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491B1 -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91B1
KR100587491B1 KR1020060013715A KR20060013715A KR100587491B1 KR 100587491 B1 KR100587491 B1 KR 100587491B1 KR 1020060013715 A KR1020060013715 A KR 1020060013715A KR 20060013715 A KR20060013715 A KR 20060013715A KR 100587491 B1 KR100587491 B1 KR 100587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late
guide rail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훈
Original Assignee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1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벽체에 설치되어 창문이 결합되어 창문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이 구비되는 창문틀에 창문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 창문틀받침판과 함께 설치되는 상단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상단수평프레임은 상면부를 이루는 상면판재와, 상기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착설되는 양측 측벽과 수평방향의 중간판 및 수직방향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자 형상을 하는 삽입홈틀과, 상기 삽입홈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일부와 걸림판으로 형성된 단면이 티(T)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걸림판의 상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제2돌기와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1돌기에 양단이 결합되는 팽창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수평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레일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창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를 제공한다.
창문, 창문틀, 가이드레일, 삽입홈틀, 관통홀

Description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WINDOW BOXING OF BUILDING}
도 1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에 창문이 결합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프레임 200 : 하단수평프레임
300 : 상단수평프레임 310 : 상면판재
312 : 제1돌기 320 : 삽입홈틀
322 : 측벽 324 : 중간판
326 : 격판 330 : 가이드레일
332 : 레일부 334 : 걸림판
336 : 제2돌기 340 : 팽창스프링
350 : 볼트 360 : 관통홀
400 : 창문틀 500 : 창문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창문이 결합되어 창문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이 구비되는 창문틀에 창문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창문은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창문을 구성하는 창문틀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벽체의 설치홀에 착설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창문틀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창문틀에는 창문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이동레일 위에 창문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창문은 건축물 벽체에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창문틀이 설치되고,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창문에는 내측으로 브라인드 또는 커텐이 설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건축물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체(10)에 창문틀(20)을 설치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을 갖는 설치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설치홀이 구비되는 벽체(10)에 창문틀(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벽체(10)의 설치홀의 저면부에는 창문틀받침판(30)이 착설되고, 상기 창문틀받침판(30)의 상면에는 창문틀(20)이 설치된다. 상기 창문틀(2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창문틀(20)의 바닥면 내측에 형성된 이동레일에 창문(40)이 결합된다. 상기 창문틀(20)의 이동레일에 설치되는 창문(40)을 여닫음으로써 환기를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창문틀(20)의 이동레일에 창문(4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창문틀(20)을 구성하는 상단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 간격이 창문(40)의 높이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커야 한다. 즉, 상기 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창문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이동레일에 창문(40)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롤러(도시 안됨)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유격이 존재해야 창문(40)의 상단부가 삽입홈에 먼저 삽입된 후 롤러가 이동레일에 위치하게 되어 창문(40)이 창문틀(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의 깊이가 깊지가 않을 경우 창문이 원활하게 결합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창문이 결합되어 창문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이 동레일이 구비되는 창문틀에 창문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 창문틀받침판과 함께 설치되는 상단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문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틀의 상단수평프레임은 상면부를 이루는 상면판재와, 상기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착설되는 양측 측벽과 수평방향의 중간판 및 수직방향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자 형상을 하는 삽입홈틀과, 상기 삽입홈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일부와 걸림판으로 형성된 단면이 티(T)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걸림판의 상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제2돌기와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1돌기에 양단이 결합되는 팽창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수평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레일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창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상단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면판재는 두 개의 창문넓이에 해당하는 넓이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삽입홈틀이 착설되도록 삽입홈틀을 구성하는 양측 측벽의 상단부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상면판재에 삽입홈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 창문틀이 착설된다.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는 창문의 상단면에는 창문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이 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단수평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용수철과 함께 착설되고, 상기 용수철과 함께 상면판재에 착설된 가이드레일은 상단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삽입홈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끼워져 하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에 창문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홈이 결합되면서 창문이 원활하게 창문틀에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ㄱ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에 창문이 결합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는 창문틀(400)이 착설된다. 상기 창문틀(400)은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200), 그리고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수평프레임(300)은 상면판재(310)와 삽입홈틀(320) 및 가이드레일(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330)은 팽창스프링(340)과 함께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 착설된다.
상기 상면판재(310)는 두 개의 창문넓이에 해당하는 넓이와 길이를 가지며,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312)는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두개 의 창문을 설치할 경우 두 줄로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재(310)의 가변부에는 다수 개의 볼트홀(352)이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 착설되는 삽입홈틀(320)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322)과, 상기 측벽(322)의 중간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간판(324), 및 중간판(324)의 중심부에 상향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착설되는 격판으로 구성되어 단면이 에이치(H)자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삽입홈틀(320)을 구성하는 중간판(324)에는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관통홀(36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60)에는 가이드레일(330)을 구성하는 레일부(332)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30)을 구성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360)에 삽입되는 레일부(332)와 걸림판(334)으로 이루어져 그 단면이 티(T)자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상기 걸림판(334)은 걸림턱의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갖으며, 상기 걸림판(334)의 상면에는 제2돌기(336)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다수 개가 착설된다. 상기 걸림판(334)의 저면부 중심에는 레일부(332)가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착설된다. 상기 레일부(332)는 걸림판(334)에 대하여 수직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레일부(332)가 관통홀(360)이 삽입되면 걸림판(334)에 의해 레일부(332)가 관통홀(360)에 지지된다.
상기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 구비된 제1돌기(312)와 걸림판(334)의 상면 에 구비되는 제2돌기(336)는 서로 대응하게 되고, 상기 제1돌기(312)와 제2돌기(336)에 팽창스프링(340)의 양단이 결합된다. 상기 팽창스프링(340)이 제1돌기(312)와 제2돌기(336)에 결합되면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30)의 걸림판(334)이 중간판(324)에 밀착되면서 레일부(332)가 관통홀(36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30)이 상단수평프레임(300)에 구비된 상태에서 창문(500)을 창문틀(400)에 결합시킬 경우 창문(50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홈(520)에 가이드레일(330)의 레일부(332)가 위치하도록 한 후 창문(500)을 상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창문(500)을 상향으로 밀게 되면 가이드레일(330)을 지지하는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을 극복하면서 가이드레일(330)이 상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30)이 상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창문(500)의 하단부에 구비된 롤러(510)가 원활하게 하부가이드레일(330)의 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창문(500)이 창문틀(400)에 결합완료된다. 상기 창문(500)이 창문틀(400)에 결합되면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이 계속하여 가이드레일(330)을 창문(500)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창문(500)의 가이드홈(520)에 위치한 가이드레일(330)의 레일부(332)를 따라 창문(500)이 원활하게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체에 구비되는 설치홀에 설치되는 창문틀(40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200) 및 상기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200)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 (200)의 사이에 창문(500)이 결합된다. 상기 창문(500)이 원활하게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200)의 사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수평프레임(300)과 하단수평프레임(200)의 사이가 창문(500)의 길이보다 크도록 일정간격의 유격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상단수평프레임(300)에 유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팽창스프링(340)과 가이드레일(330)을 이용하여 유격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상단수평프레임(300)을 구성하는 상면판재(310)에는 에이치(H)자 형상의 삽입홈틀(320)이 볼트와 함께 착설되어 상단수평프레임(3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면판재(310)의 가변과 삽입홈틀(320)의 상단 가변을 따라 다수 개의 볼트홀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볼트(350)가 볼트홀(352)에 결합되어 삽입홈틀(320)과 상면판재(310)가 상호 결합된다.
상기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는 다수 개의 제1돌기(312)가 두 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틀(320)은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벽(322)과, 상기 측벽(322)의 중간 높이부분에 위치하도록 양면이 수평방향으로 착설되는 중간판(324)과, 상기 중간판(324)의 상면 중심에 위치하면서 중간판(324)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착설되는 격판(326)을 구성된다. 상기 격판(326)은 상단수평프레임(300)의 길이방향으로 착설됨으로써 중간판(324)을 두 영역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판(324)에는 격판(326)을 중심으로 양측에 관통홀(36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60)에는 각각 가이드레일(330)의 레일부(332)가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레일(330)은 창문(5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부(332)와 상기 레일부(332)의 상단부에 착설되는 걸림판(334)으로 이루어진다. 상 기 걸림판(334)의 저면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레일부(332)가 수직하게 착설됨으로써 가이드레일(330)의 단면이 티(T)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걸림판(334)의 상면에는 제1돌기(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돌기(336)가 착설된다. 상기 제2돌기(336)는 한 줄로 길이방향으로 착설됨으로써 각 제1돌기(312)와 제2돌기(336)에 팽창스프링(340)이 의 양단이 결합된다. 즉, 상기 팽창스프링(340)의 일측단이 제1돌기(312)에 결합되면 타측단은 제2돌기(336)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30)의 걸림판(334)에 구비되는 제2돌기(336)와 상면판재(310)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제2돌기(336)에 팽창스프링(340)이 결합됨으로써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이 가이드레일(330)이 하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팽창스프링(3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30)은 관통홀(36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30)이 관통홀(360)에 위치된 상태에서 창문(50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홈(520)을 가이드레일(330)의 레일부(332)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레일부(332)를 상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창문(500)이 팽창스프링(340)의 팽창력을 극복하면서 가이드레일(330)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원활하게 창문(500)을 창문틀(40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 창문틀이 착설된다.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는 창문의 상단면에는 창문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 되는 가이드레일이 상단수평프레임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단수평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용수철과 함께 착설되고, 상기 용수철과 함께 상면판재에 착설된 가이드레일은 상단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삽입홈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끼워져 하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홀을 통해 하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레일에 창문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홈이 결합되면서 창문이 원활하게 창문틀에 결합된다.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설치홀에 창문틀받침판과 함께 설치되는 상단수평프레임과 하단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문틀에 있어서, 창문틀의 상단수평프레임은 상면부를 이루는 상면판재와,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착설되는 양측 측벽과 수평방향의 중간판 및 수직방향의 격판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자 형상을 하는 삽입홈틀과, 삽입홈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레일부와 걸림판으로 형성된 단면이 티(T)자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걸림판의 상면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 제2돌기와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1돌기에 양단이 결합되는 팽창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수평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레일부에 결합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창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단수평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면판재는 두 개의 창문넓이에 해당하는 넓이와 길이를 가지며, 상면판재의 저면부에 삽입홈틀이 착설되도록 삽입홈틀을 구성하는 양측 측벽의 상단부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구비되어 볼트에 의해 상면판재에 삽입홈틀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KR1020060013715A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KR10058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15A KR100587491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15A KR100587491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491B1 true KR100587491B1 (ko) 2006-06-12

Family

ID=3718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715A KR100587491B1 (ko) 2006-02-13 2006-02-13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8B1 (ko) 2006-12-11 2007-03-12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되어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창문
KR20220002942U (ko) 2021-06-08 2022-12-15 훈 바이오 주식회사 창호용 프레임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566A (ja) * 1993-12-27 1995-07-28 Misawa Homes Co Ltd 吊戸の横揺れ緩衝構造
JPH07301058A (ja) * 1994-04-28 1995-11-14 Nippon Kentetsu Co Ltd サッシの風止め具
JPH0960398A (ja) * 1995-08-23 1997-03-04 Dantani Plywood Co Ltd 引き戸装置
KR200144305Y1 (ko) 1996-12-30 1999-06-15 박번 창문 샷시용 가이드 기밀판
KR200314542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창호용 새시
JP2004225285A (ja) 2003-01-21 2004-08-12 Nohara Plast:Kk 引き違い窓等における気密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566A (ja) * 1993-12-27 1995-07-28 Misawa Homes Co Ltd 吊戸の横揺れ緩衝構造
JPH07301058A (ja) * 1994-04-28 1995-11-14 Nippon Kentetsu Co Ltd サッシの風止め具
JPH0960398A (ja) * 1995-08-23 1997-03-04 Dantani Plywood Co Ltd 引き戸装置
KR200144305Y1 (ko) 1996-12-30 1999-06-15 박번 창문 샷시용 가이드 기밀판
KR200314542Y1 (ko) 2002-11-05 2003-05-27 박영기 창호용 새시
JP2004225285A (ja) 2003-01-21 2004-08-12 Nohara Plast:Kk 引き違い窓等における気密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388B1 (ko) 2006-12-11 2007-03-12 (주)제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설치되어 소음과 충격을 방지하는 창문
KR20220002942U (ko) 2021-06-08 2022-12-15 훈 바이오 주식회사 창호용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48B1 (ko) 건축물의 금속 패널 지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RU2009135071A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US10851572B1 (en) Height compensating sliding fenestr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718187B1 (ko) 창틀
KR100943168B1 (ko) 건축용 내외장패널과 그 시공방법
DE102013100314A1 (de) Montageanordnung für einen Sonnenschutz
KR100587491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KR10196811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안내레일
KR102183697B1 (ko)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1075945B1 (ko) 에어 시일드 윈도우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CN104514462A (zh) 推拉门或推拉窗
JP4600157B2 (ja) サッシの排水具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100741813B1 (ko) 건축물의 창문 회전구조
JP2021161813A (ja) サッシ下枠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リフォーム方法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KR100638734B1 (ko) 건축물 현관출입문구조
KR200163589Y1 (ko) 미닫이창의다중차단구조
KR20070051535A (ko) 아파트 베란다 창틀 구조.
CN220101070U (zh) 遮阳篷玻璃移门及应用该玻璃移门的百叶遮阳篷
EP1188873A1 (en) Curtain walling
RU228510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ментами сколь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