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64B1 -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64B1
KR102423964B1 KR1020210060159A KR20210060159A KR102423964B1 KR 102423964 B1 KR102423964 B1 KR 102423964B1 KR 1020210060159 A KR1020210060159 A KR 1020210060159A KR 20210060159 A KR20210060159 A KR 20210060159A KR 102423964 B1 KR102423964 B1 KR 10242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astening member
manufacturing
side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현
Original Assignee
엄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현 filed Critical 엄재현
Priority to KR102021006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성형부가 하부성형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강판을 프레스 성형시켜서 체결부재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of Combina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mbination Memb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층은 지하수 또는 습기 등에 노출되기 쉬우며,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건물 내부로의 결로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이와 같은 결로 현상은 지하 내부의 공기를 습하게 하고, 벽면에 백화 현상을 발생케 하며, 곰팡이가 서식하는 등의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지하층 벽체로부터 건물 내부로 습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벽체에 방수처리를 하거나, 벽체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시멘트 블록을 이중으로 쌓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시공 기간 및 비용은 물론, 시멘트 블록의 두께로 인하여 건물 내부 공간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며, 하자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에는 벽체에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 가능하고, 벽체 내부로 지하수 또는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고 침투된 지하수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벽체용 패널 조립체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와 별개로 천장의 경우, 천장패널을 결합함에 있어 클립바라고 하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었다. 클립바는 보통 천장패널의 조립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오던 구성으로서,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조립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이나 케이블 등의 시설물들이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하고, 실내를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천장패널이 설치된다.
천장패널(1)을 천장슬래브에 고정된 캐링채널(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바(3)가 사용되는데, 둘 이상의 클립바(3)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연장클립(4)을 이용한다. 이러한 연장클립(4)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형의 몸체(41), 몸체(41)의 좌우단부에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걸림부(42), 몸체(41)와 걸림부(42)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클립바(3)의 상단부가 연장클립(4)의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삽입공간부(43)로 구성된다. 삽입공간부(43)의 형상은 연장클립(4)의 몸체(41)를 전방에서 바라보면서 상하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그 단면이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상을 이룬다. 즉, 연장클립(4)의 걸림부(42)는 클립바(3)의 상단부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클립바(3)는 단면상 삼각형과 비슷한 구조로서, 중심의 저면부(31)와 양단의 걸림단부(32) 및 그로부터 연장되며 모아지는 한 쌍의 경사부(33)로 구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천장이 아닌, 벽체배수판의 고정에 있어, 이러한 클립바(3)를 활용하고자 하는 구조가 개발된 바 있다. 벽체의 경우 천장보다는 단순히, 벽체에 바로 클립바(3)를 부착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벽체배수판을 클립바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립바(3)를 벽체에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클립바(3)에 벽체배수판(1) 본체부(11)의 양 측면에 돌출된 측면부(12)를 상하로 나란히 끼우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장 시공을 하다보면, 벽체의 상태나 시공 오차, 시공 환경에 따라, 벽체배수판(1)의 너비와 클립바(3)의 간격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클립바(3)의 위치를 좌우로 다소 움직이거나 변경시켜야 하는데, 벽체에 직접 고정시킨 경우에는, 그때그때 클립바(3)의 위치를 이동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벽체에 고정부재를 결합시킨 후, 체결부재가 고정부재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결합시키고, 이어서 클립바를 체결부재에 결합시켜서 클립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체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의 클립바(3: 도 1 도시)에 체결부재(100)와 고정부재(300)를 조합 및 응용하여 상호 결합시키고, 클립바(3)에 벽체배수판을 결합하도록 한다. 체결부재(100)는 클립바(3)를 고정, 체결시키고, 다시 체결부재(100)가 별도의 고정부재(300)를 통해 벽체에 결합된다. 이러한 체결부재(100)는 클립바(3)의 저면부(31)를 감싸는 본체부(110) 및 본체부(110)의 일면에 구비되어 클립바(3)의 걸림단부(32)를 감싸며 맞물리는 한 쌍의 걸림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일면 사이의 양측에는 후방 측으로 절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12)를 구비한다. 측면부(112)에는 고정부재(300)가 삽입되도록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측면부(112)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단부(118)가 형성되어, 슬라이딩시 벽체 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체결부재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본체부, 측면부 및 측면단부가 차례로 형성된 후, 본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체부에 걸림부가 별도로 형성되는 구조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39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립바의 저면부를 감싸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클립바의 걸림단부를 감싸며 맞물리는 걸림부와, 본체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단부와,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측면부 또는 측면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강판이 투입되는 투입부, 강판의 양측에 커팅안내홈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커팅안내부,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본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형성부,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을 절곡시키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본체부형성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하부성형부; 및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부에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부로 투입되는 강판을 프레스시키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부를 덮을 수 있는 투입안내부, 상기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커팅부, 상기 걸림부형성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걸림수용부 및 측면단부와 측면부를 형성시키고 제품을 커팅시킬 수 있는 제품성형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상부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부 또는 상기 상부성형부에는 본체부 또는 측면부 또는 측면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관통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안내부는 측면부와 측면단부 사이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안내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기 투입부와 상기 커팅안내부 사이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관통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관통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상부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투입부와 상기 커팅안내부 사이에 오목하게 하부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하부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관통안내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강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강판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지지부의 내측에는 강판의 양측이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안내부는 상기 커팅안내부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커팅안내홈의 후방에 제 1 위치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안내부 및 상기 제 1 위치안내부에 관통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가 상기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형성부의 양측 하부에 위치되는 측면단부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성형부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측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안내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걸림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타측 사이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걸림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타측과 상기 제 3 걸림수용부 사이에 상기 측면단부안내부와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형성부와, 상기 제 3 걸림수용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품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강판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단계;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이 상기 커팅안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커팅부가 상기 커팅안내부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의 양측에 커팅안내홈이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가 상기 걸림부형성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1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형성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본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이 상기 돌출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고 상기 돌출안내부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상기 돌출부에 위치된 강판의 양측이 상기 돌출안내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면서 측면단부가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형성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시키고 상기 측면부형성부가 강판의 본체부와 측면단부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본체부의 양측이 절곡되면서 측면부가 형성되는 단계; 및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가 본체부형성부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커팅부가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가 커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측면단부가 형성되기 전에,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이 상기 관통안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부안내부가 상기 관통안내부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의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성형부가 하부성형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강판을 프레스 성형시켜서 체결부재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통안내부의 위치에 따라 체결부재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힌, 투입부에 슬라이딩안내홈이 형성되므로, 하부성형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강판은 정해진 위치를 임의로 벗어나지 않고 올바르게 이동되도록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통안내부 및 제 1 위치안내부에 관통홀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팅부가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므로, 커팅부가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면서 강판을 프레스할 때 강판의 양측이 흔들리지 않고 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패널 조립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벽체배수판을 클립바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체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상부성형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강판 투입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관통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걸림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측면단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측면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상부성형부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투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의 제조 장치는 강판(P: 도 14 도시)을 프레스 성형시켜서 체결부재(100)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성형부(1000) 및 상부성형부(20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강판(P)이 하부성형부(1000) 및 상부성형부(2000) 사이를 지나갈 때, 상부성형부(2000)가 상하 이동되면서 강판(P)을 프레스 성형하여 체결부재(100)를 형성한다.
하부성형부(10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성형부(1000)는 그 상면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투입부(1100), 관통안내부(1200), 커팅안내부(1300), 걸림부형성부(1400), 돌출부(1500) 및 본체부형성부(1600)가 차례로 구비된다.
투입부(1100)는 강판(P)이 투입되는 것으로, 강판(P)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1110)와, 강판(P)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하부지지부(111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지지부(1120)를 포함한다. 상호 마주보는 측방지지부(1120)의 내측에는 강판(P)의 양측이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안내홈(1130)이 형성된다. 강판(P)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작업자 또는 별도의 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투입부(1100)로 투입된다. 이처럼 투입부(1100)에 슬라이딩안내홈(1130)이 형성되므로, 하부성형부(10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강판(P)은 정해진 위치를 임의로 벗어나지 않고 올바르게 이동되도록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관통안내부(1200)는 측면부(112)와 측면단부(118) 사이에 관통홀(113)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하부성형부(1000)의 투입부(1100)와 커팅안내부(1300)의 전측 사이에 한 쌍이 위치되며 볼록하게 형성된다. 관통안내부(1200) 및 관통홀(113)은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관통안내부(1200)의 위치를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상부성형부(2000)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커팅안내부(1300)는 강판(P)의 양측에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강판(P)은 커팅안내부(1300)에 의하여 그 양측에 커팅안내홈(P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성형부(1000)에는 전진되는 강판(P)의 관통홀(113)이 안내되도록 커팅안내홈(P1)의 후측에 볼록하게 제 1 위치안내부(1210) 및 제 2 위치안내부(1220)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성형부의 길이방향 전측에서 후측 방향을 따라 관통안내부(1200), 커팅안내부(1300), 제 1 위치안내부(1210) 및 제 2 위치안내부(1220)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형성부(1400)는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P)의 양측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본체부(110)에 걸림부(120)가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5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P)의 양측을 절곡시키도록 돌출 형성된다.
본체부형성부(1600)는 본체부(11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측면단부안내부(1610)는 본체부형성부(1600)의 양측 하부에 위치된다.
상부성형부(2000)는 하부성형부(1000)의 상부에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성형부(1000)로 투입되는 강판(P)을 프레스시킨다. 상부성형부(2000)는 하부성형부(1000)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성형부(2000)는 그 하면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투입안내부(2100), 상부안내부(2200), 커팅부(2300), 제 1 걸림수용부(2400) 및 제품성형부(2500)가 차례로 구비된다.
투입안내부(2100)는 투입부(110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부안내부(2200)는 관통안내부(1200)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안내부(1200)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2 위치안내부(1210, 1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 1, 2 위치안내부(1210, 1220)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제 1, 2 상부안내부(2210, 2220)가 형성된다.
커팅부(2300)는 커팅안내부(1300)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커팅홀(2310), 가압판(2320) 및 커팅날(2322)을 포함한다. 커팅홀(23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성형부(2000)의 한 쌍의 커팅안내부(1300)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가압판(2320)은 상부성형부(200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부성형부(2000)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성형부(2000)가 하부성형부(10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판(2320)이 상부성형부(200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하강되어 가압판(2320) 및 상부성형부(2000)가 하부성형부(10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압판(2320)에 형성되는 커팅날(2322)이 커팅홀(2310)을 관통한 상태로 상부성형부(2000)의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커팅안내부(1300)에 삽입된다.
제 1 걸림수용부(240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걸림부형성부(14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품성형부(2500)는 측면단부(118)와 측면부(112)를 형성시키고 제품을 커팅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돌출부(1500)와 마주보는 양측에 돌출부(150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안내부(2510)와, 한 쌍의 돌출안내부(2510)의 일측 사이에 걸림부(12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걸림수용부(2520)와, 한 쌍의 돌출안내부(2510)의 타측 사이에 걸림부(120)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걸림수용부(2530)와, 한 쌍의 돌출안내부(2510)의 타측과 제 3 걸림수용부(2530) 사이에 측면단부안내부(1610)와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형성부(2540)와, 제 3 걸림수용부(253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품커팅부(255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강판 투입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00)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강판 투입 단계(S10), 관통홀 형성 단계(S11),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S12), 걸림부 형성 단계(S13), 측면단부 형성 단계(S14), 측면부 형성 단계(S15) 및 커팅 단계(S16)를 포함한다.
강판 투입 단계(S10)는 강판(P)이 투입부(1100)에 투입되는 것으로, 강판(P)은 진행방향을 따라 투입부(1100)의 슬라이딩안내홈(1130)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전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관통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8의 (a)를 참조하면, 관통홀 형성 단계(S11)는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P)이 관통안내부(1200)에 위치되면, 상부성형부(2000)의 상부안내부(2200)가 관통안내부(1200)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P)의 양측에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안내부(1200)의 전방에 제 1 위치안내부(1210) 및 제 2 위치안내부(1220)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강판(P)이 진행방향을 따라 전진될 때, 강판(P)에 형성된 관통홀(113)이 제 1 위치안내부(1210) 및 제 2 위치안내부(1220)에 삽입되어, 강판(P)의 위치가 정확하게 안내된다.
한편,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부성형부(2000)의 투입부(1100)와 커팅안내부(1300) 사이에 오목하게 하부안내부(1250)가 형성되고, 상부성형부(2000)의 하부안내부(1250)와 마주보는 위치에 관통안내부(2250)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부성형부(2000)의 관통안내부(2250)가 하부안내부(1250)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P)의 양측에 관통홀(113)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수직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팅안내홈 형성 단계(S12)는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P)이 커팅안내부(1300)에 위치되면, 커팅부(2300)가 커팅안내부(1300)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P)의 양측에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안내부(1200) 및 제 1 위치안내부(1210)에 관통홀(1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팅부(2300)가 커팅안내부(1300)에 삽입되므로, 커팅부(2300)가 커팅안내부(1300)에 삽입되면서 강판(P)을 프레스할 때 강판(P)의 양측이 흔들리지 않고 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힌, 커팅부(2300)가 커팅안내부(1300)에 정확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걸림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부 형성 단계(S13)는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P)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110)가 걸림부형성부(1400)에 위치되면, 제 1 걸림수용부(2400)가 걸림부형성부(1400)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본체부(110)에 걸림부(120)가 형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측면단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측면단부 형성 단계(S14)는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P)의 양측이 돌출부(15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걸림수용부(2520)가 걸림부(120)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고 돌출안내부(2510)가 돌출부(1500)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돌출부(1500)에 위치된 강판(P)의 양측이 돌출안내부(2510)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면서 측면단부(118)가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의 측면부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측면부 형성 단계(S15)는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P)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110)가 본체부형성부(16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3 걸림수용부(2530)가 걸림부(120)를 수용하도록 프레스시키고 측면부형성부(2540)가 강판(P)의 본체부(110)와 측면단부(118)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본체부(110)의 양측이 절곡되면서 측면부(112)가 형성된다.
그 후, 커팅 단계(S16)는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된 강판(P)의 양측 사이가 본체부형성부(1600)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품커팅부(2550)가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된 강판(P)의 양측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커팅안내홈(P1)이 형성된 강판(P)의 양측 사이가 커팅되어, 제품 즉, 체결부재(100)가 완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부성형부(2000)가 하부성형부(10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강판(P)을 프레스 성형시켜서 체결부재(100)를 제조하도록 구성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체결부재(100)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한 쌍의 관통안내부(1202)는 하부성형부(1000)의 양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되 기존의 도 4와 비교하여 상호 더 멀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2 위치안내부(1212, 1222) 또한 관통안내부(120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부성형부(1000)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 결과, 강판(P)의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13a) 또한 기존의 도 14와 비교하여 상호 더 멀리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관통홀(113a)은 체결부재(100)의 측면부(112)가 아니라 측면단부(118)에 관통 형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한 쌍의 관통안내부(1204)는 하부성형부(1000)의 양측과 중앙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2 위치안내부(1214, 1224) 또한 관통안내부(120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부성형부(1000)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 결과 관통안내부(1204)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통홀(113b)은 체결부재(100)의 측면부(112)와 측면단부(118) 사이에 관통 형성된다. 이때, 관통안내부(1204)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관통홀(113b) 또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관통안내부(1204)의 위치에 따라 체결부재(100)에 형성되는 관통홀(113b)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의 하부성형부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의 하부성형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한 쌍의 관통안내부(1206)는 하부성형부(1000)의 중앙 일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2 위치안내부(1216, 1226) 또한 관통안내부(1206)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부성형부(1000)의 중앙 타측에 형성된다. 그 결과 관통안내부(1206)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통홀(113c)은 체결부재(100)의 본체부(1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관통안내부(1206)의 위치에 따라 체결부재(100)에 형성되는 관통홀(113c)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P: 강판 P1: 커팅안내홈
100: 체결부재 110: 본체부
120: 걸림부 112: 측면부
113: 관통홀 113a: 관통홀
113b: 관통홀 118: 측면단부
300: 고정부재
1000: 하부성형부 1100: 투입부
1110: 하부지지부 1120: 측방지지부
1130: 슬라이딩안내홈 1200: 관통안내부
1202: 관통안내부 1204: 관통안내부
1210: 제 1 위치안내부 1220: 제 2 위치안내부
1250: 하부안내부 1300: 커팅안내부
1400: 걸림부형성부 1500: 돌출부
1600: 본체부형성부 1610: 측면단부안내부
2000: 상부성형부 2100: 투입안내부
2200: 상부안내부 2210: 제 1 상부안내부
2220: 제 2 상부안내부 2250: 관통안내부
2300: 커팅부 2310: 커팅홀
2320: 가압판 2322: 커팅날
2400: 제 1 걸림수용부 2500: 제품성형부
2510: 돌출안내부 2520: 제 2 걸림수용부
2530: 제 3 걸림수용부 2540: 측면부형성부
2550: 제품커팅부

Claims (10)

  1. 클립바의 저면부를 감싸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클립바의 걸림단부를 감싸며 맞물리는 걸림부와, 본체부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단부에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단부를 갖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강판이 투입되는 투입부, 강판의 양측에 커팅안내홈이 형성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커팅안내부,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본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형성부,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을 절곡시키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폭을 갖는 본체부형성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하부성형부; 및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부에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부로 투입되는 강판을 프레스시키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부를 덮을 수 있는 투입안내부, 상기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커팅부, 상기 걸림부형성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걸림수용부 및 측면단부와 측면부를 형성시키고 제품을 커팅시킬 수 있는 제품성형부가 차례로 구비되는 상부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부 또는 상기 상부성형부에는 본체부 또는 측면부 또는 측면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관통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안내부는 측면부와 측면단부 사이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안내부는 상기 하부성형부의 상기 투입부와 상기 커팅안내부 사이에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관통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관통안내부가 안내되도록 상부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투입부와 상기 커팅안내부 사이에 오목하게 하부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기 하부안내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관통안내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강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와, 강판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지지부의 내측에는 강판의 양측이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안내부는 상기 커팅안내부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커팅안내홈의 후방에 제 1 위치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안내부 및 상기 제 1 위치안내부에 관통홀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가 상기 커팅안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형성부의 양측 하부에 위치되는 측면단부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성형부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양측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안내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일측 사이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걸림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타측 사이에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3 걸림수용부와, 한 쌍의 상기 돌출안내부의 타측과 상기 제 3 걸림수용부 사이에 상기 측면단부안내부와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형성부와, 상기 제 3 걸림수용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품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9. 제 8 항 기재의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강판이 상기 투입부에 투입되는 단계;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이 상기 커팅안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커팅부가 상기 커팅안내부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의 양측에 커팅안내홈이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가 상기 걸림부형성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1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형성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본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이 상기 돌출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고 상기 돌출안내부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되어, 상기 돌출부에 위치된 강판의 양측이 상기 돌출안내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면서 측면단부가 형성되는 단계;
    커팅안내홈이 형성되지 않은 강판의 양측 사이에 위치되는 본체부가 상기 본체부형성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걸림수용부가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도록 프레스시키고 상기 측면부형성부가 강판의 본체부와 측면단부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본체부의 양측이 절곡되면서 측면부가 형성되는 단계; 및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가 본체부형성부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품커팅부가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를 프레스시키면, 커팅안내홈이 형성된 강판의 양측 사이가 커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측면단부가 형성되기 전에,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강판이 관통안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부안내부가 상기 관통안내부 방향으로 프레스되어, 강판의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210060159A 2021-05-10 2021-05-10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KR10242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159A KR102423964B1 (ko) 2021-05-10 2021-05-10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159A KR102423964B1 (ko) 2021-05-10 2021-05-10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964B1 true KR102423964B1 (ko) 2022-07-21

Family

ID=8261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159A KR102423964B1 (ko) 2021-05-10 2021-05-10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08Y1 (ko) * 2003-09-26 2003-12-11 김행곤 프레스 가공물 정도향상용 가이드 리프터가 구비된프레스 금형장치
KR200440052Y1 (ko) * 2006-12-21 2008-05-21 주식회사 모팜 자동차 크립 연속 제작용 순차적 금형
KR20170122394A (ko)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KR101937683B1 (ko) * 2018-08-03 2019-01-14 김범석 자동차용 브라켓의 제조시스템
KR102199337B1 (ko) * 2019-12-26 2021-01-06 엄재현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08Y1 (ko) * 2003-09-26 2003-12-11 김행곤 프레스 가공물 정도향상용 가이드 리프터가 구비된프레스 금형장치
KR200440052Y1 (ko) * 2006-12-21 2008-05-21 주식회사 모팜 자동차 크립 연속 제작용 순차적 금형
KR20170122394A (ko) 2016-04-27 2017-11-06 전영훈 천장패널 클립바용 조인트유닛
KR101937683B1 (ko) * 2018-08-03 2019-01-14 김범석 자동차용 브라켓의 제조시스템
KR102199337B1 (ko) * 2019-12-26 2021-01-06 엄재현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3893A (en) Wooden stud wall or partition and support therefor
US7592542B1 (en) Adjustable floor bracket article and method
KR101222648B1 (ko) 건축물의 금속 패널 지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23964B1 (ko) 체결부재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부재의 제조 방법
KR100256390B1 (ko) 조립식벽과 그벽보드 및 프로파일
US20210222441A1 (en) Interchangeable Board And Batten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220013873A (ko)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KR102180397B1 (ko) 문틀 시공장치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KR20080039184A (ko)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ATE521115T1 (de) Installationsdose für elektrotechnische zwecke sowie anordnung zu deren installation
CA2621024C (en) Wall forming system
KR20110045553A (ko) 창호 유니트, 창호 유니트의 보수 방법 및 창호 유니트 보수용 상부레일
KR20210083156A (ko)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 및 그 체결장치
KR100587491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KR100933342B1 (ko)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6191895B1 (ja) 壁の断熱構造の施工方法
KR102328040B1 (ko)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JP4810188B2 (ja) 土台用スペーサを用いた基礎の施工方法
KR100622686B1 (ko)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연결용 몰드
KR20230034728A (ko) 수평유지구를 활용한 벽체배수판의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