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60A -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60A
KR20160004660A KR1020140083276A KR20140083276A KR20160004660A KR 20160004660 A KR20160004660 A KR 20160004660A KR 1020140083276 A KR1020140083276 A KR 1020140083276A KR 20140083276 A KR20140083276 A KR 20140083276A KR 20160004660 A KR20160004660 A KR 2016000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ixed
tree
ropes
fixe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515B1 (ko
Inventor
김병모
Original Assignee
김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모 filed Critical 김병모
Priority to KR102014008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5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목(10)의 몸체에 연결로프(24)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목(10)의 외면을 둘러서는 로프스페이서(1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로프스페이서(12)를 둘러 고정로프(14)가 적어도 2회전 이상 감아지게 된다. 상기 고정로프(14)의 양단부를 소정 길이가 겹쳐지도록 하여 결합클립(16)을 사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고정로프(14)가 교차하는 교차부(20)에서는 고정로프(14)끼리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통형보호구(2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로프(14)에 상기 연결로프(24)가 걸어지는 부분에는 연결보호구(32)가 구비되어 고정로프(14)와 연결로프(24)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로프(24)에는 고리부(26)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부(26)는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와 이에 연결될 일부가 겹쳐지도록 하고 통형결합클립(30)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살아 있는 수목에 연결로프(24)를 연결하여 시설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고정로프(14)만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줄어들고, 고정로프(14)끼리 또는 고정로프(14)와 연결로프(24)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 내구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Rope connecting apparatus for tree}
본 발명은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살아 있는 나무에 로프의 양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될수록 자연을 찾아 자연과의 교감을 누리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맞추어 숲 속에 다양한 시설들을 하여 자연과 사람이 교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숲에 인공적인 구조물을 만들지 않고, 살아 있는 나무에 로프를 연결하여 소정의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살아 있는 나무의 몸체를 둘러서 로프의 단부를 감아서 로프를 나무에 연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나무의 몸체를 둘러서 로프를 감게 되면 세월이 지나면서 나무가 자라 로프가 나무껍질을 파고들게 되어 나무의 생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나무의 몸체를 둘러서 설치한 로프를 풀어서 새롭게 설치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시설물 설치를 위한 로프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5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00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설물의 설치를 위한 연결로프와 나무의 몸체를 둘러서 고정되는 고정로프를 별도로 만들어 나무의 생장을 위한 교체시에 연결로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의 몸체를 둘러서 설치한 고정로프와 이에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연결로프에 의해 고정로프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설물이 구비되는 연결로프를 수목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연결로프의 단부를 상기 수목에 연결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외면을 둘러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프스페이서와, 상기 수목을 적어도 2회전 이상 둘러서 상기 로프스페이서 상에 감아져 고정되는 고정로프와, 상기 고정로프에 상기 연결로프가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로프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로프의 양단부는 일정 길이 겹쳐지고, 이 겹쳐진 부분에 결합클립이 다수개 설치되어 고정로프가 상기 로프스페이서를 감아 수목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로프가 상기 로프스페이서에 감아지면서 양단부를 상기 결합클립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로프가 교차하는 교차부가 발생하는데, 상기 교차부에는 일측 고정로프를 둘러싸는 통형보호구가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에는 연결보호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로프에 걸어지는데, 상기 연결보호구는 고리부의 내면형상과 대응되고, 외면에 상기 고리부를 형성하는 연결로프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로프는 상기 로프스페이서를 둘러 3회전하고 2번째 회전하여 원형을 이루는 고정로프의 부분에 상기 연결로프의 고리부가 걸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는 수목의 몸체에 감아지는 고정로프와 상기 고정로프에 걸어지는 연결로프가 별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수목의 생장을 위해 고정로프를 교체할 때, 연결로프는 그대로 두고 고정로프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로프에 의해 지지되는 시설물을 최대한의 내구연한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에서는 고정로프가 교차되는 부분과 고정로프에 연결로프가 걸어지는 부분에서 각각 보호구를 두어 고정로프 끼리 또는 고정로프와 연결로프가 서로 마찰됨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므로, 로프연결장치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목용 로프연결장치는 수목(10)의 몸체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로프(24)를 고정하여, 상기 연결로프(24)에 구비되는 시설물을 수목(10)들을 활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프연결장치는 상기 수목(10)의 외면을 둘러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로프스페이서(12)들을 고정로프(14)로 둘러 감아서, 상기 로프스페이서(12)가 상기 수목(10)의 외면에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한다. 즉, 고정로프(14)는 수목(10)의 외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로프스페이서(12)들만 수목(10)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로프스페이서(12)가 수목(10)의 몸체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로프(14)는 수목(10)의 몸체 외면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상기 로프스페이서(12)로는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수목(10)과 같은 재질이기 때문이다. 상기 로프스페이서(12)는 나무로 되고 원기둥형상으로 된 것이 좋다. 로프스페이서(12)가 원기둥형상으로 되면, 수목(10)의 외면에 밀착될 때,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수목(10)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로프스페이서(12)들을 둘러서는 고정로프(14)가 감아진다. 상기 고정로프(14)는 상기 로프스페이서(12)들을 둘러 감아져 상기 수목(10)의 외면에는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로프(14)는 최소한 2회전하도록 감아주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로프(14)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와이어를 다수개 꼬아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합성수지나 천연섬유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로프(14)는 양단부가 서로 겹쳐져서 결합클립(16)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로프(14)의 양단부가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하고, 이 겹쳐진 부분에서 결합클립(16)을 사용하여 결합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클립(16)은 클립몸체(17)가 있고, 상기 클립몸체(17)를 유볼트(18)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유볼트(18)는 'U'자 형상으로 만들어진 볼트로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양단부의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각각 너트(19)가 체결되어 상기 유볼트(18)와 클립몸체(17)의 사이에 고정로프(14)의 양단부가 동시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한다. 상기 결합클립(16)은 다수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클립(16)의 갯수는 본 실시례에서는 4개를 사용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로프(24)를 통해 상기 고정로프(14)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갯수가 결정된다.
상기 결합클립(16)에서 상기 너트(19)를 둘러싸도록 별도의 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캡은 외력이 상기 너트(19)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너트(19)가 중력 방향 하부로 위치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외력이 너트(19)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임의로 너트(19)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로프(14)는 상기 로프스페이서(12)를 둘러 최소한 2회전한 상태에서 양단부가 서로 일정 길이 겹쳐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1곳에서 교차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교차부(20)는 상기 고정로프(14)가 교차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로프(14)의 일측을 당기게 되면, 서로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교차부(20)에서 고정로프(14) 끼리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형보호구(22)를 사용한다. 상기 통형보호구(22)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교차부(20)에서 일측 고정로프(14)의 외면을 둘러 설치되어 고정로프(14)끼리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통형보호구(22)는 고정로프(1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통형보호구(22)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교차부(20)에서 일측 고정로프(14)에 구비되거나, 서로 교차하는 고정로프(14)에 하나씩 나누어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형보호부(22)의 외면과 내면은 상대적으로 매끈하게 되어 고정로프(14)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연결로프(24)는 상기 고정로프(14)에 걸어져서 수목(1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로프(24)에는 시설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24)의 반대쪽 단부는 반대쪽에 있는 수목(10)의 고정로프(14)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로프(24)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로프(14)와 같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거나, 합성섬유나, 천연섬유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로프(24)에는 고리부(26)가 만들어지는데, 상기 고리부(26)는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28)를 접어서 단부(28)에 연결된 연결로프(24)의 부분과 겹쳐지게 하면서 끝부분을 동그랗게 만들어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26)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28)와 겹쳐지는 연결로프(24)의 부분을 통형결합클립(30)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상기 통형결합클립(30)은 연결로프(24)의 단면을 2개 나란히 둔 것과 같은 형태로 된다. 즉,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통형상으로 통형결합클립(30)이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통형결합클립(30)을 2개를 사용하여 상기 고리부(26)를 형성한다.
상기 고리부(26)는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28)를 상기 고정로프(14)중 하나에 걸어지게 한 후에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미리 고리부(26)를 만들고 상기 고정로프(14)를 수목(10)의 로프스페이서(12)에 감기 전에 미리 고정로프(14)를 통과시켜 걸어 둘 수도 있다.
상기 고리부(26)에서 상기 연결로프(24)와 고정로프(14)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리부(26)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호구(32)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보호구(32)는 상기 고리부(26)의 내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연결로프(24)와 고정로프(14)가 직접 접촉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보호구(32)의 외면을 둘러서는 안착채널(3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채널(34)에 상기 고리부(26)의 내면쪽이 안착된다. 상기 연결보호구(32)에서 상기 고정로프(14)가 접촉되는 부분은 매끈하게 가공되어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연결보호구(32)의 내면과 상기 고정로프(14)가 접촉하여 상대 이동하더라도 상기 연결보호구(32)에 의해 상기 고정로프(14)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상기 고정로프(14)가 상기 로프스페이서(12)를 3회전한 것이다. 상기 로프스페이서(12)가 3회전함에 의해 상기 교차부(20)는 고정로프(14)끼리 연속하여 2곳에서 교차하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통형보호구(22)가 설치되는 영역이 그만큼 길어지게 된다. 도면에서는 통형보호구(22)가 3개 설치되어 고정로프(14) 사이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로프(24)가 걸어지는 고정로프(14)의 부분이 2번째 회전하여 감아지는 고정로프(14) 부분이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상기 연결로프(24)에 의해 상기 고정로프(14)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결합클립(16)에 의해 고정로프(14)의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클립(16)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고정로프(14)가 1회전하여 원형을 만드는 부분이 아닌 부분에 상기 연결로프(24)가 걸어지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목용 로프연결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로프연결장치를 수목(1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목(10)의 외면을 둘러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로프스페이서(12)를 설치한다. 상기 로프스페이서(12)는 도시되지 않은 벨트와 같은 것을 사용하여 상기 수목(10)의 외면에 임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로프스페이서(12)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로프(14)의 양단에 작업용 끈을 연결하고, 각각의 끈을 별도의 작업자 또는 장비를 사용하여 잡은 상태에서 상기 로프스페이서(12) 상에 감아준다. 고정로프(14) 양단의 단부가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클립(16)을 사용하여 고정로프914)의 양단부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결합클립(16)의 갯수는 상기 고정로프(14)에 가해지는 하중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로프(14)가 교차하는 교차부(20)에는 상기 통형보호구(22)를 설치한다. 상기 통형보호구(22)는 교차부(20)에 있는 일측 고정로프(14)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교차부(20)에서 고정로프(14)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로프(24)를 상기 고정로프(14)에 연결한다. 물론,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로프(14)를 상기 수목(10)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연결로프(24)를 미리 고정로프(14)에 연결해 둘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고정로프(14)를 상기 수목(10)에 설치한 후에 상기 연결로프(24)를 고정로프(14)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로프(14)중 하나의 가닥에 상기 연결보호구(32)를 걸고, 연결보호구(32)의 안착채널(34)에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가 통과하여 고리부(26)를 형성하는 부분이 상기 안착채널(34)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로프(24)의 단부가 상기 연결로프(24)의 소정 구간과 겹쳐지도록 하고 이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통형결합클립(30)을 설치하면 고리부(26)가 만들어지면서 연결로프(24)가 상기 고정로프(14)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상기 연결로프(24)가 한가닥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연결로프(24)의 양단에서 이루어지면 되고, 상기 연결로프(24)가 여러 가닥이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로프(24)의 단부에서 각각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목 12: 로프스페이서
14: 고정로프 16: 결합클립
17: 클립몸체 18: 유볼트
19: 너트 20: 교차부
22: 통형보호구 24: 연결로프
26: 고리부 28: 단부
30: 통형결합클립 32: 연결보호구
34: 안착채널

Claims (5)

  1. 시설물이 구비되는 연결로프를 수목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연결로프의 단부를 상기 수목에 연결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외면을 둘러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프스페이서와,
    상기 수목을 적어도 2회전 이상 둘러서 상기 로프스페이서 상에 감아져 고정되는 고정로프와,
    상기 고정로프에 상기 연결로프가 걸어지도록 상기 연결로프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프의 양단부는 일정 길이 겹쳐지고, 이 겹쳐진 부분에 결합클립이 다수개 설치되어 고정로프가 상기 로프스페이서를 감아 수목에 고정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프가 상기 로프스페이서에 감아지면서 양단부를 상기 결합클립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로프가 교차하는 교차부가 발생하는데, 상기 교차부에는 일측 고정로프를 둘러싸는 통형보호구가 설치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연결보호구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로프에 걸어지는데, 상기 연결보호구는 고리부의 내면형상과 대응되고, 외면에 상기 고리부를 형성하는 연결로프의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채널이 형성되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프는 상기 로프스페이서를 둘러 3회전하고 2번째 회전하여 원형을 이루는 고정로프의 부분에 상기 연결로프의 고리부가 걸어지는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KR1020140083276A 2014-07-03 2014-07-03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KR10167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76A KR101675515B1 (ko) 2014-07-03 2014-07-03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76A KR101675515B1 (ko) 2014-07-03 2014-07-03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60A true KR20160004660A (ko) 2016-01-13
KR101675515B1 KR101675515B1 (ko) 2016-11-11

Family

ID=5517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76A KR101675515B1 (ko) 2014-07-03 2014-07-03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4587A (zh) * 2016-03-22 2016-07-2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电工程古大树移栽树体固定装置及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59B1 (ko) 2020-11-23 2023-05-12 주식회사 구들택 중량물을 매달 수 있는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88U (ko) * 1995-12-18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및와이어고정클립
JP4028681B2 (ja) * 2000-11-02 2007-12-26 東京製綱株式会社 樹幹養生具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樹幹養生装置
KR20110120093A (ko) 2010-04-28 2011-11-03 (주)장원조경 수목 이식용 보호대
KR101143550B1 (ko) 2009-08-26 2012-05-09 (주)송산조경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20130130205A (ko) * 2012-03-26 2013-12-02 박준석 와이어지주형 수목이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88U (ko) * 1995-12-18 1997-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호스및와이어고정클립
JP4028681B2 (ja) * 2000-11-02 2007-12-26 東京製綱株式会社 樹幹養生具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樹幹養生装置
KR101143550B1 (ko) 2009-08-26 2012-05-09 (주)송산조경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20110120093A (ko) 2010-04-28 2011-11-03 (주)장원조경 수목 이식용 보호대
KR20130130205A (ko) * 2012-03-26 2013-12-02 박준석 와이어지주형 수목이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해먹 그물침대, 야외나 실내 집에서 편하게 설치, 사용하는 방법 및 종류와 가격(2014.5.17.), 인터넷: <URL: http://danbis.net/1514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4587A (zh) * 2016-03-22 2016-07-2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电工程古大树移栽树体固定装置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515B1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5323B (zh) 用于线缆的固定系统
AU2014202123B2 (en) Annularly closable band and use thereof
US8567015B2 (en) Cable termination system
JP2019533097A (ja) 二重シース構造用ケーブル
KR101675515B1 (ko)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KR101743358B1 (ko) 파일 인양기구
MX2018008627A (es) Punto de demarcacion de la fibra y almacenamiento del cable sobrante.
KR20160131331A (ko) 연속 이동형 체험시설
KR20210048308A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1381354B1 (ko)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200480246Y1 (ko) 암타이 랙크 밴드
CN205671133U (zh) 移植树木保护支架
JP6623726B2 (ja) 碍子連吊上げ装置
JP2018035582A (ja) 鳥獣保護取付装具
US11060314B2 (en) Support post
KR200458605Y1 (ko)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JP5922187B2 (ja) 引込用鋼管柱用の継柱
US3107880A (en) Safety dispenser for coiled guyline wire
CN207051551U (zh) 光缆出入孔保护器
CN106760578A (zh) 一种空洞防坠安全装置
JP6640576B2 (ja) 吊り下げ具
JP2010185150A (ja) エンドレススリングの製造方法
WO2015102495A1 (en) Safety cap for a hook
JP6265610B2 (ja) 電気柵用ワイヤ支持具及び樹木を利用した電気柵装置
JP2018126022A (ja) 害獣滑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