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821B1 -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 Google Patents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821B1
KR102419821B1 KR1020220001379A KR20220001379A KR102419821B1 KR 102419821 B1 KR102419821 B1 KR 102419821B1 KR 1020220001379 A KR1020220001379 A KR 1020220001379A KR 20220001379 A KR20220001379 A KR 20220001379A KR 102419821 B1 KR102419821 B1 KR 10241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le
holder
pole
segmen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웅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기술
Priority to KR102022000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스틱으로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제거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주의 둘레에 밀착되게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안쪽에 전주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수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해 제1작업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로 마주하는 분할면에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각각 부착된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을 고정하여 전주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COLLECTION KIT FOR BIRD'S NEST REMOVAL DEBRIS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의 완철밴드 등에 조류가 튼 둥지를 제거 시 발생하는 낙하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 모양의 스마트 스틱으로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나 나뭇가지 등의 낙하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까치 등의 조류는 먹이활동이 용이한 지역에 마땅한 나무가 없으면 산란을 하고 새끼를 기를 장소로 전주의 상부를 선호한다. 이는 전주의 높이가 적당하고 전선을 지지하는 완철 등의 구조물이 평평해 집짓기가 좋은 데다 전선 주변이 따뜻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전주와 가공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완철 사이에 까치 등의 조류가 나뭇가지나 철사, 쇠붙이 등을 물어와 둥지(까치집)를 틀면 그 철사 등의 전기도체가 전력선을 비롯한 전력설비에 접촉되면서 합선이나 누전 및 화재로 이어져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정전사고는 물론 눈이나 비가 내릴 때 대지로 전기가 흘러가는 지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심의 까치집은 철사와 같이 전기도체로 짓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견 즉시 제거해야 각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심의 전주 위에 지은 새둥지는 작업자가 고소활선작업차(활선바켓차량)에 타고 새둥지에 근접한 상태에서 절연성 스마트 스틱(smart stick)을 활용해 제거하고 있다.
그런데 도심에서 새둥지를 제거할 때 주변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거나 또는 보행자가 지나가는 경우 철사, 배설물, 깃털 등 제거물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차량의 외부를 더럽히거나 차량에 스크래치를 내어 손상시키고, 혹은 보행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166342 B1(2020.10.08) KR 10-0985779 B1(2010.10.06) KR 10-1394397 B1(2014.05.07) KR 20-0296557 Y1(2002.11.18) KR 20-0454780 Y1(2011.07.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전주 위의 완철밴드 등에 조류가 지은 새둥지를 제거 시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나 나뭇가지와 같은 낙하물로 인해 발생하는 기존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막대 모양의 스마트 스틱 등으로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제거물(낙하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함으로써 그 제거물(낙하물)이 전주 밑에 주차해 놓은 차량 위에 떨어져 외부를 더럽히거나 차량에 스크래치를 내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의 안전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제거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전주의 둘레에 밀착되게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안쪽에 전주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수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의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해 제1작업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들의 서로 마주하는 분할면에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각각 부착된 수거통 및 상기 수거통을 고정하여 전주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주의 둘레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전주 위에 지은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제거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세그먼트는, 전주의 둘레에 밀착되는 안쪽 면에 인하선홈이 형성되고, 상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낙하물이 상기 수거공간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슈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홀더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에 상기 홀더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홀더는,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주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 전주의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1밀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홈의 양쪽에 제1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면의 안쪽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잠금고리가 달리고,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해 제2작업고리가 형성된 피메일홀더 및 상기 피메일홀더와 대응하여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주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 전주의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2밀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밀착홈의 양쪽에 제2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면의 안쪽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피메일홀더의 잠금고리와 결합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며,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해 제3작업고리가 형성된 메일홀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피메일홀더와 상기 메일홀더를 양쪽으로 벌려서 전주에 끼우고 상기 잠금고리를 상기 잠금돌기에 걸어서 잠글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전주의 상부 둘레에 스마트 스틱(smart stick)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자가 고소활선작업차(활선바켓차량)에 타고 절연성 스마트 스틱을 활용해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나 나뭇가지와 같은 낙하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 시 발생하는 철사나 나뭇가지 등의 낙하물이 전주 밑에 주차해 놓은 차량 위로 떨어져 스크래치를 내어 손상시키거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전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수거통(100) 및 홀더(200)를 포함하고 있다.
수거통(100)은 전주(P)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 등의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거통(100)은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게 부착하기 위해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둔) 통 모양을 적어도 2개 이상의 세그먼트(110)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세그멘트(110) 중 전주(P)의 둘레와 마주하는 안쪽 면은 호형으로 파인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그먼트(110)의 안쪽에는 전주(P)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 쇠붙이, 나뭇가지, 깃털, 배설물 따위의 낙하물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수거공간(111)이 형성되어 있고, 세그먼트(11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1작업고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세그먼트(110)들의 서로 마주하는 분할면에는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113)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즉, 각 세그먼트(110)들의 맞닿는 분할면에는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탈부착수단(113)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탈부착수단(113)은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 스냅 패스너(snap fastener), 영구자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그먼트(110) 중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는 안쪽 면에는 전주(P)에 설치된 주상변압기의 인하선(W)을 수용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인하선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인하선홈(114)은 수거통(100)의 설치 위치가 주상변압기에 가까울 경우 그 주상변압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인하선(W)과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그먼트(110) 상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전주(P)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 쇠붙이, 나뭇가지, 깃털, 배설물 따위의 낙하물이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거공간(111)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슈트(1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슈트(115)는 넓은 범위의 낙하물을 아래쪽 가운데로 떨어뜨리기 위해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 및 단면적이 좁아지는 깔때기 모양으로 수거통(100)의 상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세그먼트(110)의 하부 둘레에는 홀더(2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16)가 형성되어 있고, 세그먼트(110)의 가운데 부분 둘레에는 홀더(20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는 걸림턱(1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거통(100)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원뿔대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수거통(100)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E), PE, PP, PU, PVC 등 탄성을 갖는 연질의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200)는 수거통(100)을 고정하여 전주(P)에 부착하기 위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200)는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는 피메일홀더(210) 및 그 피메일홀더(210)와 대응하여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는 메일홀더(220)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피메일홀더(210)와 메일홀더(220)의 한쪽은 힌지라인(H)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힌지라인(H)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벌려서 열고 맞닿게 닫을 수 있고, 전주(P)의 둘레에 끼운 상태에서 잠금고리(214)를 잠금돌기(224)에 걸어서 잠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피메일홀더(210)는 제1밀착홈(211)이 전주(P)의 둘레 절반을 감쌀 수 있고, 제1접합면(212)이 메일홀더(220)의 제2접합면(22)과 양쪽으로 벌려서 열고 맞닿게 닫을 수 있도록 마치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홀더(210) 중 전주(P)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는 전주(P)의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1밀착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1밀착홈(211)의 양쪽에는 메일홀더(220)의 제2접합면(222)과 맞닿는 제1접합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접합면(212)의 안쪽에는 끼움홈(21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접합면(212)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잠금고리(214)가 달려 있다.
아울러 잠금고리(214)에는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메일홀더(220)의 잠금돌기(224)와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작업구멍(214)이 뚫려 있다.
그리고 피메일홀더(21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안정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해 제2작업고리(2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메일홀더(220) 중 전주(P)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는 전주(P)의 반대편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2밀착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제2밀착홈(221)의 양쪽에는 피메일홀더(210)의 제1접합면(212)와 맞닿는 제2접합면(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접합면(222)의 안쪽에는 끼움돌기(223)가 형성되어 있고, 제2접합면(222)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피메일홀더(210)의 잠금고리(214)와 결합되는 잠금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메일홀더(220)의 바깥쪽 테두리에는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3작업고리(2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메일홀더(220)는 전주(P)를 중심으로 하여 피메일홀더(210)와 대칭적으로 배치 및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하는 한쪽 면에는 그 개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폐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고리(214)와 잠금돌기(224)가 달려 있다.
여기서 홀더(200)의 제1밀착홈(211)과 제2밀착홈(221)이 이루는 안지름은 수거통(100) 중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는 안쪽 면이 이루는 안지름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지름이 작아지는 전주(P)에 대하여 한층 더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홀더(2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E), PE, PP, PU, PVC 등 탄성을 갖는 연질의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홀더(200)의 다른 예로는 인장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머리끝 부분에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쇠가 있는 케이블 타이(cable tie)를 채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수거통(100)의 세그먼트(110)들을 전주(P)의 둘레에 밀착한 후 함께 감아서 묶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는 피메일홀더(210)와 메일홀더(22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양쪽으로 벌리고, 그 제2 및 제3작업고리(215)(225)에 스마트 스틱을 걸어서 전주(P)의 둘레에 쉽게 끼울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주(P)의 양쪽에서 피메일홀더(210)의 제1접합면(212)과 메일홀더(220)의 제2접합면(22)을 맞대고, 그 끼움홈(213) 속에 끼움돌기(223)를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1차 결합함으로써 전주(P)의 상부 둘레에 홀더(200)를 감싼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이때, 홀더(200)는 끼움홈(213)과 끼움돌기(223)의 결합력에 의해 전주(P)의 둘레에 가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피메일홀더(210)의 잠금고리(214)를 메일홀더(220)의 잠금돌기(224)에 한결 쉽고 간편하게 걸어서 잠글 수 있다.
계속해서, 수거통(100)의 분할된 각 세그먼트(110)의 제1작업고리(112)에 스마트 스틱을 걸어서 홀더(200) 위쪽의 전주(P) 둘레에 배치한 후, 그 세그먼트(110)들의 분할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탈부착수단(113)의 상호 결합력을 이용하여 1차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 세그먼트(110)의 삽입부(116)를 홀더(2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하면서 탈부착수단(113)을 부착함으로써 전주(P)의 둘레에 수거통(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는 전주(P)의 둘레에 스마트 스틱(smart stick)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소활선작업차(활선바켓차량)에 타고 절연성 스마트 스틱(smart stick)을 활용해 전주(P)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철사나 나뭇가지와 같은 각종 낙하물을 수거통(100)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수거통 110: 세그먼트
111: 수거공간 112: 제1작업고리
113: 탈부착수단 114: 인하선홈
115: 슈트 116: 삽입부
117: 걸림턱 200: 홀더
210: 피메일홀더 211: 제1밀착홈
212: 제1접합면 213: 끼움홈
214: 잠금고리 215: 제2작업고리
220: 메일홀더 221: 제2밀착홈
222: 제2접합면 223: 끼움돌기
224: 잠금돌기 225: 제3작업고리

Claims (3)

  1.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게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세그먼트(110)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0)의 안쪽에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수거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0)의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1작업고리(112)가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110)들의 서로 마주하는 분할면에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113)이 각각 부착된 수거통(100); 및
    상기 수거통(100)을 고정하여 전주(P)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200);
    를 포함하며, 상기 세그먼트(110)는,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는 안쪽 면에 인하선홈(114)이 형성되고, 상단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낙하물이 상기 수거공간(111)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슈트(115)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둘레에 상기 홀더(2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16)가 형성되고, 가운데 부분 둘레에 상기 홀더(200)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는 걸림턱(117)이 형성된,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2. 삭제
  3. 전주(P)의 둘레에 밀착되게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세그먼트(110)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0)의 안쪽에 전주 위의 새둥지를 제거할 때 아래로 떨어지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넓이의 수거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세그먼트(110)의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1작업고리(112)가 형성되며, 상기 세그먼트(110)들의 서로 마주하는 분할면에 암수가 쌍을 이뤄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113)이 각각 부착된 수거통(100); 및
    상기 수거통(100)을 고정하여 전주(P)에 부착하기 위한 홀더(200);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200)는,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주(P)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 전주(P)의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1밀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홈(211)의 양쪽에 제1접합면(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면(212)의 안쪽에 끼움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합면(212)의 한쪽 가장자리에 잠금고리(214)가 달리고,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2작업고리(215)가 형성된 피메일홀더(210) 및
    상기 피메일홀더(210)와 대응하여 반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주(P)의 둘레를 향하는 안쪽 바닥의 중앙에 전주(P)의 둘레 절반을 감싸도록 반원 모양의 제2밀착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밀착홈(221)의 양쪽에 제2접합면(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면(222)의 안쪽에 끼움돌기(2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합면(222)의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피메일홀더(210)의 잠금고리(214)와 결합되는 잠금돌기(224)가 형성되며, 바깥쪽 테두리에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전주(P)의 둘레에 탈부착하기 위해 제3작업고리(225)가 형성된 메일홀더(220)로 이루어져 상기 피메일홀더(210)와 상기 메일홀더(220)를 양쪽으로 벌려서 전주(P)에 끼우고 상기 잠금고리(214)를 상기 잠금돌기(224)에 걸어서 잠그는,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KR1020220001379A 2022-01-05 2022-01-05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KR10241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379A KR102419821B1 (ko) 2022-01-05 2022-01-05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379A KR102419821B1 (ko) 2022-01-05 2022-01-05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21B1 true KR102419821B1 (ko) 2022-07-13

Family

ID=8240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379A KR102419821B1 (ko) 2022-01-05 2022-01-05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57Y1 (ko) 2002-08-20 2002-11-29 박준 조류퇴치용 완철조립구조
JP2006283304A (ja) * 2005-03-31 2006-10-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コンクリート柱の剥離補修用ハット
KR100985779B1 (ko) 2010-03-19 2010-10-14 김명선 전주용 조류둥지 방지판
KR200454780Y1 (ko) 2009-03-12 2011-07-28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101394397B1 (ko) 2012-05-30 2014-05-13 유한회사노다지 조류정전 방지 갓
KR20200095751A (ko) * 2019-02-01 2020-08-11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KR102166342B1 (ko) 2018-11-30 2020-10-15 신도경금속(주) 전신주용 새둥지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57Y1 (ko) 2002-08-20 2002-11-29 박준 조류퇴치용 완철조립구조
JP2006283304A (ja) * 2005-03-31 2006-10-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コンクリート柱の剥離補修用ハット
KR200454780Y1 (ko) 2009-03-12 2011-07-28 제룡산업 주식회사 완철밴드용 틈새방지마개
KR100985779B1 (ko) 2010-03-19 2010-10-14 김명선 전주용 조류둥지 방지판
KR101394397B1 (ko) 2012-05-30 2014-05-13 유한회사노다지 조류정전 방지 갓
KR102166342B1 (ko) 2018-11-30 2020-10-15 신도경금속(주) 전신주용 새둥지 방지 장치
KR20200095751A (ko) * 2019-02-01 2020-08-11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주의 완철밴드용 새둥지 축조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949B2 (en) Powered tree construction
US8480278B2 (en) Decorative lighting strand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same
US96446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portions of a cord
KR102419821B1 (ko) 전주의 새둥지 제거물 수거구
WO2015050667A1 (en) Portable hold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an inline electronics module
CA2959906A1 (en) Powered tree construction
US20110030429A1 (en) A cable theft prevention device
CA281010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blocking a cavity of a component of an energized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US20190293272A1 (en) Lighting System for a Palm Tree
CN109650195A (zh) 警示带装置
US20070054538A1 (en) Releasable Cord Coupler
US6602087B1 (en) Releasable extension cord connector apparatus
CA3092542A1 (en) A plug cap assembly
CN211046411U (zh) 一种地面电线盖线装置
DE202012009032U1 (de) Fest integrierte Ladestation mit Ladekabel für Elektrogeräte
DE102013004711B4 (de) Verfahren zum Verlegen von Kabeln und anderen Versorgungsleitungen im Erdreich und geeignete Verlegungseinrichtung
CN219069228U (zh) 一种具有锁定防转动装置的钓鱼竿
US20050245141A1 (en) Flexible cable sleeve and apparatus
CN219144973U (zh) 一种过路电缆保护装置
KR200275474Y1 (ko) 수목보호 가설장치
US6345808B1 (en) Obstacle crossing apparatus for directing cable
KR102450938B1 (ko)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CN210168729U (zh) 一种带有储物功能的宠物牵引器
CN209358217U (zh) 卷式线槽
GB2210844A (en) Cable ti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