (ko) 해안용 발코니 이중창
KR101267777B1 (ko)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CN215213210U (zh) 一种节能外开窗排水结构
JP3640062B2 (ja) サッシ下枠、側溝及び躯体の梁の配置構造
KR200341296Y1 (ko) 창틀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