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156A -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156A
KR20210083156A KR1020200125857A KR20200125857A KR20210083156A KR 20210083156 A KR20210083156 A KR 20210083156A KR 1020200125857 A KR1020200125857 A KR 1020200125857A KR 20200125857 A KR20200125857 A KR 20200125857A KR 20210083156 A KR20210083156 A KR 2021008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lip bar
bent
cutout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748B1 (ko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현 filed Critical 엄재현
Priority to KR102020012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바에 삽입되어 벽체에 체결되는 벽체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클립바가 어느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벽체배수판에 미감을 살리는 경사면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벽체배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배수판의 경사형 모서리를 통해 벽체 설치시 다양한 입체감과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배수판이 클립바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배수판의 형상과 그 제조를 위한 판형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CLIP BAR INSERT TYPE DRAIN BOARD FOR WALL}
본 발명은 클립바에 삽입되어 벽체에 체결되는 벽체배수판과 이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에 클립바가 어느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벽체배수판에 미감을 살리는 경사면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벽체배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은 지하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물 내부로의 결로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지하 내부의 공기를 습하게 하고, 벽면에 백화 현상을 발생케 하며, 곰팡이가 서식하는 등의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지하층 벽체로부터 건물 내부로 습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벽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벽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시멘트 블록을 이중으로 쌓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시공 기간 및 비용은 물론, 시멘트 블록의 두께로 인하여 건물 내부 공간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며,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벽체에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벽체 내부로 지하수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된 지하수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벽체용 패널 조립체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와 별개로 천장의 경우, 천장패널을 결합함에 있어 클립바라고 하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었다. 클립바는 보통 천장패널의 조립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오던 구성으로서,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조립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이나 케이블 등의 시설물들이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하고, 실내를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천장패널이 설치된다.
천장패널(1)을 천장슬래브에 고정된 캐링채널(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바(3)가 사용되는데, 둘 이상의 클립바(3)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연장클립(4)을 이용한다. 이러한 연장클립(4)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의 몸체(41), 몸체(41)의 좌우단부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걸림부(42), 몸체(41)와 걸림부(42)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클립바(3)의 상단부가 연장클립(4)의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삽입공간부(43)로 구성된다.
삽입공간부(43)의 형상은 연장클립(4)의 몸체(41)를 전방에서 바라보면서 상하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그 단면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이룬다. 즉, 연장클립(4)의 걸림부(42)는 클립바(3)의 상단부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이 아닌, 벽체배수판의 고정에 있어, 이러한 클립바(3)를 활용하고자 하는 점에서 개발되었다. 벽체의 경우 천장보다는 단순히, 벽체에 바로 클립바(3)를 부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벽체배수판을 클립바에 결합시키는 방법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벽체배수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클립바(3)를 벽체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클립바(3)에 벽체배수판(1) 본체부(11)의 양 측면에 돌출된 측면부(12)를 상하로 나란히 끼우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클립바(3)는 단면상 삼각형과 비슷한 구조로서, 중심의 저면부(31)와 양단의 걸림단부(32) 및 그로부터 연장되며 모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33)로 구성된다. 경사부(33)는 상호 사이를 향해 가압하는 동시에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데, 그 사이의 공간으로 벽체배수판(1)의 측면부(12)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벽체배수판(1)을 통상적으로 제조한다면 도 4와 같이 육면체 내지는 사각 박스형이 될 것인데, 이를 제조할 때 금속 패널의 네 모서리를 L형으로 절개하여, 십자형으로 만들고, 중앙의 본체부(1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사방의 연장된 부분을 후방으로 접어 측면부(12)로 형성한다. 측면부(12)끼리 만나는 모서리는 수직절개부(13)가 되고, 수직절개부(13)들의 사이에는 미세한 틈인 절개홈(14)이 마련되어, 이 절개홈(14) 부분을 통해 클립바(3)에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제조법으로는 단순히 육면체형의 천편일률적인 형태의 벽체배수판(1) 만을 형성할 수밖에 없어 벽체에 설치시 단조로운 형태의 미감만을 나타낼 뿐이었다.
따라서 조립성이 향상되면서도, 보다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고, 벽체에 설치되었을 때 복합적인 입체감을 전달해 줄 수 있는 벽체배수판과 그 제조방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허공개 제10-2017-0122394호
본 발명은 경사형 모서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입체감을 표출할 수 있는 벽체배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형 모서리를 포함하면서도 클립바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벽체배수판과 그 제조를 위한 형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클립바에 삽입되어 거치되기 위한 벽체배수판에 있어서, 사각 평면부를 포함하여 외면으로 넓게 노출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사방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11)에 의해 외측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경사형의 경사면부(120); 상기 경사면부(120)의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제2절곡부(121)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수직면부(130); 및 상기 사방의 수직면부(13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을 제공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사방의 수직면부(13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수직절개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직절개부(132)를 따라 하방으로는 더 넓은 폭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광절개부(13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부(12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전체절개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절개부(122)는 상기 제2절곡부(121)부터 상기 제1절곡부(111)와 만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체절개부(122)의 하방은 절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부(12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사선절개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사선절개부(123)는 양측의 상기 절개부 상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선절개부(123)의 양측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사선절개부(123)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제1모서리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부(12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일부절개부(125);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절개부(125)는 상기 제2절곡부(121)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121)와 상기 제1절곡부(111)의 중간 위치까지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부절개부(125)의 하방은 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일부절개부(125)의 상단부와 상기 제1절곡부(111) 모서리의 사이에는 제2모서리부(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부(12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직절개부(127);를 포함하고, 상기 직절개부(127)는 상기 제2절곡부(121)부터 연장 형성되되, 평면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절개부 상단의 외곽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직절개부(127)의 하방은 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직절개부(127)의 상단부와 상기 제1절곡부(111) 모서리의 사이에는, 상기 직절개부(127)의 상단과 연결되는 제3모서리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직절개부(127)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4모서리부(1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면부(130)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40)는 클립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체배수판(100); 상기 벽체배수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클립바(3); 상기 클립바(3)를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200)의 일측은 상기 클립바(3)를 지지하고, 타측은 벽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클립바(3) 측에 위치되어 상기 클립바(3)에 결합되거나 상기 클립바를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20); 및 상기 연장부(220)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벽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바(3)에 결합되어 결합된 벽체배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0, 6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클립바(3)의 경사면(33)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클립바(3)의 저면부(31)를 일부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클립바(3)를 지지하는 수평부(510); 상기 수평부(510)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520); 및 상기 양 경사부(502) 단부의 벽고정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510)에는 상기 클립바(3)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5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배수판의 경사형 모서리를 통해 벽체 설치시 다양한 입체감과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배수판이 클립바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배수판의 형상과 그 제조를 위한 판형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조립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벽체배수판을 클립바에 결합시키는 방법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벽체배수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의 모서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이 클립바에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이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클립바에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 및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의 모서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벽체배수판(100)은 정사각 형태의 본체부(110)에서 사방으로 경사면부(120)가 형성되고, 다시 하방으로 수직면부(130)가 형성된다.
이 때 수직면부(130)끼리 맞닿는 모서리 부분은, 종래 도 4에 나타난 수직절개부(13)와 같이 밀접하여 절개홈(14)이 매우 협소한 직선형과는 달리 넓게 개방되는 절개 형태를 구비하게 된다.
가장 상단면은 본체부(110)는 수평의 평면형을 이루며, 벽체 설치시에는 이 부분이 수직으로 서며 외부를 향하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벽체배수판(100)을 수평하게 바닥에 놓은 상태, 즉 본체부(110)가 상면을 향하는 상태로 위치와 방향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10)의 사방 테두리는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비스듬히 절곡 연장되는 형상의 경사면부(120)를 이루게 되며, 경사면부(120)의 경사진 하단부는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방 연장되어 수직면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본체부(110)와 경사면부(120) 사이의 절곡되는 직선형의 부분을 제1절곡부(111)라 한다. 또한 경사면부(120)와 수직면부(130) 사이의 절곡되는 직선형의 부분을 제2절곡부(121)라 한다. 제1절곡부(111)와 제2절곡부(121)는 상호 평행하게 높이만 다르게 위치된다.
경사면부(120)들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되는 형태의 전체절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면부(130)들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절개되는 형태의 수직절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절개부(132)의 하방으로는 더 넓은 너비로 이격 절개시키는 광절개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절개부(132)와 광절개부(134)를 합하여 절개부라 한다.
즉 광절개부(134)는 더 큰 폭의 사이 공간이며, 그 상부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사이 공간인 수직절개부(132)가 형성되고, 다시 그 사이로는 더 좁아지는 형상의 전체절개부(122)가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전체절개부(122)는 평면형의 패널을 프레스 등으로 굽혀 절곡할 때 쉽게 굽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수직절개부(132)는 그 개방 공간을 통해 클립바(3)로 밀어넣기 쉽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광절개부(134)로 인해 클립바(3)의 경사부(33)가 좀 더 근접하기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입체 형상의 벽체배수판(100)은 이하의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난 평면형의 금속제 패널을 프레스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 6의 벽체배수판(100)은 도 7에 나타난 패널이 프레스되어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직사각 형태의 평면 패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사방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한 것과 같이 경사 내입되어 있다.
평면의 중심 부분은 본체부(110)이며, 본체부(110)의 사방으로는 제1절곡부(111)가 형성되고, 그보다 약간 더 바깥으로는 제2절곡부(121)가 형성되며, 그 사이의 공간이 경사면부(120)가 된다. 제2절곡부(121)의 외측으로는 수직면부(130)가 추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제1절곡부(111)가 상호 만나는 모서리와, 제2절곡부(121)가 만나는 모서리의 사이에 전체절개부(122)가 형성된다. 전체절개부(122)는 제1절곡부(111) 모서리에서 제2절곡부(121) 모서리를 향하며 점차 벌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절곡부(121)로부터 더 외측 방향, 즉 수직면부(130)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전체절개부(122)와 연결되는 수직절개부(132)가 형성된다. 전체절개부(122)의 테두리와 수직절개부(132)의 테두리는 제2절곡부(121)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수직면부(130)의 모서리 중, 수직절개부(132)의 외측으로는 더 넓어지는 형태로 광절개부(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면형의 패널은 프레스나 굽힘에 의해, 제1절곡부(111)에서 약 45도 전후로 하방 절곡되고, 다시 제2절곡부(121)에서 하방 수직이 되도록 다시 절곡되며, 각 경사면부(120)와 수직면부(1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체절개부(122)는 경사면부(120) 모서리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므로, 경사면부(120)와 수직면부(130)의 움직임이 본체부(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고 그 움직임의 범위도 커지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선절개부(123)가 수직절개부(132)의 상단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며 형성되는 형태가 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1절곡부(111) 모서리 방향을 향해 깊이 내입되지 않고, 좌우 일정 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a)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수직절개부(132)는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절개 외곽을 갖게 되며, 사선절개부(123)는 수직절개부(132)와 제2절곡부(121)가 만나는 지점끼리 연결하며 45도 정도의 경사진 외곽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 공간이 된다.
이 경우 수직절개부(132)와 사선절개부(123)가 만나는 지점과 제1절곡부(111) 모서리 사이에는 일부 굽어지거나 뭉치는 형태의 제1모서리부(124)가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모서리부(124)는 접히거나 뭉치는 부분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어 하중 지지 및 전달이 원활해 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러한 패널은 금속제이므로 일부 연장되거나 압착되거나 접히며 이러한 모서리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하 동일하다.
도 9 (a)의 모서리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상기 전체절개부(122)의 위치에 일부절개부(125)가 위치된다. 일부절개부(125)는 제2절곡부(121) 모서리로부터 제1절곡부(111) 모서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제2절곡부(121) 모서리로부터 제1절곡부(111) 모서리에 미치지 않고, 그 전의 중간 정도 위치까지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일부절개부(125)의 상단부로부터 제1절곡부(111) 모서리까지는 제2모서리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일부절개부(125)는 전체절개부(122)에 비해 경사면부(120)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대신 경사면부(120)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위치를 지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 (a)의 모서리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일부절개부(125)를 대체하여 직절개부(127)가 형성된다. 직절개부(127)는 평면형 패널 상태 기준으로, 수직절개부(132)로부터 외곽이 일직선으로 그대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프레스 내지는 접게 되면, 경사면부(120)의 모서리에는 직절개부(127) 상단에 형성되는 제3모서리부(128)가 형성될 수 있고, 직절개부(127)의 하단과 제2절곡부(121)가 맞닿는 부분에는 제1절곡부(111) 모서리를 향하는 제4모서리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서리부를 통해 지지력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이 클립바에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직면부(13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부(140)가 돌출 형성되는데, 돌출 방향은 수직면부(130)의 바깥쪽을 향하거나 또는 안쪽을 향할 수도 있다. 수직면부(130)는 클립바(3)의 경사부(33) 사이로 인입되는데, 이 때 수직면부(130)에 형성된 걸림부(140)는 경사부(33)의 내측에 위치되어 경사부(33)가 사이로 모으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이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존에는 평평한 본체부(110) 만이 노출되었던 벽체배수판(100)의 배치 구조에 있어, 그 사이사이에 경사면부(120)가 노출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입체감과 미감을 외측으로 표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다양한 절개형태와 모서리부를 통해, 현장에서 원하는 용이한 조립성, 지지 강도를 갖는 벽체배수판을 제조,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클립바에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 및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클립바(3)에 결합된 벽체배수판(100)의 하부에 지지부재(640, 650)를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벽체배수판(100)이 밑으로 미끌어져 내려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640, 650)가 클립바(3)의 외면과 저면부(31)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a)의 지지부재(640)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이 되도록 하되, 양측의 경사부(642)를 기준으로, 저면부(31) 부분을 일부 감싸는 내입절곡부(644)를 구비한다. 지지부재(640)는 상하방으로부터의 슬라이딩 결합 내지는, 양측을 벌려서 측방 삽입하는 탄성 결합에 의해 클립바(3)를 감싸며 위치되고, 그 상단이 벽체배수판(10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b)의 지지부재(650)와 같이, 반원 내지는 호 형상의 외면부(652)와 그 양측 단부의 내입절곡부(654)를 갖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지지부재(660)의 외측은 외평면부(662)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측평면부(664)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내입절곡부(66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클립바(3)는 단면상 삼각형과 비슷한 구조로서, 중심의 저면부(31)와 양단의 걸림단부(32) 및 그로부터 연장되며 모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33)로 구성된다. 저면부(31)에는 체결부재(200)가 결합되는데, 체결부재(2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장부(220)를 중심으로 일측은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은 벽체부(230)가 형성된다. 결합부(210)는 클립바(3)의 저면부(31)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벽체부(230)는 벽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은, 용접, 접착, 볼팅, 핀, 클립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할 수 있다.
결합부(210)와 벽체부(230)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ㄷ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절곡된 형상으로 인해 고정된 벽체부(230)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장부(220)의 배치 각도가 변동되며 결합부(21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연장부(220)와 결합부(210)의 사이각, 연장부(220)와 벽체부(230)의 사이각이 변동되면서, 결합부(210)에 결합된 클립바(3)의 배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체결부재(500)는 중앙 수평의 수평부(510)와, 양측의 경사부(520) 및 벽고정부(530)를 구비한다. 이 때 클립바(3)를 지지, 고정하기 위해 수평부(510)에는 걸림부(512)가 양측에 형성된다.
걸림부(512)는 (a), (c)와 같이, 수평부(510)의 일부를 절개하여 들어올린 형태이거나, 또는 (b), (d)와 같이, 수평부(510)의 외측을 꺾어서 접은 형태로 할구성할 수 있다.
걸림부(512)와 수평부(510)의 사이에는 클립바(3)의 걸림단부(32)가 걸리도록 슬라이딩 방식 또는 기타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걸림부(512)의 단부에는 (b), (d)와 같이 걸림단부(514)가 수평으로 꺾이도록 하여, 지지면적을 넓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직절개부(132)가 없이 바로 광절개부(134)만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수직절개부(132)가 바로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광절개부(134)와 구분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넓은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면부(120)에 형성된 절개부가, 수직면부(130)로 오면서 급격하게 넓어지는 광절개부(134)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절개부(134)를 통해 클립바(30)가 용이하게 접근되어 상호 결합이 될 수 있다.
1: 벽체배수판 11: 본체부
12: 측면부 13: 수직절개부
14: 절개홈 3: 클립바
31: 저면부 32: 걸림단부
33: 경사부 100: 본 발명에 따른 벽체배수판
110: 본체부 111: 제1절곡부
120: 경사면부 121: 제2절곡부
122: 전체절개부 123: 사선절개부
124: 제1모서리부 125: 일부절개부
126: 제2모서리부 127: 직절개부
128: 제3모서리부 129: 제4모서리부
130: 수직면부 132: 수직절개부
134: 광절개부 140: 걸림부
200: 체결부재 500: 체결부재

Claims (11)

  1. 클립바에 삽입되어 거치되기 위한 벽체배수판에 있어서,
    사각 평면부를 포함하여 외면으로 넓게 노출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사방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에 의해 외측 하방을 향해 형성되는 경사형의 경사면부;
    상기 경사면부의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는 제2절곡부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수직면부; 및
    상기 사방의 수직면부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사방의 수직면부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수직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수직절개부를 따라 하방으로는 더 넓은 폭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광절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전체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체절개부는 상기 제2절곡부부터 상기 제1절곡부와 만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체절개부의 하방은 절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사선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선절개부는 양측의 상기 절개부 상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사선절개부의 양측은 상기 제2절곡부에서 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절개부 및 상기 사선절개부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제1모서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부끼리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절개형의 빈 공간인 일부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절개부는 상기 제2절곡부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중간 위치까지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일부절개부의 하방은 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일부절개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1절곡부 모서리의 사이에는 제2모서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면부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클립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벽체배수판;
    상기 벽체배수판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클립바;
    상기 클립바를 벽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은 상기 클립바를 지지하고, 타측은 벽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클립바 측에 위치되어 상기 클립바에 결합되거나 상기 클립바를 지지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 측에 형성되는 벽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바에 결합되어 결합된 벽체배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클립바를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양 경사부 단부의 벽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클립바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KR1020200125857A 2019-12-26 2020-09-28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의 체결장치 KR10248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857A KR102484748B1 (ko) 2019-12-26 2020-09-28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93A KR102199337B1 (ko) 2019-12-26 2019-12-26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KR1020200125857A KR102484748B1 (ko) 2019-12-26 2020-09-28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의 체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93A Division KR102199337B1 (ko) 2019-12-26 2019-12-26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56A true KR20210083156A (ko) 2021-07-06
KR102484748B1 KR102484748B1 (ko) 2023-01-04

Family

ID=741285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93A KR102199337B1 (ko) 2019-12-26 2019-12-26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KR1020200125857A KR102484748B1 (ko) 2019-12-26 2020-09-28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의 체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93A KR102199337B1 (ko) 2019-12-26 2019-12-26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9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964B1 (ko) * 2021-05-10 2022-07-21 엄재현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15B1 (ko) * 2006-08-11 2007-04-20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527006B1 (ko) * 2015-01-05 2015-06-10 유림산전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2394A (ko)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84A (ko) * 2015-08-24 2017-03-06 정응철 조립이 용이한 벽체 마감 경량벽 구조
KR101710378B1 (ko) * 2016-12-08 2017-02-28 주식회사 진흥 천장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천장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15B1 (ko) * 2006-08-11 2007-04-20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527006B1 (ko) * 2015-01-05 2015-06-10 유림산전 주식회사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2394A (ko)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48B1 (ko) 2023-01-04
KR102199337B1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5027A1 (en) Inside corner framing element for supporting wallboard
JP6438465B2 (ja) 間仕切り壁、吊り天井などを製造するための乾式構造システム、そのキャリア形状体、及び、本乾式構造システムの使用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CA2579938C (en) Self centering shaft wall system
US5020290A (en) Modular wall
KR20160003477A (ko)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KR20210083156A (ko)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JP5837834B2 (ja) 内壁構造
JP7475629B2 (ja) 連結金具および天井下地
KR20210103202A (ko) 클립바 결합형 벽체배수판 및 그 구조체
KR102299256B1 (ko) 스페이서 부재를 포함하는 우물천장 구조물
KR200186188Y1 (ko)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KR102273342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클립바 장치
JP2009185562A (ja) 建物の軒先構造
CN212317275U (zh) 一种吊顶的边安装组件
EP1555355A2 (en) Partition
JP3735081B2 (ja) レンガ壁用パネル構成材
JP5886593B2 (ja) 格子パネルの取付構造
EP1402132B1 (en) Glass brick
JP6134949B2 (ja) 板張り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外部構築物
CN212802201U (zh) 一种用于吊顶安装的边角连接件及边角龙骨组件
KR20210082840A (ko) 체결방식 클립바 장치
TWI785218B (zh) 樓承板
FI82114C (fi) Prefabricerad panelvaegg.
AU2001100058A4 (en) Interior wa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