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354B1 -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 Google Patents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354B1
KR101381354B1 KR1020140017909A KR20140017909A KR101381354B1 KR 101381354 B1 KR101381354 B1 KR 101381354B1 KR 1020140017909 A KR1020140017909 A KR 1020140017909A KR 20140017909 A KR20140017909 A KR 20140017909A KR 101381354 B1 KR101381354 B1 KR 10138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distribution line
overhead
fixed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권
임채호
Original Assignee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전설감리(주) filed Critical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to KR10201400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흔들리더라도 이에 따른 충격이 애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1)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절연할 수 있도록 애자(2)가 설치된 애자설치대(10)와; 내부가 관통되고 상면 중앙에는 복수의 고정홈(21a-1)이 구비된 고정판(21a)이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가공배전선(L)이 수용되는 수용부(21b)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21)와, 관체(2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부에는 가공배전선(L)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형상의 걸부(22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피니언(23)과 맞물리는 랙(22b)이 형성된 고정암(22,22')과, 고정암(22,22') 사이에 배치되어 랙(22b)과 치합하는 피니언(23)과, 관체(21)를 관통하여 피니언(23)에 고정되는 축(24a), 축(24a)의 상면에 형성되는 평판(24b), 평판(24b)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핸들(24c), 평판(24b)에 설치되어 고정홈(21a-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축(24a)의 회전을 제한하는 핀(24d)으로 구성된 조작부(24)를 갖춘 간격유지기구(20)와; 간격유지기구(20)가 가공배전선(L)을 따라 애자설치대(10)을 향해 이동되지 않도록 내부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31)를 매개로 가공배전선(L)의 외면을 감싸 맞물어 고정하는 스토퍼(30)와; 일단과 타단이 애자설치대(10)와 관체(21)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교차를 이루는 한 쌍의 유동제어줄(40)과; 애자(2)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탄성밴드(51)와, 탄성밴드(51)의 둘레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체(52)와, 지지체(5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53)을 갖춘 조류접근방지기구(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Fixing bar of distribution line at a pole}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흔들리더라도 이에 따른 충격이 애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주변으로 몰려드는 조류를 퇴치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고압의 배전선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철탑의 완철에 애자를 설치하고, 애자를 매개로 배전선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특고압의 배전선은 그 길이가 상당해 바람에 의해 특고압의 배전선이 쉽게 요동치는 일이 종종 있고, 이러한 배전선의 요동에 의해 진동과 충격이 애자에 그대로 전달될 경우 애자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애자는 절연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재10-1112078호(특고압 전기의 송배전선 설치형 절연애자)가 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세라믹재질의 본체가 완철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본체의 내측으로 피스톤과 실린더로 구성된 이동부가 삽입되어 송배전선을 고정하여 송배전선이 상하로 진동하더라도 이동부가 이를 흡수해 완충하므로 절연애자의 손상을 방지하여 절연기능이 상실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송배전선이 상하로 유동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있지만, 좌우로 송배전선이 유동하는 문제는 전혀 잡아줄 수 없으며, 송배전선이 좌우로 크게 흔들릴 경우 그 충격이 애자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애자는 반복적인 충격에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전주의 주변에 조류들이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둥지를 틀게 될 경우 나뭇가지로 인해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가 종종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배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흔들리더라도 이에 따른 충격이 애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주변으로 몰려드는 조류를 퇴치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는,
전주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공배전선을 고정 및 절연할 수 있도록 애자가 설치된 애자설치대와;
내부가 관통되고 상면 중앙에는 복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고정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가공배전선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와, 관체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부에는 가공배전선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형상의 걸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이 형성된 고정암과, 고정암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치합하는 피니언과, 관체 관통하여 피니언에 고정되는 축, 축의 상면에 형성되는 평판, 평판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핸들, 평판에 설치되어 고정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축의 회전을 제한하는 핀으로 구성된 조작부를 갖춘 간격유지기구와;
간격유지기구가 가공배전선을 따라 애자설치대를 향해 이동되지 않도록 내부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를 매개로 가공배전선의 외면을 감싸 맞물어 고정하는 스토퍼와;
일단과 타단이 애자설치대와 관체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교차를 이루는 한 쌍의 유동제어줄과;
애자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탄성밴드와, 탄성밴드의 둘레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을 갖춘 조류접근방지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애자설치대와 간격유지기구, 스토퍼 및 유동제어줄로 구성된 연결대를 통해 가공배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흔들리더라도 이에 따른 충격이 애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관체의 고정홈과 조작부의 핀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바람에 의해 크게 흔들리더라도 축을 매개로 피니언과 연결된 평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암이 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가공배전선을 견실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한 쌍의 유동제어줄이 X자 형태로 애자설치대와 간격유지기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유지기구가 가공배전선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가공배전선이 바람에 의해 크게 흔들리더라도 그 충격이 애자로 전달되는 것이 상당히 미미해 애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조류접근방지기구의 반사판이 태양 빛을 전 반사하여 이 반사되는 빛을 매개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배전선에 앉거나 또는 애자설치대의 주변에 둥지를 틀어 이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에서 스토퍼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에서 스토퍼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는, 애자설치대(10)와 간격유지기구(20), 스토퍼(30), 유동제어줄(40) 및 조류접근방지기구(50)로 구성되어, 가공배전선(L)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L)이 흔들리더라도 이에 따른 충격이 애자(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2)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주변으로 몰려드는 조류를 퇴치하여 전주(1)에 둥지를 트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애자설치대(10)는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바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수단(미도시)을 매개로 전주(1)의 상부 둘레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애자설치대(10)의 상면 양단부에는 애자(2)가 설치되며, 애자(2)에는 가공배전선(L)이 얹혀져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간격유지기구(20)는 관체(21)와 한 쌍의 고정암(22,22'), 피니언(23) 및 조작부(24)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가공배전선(L)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공배전선(L)에 설치된다.
상기 관체(21)는 사각형상의 관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방사상의 고정홈(21a-1)이 구비된 고정판(21a)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고정암(22,22')과 함께 끌려온 가공배전선(L)을 가압해 고정하는 반원형의 수용부(21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1a)의 중앙에는 조작부(24)의 축(24a)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암(22,22')은 관체(21)의 양단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피니언(23)에 의해 관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왕복 이동되며, 가공배전선(L)을 걸어 수용부(21b) 쪽으로 유도해 수용부(21b)와 함께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고정암(22,22')의 일단부에는‘ㄱ’자 형상으로 개구된 걸부(22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22b)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23)은 랙(22b)과 치합되는 기어이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23)의 중앙에는 구멍(도 3 참조)이 형성되며, 이 구멍(도 3 참조)에는 조작부(24)의 축(24a)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피니언(23)의 구멍 내주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돌기(도 3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돌기(도 3 참조)에는 조작부(24)의 축(24a) 외주면에 형성된 홈(도 3 참조)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4)는 축(24a)과 평판(24b), 핸들(24c) 및 핀(24d)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축(24a)을 매개로 피니언(2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니언(23)을 동작(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축(24a)은 피니언(23)의 구멍(도 3 참조)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축(24a)을 피니언(23)의 구멍(도 3 참조)에 끼워 넣게 되면, 축(24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도 3 참조)이 피니언(23)의 구멍(도 3 참조)에 형성된 돌기(도 3 참조)와 상호 결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축(24a)과 피니언(23)이 일체형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축(24a)을 피니언(2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평판(24b)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축(24a)의 상면에 얹혀져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핸들(24c)은 평판(24b)의 상면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축(24a) 및평판(24b)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핀(24d)은 평판(24b)을 고정하여 축(24a)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핀(24d)이 고정판(21a)의 고정홈(21a-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핸들(24c)과 평판(24b)을 이용해 축(24a)을 회전시켜 피니언(23)을 매개로 한 쌍의 고정암(22,22')을 동작(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지만, 핀(24d)이 고정판(21a)의 고정홈(21a-1)에 삽입된 경우에는 평판(24b)이 고정되어 있어 축(24a)을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공배전선(L)이 바람에 의해 크게 흔들리더라도 축(24a)을 매개로 피니언(23)과 연결된 평판(24b)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암(22,22')이 관체(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가공배전선(L)을 견실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30)는 한 쌍으로 이루며 체결수단(도 3 참조)매개로 상호 결합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공배전선(L)에 고정되어 간격유지기구(20)가 애자설치대(10)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스토퍼(30)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의 가압부(3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가공배전선(L)에 견실하게 고정되므로 간격유지기구(20)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유동제어줄(40)은 통상의 밧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단과 타단이 애자설치대(10)와 간격유지기구(20)에 각각 설치되고, 평면에서 본 모양은 X자 형태를 이루며, 간격유지기구(20)의 유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유동제어줄(40)이 X자 형태로 애자설치대(10)와 간격유지기구(2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유지기구(20)가 가공배전선(L)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가공배전선(L)이 바람에 의해 크게 흔들리더라도 그 충격이 애자(2)로 전달되는 것이 상당히 미미해 애자(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류접근방지기구(50)는 탄성밴드(51)와 지지체(52) 및 반사판(5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설치대(10)에 설치된 애자(2)의 둘레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류가 가공배전선(L)에 앉거나 또는 애자설치대(10)의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밴드(51)는 탄성력을 갖춘 고무재질의 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2)의 둘레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52)는 탄성밴드(5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말단부는‘C’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C’자 형상의 내주면에는 반사판(53)이 축(미도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53)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공지의 거울 또는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으로서, 지지체(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판(53)에 의해 빛은 주변으로 반사되며, 이 반사되는 빛을 매개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배전선(L)에 앉거나 또는 애자설치대(10)의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이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의 설치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2)의 둘레면에 탄성밴드(51)와 지지체(52) 및 반사판(53)로 구성된 조류접근방지기구(50)를 설치해 준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4) 및 피니언(23)을 이용하여 고정암(22,22')을 관체(21)로부터 돌출시켜 준 상태에서 고정암(22,22')의 걸부(22a)에 가공배전선(L)이 삽입되도록 결합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4)의 핸들(24c)을 이용하여 평판(24b)과 축(24a)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축(24a)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피니언(23)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니언(23)에 치합된 고정암(22,22')의 랙(22b)이 관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암(22,22')의 걸부(22a)가 자연스럽게 관체(21)에 삽입되면서 걸부(22a)에 결합된 가공배전선(L)은 관체(21)의 양단에 형성된 수용부(21b)에 삽입되어서 걸부(22a)와 수용부(21b)에 의해 견고하게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배전선(L)이 고정되면, 조작부(24)를 더 이상 조작할 수 없도록 작업자는 평판(24b)에 설치된 핀(24d)을 가압하여 관체(21)의 고정판(21a)에 형성된 고정홈(21a-1)에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기구(20)가 애자설치대(10)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간격유지기구(20)에 인접되게 가공배전선(L)에 스토퍼(30)를 설치한다.
그 다음, 한 쌍의 유동제어줄(40)을 X자 형태로 간격유지기구(20)와 애자설치대(10)에 설치해 주면 된다.
참고로, 상기 간격유지기구(20)와 애자설치대(10)에 유동제어줄(40)을 고정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 심하게 불게 되면, 가공배전선(L)은 심하게 유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가공배전선(L)이 유동을 하더라도 간격유지대(20)가 가공배전선(L)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배전선(L)이 서로 접촉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고, 더욱이 X자 형태로 설치된 한 쌍의 유동제어줄(40)이 간격유지대(20)를 잡고 있어 가공배전선(L)과 함께 간격유지대(20)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므로 가공배전선(L)이 바람에 의해 크게 흔들리더라도 그 충격이 애자(2)로 전달되는 것이 상당히 미미해져 애자(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조류접근방지기구(50)의 반사판(53)은 태양 빛을 전 반사하게 되는데, 이 반사되는 빛을 매개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배전선(L)에 앉거나 또는 애자설치대(10)의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주 2: 애자 10: 애자설치대
20: 간격유지기구 21: 관체 21a: 고정판
21a-1: 고정홈 21b: 수용부 22.22': 고정암
22a: 걸부 22b: 랙 23: 피니언
24: 조작부 24a: 축 24b: 평판
24c: 핸들 24d: 핀 30: 스토퍼
31: 가압부 40: 유동제어줄 50: 조류접근방지기구
51: 탄성밴드 52: 지지체 53: 반사판

Claims (1)

  1. 전주(1)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절연할 수 있도록 애자(2)가 설치된 애자설치대(10)와;
    내부가 관통되고 상면 중앙에는 복수의 고정홈(21a-1)이 구비된 고정판(21a)이 일체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가공배전선(L)이 수용되는 수용부(21b)가 일체로 형성된 관체(21)와, 관체(21)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부에는 가공배전선(L)을 걸 수 있도록 된 고리형상의 걸부(22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피니언(23)과 맞물리는 랙(22b)이 형성된 고정암(22,22')과, 고정암(22,22') 사이에 배치되어 랙(22b)과 치합하는 피니언(23)과, 관체(21)를 관통하여 피니언(23)에 고정되는 축(24a), 축(24a)의 상면에 형성되는 평판(24b), 평판(24b)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핸들(24c), 평판(24b)에 설치되어 고정홈(21a-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축(24a)의 회전을 제한하는 핀(24d)으로 구성된 조작부(24)를 갖춘 간격유지기구(20)와;
    간격유지기구(20)가 가공배전선(L)을 따라 애자설치대(10)를 향해 이동되지 않도록 내부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31)를 매개로 가공배전선(L)의 외면을 감싸 맞물어 고정하는 스토퍼(30)와;
    일단과 타단이 애자설치대(10)와 관체(21)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 교차를 이루는 한 쌍의 유동제어줄(40)과;
    애자(2)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탄성밴드(51)와, 탄성밴드(51)의 둘레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지지체(52)와, 지지체(5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사판(53)을 갖춘 조류접근방지기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1020140017909A 2014-02-17 2014-02-17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10138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09A KR101381354B1 (ko) 2014-02-17 2014-02-17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09A KR101381354B1 (ko) 2014-02-17 2014-02-17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354B1 true KR101381354B1 (ko) 2014-04-04

Family

ID=5065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909A KR101381354B1 (ko) 2014-02-17 2014-02-17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3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68B1 (ko) 2015-04-16 2015-10-08 세진전설(주) 변압기의 케이블 안전거리 유지장치
KR101626337B1 (ko) * 2015-08-14 2016-06-01 임정구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996495B1 (ko) 2019-03-15 2019-07-04 (주)한빛전력기술단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198898B1 (ko) * 2020-06-30 2021-01-05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1B1 (ko) * 2009-02-02 2009-06-0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079244B1 (ko) * 2011-09-30 2011-11-03 (주)영상엔지니어링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1158558B1 (ko) * 2012-05-16 2012-06-20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용 앵커연결체
KR101324705B1 (ko) * 2013-09-13 2013-11-05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전주 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1B1 (ko) * 2009-02-02 2009-06-0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079244B1 (ko) * 2011-09-30 2011-11-03 (주)영상엔지니어링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KR101158558B1 (ko) * 2012-05-16 2012-06-20 (주)일광종합기술단 송?배전 케이블용 앵커연결체
KR101324705B1 (ko) * 2013-09-13 2013-11-05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전주 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68B1 (ko) 2015-04-16 2015-10-08 세진전설(주) 변압기의 케이블 안전거리 유지장치
KR101626337B1 (ko) * 2015-08-14 2016-06-01 임정구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996495B1 (ko) 2019-03-15 2019-07-04 (주)한빛전력기술단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KR102063825B1 (ko) * 2019-07-31 2020-01-08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철도 전선 접속용 슬리브
KR102198898B1 (ko) * 2020-06-30 2021-01-05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배전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54B1 (ko)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10138134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1324705B1 (ko) 전주 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JP2017108672A (ja) 追加取付用防巣具
RU1219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садки птиц на опоры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RU2682696C1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актного рельса и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NO127946B (ko)
KR101522647B1 (ko) 개방형 케이블 행거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416849B1 (ko) 특고압 배전선의 전선라인 고정대
KR101380331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 지지고정대
KR10144872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RU156367U1 (ru) Антиприса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садки птиц на опоры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101413960B1 (ko)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KR101732567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20150035237A (ko) 지선이 설치된 전주
JP2013048587A (ja) 営巣防止装置
JP3197637U (ja) ケーブルブラ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機器
KR20160004660A (ko)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TH12275C3 (th) อุปกรณ์จับยึดสายเคเบิ้ลหรือสายตัวนำไฟฟ้าจำนวนหลายเส้น สำหรับงานเดินสายระยะไกล
KR101599877B1 (ko)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
TH12275A3 (th) อุปกรณ์จับยึดสายเคเบิ้ลหรือสายตัวนำไฟฟ้าจำนวนหลายเส้น สำหรับงานเดินสายระยะไกล
JP7475240B2 (ja) 照明器具
KR20160006986A (ko) 선박의 엔진 커버와 케이블 덕트의 결합구조
TH12274C3 (th) อุปกรณ์จับยึดสายเคเบิ้ลหรือสายตัวนำไฟฟ้าจำนวนหลายเส้น สำหรับงานเดินสายระยะไก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