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25B1 -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25B1
KR101448725B1 KR1020140093444A KR20140093444A KR101448725B1 KR 101448725 B1 KR101448725 B1 KR 101448725B1 KR 1020140093444 A KR1020140093444 A KR 1020140093444A KR 20140093444 A KR20140093444 A KR 20140093444A KR 101448725 B1 KR101448725 B1 KR 101448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pinion
elastic pad
stopp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4009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으로부터 인출된 가공배전선이 파손(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교체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계절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되도록 하여 가공배전선의 처짐 또는 수축으로 인해 애자에서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신주(10)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장착대(20)와: 장착대(2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30)과: 장착대(20) 사이에 배치되어 랙(30)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제1피니언(40)과: 장착대(20)에 각각 설치되며 제1피니언(40)과 체결되는 왕복이송부재(50)와: 장착대(20)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는 온도센서(60)와: 온도센서(60)로부터 온도 값을 전달받아 구동모터(80)를 정역으로 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70)와: 장착대(20)에 설치되며 제어부(7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랙(30)을 전후로 왕복이송시키는 구동모터(80)와: 장착대(20)에 설치되어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조립체(90)와; 전신주(10)의 하단부 둘레면에 설치되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을 수용하여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신주의 하부 외주면에 보호부재를 설치하고, 보호부재를 통해 제1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를 고정 및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이 파손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Horizontal Supporting of an overhead electric power line}
본 발명은 외력으로부터 인출된 가공배전선이 파손(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교체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계절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되도록 하여 가공배전선의 처짐 또는 수축으로 인해 애자에서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신주에서의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즉, 전신주에 연결하고자 하는 가공배전선을 전신주의 상단 양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완금의 양측에서 애자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점퍼선은 완금의 상단에 설치되는 애자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시공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89444호가 있으며, 기술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신주의 몸체 상측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완금과, 이 완금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다수 개의 애자가 장착되고, 애자의 상부측에 송배전선과 대지를 절연하는 점퍼선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가공전선을 매우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여름철 또는 겨울철과 같이 온도변화로 인한 가공배전선의 처짐 또는 신축으로 인하여 연결부분이 이탈되거나 끊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 전기를 단전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올라가 직접작업해야 함으로, 간혹 있을 잔존전류로 인한 감전사 및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사로부터 작업자를 지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단전시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세대들의 크나큰 불편과 원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인입되는 배전선의 경우 단순히 전신주에 시공된 관으로 넣어 보호하기 때문에 자칫 외력이 강제로 가해질 경우 관이 파손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배전선 역시 함께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애자 또는 가공배전선 또는 점퍼선을 보수교체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장비 및 도구 등을 작업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력으로부터 인출된 가공배전선이 파손(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수교체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계절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되도록 하여 가공배전선의 처짐 또는 수축으로 인해 애자에서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완금은,
전신주: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가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추고서, 전신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장착대: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장착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과 우나사탭을 갖추고서, 장착대의 가이드공 사이에 배치되어 랙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
제1가공배전선을 고정하는 애자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를 갖추고서, 가이드공의 돌부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왕복이송부재:
장착대에 설치되어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랙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을 갖추고서, 장착대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장착대의 상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장착대를 상호 연결하는‘ㅜ’자형의 단면을 갖는 연결대와; 상면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하면에 형성되며 연결대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안치부, 스토퍼안치부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게 돌출되어 가이드편을 안내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작업대와; 돌출편에 삽입되는 가이드편을 갖추고서, 작업대의 스토퍼안치부에 삽입되어 작업대의 왕복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작업대조립체:
전신주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2가공배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가 구비된 가공배전선고정부와; 제1탄성패드의 외면에 고정되어 제2가공배전선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의 지지돌부를 감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가 구비된 가공배전선보호부를 갖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신주의 하부 외주면에 보호부재를 설치하고, 보호부재를 통해 제1가공배전선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를 고정 및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이 파손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대에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할 수 있어 보관이 상당히 용이하고, 특히 작업대에 거치된 장비 및 도구 등을 보수교체가 필요한 장착대로 손쉽게 이동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동하지 않고 한자리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장착대에 제1피니언과 말단에 제1가공배전선이 고정된 왕복이송부재를 설치하고, 제1피니언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하는 온도센서와 제어부 및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제1가공배전선이 온도변화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수축되어 애자로부터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이 쉽고 간편하며 수리 및 교체가 상당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가 연결대를 따라 이동하여 장착대의 상면에 배치되면, 작업대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가 장착대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작업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작업대는 연결대와 가이드부가 서로 면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대가 연결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작업대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분해사시도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보호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작업대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저면분해사시도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보호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은, 전신주(10)와 장착대(20)와 랙(30), 제1피니언(40), 왕복이송부재(50), 온도센서(60), 제어부(70), 구동모터(80), 작업대조립체(90) 및 보호부재(100)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제1가공배전선(L)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보수교체시에는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신주(10)는 지면에 입설되게 설치되는 공지의 전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단부에는 장착대(20)와 랙(30), 제1피니언(40), 왕복이송부재(50), 온도센서(60), 구동모터(80) 및 작업대조립체(90)가 설치되어 지지되고, 하부에는 보호부재(10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대(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태를 이루는 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신주(10)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고정설치된다.
특히, 상기 장착대(40)의 일단부에는 수평하게 관통되는 가이드공(21)이 형성되고, 가이드공(21)의 내주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는 돌부(21a)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공(21)의 내주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왕복이송부재(5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가이드공(21)의 돌부(21a)와 왕복이송부재(50)의 결합홈(52a)이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피니언(40)이 랙(30)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왕복이송부재(50)는 돌부(21a)와 결합홈(52a)이 상호 결합되어 있어 함께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공(21)의 돌부(21a)를 따라 이동하므로 애자(51)에 고정된 제1가공배전선(L)이 꼬이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랙(30)은 장착대(20) 사이에 가이드부재(G)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랙(30)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상면에는 톱니가 마련되며, 특히,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재(G)에 끼워져 슬라이드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G)는 전체적인 형상이‘ㄷ’자 형태를 이루며 장착대(20) 사이에 랙(30)과 결합된 상태로 용접 또는 볼트체결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피니언(40)은 장착대(20)의 가이드공(21) 사이에 배치되어 랙(30)과 맞물려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니언(40)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외주면에는 랙(30)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동일한 톱니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피니언(40)의 내주면에는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이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에는 장착대(20)의 가이드공(21)을 각각 관통한 왕복이송부재(50)가 체결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랙(30)이 전신주(10)를 향해 이동되면 랙(30)에 맞물려 있는 제1피니언(4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제1피니언(40)의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에 체결되어있던 왕복이송부재(50)는 제1피니언(40)의 중심을 향해 이동되어 애자(51)에 고정된 제1가공배전선(L)을 잡아당기게 된다.
반대로, 상기 랙(30)이 전신주(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면 랙(30)에 맞물려 있는 제1피니언(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왕복이송부재(50)가 외향으로 이동되므로 제1가공배전선(L)은 이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왕복이송부재(50)는 애자(51)와 나사부(5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대(20)의 가이드공(21) 돌부(21a)를 삽입관통하여 제1피니언(40)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40)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제1가공배전선(L)을 인장 및 이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애자(51)에는 제1가공배전선(L)이 고정되고, 이 제1가공배전선(L)은 점퍼선(L')을 매개로 반대편 제1가공배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L')이 인출되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은 지중으로 삽입된다.
상기 나사부(52)는 제1피니언(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이 형성된 공지의 볼트이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52)에는 가이드공(21)의 돌부(21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부(21a)에 대응되는 결합홈(5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대(20)에는 온도센서(60)와 제어부(70) 및 구동모터(80)가 설치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장착대(20)의 상면에는 온도센서(60)가 설치되는데, 온도센서(60)는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며, 제어부(70)는 온도센서(60)로부터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구동모터(8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결정하여 구동모터(80)로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80)는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신호에 의해 모터축(미도시)에 고정된 제2피니언(81)을 강제회전시켜 가이드부재(G)를 따라 랙(30)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작업대조립체(90)는 연결대(91)와 작업대(92) 및 스토퍼(93)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대(20)에 설치되어 보수교체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이 거치되어 이동된다.
상기 연결대(91)는‘ㅜ’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장착대(20)의 상면에 고정수단(B)을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장착대(20)를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91)가‘ㅜ’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있어 작업대(92)를 연결대(91)에 결합시 이동은 가능하면서도 외부로의 이탈은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대(92)에 보수교체시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하더라도 넘어져 낙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91)는 절연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연결대(91)를‘ㅜ’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한 따라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92)는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함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대(9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92)는 스토퍼(93)를 매개로 연결대(91) 상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작업대(92)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의 이루되, 상면 내측에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이 수용되는 수용부(92a)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연결대(91)에 상응되게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92b)가 형성되며, 가이드부(92b) 사이에는 내측으로 스토퍼(9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된 스토퍼안치부(92c)가 형성되며, 스토퍼안치부(92c)의 내면에는 상호 마주보게 돌출되어 스토퍼(93)를 억류 및 가이드하는 돌출편(92d)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92)에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할 수 있어 보관이 상당히 용이하고, 특히 작업대(92)에 거치된 장비 및 도구 등을 보수교체가 필요한 장착대(20)로 손쉽게 이동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동하지 않고 한자리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토퍼(93)는 양단부에 가이더편(93a)을 갖춘 판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토퍼안치부(92c)에 삽입되며 가이더편(93a)을 매개로 돌출편(92d)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대(92)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작업대(92)의 경우 연결대(91)를 따라 이동가능이 가능하지만 연결대(91)의 양단까지 이동할 경우 자칫 작업대(92)가 연결대(91)로부터 이탈되면서 아래로 낙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작업대(92)의 하부에 판스프링인 스토퍼(93)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92)가 연결대(91)를 따라 이동하여 장착대(20)의 상면에 배치되면, 작업대(92)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93)가 장착대(20)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작업대(9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작업대(92)는 연결대(91)와 가이드부(92b)가 서로 면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대(92)가 연결대(9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부재(100)는 가공배전선 고정부(101)와 가공배전선 보호부(10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신주(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부(101)는 전신주(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101a)와, 제1탄성패드(101a)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2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지지돌부(101b)로 구성된다.
상기 가공배전선 보호부(102)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102a)를 구비하며, 여기서 제2탄성패드(102a)는 제1탄성패드(101a)의 외면에 고정되어 제2가공배전선(L')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101a)의 지지돌부(101b)를 감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L')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부(101)에 형성된 고정수단은 제1걸고리(101c)와 제1걸림부(101d)로 구성되어 각각 제1탄성패드(101a)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가공배전선 보호부(102)에 형성된 고정수단은 제2걸고리(102c)와 제2걸림부(102d)로 구성되어 각각 제2탄성패드(102a)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공배전선 고정부(101)는 제1걸고리(101c)와 제1걸림부(101d)를 매개로 전신주(10)의 외면에 고정되며, 가공배전선 보호부(102)는 제2걸고리(102c)와 제2걸림부(102d)를 매개로 가공배전선 고정부(101)의 외면을 감싸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제2탄성패드(102a)의 외면에 사각뿔형, 원뿔형, 반구형 등의 돌부를 다열종대로 형성하여 광고지 및 전단지 등이 외면에 붙더라도 용이하게 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이 보호부재(100)를 통해 고정 및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인한 제2가공배전선(L')의 단락사고를 방지하고,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장착대(20)를 전신주(10)의 상면에 나란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장착대(20) 사이에 제1피니언(40)을 배치한 상태에서 장착대(20)의 가이드공(21)을 삽입관통시킨 왕복이송부재(50)를 제1피니언(40)의 내주면에 각각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 다음, 상기 장착대(20) 사이에 가이드부재(G)를 매개로 랙(30)을 설치하여 장착대(20) 사이에 배치된 제1피니언(40) 및 제2피니언(81)과 상호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이후에는, 작업대조립체(90)를 설치하면 되는데, 먼저 장착대(20)의 상면에 한 쌍의 연결대(91)를 상호 이격되게 고정수단(B)을 매개로 고정시켜 주고, 연결대(91)에 작업대(92)를 가이드부(92b)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준다.
그 다음, 상기 연결대(91)와 작업대(92)의 결합이 완료되면, 작업대(92)의 스토퍼안치부(92c)에 스토퍼(93)를 삽입하고, 돌출편(92c)에 가이드편(93a)을 이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면 전체적인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전신주(1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보호부재(100)를 장착시켜주게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공배전선 고정부(101)의 제1탄성패드(101a)를 이용하여 전신주(10)의 하단부 외주면에 감싸준 상태에서 제1탄성패드(101a)의 일단에 형성된 제1걸고리(101c)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101d)에 걸어주게 되면 가공배전선 고정부(101)가 전신주(10)를 감싸고 있는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공배전선 고정부(101)를 전신주(10)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제1탄성패드(101a)의 외면에 다열종대로 배치된 지지돌부(101b) 사이에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을 삽입시켜 고정하되, 선택적으로 제2가공배전선(L')을 여유있게 실장하여 필요에 따라 실장된 제2가공배전선(L')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공배전선(L')을 지지돌부(101b) 사이에 실장시켜 준 다음 가공배전선 보호부(102)의 제2탄성패드(102a)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내향으로 잡아당겨 제2가공배전선(L')이 실장된 지지돌부(101b)의 외면을 감착시켜 주고, 제2탄성패드(102a)의 일단에 형성된 제2걸고리(102c)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제2탄성패드(102a)의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부(102d)에 걸어 가공배전선 보호부(102)의 감착상태를 유지시켜 주면 되며, 해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에 역순으로 시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온도의 변화가 극히 적은 봄과 가을의 경우에는 제1가공배전선(L)의 길이변화가 적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공배전선(L)이 안정된 상태로 애자(51)에 고정되어 있지만,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제1가공배전선(L)이 늘어져 처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애자(51)에는 큰 힘이 걸리게 되므로, 자칫 애자(51)와 제1가공배전선(L) 간에 고정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1가공배전선(L)을 잡아당겨 긴장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장착대(20)에 설치된 온도센서(60)가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는 온도센서(6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현재 외부온도상태를 판단하여 구동모터(80)로 역회전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역회전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모터(8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축(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는 제2피니언(81)은 강제로 회전되어 랙(30)을 전신주(10)를 향해 밀게 되며, 전신주(10)를 향하여 이동되는 랙(30)에 의해 랙(30)의 상면에 맞물려 있는 제1피니언(40)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피니언(4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피니언(40)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있는 왕복이송부재(50)는 제1피니언(40)의 내부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애자(51)에 고정되어 있는 제1가공배전선(L) 역시 이동되는 왕복이송부재(50)에 의해 당겨져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1가공배전선(L)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도 9a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겨울철에는 제1가공배전선(L)이 수축되면서 길이가 짧아져 팽팽한 상태로 있게 되는데,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제1가공배전선(L)이 수축에 의해 애자(51)에서 이탈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1가공배전선(L)이 어느 정도 이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장착대(20)에 설치된 온도센서(60)가 외부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70)는 온도센서(6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현재 외부온도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구동모터(80)로 정회전 동작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정회전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구동모터(8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터축(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는 제2피니언(81)은 강제로 회전되어 랙(30)을 전방으로 밀게 되며,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랙(30)에 의해 랙(30)의 상면에 맞물려 있는 제1피니언(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피니언(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피니언(40)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있는 왕복이송부재(50)는 제1피니언(40)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애자(51)에 고정되어 있는 제1가공배전선(L) 역시 이동되는 왕복이송부재(50)와 함께 이동되어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1가공배전선(L)이 과도한 수축에 의해 애자(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8b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애자(51) 또는 제1가공배전선(L) 또는 점퍼선(L")이 손상된 경우 작업자는 즉시 현장에서 보수교체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먼저 작업자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작업대(92)의 수용부(82a)에 거치한 상태에서 작업대(92)를 연결대(91)를 따라 이동시켜 주면, 작업대(92)가 연결대(91)를 따라 이동하여 장착대(20)의 상면에 배치될 경우, 작업대(92)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93)가 장착대(20)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작업대(9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작업대(92)는 연결대(91)와 가이드부(92b)가 서로 면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대(92)의 거치된 장비 및 도구 등을 이용하여 교체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장착대(20)에 제1피니언(40)과 말단에 제1가공배전선(L)이 고정된 왕복이송부재(50)를 설치하고, 제1피니언(4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를 제어하는 온도센서(60)와 제어부(70) 및 구동모터(80)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제1가공배전선(L)이 온도변화에 의해 처지거나 또는 수축되어 애자(51)로부터 이탈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립이 쉽고 간편하며 수리 및 교체가 상당히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92)에 보수교체에 필요한 장비 및 도구 등을 거치할 수 있어 보관이 상당히 용이하고, 특히 작업대(92)에 거치된 장비 및 도구 등을 보수교체가 필요한 장착대(20)로 손쉽게 이동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동하지 않고 한자리에서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상당히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작업대(92)가 연결대(91)를 따라 이동하여 장착대(20)의 상면에 배치되면, 작업대(92)의 하부에 설치된 스토퍼(93)가 장착대(20)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작업대(9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며, 이에 의해 작업대(92)는 연결대(91)와 가이드부(92b)가 서로 면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대(92)가 연결대(9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신주(10)의 하부 외주면에 보호부재(100)를 설치하고, 보호부재(100)를 통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된 제2가공배전선(L')를 고정 및 보호되도록 하므로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L')이 파손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전신주 20: 장착대 21: 가이드공
21a: 돌부 30: 랙 40: 제1피니언
40a: 좌나사탭 40b: 우나사탭 50: 왕복이송부재
51: 애자 52: 나사부 52a: 결합홈
60: 온도센서 70: 제어부 80: 구동모터
81: 제2피니언 90: 작업대조립체 91: 연결대
92: 작업대 92a: 수용부 92b: 가이드부
92c: 스토퍼안치부 92d: 돌출편 93: 스토퍼
93a: 가이더편 100: 보호부재
101: 가공배전선 고정부 101a: 제1탄성패드 101b: 지지돌부
102: 가공배전선 보호부 102a: 제2탄성패드
L: 제1가공배전선 L': 제2가공배전선 L": 점퍼선

Claims (1)

  1. 전신주(10):
    일측에 수평하게 관통되며 관통된 내주면에 돌부(21a)가 형성된 가이드공(21)을 갖추고서, 전신주(10)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장착대(20):
    가이드부재(G)를 매개로 장착대(2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랙(30):
    내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좌나사탭(40a)과 우나사탭(40b)을 갖추고서, 장착대(20)의 가이드공(21) 사이에 배치되어 랙(30)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40):
    제1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는 애자(51)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52a)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좌나선 또는 우나선을 갖는 나사부(52)를 갖추고서, 가이드공(21)의 돌부(21a)에 삽입되어 제1피니언(40)과 체결되며, 제1피니언(40)의 정역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왕복이송부재(50):
    장착대(20)에 설치되어 주변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센서(60):
    온도센서(60)로부터 온도 값을 입력받아 구동모터(80)로 정역회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
    랙(30)과 맞물리는 제2피니언(81)을 갖추고서, 장착대(20)에 설치되어 제어부(70)로부터 정역회전신호를 입력받아 제2피니언(81)을 정역으로 강제회전시키는 구동모터(80):
    장착대(20)의 상면에 고정수단(B)을 매개로 상호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어 장착대(20)를 상호 연결하는‘ㅜ’자형의 단면을 갖는 연결대(91)와; 상면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92a), 하면에 형성되며 연결대(9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92b), 가이드부(92b) 사이에 형성되며 스토퍼(93)가 삽입되는 스토퍼안치부(92c), 스토퍼안치부(92c)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게 돌출되어 가이드편(93a)을 안내하는 돌출편(92d)을 구비하는 작업대(92)와; 돌출편(92d)에 삽입되는 가이드편(92a)을 갖추고서, 작업대(92)의 스토퍼안치부(92c)에 삽입되어 작업대(92)의 왕복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93)로 구성된 작업대조립체(90):
    전신주(10)의 외면에 감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탄성패드(101a)와, 제1탄성패드(101a)의 외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가공배전선(L)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중으로 매립되게 설치되는 제2가공배전선(L')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돌부(101b)가 구비된 가공배전선고정부(101)와; 제1탄성패드(101a)의 외면에 고정되어 제2가공배전선(L')을 억류하고 있는 제1탄성패드(101a)의 지지돌부(101b)를 감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제2가공배전선(L')을 보호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탄성패드(102a)가 구비된 가공배전선보호부(102)를 갖춘 보호부재(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KR1020140093444A 2014-07-23 2014-07-23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KR10144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44A KR101448725B1 (ko) 2014-07-23 2014-07-23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44A KR101448725B1 (ko) 2014-07-23 2014-07-23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25B1 true KR101448725B1 (ko) 2014-10-13

Family

ID=5199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44A KR101448725B1 (ko) 2014-07-23 2014-07-23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53B1 (ko) 2015-05-12 2015-10-13 (주) 미래이앤지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20200009445A (ko) * 2018-07-19 2020-01-30 홍희성 바이패스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선 이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89B1 (ko) 2010-06-10 2010-09-07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온도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길이조절 완철
KR100987424B1 (ko) 2010-06-10 2010-10-13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지지전주
KR101352072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KR101355102B1 (ko) 2013-11-11 2014-01-22 하봉구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89B1 (ko) 2010-06-10 2010-09-07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온도변화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길이조절 완철
KR100987424B1 (ko) 2010-06-10 2010-10-13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지지전주
KR101355102B1 (ko) 2013-11-11 2014-01-22 하봉구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352072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253B1 (ko) 2015-05-12 2015-10-13 (주) 미래이앤지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20200009445A (ko) * 2018-07-19 2020-01-30 홍희성 바이패스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선 이선 방법
KR102174443B1 (ko) 2018-07-19 2020-11-05 홍희성 바이패스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선 이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4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의 지지완금
KR101324705B1 (ko) 전주 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KR10107924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장력조절용 애자링커
MXPA03011065A (es) Soporte de rodillos para retirar alambres electricos para aislador de lp y metodo de construccion de distribucion de energia.
KR101514371B1 (ko)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44872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KR102327599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KR10144488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처짐방지장치
JP5105857B2 (ja) 絶縁碍子用簡易足場装置
KR100987424B1 (ko) 감전사고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지지전주
KR20200099566A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KR101381354B1 (ko) 전주고정식 배전용 가공전선 연결대
JP2017127076A (ja) 張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架空地線取替方法
JP2004056837A (ja) 電線仮支持装置
KR10152201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전주
KR102320722B1 (ko)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113816B1 (ko) 감전방지를 위한 배전선 고정애자
KR101448144B1 (ko) 작업이 편리한 가공 배전선로 절연식 애자링커
KR101503779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1413169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101963413B1 (ko)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522915B1 (ko) 활선 작업용 전기절연스틱 거치대
KR10147752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