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647B1 - 개방형 케이블 행거 - Google Patents

개방형 케이블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647B1
KR101522647B1 KR1020130144042A KR20130144042A KR101522647B1 KR 101522647 B1 KR101522647 B1 KR 101522647B1 KR 1020130144042 A KR1020130144042 A KR 1020130144042A KR 20130144042 A KR20130144042 A KR 20130144042A KR 101522647 B1 KR101522647 B1 KR 10152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hanger
wir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950A (ko
Inventor
황윤식
황영식
정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세경전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세경전기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4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6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주와 전주사이에 미리 설치된 조가선(SUSPENSION WIRE)에 케이블(광케이블, 통신선, 전선 등)을 매달려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행거는 1개의 철선(A1)을 접어 U형 절곡단부(A2)에서 2개의 철선이 서로 병렬로 양 단부(A3)로 연장되도록 하고, U형 절곡단부(A2)와 양 단부(A3)를 함께 내측으로 접으면서 반원형으로 절곡시켜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케이블안치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U형 절곡단부(A2)는 케이블안치부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케이블걸림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양 단부(A3)는 케이블걸림부 상방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시켜 “∩”형으로서 조가선삽입부와 조가선삽입부 전체 높이의 중간정도에서 하단부를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가이드지지부로 구성되는 조가선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방형 케이블 행거{OPEN CABLE HANGER}
본 발명은 개방형 케이블 행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주와 전주사이에 미리 설치된 조가선(SUSPENSION WIRE)에 케이블(광케이블, 통신선, 전선 등)을 매달려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사시도 및 설치 사시도이다.
상기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는 하나의 철선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이중구조로 절곡된 구조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설치된 조가선걸림부(1)와, 상기 조가선걸림부(1)의 하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로 피복되어 일체화된 원형형상이며 상부 일측이 개방된 구조인 케이블안치부(2)와, 상기 케이블안치부의 개방된 상부 일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안내부(3)로 구성되고,
상기 조가선걸림부(1)는 원형 형상의 케이블안치부(2)에서 연장된 이중구조의 철선이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걸고리부(11)와 제2걸고리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걸고리부(11)는 완만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제1지지대(11a)와, 상기 제1지지대(11a)에 연장되어 상부로 절곡된 제2지지대(11b)와, 상기 제2지지대(11b)의 끝단부는 조가선(30)에 고정되도록 고리형상으로 절곡된 제1걸고리(11c)로 구성되고,
상기 제2걸고리부(12)는 외측에 수평으로 연장된 제2지지대(12a)와, 상기 제2대(12a)에 수직으로 상부에 연장되어 절곡된 제2지지대(12b)와, 상기 제2지지대(12b)의 끝단부는 조가선(30)에 고정되며 제1걸고리(11)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제2걸고리(1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케이블(20)의 이동에 따라 행거가 이동되지 않도록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는 두개의 철선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케이블안치부(2)는 합성수지로 피복되어 케이블의 손상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조가선걸림부(1)는 두개의 철선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조가선(30)에 안정하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도록 하되,
조가선(30)에 상기 조가선걸림부(1)의 제1걸고리부(11)와 제2걸고리부(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린 형태로 결속시켜 전주상간 조가선의 간편하게 가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케이블(20) 지지에 있어 안정적인 측면은 있으나 조가선걸림부(1)를 구성하는 제1걸고리부(11)와 제2걸고리부(1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지도록 제작해야 하고, 각각의 제1걸고리부(11)와 제2걸고리부(12)의 연장방향 및 형태가 상이하여 행거 제작을 위한 가공작업이 많아질 수밖에 없어 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경제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개방형 케이블 행거에 필요한 강성을 가지고 있는 철선의 가공작업도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취부장치를 이용하여 조가선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개방형 케이블 행거 제공을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첫째, 조가선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제작도 간단한 개방형 케이블 행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방형 케이블 행거는 조가선걸림부와, 상기 조가선걸림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합성수지로 피복된 반원형의 형태로서 케이블안치부와, 상기 케이블안치부의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안내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G형태(상부 개방되어 케이블이 안치되도록 하는 구조를 의미함)로 제작하되,
2개의 철선을 절곡하여 간단하게 조가선걸림부, 케이블안치부, 안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중량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가선걸림부는 “∩”형으로서 조가선삽입부와 조가선삽입부의 하단부를 수평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가이드지지부로 구성되도록 하여 조가선이 상기 조가선삽입부 내측공간(S)으로 밀어 넣어지도록 하여 조가선에 개방형 케이블 행거가 장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가선걸림부는 취부장치에 자석에 의하여 임시로 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취부장치 이용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조가선삽입부의 상면은 취부장치의 행거지지부 저면에 지지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개방형 케이블 행거에 조가선을 그 취부장치등을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취부장치는 수직봉 상단에 회전지지부를 설치하여 회전지지부를 기준으로 조가선회전삽입대가 회전하면서 조가선을 취부장치에 임시로 부착된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조가선걸림부에 형성된 내측공간(S)에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로서 상기 조가선은 취부장치의 상단에 설치된 행거지지부 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조가선 삽입 및 끼워 설치함에 있어 유리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는 1개의 철선을 이용하되 최소한으로 절곡작업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이 안착되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케이블안치부는 합성수지 피복재로 감싸져 케이블의 설치시 손상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조가선이 조가선걸림부 내측공간에 간단하게 가이드되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개방형 케이블 행거가 조가선에 쉽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가선에 직접 개방형 케이블 행거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라도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용 취부장치는 전선에 미리 설치된 조가선에 힘들이지 않고 지상의 작업자가 간단한 취부작업만으로 개방형 케이블 행거를 장착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인 개방형 케이블 행거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및 장차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제작도,
도 2b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설치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용 취부장치를 이용한 개방형 케이블 행거의 장착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 ]
도 2a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제작도이다.
이에 도 2a를 기준으로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일정한 길이(L)를 가진 1개의 철선(A1)의 임의의 위치에서 반원형으로 접어 U형 절곡단부(A2)에서 2개의 철선이 서로 병렬로 양 단부(A3)로 연장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2개의 철선 각각에는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피복재(A4)가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U형 절곡단부(A2)와 양 단부(A3)를 함께 내측으로 접으면서 반원형으로 절곡시켜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의 케이블안치부(1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U형 절곡단부(A2)는 케이블안치부(110)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케이블걸림부(120)로 형성되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양 단부(A3)는 케이블걸림부(120) 상방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시켜 “∩”형으로서 조가선삽입부(131)와 조가선삽입부 전체 높이의 개략 중간정도에서 하단부를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가이드지지부(132)로 구성되는 조가선걸림부(130)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1개의 철선을 접어 2개의 철선으로 형성시킨 다음 간단한 절곡작업만으로 도 2b와 같이 반원형의 케이블안치부(110), 케이블걸림부(120) 및 조가선걸림부(130)로 구성된 G형태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설치사시도이다.
즉, 조가선(200)이 먼저 미 도시된 전주 사이에 미리 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가선(200)은 강연선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조가건(200)에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장착하게 되는데 고가차를 이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조가선(200)과 가까운 작업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조가선(200)에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장착하게 된다.
즉, 도 2c와 같이 작업자는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케이블안치부(110), 조가선삽입부(131)와 수평가이드지지부(132)에 의하여 감싸지는 내측공간(S)으로 조가선(200)이 삽입되도록 누르는 작업(화살표로 표시)만으로 간단하게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가 조가선(200)에 장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설치 ]
이러한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는 도 3과 같이 조가선(200)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장착되며, 케이블(300)은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케이블안치부(110)에 상단에 U형 걸림구(410)가 형성된 걸림봉(400)을 이용하여 걸쳐지도록 하여 케이블(3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설치작업은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케이블안치부(110), 조가선삽입부(131)와 수평가이드지지부(132)에 의하여 감싸지는 내측공간(S)으로 조가선(200)이 삽입되도록 누르는 작업(화살표로 표시)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취부장치(50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취부장치(500)를 이용한 설치순서를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취부장치(500)에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 및 이를 장착한 상태에서 조가선(200)에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장착하는 작용도이다.
즉,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앞서 살펴본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조가선걸림부(130)의 “ㄴ”자 배면부가 취부장치(500)의 수평대의 전면에 형성된 조가선걸림부지지홈(527)에 삽입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조가선걸림부 상면은 취부장치(500)의 행거지지부(540) 수평지지대(541) 저면에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수평대(521)의 외측면에 설치된 영구자석(528)에 의하여 임시로 취부장치(500)에 부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작업자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취부장치(500)에 임시로 부착되도록 하여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조가선(200)에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조가선회전삽입대(530)의 조가선지지머리부(531)는 최하방으로 세팅되어 수직대(522) 하단 사이에 살짝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이에 조가선회전삽입대(530)는 상대적으로 최상방으로 치켜 올라간 상태가 된다.
이때 조가선(200)이 취부장치(500)에 부착된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내측공간(S)에 끼워지도록 케이블안치부(110) 배면부와 수직대(522) 전면부 사이에 조가선(200)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최하방으로 세팅된 조가선회전삽입대(530)를 수직승강봉(550)으로 회전시키면 조가선지지머리부(531)의 상면이 조가선(200)과 접하면서 조가선(200)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조가선(200)은 조가선걸림부(130) 내측공간(S)으로 유도되면서 이동하여 끼워지게 된다.
이에 도 4d와 같이 조가선(200)에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가 끼워져 장착되면 수직승강봉(550)을 하강시켜 조가선지지머리부(531)가 회전하면서 최하방으로 원래의 세팅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면서 취부장치(500)로부터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는 조가선(200)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장착되며, 케이블(300)은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의 케이블안치부(110)에 상단에 U형 걸림구(410)가 형성된 걸림봉(400)을 이용하여 걸쳐지도록 하여 케이블(3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개방형 케이블 행커
110; 케이블안치부
120: 케이블걸림부
130: 조가선걸림부
131: 조가선삽입부 132: 수평가이드지지부
200: 조가선
300: 케이블
400: 걸림봉 410: U형 걸림구
500: 개방형 케이블 행거용 취부장치
510: 수직봉
511: 세그먼트 수직봉 512: 관통홀
513: 볼베어링 514: 환형머리부
515: 걸림구 516: 상단연결구
520: 회전지지부
521: 수평대 522: 수직대
523: “ㄱ”자형 회전지지대
524: 수평체결볼트 525: 고정핀
526: 회전지지판 527: 조가선걸림부지지홈
528: 영구자석
530: 조가선회전삽입대 531: 조가선지지머리부
532: 회전삽입대 540: 행거지지부
541: 수평지지대 542: 수직지지대
550: 수직승강봉
A1: 철선
A2: U형 절곡단부
A3: (철선의)양 단부
A4: 피복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2개의 철선이 서로 병렬로 양 단부(A3)로 연장되도록 1개의 철선(A1)을 접어 형성된 U형 절곡단부(A2);
    상기 U형 절곡단부(A2)와 양 단부(A3)를 함께 내측으로 접으면서 반원형으로 절곡시켜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반원형의 케이블안치부(110);
    상기 U형 절곡단부(A2)는 케이블안치부(110) 상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형성된 케이블걸림부(120);
    상기 양 단부(A3)는 케이블걸림부(120) 상방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시켜 “∩”형으로서 조가선삽입부(131)와 조가선삽입부 전체 높이의 중간에서 하단부를 외측으로 수평 절곡시켜 형성된 수평가이드지지부(132)로 구성되도록 형성된 조가선걸림부(130);를 포함하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로서,
    상기 개방형 케이블 행거(100)는 취부장치(500)를 이용하여 조가선(200)에 장착하도록 하되, 상기 취부장치(500)는
    조가선걸림부지지홈(527)이 전면에 형성된 “ㄱ”자형 회전지지대가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수직봉(510) 상단에 고정 설치된 회전지지부(520);
    상기 회전지지부(520)의 상단내측에서 힌지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가선지지머리부(531)로부터 연장되면서 절곡된 회전삽입대(5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삽입대(532)가 회전지지부(520) 상단내측에 힌지 연결된 조가선회전삽입대(530);
    상기 회전지지부(520)의 수평대(521) 상면에 고정되어 수평대(521) 전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지지대(541); 및 수평지지대(541) 전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대(542);를 포함하여 구성된 행거지지부(540); 및
    상기 조가선회전삽입대(530)의 회전삽입대(532) 단부에 연결되어 승강에 의하여 행거지지부(540) 저면에 조가선지지머리부(531) 접하도록 회전지지부(520)를 기준으로 조가선지지머리부(531)가 상,하 회전하도록 형성된 수직승강봉(550);을 포함하는 개방형 케이블 행거.
  4. 삭제
KR1020130144042A 2013-11-25 2013-11-25 개방형 케이블 행거 KR10152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2A KR101522647B1 (ko) 2013-11-25 2013-11-25 개방형 케이블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042A KR101522647B1 (ko) 2013-11-25 2013-11-25 개방형 케이블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950A KR20130136950A (ko) 2013-12-13
KR101522647B1 true KR101522647B1 (ko) 2015-05-22

Family

ID=4998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042A KR101522647B1 (ko) 2013-11-25 2013-11-25 개방형 케이블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7631A (zh) * 2014-12-08 2015-02-25 永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芯线夹
CN108011336A (zh) * 2017-07-04 2018-05-08 范科晨 一体式线缆挂钩
GB202009393D0 (en) * 2020-06-19 2020-08-05 Gripple Ltd Holding assembley
KR102587319B1 (ko) 2022-04-04 2023-10-10 정재식 코일 인장형 케이블 행거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001A (ko) * 2008-12-01 2010-06-10 (주)경일 유형케이블행거
KR20110057898A (ko) * 2009-11-25 2011-06-01 문명철 이지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001A (ko) * 2008-12-01 2010-06-10 (주)경일 유형케이블행거
KR20110057898A (ko) * 2009-11-25 2011-06-01 문명철 이지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950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647B1 (ko) 개방형 케이블 행거
US10768390B2 (en) Mounting system and kit for aerial mounting of a fiber optic enclosure
US20190316709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Telescoping Assembly
US9377132B2 (en) Enclosure hanger assembly and cable management system
US20150263501A1 (en) Installation guard for overhead utility lines
US20170172073A1 (en) Supporting clamp apparatus and process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JP2004302418A (ja) ケーブル留め具
KR101366896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US3970286A (en) Apparatus for use in stringing power lines
US9407080B2 (en) Hanger assemblies and cabl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KR20130117583A (ko) 콤팩트 광접속함체
KR101125145B1 (ko) 케이블 행거 및 케이블 행거 어셈블리
JP5795725B2 (ja) 配線収容構造
KR101482006B1 (ko) 통신용 자가지지형케이블 행거
KR102142089B1 (ko) 트레이 기능을 겸비한 통신용 맨홀 케이블 고정장치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JP6599221B2 (ja) 鳥害防止具と、その施工方法
KR101070456B1 (ko)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KR101115177B1 (ko) 조가선 교체 방법
CN205488876U (zh) 一种绕线器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KR101391721B1 (ko) 옷걸이 행거
KR101381584B1 (ko) 인입선용 행거
US11962138B2 (en) Cable support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