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566A -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 Google Patents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566A
KR20200099566A KR1020207020607A KR20207020607A KR20200099566A KR 20200099566 A KR20200099566 A KR 20200099566A KR 1020207020607 A KR1020207020607 A KR 1020207020607A KR 20207020607 A KR20207020607 A KR 20207020607A KR 20200099566 A KR20200099566 A KR 2020009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gripping
suspension device
too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808B1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준스케 타카다
마사유키 이시가키
유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작업에 이용하는 장치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상이한 높이에 설치된 복수의 내장 애자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 이용되는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방향 변환구 및 주상(柱上)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주상으로의 설치가 용이하고,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광범위하게 잘 처리할 수 있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를 제공한다. 방향 변환구(2)는, 전신주의 어깨쇠에 이용되고 있는 앵글재(50)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부(4)와, 이 끼움지지부(4)에 대해 수평 선회 가능한 선회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끼움지지부(4)는, 수평 방향으로 끼움지지하는 수평측 끼움지지부(6)와 연직 방향으로 끼움지지하는 연직측 끼움지지부(8)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부(10)는, 장치류를 그립핑하는 그립핑부(14)와 그립핑부(14)의 앙부각(仰俯角)을 조정할 수 있는 앙부각 조절부(26)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0001] 본 발명은, 내장 애자(耐張碍子, strain insulator)를 가설(假設: 임시 설치) 전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柱上)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電柱, utility pole)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0002] 가공(架空; 공중에 건너질러 설치한) 전선(이하, 간단히 '전선'이라고 함.)과 지지 구조물 간을 절연(絶緣)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애자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전신주 또는 철탑 등의 지지 구조물과의 사이에 있어서, 전선의 장력 방향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내장 애자가 이용된다. 이 내장 애자는, 복수 개의 애자가 연결용 금구(金具)에 의해 직렬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0003] 낙뢰(落雷) 대책으로서 큰 전류를 안전하게 도피시키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지지 구조물과 전선 사이에 절연 파괴가 발생하여, 내장 애자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0004] 이러한 경우, 파손된 내장 애자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복수 개를 연달아 구성한 경우, 중량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형상이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높은 곳(高所)에서 작업을 함에 있어서 취급이 어렵다.
[0005] 교환 작업에서는, 먼저, 내장 애자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을 해방시킬 필요가 있다. 도 16은, 종래의 내장 애자(223)의 교환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어깨쇠(腕金)(220)를 통해 대극(對極) 방향으로 내장 애자(223)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에는, 이들 중 하나(一方)를 교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장 애자(223)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을 완화하기 위해 장력 완화 장치(200)가 이용되고 있다.
[0006] 장력 완화 장치(200)는, 버팀봉(棒)으로서 작용하는 장력 지지 로드(201)와, 이 장력 지지 로드(201)에 대해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장력 조작 부재(202)를 갖고 있다.
[0007] 장력 지지 로드(201)의 일단(一端)은, 어깨쇠(220)측에 고정되고, 장력 조작 부재(202)는, 앵커 클램프(anchor clamp)(221)를 통해 고압선(222)과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장력 조작 부재(202)를 어깨쇠(220)측으로 요동시키면, 내장 애자(223)에 가해지고 있던 장력이 해방되는 동시에 장력 지지 로드(201)측으로 그 장력이 옮겨간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장 애자(223)의 교환 작업이 행해진다.
[0008] 분리된 내장 애자(223)는, 리프팅 툴(lifting tool)(203) 상에 놓여져 철거된다. 이러한 내장 애자 교환 방법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6-149828호
[0010] 그런데, 도 16에 나타낸 내장 애자(223)는, 2개를 일체로 연결한 구성이지만, 더욱 고전압인 설비에서는, 연결되는 내장 애자의 수가 증대된다. 또한, 개개의 내장 애자(223)도 대형화된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철거할 내장 애자에 맞추어 리프팅 툴(203)도 대형화된다.
[0011] 즉, 철거 작업에서는, 내장 애자(223)에 더하여, 이것에 크기가 비례하는 리프팅 툴(203)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필연적으로 크레인에도 고중량물(高重量物)을 매달아 올리는 능력이 요구되어, 장치의 대형화는 피할 수가 없다.
[0012] 이러한 상황하에서, 좁은 골목 등에서 작업을 행할 경우, 대형 크레인을 도입하는 것은 곤란하다.
[0013] 또한, 지상(地上)을 피해 주상(柱上; 기둥 상)에 서스펜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는, 교환할 내장 애자를 지지하기 위한 리프팅 툴 등을 잘 처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혼잡(congestion)한 환경에서는, 설치의 문제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작업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0014] 더욱이, 복수의 내장 애자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 능력은 보다 중요해진다. 그러나, 장치의 크기나 중량을 억제하여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과,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 능력을 충분히 구비하는 것을 양립(兩立)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0015]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에 이용하는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상이한 높이에 설치된 복수의 내장 애자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 이용되는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방향 변환구 및 주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6]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애자 분리 공법은, 장선(張線) 장치 및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하여 내장(耐張, strain)용 애자를 가공 전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애자 분리 공법으로서, 상기 애자와 병렬로 형성된, 상기 장선 장치를 포함하는 분기로 측으로 장력을 전환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를 애자 지지구에 의해 하방(下方)으로부터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 지지구에 상기 서스펜션 장치의 매달아 올림용의 선재(線條材)를 연결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 지지구로 지지하면서 상기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매달아 올린 상기 애자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또한, 본 발명의 애자 분리 공법은, 상기에 더하여, 상기 분기로 측으로 장력을 전환하는 공정이, 상기 가공 전선을 상기 장선 장치의 일단에서 그립핑(gripping)시키는 공정과, 상기 가공 전선에 상기 장선 장치의 타단(他端)을 매다는 행거를 매달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행거에 상기 장선 장치의 타단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행거를, 전신주에 고정된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장선 장치의 일단 및 타단의 간격을 수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또한, 본 발명의 방향 변환구는, 상기의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주상에서 이용하는 장치를 방향 변환이 가능하게 어깨쇠에 부착하는 방향 변환구로서, 상기 어깨쇠의 상방(上方)에 접촉하는 영역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쇠를 끼움지지(挾持)하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 상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보다 큰 축단부(軸端部)를 갖는 동시에, 상기 축단부를 상기 관통 구멍의 하방으로부터 근소하게 돌출시키도록,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진 선회부와, 상기 선회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장치를 그립핑 가능한 그립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 또한, 본 발명의 방향 변환구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그립핑부의 앙부각(仰俯角)을 조절 가능한 앙부각 조절부를 상기 선회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또한, 본 발명의 주상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의 방향 변환구와, 상기 방향 변환구의 상기 그립핑부에 그립핑되는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선단(先端)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작업 대상물을 걸림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고정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또한, 본 발명의 애자 지지구는, 전신주의 상방에 설치되어 선재로 대상물을 매달아 올리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상기의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애자 지지구로서, 일단에 파지부(把持部)를 갖는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애자의 연결 부분과 걸림결합 가능한 애자 걸림결합부와, 상기 애자 걸림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와 연결 가능한 선재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2] 또한, 본 발명의 애자 지지구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재 연결부가, 상기 애자 걸림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3] 또한, 본 발명의 대(對)전신주 고정구는, 상기의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가공 전선을 잡아당기는 장선 장치를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대(對)전신주 고정구로서, 상기 전신주의 외경(外徑)과 동일한 정도의 내경(內徑)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전신주의 둘레 길이의 절반(半周)을 초과하는 길이의 탄성재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끈 형상체와, 상기 만곡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끈 형상체를 걸어 통과시키는 끈 걸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4] 또한, 본 발명의 대(對)전신주 고정구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끈 형상체와 상기 끈 걸이부가, 상기 만곡부를 따른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애자 분리 공법에 의하면,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연결된 애자 지지구를 통해 애자가 매달아 올려지므로,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높이 방향의 가동 영역에 대해, 애자 지지구가 매달아 올려진 위치로부터 끝단(端)까지의 길이 만큼을 더한 높이까지 애자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소형의 주상 서스펜션 장치라 하더라도, 자신의 높이를 초과한 넓은 범위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애자 지지구를 지지하면서 매달아 올리는 작업이 행해지므로, 혼잡한 환경에서도 주변 장치와 간섭하는 일 없이 유연하게 회피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을 해제할 때에는, 애자에 의한 하중을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맡길 수 있으므로, 애자 지지구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0026] 또한, 본 발명의 애자 분리 공법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공 전선에 매달아 설치된 행거를 통해 장선 장치와 대(對)전신주 고정구가 연결되므로, 장선 장치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를 행거에 연결하는 작업은 개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주상(柱上)에서의 작업을 안정된 상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기로로 장력을 전환한 후에는, 반대로, 장력이 상실된 가공 전선을 행거로 매달 수 있으므로, 애자를 분리하였을 때의 가공 전선을 파지 공구(把持工具) 등으로 유지하지 않더라도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0027] 또한, 본 발명의 방향 변환구에 의하면, 하방으로 축단부를 근소하게 돌출시키도록 하여 회전축이 끼움지지부의 관통 구멍에 관통 배치되어 있으므로, 끼움지지부를 어깨쇠에 올려놓았을 때, 돌출된 축단부에는, 상방으로부터는 베이스부의 하중이 가해진다. 거의 올려두기(載置)만 한 임시 설치 상태에서는, 끼움지지부의 중량이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것뿐이어서, 선회 조작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어깨쇠를 끼움지지부에 의해 끼움지지하면, 회전축의 축단부는 어깨쇠와 끼움지지부 사이에 끼워지므로, 선회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와 연동하여 선회 위치를 확정할 수 있으므로, 선회를 고정하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028] 또한, 본 발명의 방향 변환구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선회부에, 그립핑부의 앙부각을 조절할 수 있는 앙부각 조절부를 갖고 있으므로, 높이 방향에 대한 작업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0029] 또한, 본 발명의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의하면,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적어도 수평 방향에 대한 방향 변환이 가능한 방향 변환구에 대해 조작봉이 고정되므로, 거의 올려두기만 한 임시 설치 상태에서, 작업원이 조작봉의 축단(軸端)을 잡아 신속히 위치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030] 또한, 본 발명의 애자 지지구에 의하면, 조작봉 중, 파지부와 애자 걸림결합부의 사이에,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선재를 연결하는 선재 연결부를 갖고 있으므로, 주상 서스펜션 장치측에 하중의 대부분을 맡긴 상태로 애자 및 애자 지지구 자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31] 또한, 본 발명의 애자 지지구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선재 연결부가, 애자 걸림결합부 및 파지부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 높이 위치를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중심(重心)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을 안정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0032] 또한, 본 발명의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의하면, 대(對)전신주 고정구의 만곡부가 전신주의 둘레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방(側方)으로부터 전신주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신주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의 내경을 갖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전신주에 밀어넣으면 용이하게 임시(假)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임시 고정 상태에서, 만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끈 형상체를, 타단의 끈 걸이부에 걸어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체결에 의한 본(本)고정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전신주에 체결 고정할 수 있다.
[0033] 또한, 본 발명의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끈 형상체와 끈 걸이부가 만곡부를 따른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력에 의한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수의 증대를 억제하여 간단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변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 변환구의 육면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 (e)는 우측면도, (f)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방향 변환구의 선회부의 선회 중심 위치에서 절단한 종(縱)단면도이다.
도 4는, 방향 변환구의 파지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향 변환구를 이용한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표준 상태, (b)는 연장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방향 변환구의 앙부각 조절부의 주변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최하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최상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 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애자 지지구의 애자 걸림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애자 지지구의 연결부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애자 지지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對)전신주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대(對)전신주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애자 지지구 및 행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의 내장 애자 교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003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향 변환구 및 이를 이용한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36] <방향 변환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 변환구(2)의 전체 사시도이다. 전신주 상에서 어깨쇠로서 사용되고 있는 앵글재(50)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앵글재(50)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방향 변환구(2)의 육면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배면도, 도 2의 (c)는 평면도, 도 2의 (d)는 저면도, 도 2의 (e)는 우측면도, 도 2의 (f)는 좌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서, 방향 변환구(2)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0037] 방향 변환구(2)는, 앵글재(50)에 끼움지지부(4)를 올려놓도록 하여 부착된다. 끼움지지부(4)는 앵글재(50) 등의 어깨쇠를 끼움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움지지부(4)는, 수평 방향으로 끼움지지하는 수평측 끼움지지부(6)와, 연직 방향으로 끼움지지하는 연직측 끼움지지부(8)로 구성되어 있다.
[0038] 수평측 끼움지지부(6)는, 앵글재(50)의 상면에 접촉하는 대략 평판 형상의 접촉판(6a)을 갖고 있다. 이 접촉판(6a)에는, 평행한 3개의 긴 구멍인 수평 가이드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판(6a)의 하면측에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앵글재(50)의 수평 방향의 끝단 가장자리(端緣)에 걸림고정시키는 걸림고정 클로(6f)가 설치되어 있다(도 2의 (a)도 함께 참조). 이 걸림고정 클로(6f)는, 3개 중 중앙의 수평 가이드 구멍(6c)을 관통하는 나비 나사(thumbscrew)(6e)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양 사이드의 수평 가이드 구멍(6c)에는, 걸림고정 클로(6f)를 앵글재(50)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핀(6d)을 끼워넣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앵글재(50)의 수평 방향의 폭에 수평측 끼움지지부(6)를 맞출 수가 있다.
[0039] 연직측 끼움지지부(8)는, 끼움지지 대상에 하방으로부터 걸림고정되는 승강 클로부(8d)를 갖고 있다. 이 승강 클로부(8d)는, 양 사이드에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판(8a)에 형성된 연직 가이드 구멍(8b)을 따라 승강 가능하다. 승강 클로부(8d)의 중앙에는 나사축(8e)이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승강 클로부(8d)는, 이 나사축(8e)의 하단에 부착된 너트(8c)(도 2의 (e) 참조) 상에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8c)를 나사축(8e)에 대해 나사식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승강 클로부(8d)를 승강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판(8a)은, 승강 클로부(8d)의 양 사이드에 2장을 설치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가이드 판(8a)은, 승강 클로부(8d)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적어도 승강 클로부(8d)의 어느 일측(一方)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0040] 이상과 같은 끼움지지부(4)에 의해, 방향 변환구(2)를 앵글재(50)에 설치할 때에는, 미리 수평측 끼움지지부(6)의 걸림고정 클로(6f)의 위치를 앵글재(50)의 수평 방향의 폭에 맞춘 상태에서, 접촉판(6a)이 앵글재(50)의 상면에 놓여진다(임시 고정 상태). 이 상태에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된 연직측 끼움지지부(8)를 단단히 조이면, 앵글재(50)에 대한 부착이 완료된다(본(本)고정 상태).
[0041] 끼움지지부(4)의 상방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선회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부(10)의 하방은, 수평측 끼움지지부(6)의 접촉판(6a)에 대해 평행한 원반 형상(圓盤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원반 형상 부분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 선회가 가능하다. 이 선회부(10)에 관한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42] 이 선회부(10)의 상방에는, 다른 장치류를 그립핑하여 고정하기 위한 그립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장치류의 일례로서 조작봉을 그립핑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립핑부(14)에는, 조작봉을 수용하여, 그립핑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봉을 그립핑하는 그립핑부(14)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43] 또한, 선회부(10)에는, 그립핑부(14)와 함께, 그립핑되어 고정된 장치류의 앙부각을 조절하기 위해, 앙부각 조절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앙부각 조절부(26)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44] 도 3은, 방향 변환구(2)에 대해, 선회부(10)의 선회 중심 위치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앵글재(50)와 끼움지지부(4) 간의 접촉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이점쇄선(二點鎖線)으로 둘러싼 부분을 추출하여 확대도로 나타내고 있다.
[0045]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향 변환구(2)의 선회부(10)에는, 하방을 향해 접시 나사(12)가 세워져 설치(立設)되어 있다. 이 접시 나사(12)가, 선회부(10)를 선회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된다.
[0046] 접시 나사(12)는, 수평측 끼움지지부(6)의 접촉판(6a)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6b)에 관통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시 나사(12)의 하방의 축단부인 머리부(12a)는 접촉판(6a)으로부터 근소하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지지부(4)를 앵글재(50)에 올려놓은 임시 고정 상태에서는, 접시 나사(12)의 머리부(12a)에 끼움지지부(4)나 선회부(10)의 중량이 가해질 뿐이며, 연직측 끼움지지부(8)에 의한 끼움지지력은 가해지지 않는다.
[0047] 따라서, 접시 나사(12)의 머리부(12a)에 발생되는, 접촉판(6a)이나 앵글재(50)에 대한 마찰력은, 선회부(10)의 선회에 큰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0048] 이에 반해, 연직측 끼움지지부(8)의 승강 클로부(8d)를 상승시켜서 앵글재(50)를 하단으로부터 끼움지지한 본고정 상태에서는, 접시 나사(12)의 머리부(12a)가 수평측 끼움지지부(6)의 접촉판(6a)과 앵글재(50)의 상면 간에 발생하는 강대한 압력으로 끼워지므로, 선회부(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선회 동작이 저지된다.
[0049]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향 변환구(2)에 의하면, 앵글재(50)에 대해 위에 놓여졌을 뿐인 임시 고정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장치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앵글재(50)에 대해 본고정되면, 자동적으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방향도 확정되므로, 선회부(10)의 고정을 위한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050] 여기서, 연직측 끼움지지부(8)는, 하방을 향해 배치된 너트(8c)를 돌림으로써 체결 조작이 가능하므로, 방향 변환구(2)의 앵글재(50)에 대한 부착을, 원격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탈락하지 않을 정도로 너트(8c)의 체결력을 조절하면 작업 도중이라 하더라도 방향 변환구(2)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으로서 접시 나사(12)를 이용하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이러한 접시 나사(12)의 선단의 일부를 단단히 조여 고정시킨 구성을 대신하여, 선회부(10)와 동일한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회전축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앵글재(50)와 접하는 부분의 형상에 대해서는, 접촉판(6a)의 관통 구멍(6a)을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인 축단부를 가지며, 본고정 시에 선회를 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부착할 장치의 중량이나 크기 등에 적합한 형상 또는 크기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0052] 도 4는, 선회부(10)에 설치된 그립핑부(14)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그립핑부(14)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립핑부(14)가 닫힌 상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0053] 그립핑부(14)는, 측방의 일단측에 설치된 힌지(2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립핑부(14)를 닫았을 때에는, 고정측 그립핑부(16)와 가동측 그립핑부(18)의 각각에 형성된 V자형의 홈(16a, 18a)끼리 대향(對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동측 그립핑부(18)의 측방의 타단측에는 회동 가능하게 나사축(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나사축(20)에 나사결합된 아이너트(eyenut)(22)를 고정측 그립핑부(16)에 걸어 체결함으로써 그립핑 상태가 고정된다.
[0054] 따라서, 원격 위치로부터 아이너트(22)를 걸어 가동측 그립핑부(18)를 개폐하고, 회전시켜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치류의 그립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5] <주상 서스펜션 장치>
도 5는, 선단에 후크(걸림고정구)(36)를 늘어뜨린 조작봉(30)을, 도 1에 나타낸 방향 변환구(2)를 이용하여 앵글재(50)에 부착시킨 주상 서스펜션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0056] 조작봉(30)은 FRP재에 의해 중공(中空) 상태로 성형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그립핑부(14)에 의해 중간 위치가 그립핑되어 앵글재(5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주상 서스펜션 장치(1)는, 내장 애자의 교환 공사 등에 있어서, 주상에서 공구나 교환될 내장 애자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장치이다.
[0057] 후크(36)는, 벨트(38)에 의해 매달려 있다. 이 벨트(38)는, 조작봉(3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 위치에 설치된 권취부(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권취부(32)에는, 선단에 걸림고정용 링(34a)을 가진 래칫(ratchet)식의 핸들(34)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링(34a)을 원격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벨트(38)를 감거나 풀어내는 조작이 가능하다.
[0058] 이 조작봉(30)은, 단부(端部)에 연장 설치용의 연결부(30a)를 갖고 있어, 상황에 따라 이어 붙여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향 변환구(2)는, 이러한 이어 붙임 작업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원격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덧붙임 작업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6에 나타낸다.
[0059] 도 6은,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조작봉(30)의 이어 붙임 작업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의 (a)는, 1개의 조작봉(30)에 의한 표준 사용 상태(이하, 「표준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연장 설치에 의해 높은 위치로 들어올려진 연장 설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0060] 삼상 교류의 3줄이 1세트(組)인 전선이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도 6의 (a)와 같은 1개의 조작봉(30)을 이용한 표준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가 없는 경우, 작업자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1)를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설치함으로써 다른 장치류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0061] 이에 반해, 3줄이 1세트인 전선이 높이 방향으로도 이격(離間)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도 큰 이동이 필요해지는 상황이 상정(想定)된다. 이러한 경우, 도 6의 (b)와 같이 조작봉(30)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30a)에, 연장 설치용의 조작봉(30)을 연결하여, 보다 높은 곳으로 후크(36)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0062]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핑부(14)의 가동측 그립핑부(18)를 개방하여, 드러난 고정측 그립핑부(16)의 V자형의 홈(16a)에 조작봉(30)을 대면서 상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송출(送出)한다. 그리고, 권취부(32)(도 5 참조) 등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근소하게 조작봉(30)을 들어올려 홈(16a)을 통과시킨다. 통과 후에는, 마찬가지로, 원활하게 홈(16a) 내부를 미끄러지게 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봉(3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동측 그립핑부(18)를 닫으면, 체결용의 나사축(20)이 체결 가능한 위치까지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려오므로, 체결 위치에 있는 아이너트(22)를 체결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립핑이 완료된다.
[0063]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향 변환구(2) 및, 이것을 이용한 주상 서스펜션 장치(1)에 의하면, 조작봉(30)의 이어 붙임 작업 및 높은 곳으로의 이동 작업을 모두 원격 조작에 의해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향 변환구(2)의 부품을 복수로 분해하는 일 없이 연장 설치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 중인 부품의 낙하 등의 우려도 없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64]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봉(30)을 연장 설치하면, 하방으로 연장된 조작봉(30)의 축 아래 부분을 조작함으로써, 방향 변환구(2)를 지지점(支點)으로 하여 앙부각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앙부각의 조절 기구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65] 도 7은, 앙부각 조절부(26)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의 (a)는, 앙부각 조절부(26)가 최하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는 최상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부(10)와 일체로 앙부각 조절부(26)가 설치되어 있다.
[006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아암(26a)에 의해 밀어올림 볼트(26b)가 나사식으로 진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밀어올림 볼트(26b)의 상단은, 선회부(10)의 그립핑부(14)의 하방에 형성된 긴 연결 구멍(26c)에 대해 연결 핀(26d)을 관통시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0067]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밀어올림 볼트(26b)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긴 연결 구멍(26c)의 내부를 연결 핀(26d)이 슬라이딩하여, 원활하게 그립핑부(14)의 앙부각을 조절할 수 있다.
[0068] 또한, 밀어올림 볼트(26b)의 하단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부터 회전 공구의 원격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0069] <애자 지지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 지지구(110)의 사시도이다.
[0070] 애자 지지구(110)는 조작봉(112)을 갖고 있다. 이 조작봉(112)의 일단에는 파지부(112a)를 갖고 있으며, 타단에는 애자 걸림결합부(114)를 갖고 있다. 이 애자 걸림결합부(114)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9를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0071] 파지부(112a)와 애자 걸림결합부(114)의 사이에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1)(도 5 참조)의 벨트(38)(선재)를 연결할 수 있는 선재 연결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재 연결부(122)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선재 연결부(122)의 상하에는, 빗방울의 흐름을 분단(分斷)시키기 위한 물막이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0072] 도 9는, 도 8의 애자 지지구(110)의 애자 걸림결합부(114)의 확대도이다.
[0073] 애자 걸림결합부(114)는 U자형으로 형성된 갈고리 형상부(116)와, 이 갈고리 형상부(116)의 개구를 막는 폐색부(閉塞部)(118)를 갖고 있다. 갈고리 형상부(116)에는, U자형 단부의 일측(一方)에 매달기용 구멍(1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 형상부(116)는, 매달기용 구멍(116a)측의 단부가 근소하게 들어올려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0074] 폐색부(118)는, 매달기용 구멍(116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관통 배치되어 있다. 폐색부(118)는, 갈고리 형상부(116)의 내측으로 출몰 가능한 폐색봉(118a)과, 원격 조작 가능한 링 형상 걸림결합부(118b)를 갖고 있다. 여기서는, 갈고리 형상부(116)를 개방한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폐색한 상태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갈고리 형상부(116)는 근소하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애자를 들어올렸을 때, 무게중심의 이동이 적어, 흔들림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0075] 갈고리 형상부(116)와 폐색부(118)(점선으로 표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원형 영역은, 작업 대상인 애자의 연결 부분(個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0076] 도 10은, 도 8의 애자 지지구(110)의 선재 연결부(122) 주변의 확대도이다.
[0077] 선재 연결부(122)는, 측방으로부터 조작봉(112)의 중간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선재 연결부(122)에도 매달기용 구멍(122b)이 형성되어 있다. 애자 걸림결합부(110)뿐만 아니라, 선재 연결부(122)에도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벨트(38)(도 5 참조)를 연결할 수 있다. U자형의 개구를 닫도록 설치된 체결부(122a)를 조이면, 선재 연결부(122)를 임의의 높이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0078] 따라서, 작업 환경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 용이하게 매달아 올려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선재 연결부(122)의 상하에, 빗방울의 흐름을 분단시키는 물막이부(124)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적어도, 선재 연결부(122)의 하방측에 물막이부(124)를 설치해 두면, 애자 걸림결합부(114)뿐만 아니라,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벨트(38)로부터 선재 연결부(122)로 전해지는 빗방울의 흐름도 분단시킬 수 있다.
[0079] 도 11은 도 8의 애자 지지구(11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0080] 주상 서스펜션 장치(1)에 애자 지지구(110)가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1의 전선(151)은, 삼상 교류로 송전되는 3줄 중 중선(中線)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어깨쇠(153)에 접속되는 나머지 2줄의 외선(外線)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0081]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선이 어깨쇠(153)의 높이(즉, 외선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배선되어 있는 경우, 높이 방향의 작업 범위가 커진다.
[0082] 따라서, 어깨쇠(153) 근방의 작업 대상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으로 충분한 가동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데 반해, 어깨쇠(153)보다 상방의 작업 대상에 대해서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1)만으로는 상측의 가동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다. 이 상측의 가동 영역을 보충하기 위해 애자 지지구(110)가 이용된다.
[0083]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벨트(38)의 하단에 설치된 후크(126)가, 애자 지지구(110)의 선재 연결부(122)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크(126)가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상한에 도달하면, 애자 지지구(110)의 선재 연결부(122)로부터 애자 걸림결합부(114)까지의 고저차(高低差; H)만큼 상한을 초과하여 애자 걸림결합부(114)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0084] <대(對)전신주 고정구>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사시도이다.
[0085] 애자를 교환할 때, 애자에 가해지고 있는 장력을 완화 또는 소실시키기 위해, 애자와 병렬로 분기로(이후에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함.)를 형성하고, 이 분기로 측으로 장력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기로를 전선과 전신주 사이에 형성하기 위한 기반(足場)으로서, 대(對)전신주 고정구(105)가 이용된다.
[0086]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는, 탄성변형 가능한 만곡부(106)를 갖고 있다. 이 만곡부(106)는, 내경이 전신주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106)는, 전신주의 둘레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볍게 밀어넣음으로써 단선(斷線) 변형을 수반하여, 전신주의 측방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0087] 만곡부(106)의 양단은, 외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가이드편(10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신주의 측방으로부터 밀어넣을 때, 전신주가 만곡부(106)의 중심을 향해 안내되므로, 원격 조작이더라도 장착이 용이하다.
[0088] 상기 만곡부(106)의 내측을 따르도록 끈 형상체(107)가 배치되어 있다. 끈 형상체(107)는, 4군데의 고정 밴드(108)에 의해 만곡부(10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끈 형상체(107)에는, 양단에 아이 스플라이스(eye splice)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 중, 일측(一方)의 단부는, 만곡부(106)의 일단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타측(他方)은 만곡부(10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만곡부(106)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끈 형상체(107)의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 부분은, 타측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연장설치부(107b)를 걸어 통과시키는 끈 걸이부(107a)이다. 끈 걸이부(107a)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89] 끈 걸이부(107a)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만곡부(106)의 가이드편(106a)에는, 파지부(109)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109)에는, 원격 동작의 선단 공구로서 이용되는 집게 등으로 파지하기 쉬운 오목부(109a)가 형성되어 있다.
[0090] 도 13은, 도 12의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0091]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 대상인 전신주(152)나 원격 조작용의 집게 등의 파지 공구(154)에 대해서는, 일부만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를 전신주(152)에 장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0092] 끈 형상체(107)의 일단의 끈 걸이부(107a)에 타단의 연장설치부(107b)를 걸어 통과시켜서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끈 형상체(107)가 단단히 조여져,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는 전신주(152)에 고정된다. 파지부(109)는, 일점쇄선(一點鎖線)으로 나타낸 축(A)의 방향을 중심으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만곡부(106)에 대한 파지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0093] 이와 같이 조절된 파지부(109)를 파지 공구(154) 등으로 파지하고, 전신주(152)의 측방으로부터 만곡부(106)를 걸도록 하여 장착할 수 있다.
[0094] 여기서, 만곡부(106)를 따라 배치된 끈 형상체(107)를 포함하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내경을, 전신주(152)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작아지도록 형성해 두면, 끈 형상체(107)를 단단히 조이지 않더라도, 만곡부(106)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는 안정된다. 또한, 만곡부(106)에 끈 형상체(107)를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108)에 마찰 계수가 큰 부재를 사용하면, 더욱 안정성이 향상된다.
[0095] 본 실시형태에 따른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는, 탄성 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전신주에 대한 임시 고정 상태에서 먼저 분기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하는 장선 장치 등에 의해 분기로 측에 발생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본고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본고정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096] <행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102)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0097] 행거(102)는, 1개의 연장설치봉(103)과 2개의 걸림고정구(104)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걸림고정구(104)는, 개폐 가능한 측방 부분으로부터 전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용되는 전선(151)의 위치를 일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0098] 연장설치봉(103)은, 장선 장치를 포함하는 분기로에 따른 길이의 부재가 선택된다. 연장설치봉(103)의 일단에는, 와이어 그립퍼를 포함하는 장선 장치가 직렬로 연결되는 연결부(10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장설치봉(103)의 타단에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끈 형상체(107)(도 12 참조)와 연결하는 연결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0099]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상술한 끈 형상체(107)의 아이 스플라이스 가공 부분을 걸 수 있는 후크 형상의 연결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0100] 도 15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 및 행거(102)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0101] 여기서는, 장선 장치(101), 행거(102)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를 직렬로 배치하여, 애자(150)의 근방에 분기로(100)를 형성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분기로(100)는, 그 경로를 모식적으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삼상 교류로 송전되는 3줄 중 외선 외에, 설명하지 않는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0102] 도 15에는, 애자(150) 근방의 전선(151)에 행거(102)가 매달아 설치되고, 전신주(151)에 대(對)전신주 고정구(105)가 임시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달아 설치된 행거(102)의 연장설치봉(103)의 일단의 연결부(103a)에는 장선 장치(101)가 연결되고, 타단의 연결부(103b)에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가 연결된다.
[0103] <공법>
여기서부터는, 애자 교환 작업에 있어서 파손된 애자를 철거할 때까지의 애자 분리 공법에 대해 공정마다 항목을 들어 설명한다.
[0104] (1) 장선 장치를 포함하는 분기로 측으로 장력을 전환하는 공정
이 공정은, 작업 대상이 되는 애자와 병렬이 되도록, 장선 장치를 포함하는 분기로를 전선과 전신주 사이에 형성하고, 이 형성된 분기로에 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애자측의 경로의 장력을 완화 또는 소실시키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공정은 이하의 (a)∼(e)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0105] (a) 전선에 장선 장치의 일단을 그립핑시키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할 필요가 생긴 작업 대상이 되는 애자(150)를 사이에 두고, 전신주(152)와 전선(151)을 연결하는 위치에 장선 장치(101)가 부착된다. 장선 장치(1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립퍼(101a)와 장선기(張線器)(101b)를 포함하며, 와이어 그립퍼(101a)로 하여금 그립핑시킴으로써 전선(151)에 고정된다.
[0106] (b) 전선에 장선 장치의 타단을 매다는 행거를 매달아 설치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그립퍼(101a)에 의한 그립핑 위치와 애자(150) 사이에, 행거(102)가 설치된다. 이 행거(102)는, 상술한 2개의 걸림고정구(104)에 측방으로부터 전선(151)을 수용하도록 하여 매달아 설치된다.
[0107] (c) 행거에 장선 장치의 타단을 접속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상기의 (b)의 공정에 의해 전선(151)에 매달아 설치된 행거(102)의 연장설치봉(103)의 일단의 연결부(103a)에 대해, 애자(150)가 배치되어 있는 경로와 병렬로 분기로(100)를 형성하도록 장선 장치(101)가 직렬로 연결된다.
[0108] 이 상태에서는 행거(102)의 타단의 연결부(103b)에는 아무것도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직, 장력을 발생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장선기(101b)의 양단은, 와이어 그립퍼(101a)와 행거(102)에 의해 매달려 있으므로, 작업자가 조작봉 등으로 유지하지 않더라도 안정되어 있다.
[0109] (d) 행거를, 전신주에 고정된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고정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행거(102)의 연장설치봉(103)의 연결부(103b)에 대해, 미리 전신주(152)에 장착시켜 둔 대(對)전신주 고정구(105)의 끈 형상체(107)가 연결된다.
[0110] 이에 의해, 분기로(100)는, 애자(150)가 배치되어 있는 경로에 대해 병렬 접속이 된다. 이 경우도, 장선 장치(101)를 접속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행거(102)에 대해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0111] (e) 장선 장치의 일단 및 타단의 간격을 수축시키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상기 (d)까지의 공정으로 전선(151)과 전신주(152) 사이에 분기로(100)가 형성된 상태에서, 장선 장치(101)의 장선기(101a)에 수축 동작을 시킨다. 이에 의해, 서서히, 애자(150)측의 장력이 상실되고, 분기로(100)측으로 장력이 변환된다.
[0112] 다음으로, 상기 (a)∼(e)를 포함하는 (1)의 공정에 이어지는, 애자측의 작업을 행하는 공정에 대해 도 11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113] (2) 애자를 애자 지지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상술한 (1)의 (e)의 공정에 이어, 애자(150)의 연결 부분에 애자 지지구(110)의 애자 걸림결합부(114)가 걸림결합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이에 의해, 장력이 상실된 애자(150)가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0114] (3) 애자 지지구에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매달아 올림용의 선재를 연결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자 지지구(110)의 선재 연결부(122)에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벨트(38)가 연결된다. 또한, 도 11에는 애자 걸림결합부(114)에 애자(150)가 걸림결합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벨트(38)를 선재 연결부(122)에 연결하기 전에 애자(150)를 애자 지지구(110)로 지지해도 되고, 또한, 동시여도 상관없다.
[0115] 애자 지지구(110)에 대한 벨트(38)의 접속 위치는, 애자(150)와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고저차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따라서, 애자(150)의 높이가 주상 서스펜션 장치(1)가 고정되어 있는 부재(이 경우는 어깨쇠(153))의 높이에 가까운 경우는, 애자 걸림결합부(114)의 매달기용 구멍(116a)이 선택된다.
[0116]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치인 경우, 주상 서스펜션 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어깨쇠(153)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애자(150)가 작업 대상이 되고 있으므로, 조작봉(112)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 선재 연결부(122)에 벨트(38)가 접속된다.
[0117] 이와 같이 접속 위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서스펜션 한계 높이를 초과하는 넓은 범위를 작업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18] (4) 애자 지지구로 지지하면서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매달아 올린 애자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1)의 벨트(38)에 접속되어 안정된 애자 지지구(110)를 지지하면서, 연결을 해제하는 공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애자(150)의 연결이 해제된다.
[0119] 예컨대, 볼 소켓형의 연결 구조를 갖는 경우는, 하방으로부터 잠금 스프링(lock spring)을 밀어올림으로써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작업에 있어서, 애자 지지구(110)로 지지하면, 장력을 상실한 애자(150)가 안정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0120] 또한, 애자 걸림결합부(114)의 폐색부(118)를 폐색 상태로 해 두면, 애자(150)가 상방으로 부상(浮上)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더욱 안정된다.
[0121]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법과는 달리, 주상 서스펜션 장치(1)로 직접 애자(150)를 매달아 올리는 경우는, 애자(150)의 연결을 해제할 때, 안정시키기 위해 파지 공구 등으로 억누를 필요가 있다. 한편, 본 공법에 의하면, 애자 지지구(110)가 파지 공구 대신이 된다.
[0122] 또한, 애자(150)의 연결을 해제하면, 전선(151)과 전신주(152) 간의 경로는 끊어지므로, 전선(151)의 자유단은 불안정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공법에서는, 상기 공정(1)의 공정(b)의 단계에서, 전선(151)의 자유단은 행거(102)의 걸림고정구(104)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123] 즉, 행거(102)는, 애자(150)측으로부터 분기로(100)측으로 장력을 전환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애자(150)측의 장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매달리므로, 장선 장치(101)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105)를 접속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반대로, 애자(150)측으로부터 분기로(100)측으로 장력이 전환된 후에는, 장력이 소실된 전선(151)을 행거(102)측에 안정적으로 매달 수가 있다. 따라서, 분리 후, 새로운 애자(150)를 조립해 넣을 때, 작업 위치의 근방에 전선(151)의 자유단을 배치해 둘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전선(151)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0124] (5) 연결이 해제된 애자를 애자 지지구로 지지하면서,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힘으로 들어 올려, 애자를 이격(離間)시키는 공정
이 공정에서는, 작업원이 지지하는 애자 지지구(110)를 통해, 주상 서스펜션 장치(1)로 애자(150)가 들어올려져 분리된다. 하중은 주상 서스펜션 장치(1)가 떠맡게 되므로, 작업원의 부담은 경감된다.
[0125] 상기 (1)∼(5)의 공정에 의해, 문제가 생긴 애자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새로운 애자(150)를 조립해 넣으려면, 상기 공정을 반대로 더듬어 가면 된다.
[012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포함된다.
[0127]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끼움지지부(4)를 구성하는 수평측 끼움지지부(6)를, 수평 가이드 구멍(6c)이 형성된 접촉판(6a)에 대해 나비 나사(6e)에 의해 걸림고정 클로(6f)를 부착시킨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앵글재(50) 등의 어깨쇠의 수평 방향의 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연직측 끼움지지부(8)와 마찬가지로, 끼움 지지 방향으로 나사 이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128]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끼움지지부(4)를 구성하는 연직측 끼움지지부(8)로서, 나사식의 클램프를 채용한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원격 조작에 의해 앵글재(50) 등의 어깨쇠를 연직 방향으로 끼움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른 형식의 클램프여도 상관없다.
[0129]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애자 지지구의 조작봉에 설치된 선재 연결부에,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선재와 연결하기 위한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탈부착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매달기용 구멍과 후크 이외의 연결 구조여도 상관없다.
[0130]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애자 걸림결합부의 개구를 막는 폐색부가,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관통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매달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관통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적어도, 애자 걸림결합부에 걸림결합한 애자의 연결 부분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폐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애자 걸림결합부의 U자형의 단부끼리를 완전하게 닫는 구조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0131]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애자 걸림결합부의 개구를 막는 폐색부는, 관통 배치된 폐색봉을 길이 방향으로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개폐하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132]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있어서, 끈 형상체를 걸어 통과시키는 끈 걸이부가 환형(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장설치부측을 걸 수 있는 구성이라면, 후크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0133]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있어서, 끈 형상체를 걸어 통과시키는 끈 걸이부가 파지부와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일측이 만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타측이 만곡부의 타단의 근방에 설치되는 구성이라면, 파지부와 반대측에 끈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134]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있어서, 만곡부의 내벽면을 따라 끈 형상체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만곡부의 외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135]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있어서, 1개의 끈 형상체가 만곡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만곡부의 일단에 끈 걸이부를 연결하고, 타단에 끈 형상의 연장설치부를 연결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마찬가지로, 만곡부의 탄성력으로 전신주에 장착함으로써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연장설치부를 끈 걸이부에 걸어 통과시킨 후, 장선 장치의 장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0136] 본 발명의 방향 변환구는, 전신주의 어깨쇠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립핑부에 의해 그립핑한 장치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으므로, 주상에서 어깨쇠를 지지점으로 한 이동을 수반하는 작업에 유용하다. 특히,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조립해 넣음으로써, 애자나 공구 등의 중량물을 절약된 공간에서 매달아 올리거나 배치를 변경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0137] 또한, 본 발명의 애자 분리 공법은, 애자 지지구를 통해 애자가 매달아 올려지므로,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높이 방향으로의 가동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삼상 교류의 3개의 송전선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의 애자 교환에 유용하다.
1: 주상 서스펜션 장치
2: 방향 변환구
4: 끼움지지부
6: 수평측 끼움지지부
6a: 접촉판
6b: 관통 구멍
6c: 수평 가이드 구멍
6d: 가이드 핀
6e: 나비 나사
6f: 걸림고정 클로
8: 연직측 끼움지지부
8a: 가이드 판
8b: 연직 가이드 구멍
8c: 너트
8d: 승강 클로부
8e: 나사축
10: 선회부
12: 접시 나사(회전축)
12a: 머리부(축단부)
14: 그립핑부
16: 고정측 그립핑부
16a: 홈
18: 가동측 그립핑부
18a: 홈
20: 나사축
22: 아이너트
24: 힌지
26: 앙부각 조절부
26a: 아암
26b: 밀어올림 볼트
26c: 긴 연결 구멍
26d: 연결 핀
30: 조작봉
30a: 연결부
32: 권취부
34: 핸들
34a: 링
36: 후크(걸림고정구)
38: 벨트(선재)
50: 앵글재(어깨쇠)
100: 분기로
101: 장선 장치
101a: 와이어 그립퍼
101b: 장선기
102: 행거
103: 연장설치봉
103a, 103b: 연결부
104: 걸림고정구
105: 대(對)전신주 고정구
106: 만곡부
106a: 가이드편
107: 끈 형상체
107a: 끈 걸이부
107b: 연장설치부
108: 고정 밴드
109: 파지부
109a: 오목부
110: 애자 지지구
112: 조작봉
112a: 파지부
114: 애자 걸림결합부
116: 갈고리 형상부
116a: 매달기용 구멍
118: 폐색부
118a: 폐색봉
118b: 링 형상 걸림결합부
120: 파지부
122: 선재 연결부
122a: 체결부
122b: 매달기용 구멍
124: 물막이부
126: 후크
150: 애자(내장 애자)
151: 전선(가공 전선)
152: 전신주
153: 어깨쇠
154: 파지 공구
200: 장력 완화 장치
201: 장력 지지 로드
202: 장력 조작 부재
203: 리프팅 툴
220: 어깨쇠
221: 앵커 클램프
222: 고압선
223: 내장 애자
A: 축
H: 고저차

Claims (9)

  1. 장선(張線) 장치 및 주상(柱上)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하여 내장(耐張)용 애자를 가공(架空) 전선으로부터 분리하는 애자 분리 공법으로서,
    상기 애자와 병렬로 형성된, 상기 장선 장치를 포함하는 분기로 측으로 장력을 전환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를 애자 지지구에 의해 하방(下方)으로부터 지지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 지지구에 상기 주상 서스펜션 장치의 매달아 올림용의 선재(線條材)를 연결하는 공정과,
    상기 애자 지지구로 지지하면서 상기 주상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매달아 올린 상기 애자의 연결을 해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분리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로로 장력을 전환하는 공정은,
    상기 가공 전선을 상기 장선 장치의 일단에서 그립핑(gripping)시키는 공정과,
    상기 가공 전선에 상기 장선 장치의 타단(他端)을 매다는 행거를 매달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행거에 상기 장선 장치의 타단을 접속하는 공정과,
    상기 행거를, 전신주에 고정된 대(對)전신주 고정구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장선 장치의 일단 및 타단의 간격을 수축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분리 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를 방향 변환이 가능하게 어깨쇠에 부착하는 방향 변환구로서,
    상기 어깨쇠의 상방(上方)에 접촉하는 영역에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쇠를 끼움지지(挾持)하는 끼움지지부와,
    상기 끼움지지부 상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보다 큰 축단부(軸端部)를 갖는 동시에, 상기 축단부를 상기 관통 구멍의 하방으로부터 근소하게 돌출시키도록,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진 선회부와,
    상기 선회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장치를 그립핑 가능한 그립핑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변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부의 앙부각을 조절 가능한 앙부각 조절부를 상기 선회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변환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방향 변환구와,
    상기 방향 변환구의 상기 그립핑부에 그립핑되는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선단(先端)으로부터 늘어뜨려져 작업 대상물을 걸림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고정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6. 전신주의 상방에 설치되어 선재로 작업 대상물을 매달아 올리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애자 지지구로서,
    일단에 파지부(把持部)를 갖는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애자의 연결 부분과 걸림결합 가능한 애자 걸림결합부와,
    상기 애자 걸림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재와 연결 가능한 선재 연결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지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연결부는, 상기 애자 걸림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지지구.
  8. 제2항에 기재된 애자 분리 공법에서 이용되는, 가공 전선을 잡아당기는 장선 장치를 전신주에 고정하기 위한 대(對)전신주 고정구로서,
    상기 전신주의 외경(外徑)과 동일한 정도의 내경(內徑)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전신주의 둘레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는 길이의 탄성재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끈 형상체와,
    상기 만곡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끈 형상체를 걸어 통과시키는 끈 걸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對)전신주 고정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끈 형상체와 상기 끈 걸이부는, 상기 만곡부를 따른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對)전신주 고정구.
KR1020207020607A 2017-12-18 2018-12-17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KR102625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2141 2017-12-18
JP2017242141 2017-12-18
PCT/JP2018/046314 WO2019124299A1 (ja) 2017-12-18 2018-12-17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方向変換具、柱上吊上装置、碍子支持具及び対電柱固定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566A true KR20200099566A (ko) 2020-08-24
KR102625808B1 KR102625808B1 (ko) 2024-01-15

Family

ID=6699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607A KR102625808B1 (ko) 2017-12-18 2018-12-17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89791B2 (ko)
KR (1) KR102625808B1 (ko)
CN (1) CN111492548B (ko)
WO (1) WO2019124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110B1 (ko) * 2018-04-26 2023-06-29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CN110601073B (zh) * 2019-10-08 2020-09-29 温州怡沃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绝缘子更换安装设备
CN112342038B (zh) * 2020-10-13 2021-11-26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焦炉炉头砌筑用垂直度和标高控制装置及使用方法
CN112863787B (zh) * 2021-01-09 2022-10-28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电力绝缘子制造成型工艺
CN116780403B (zh) * 2023-08-24 2023-11-03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超高压公司 一种带电更换接地极绝缘子的绝缘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424A (ja) * 2006-12-08 2008-06-26 Orino Densetsu Kk 碍子連の取替方法
KR20150087780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JP2016123152A (ja) * 2014-12-24 2016-07-07 中国電力株式会社 碍子支持ユニット、及び碍子支持装置
JP2016149828A (ja) 2015-02-10 2016-08-18 中国電力株式会社 耐張碍子の吊り具及び耐張碍子交換方法
JP2017103936A (ja) * 2015-12-02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碍子連吊上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04241Y (zh) * 1999-11-12 2000-11-01 湖南省长沙电业局 一种可更换耐张整串绝缘子的装置
JP4064935B2 (ja) * 2004-03-04 2008-03-19 株式会社北弘電社 仮設アーム及びこの仮設アームを用いた送電線鉄塔における腕金の組立工法
JP4699982B2 (ja) * 2006-12-13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プログラム
CN102496888A (zh) * 2011-12-09 2012-06-13 河南省电力公司郑州供电公司 带电更换直线杆针式绝缘子的绝缘吊架装置
CN103746316B (zh) * 2014-01-02 2016-03-02 国家电网公司 一种带电更换直线转角塔绝缘子串的装置及方法
CN105914655A (zh) * 2016-07-04 2016-08-3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带电更换棒式绝缘子的辅助工具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424A (ja) * 2006-12-08 2008-06-26 Orino Densetsu Kk 碍子連の取替方法
KR20150087780A (ko) * 2014-01-20 2015-07-30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JP2016123152A (ja) * 2014-12-24 2016-07-07 中国電力株式会社 碍子支持ユニット、及び碍子支持装置
JP2016149828A (ja) 2015-02-10 2016-08-18 中国電力株式会社 耐張碍子の吊り具及び耐張碍子交換方法
JP2017103936A (ja) * 2015-12-02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碍子連吊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808B1 (ko) 2024-01-15
JPWO2019124299A1 (ja) 2020-12-10
WO2019124299A1 (ja) 2019-06-27
CN111492548B (zh) 2021-07-13
JP7089791B2 (ja) 2022-06-23
CN111492548A (zh)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9566A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이용되는 방향 변환구,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및 대(對)전신주 고정구
KR102550110B1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JP4740911B2 (ja) 鳥害防止具
US9199830B2 (en) Hoi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8016984A (zh) 一种机械对接建筑管路吊装固定器
JP5571041B2 (ja) 揚重装置
JP4662881B2 (ja) 絶縁操作棒支持構造
KR102327599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US20090231828A1 (en) Enclosure securing device
JP5277323B2 (ja) 屋外架空ケーブルへの装着品固定装置
US11843229B2 (en) Line lifter
KR10140158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JP2003189433A (ja) 配電線工事施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工具
CN207632338U (zh) 一种机械对接建筑管路吊装固定器
CN212063260U (zh) 一种电缆铺设用固定夹持装置
JP6005203B1 (ja) ケーブル吊りベルト
JP7389435B2 (ja) 碍子交換補助具
JP2016174491A (ja) 防護用部材支持装置および防護用部材の設置方法
KR20150040597A (ko) 안전 후크
JP2020137484A (ja) 鳥害防止具
KR102316193B1 (ko) 가공배전라인 지지를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KR102316195B1 (ko) 전선간의 충돌 방지 기능을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JP6049471B2 (ja) 把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耐張装置交換工具並びにこの耐張装置交換工具を用いた耐張装置の取り外し方法及び導体の移線方法
JP2014072965A (ja) 荷吊り紐案内装置
CN112993862B (zh) 一种用于电力施工的紧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