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565A -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565A
KR20130039565A KR1020110104216A KR20110104216A KR20130039565A KR 20130039565 A KR20130039565 A KR 20130039565A KR 1020110104216 A KR1020110104216 A KR 1020110104216A KR 20110104216 A KR20110104216 A KR 20110104216A KR 20130039565 A KR20130039565 A KR 20130039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istribution line
branch
connection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철 허
태석 양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1010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565A/ko
Publication of KR2013003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는,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굴곡진 안내홈(14)과, 이 안내홈(14) 에 대응하여 애자연결 랙크(15)가 결합되게 하는 개구부(16)를 갖춘 랙크연결부재(12)와; 이 랙크연결부재(12)를 감싸 결합하도록 채널형상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볼트(6a, 6'a)를 수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하 연결선의 꼬임이나 혼촉을 방지하고, 전주의 미관을 개선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배전선로를 분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Rack for branching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하 연결선의 꼬임이나 혼촉을 방지하고, 전주의 미관을 개선하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배전선로의 분기작업을 할 수 있는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저압 배전선로의 가선방식은 완철을 이용한 수평가선방식과, 랙크를 이용한 수직가선방식이 있다.
수직가선 방식을 표준공법으로 적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랙크와 저압애자 및 암타이 밴드를 이용하여 가선작업을 시행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4선식 저압 배전선로를 분기하는 경우, 전주(1)에 설치된 기준 랙크(2)에서 추가 설치되는 분기선로(3)(전선각도가 30도 이상)나 인입선을 구성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기준랙크(2)의 아래 방향으로 중첩하여 추가로 복수의 랙크(4)을 설치하고, 이에 애자(5) 및 암타이 밴드(6)를 매개로 분기선로(3)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인하 연결선(7)이 기준선로(8)로부터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시공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4선식 저압배전선로에서 신규로 수직가선 방식을 사용하여 분기선로를 시공하는 경우, 인하 연결선의 꼬임 및 혼촉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즉, 전주(1)에 설치된 기준 랙크(2')에다 신규로 4선의 분기선로(3')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준 랙크(2')의 하단에서 일정거리(통상적으로 10 cm)만큼 이격하여 랙크(4')을 설치하고, 이에 4개의 애자(5') 및 암타이 밴드(6')를 각각 설치하여 차례로 인하 연결선(7')을 매개로 기준선로(8')로부터 분기선로(3')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전선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인하 연결선(7')이 늘어지고, 또 4개의 인하 연결선(7')들이 서로 꼬이거나 혼촉하게되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고, 또 지상고가 미달하게 되면 전주를 교체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기준선로(8, 8')로부터 분기선로(3)로 연결되는 인하 연결선(7,7')이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시공되므로, 인하 연결선(7, 7')들이 서로 꼬이거나 혼촉하게되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고, 또 지상고가 미달하는 경우에는 전주를 교체해야하는 경우도 있어, 작업효율 및 비용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하 연결선의 꼬임이나 혼촉을 방지하고, 전주의 미관을 개선하며,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분기선로를 설치하여, 분기작업의 안정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는,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의 체결볼트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굴곡진 안내홈과, 이 안내홈에 대응하여 애자연결 랙크가 결합되게 하는 개구부를 갖춘 랙크연결부재와; 이 랙크연결부재를 감싸 결합하도록 채널형상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볼트를 수납하여 지지하도록 된 복수의 체결홈을 갖춘 안전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자연결 랙크는 힌지부를 매개로 개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랙크연결부재와 안전덮개부재는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볼트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는, 전주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의 체결볼트에 안전덮개부재와 랙크연결부재를 결합하면 되므로, 기준선로와 인하연결선 및 분기선로가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어 이들이 서로 꼬이거나 혼촉할 가능성이 적고, 또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를 설치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소요공간이 필요 없으므로 지상고가 미달할 염려가 없으며, 각 상별로 애자연결랙크의 방향조정이 가능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분기작업이 간단해져서 작업효율 및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내용은 아래의 첨부도면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3상4선식 저압배전선로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3상4선식 저압배전선로에서 신규 분기작업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도로서, 암타이 밴드 및 인류애자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상4선식 저압배전선로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와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를 도시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는 3상4선식 분기선로의 분기작업에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는, 전주 (1)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 (6a, 6'a)에 결합하여 설치하도록 되고, 도면에는 설명의 간략화 및 편의를 위하여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에 1개의 암타이 밴드(6, 6')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는,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를 수용하면서 애자(5, 5')를 결합하도록 된 랙크연결부재(12)와, 이 랙크연결부재(12)를 감싸 결합하도록 채널형상 단면을 갖는 안전덮개부재(13)로 구성된다.
상기 랙크연결부재(12)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안내하면서 이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굴곡진 안내홈(14)이 한 쪽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안내홈(14)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나, 이 안내홈(14)의 개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기선(3, 3')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게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랙크연결부재(12)는, 안내홈(14)에 대응하여 애자(5, 5')를 결합하기 위한 애자연결 랙크(15)를 수용하여 일정거리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부 (16)가 다른 쪽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 상기 개구부(16)에 인접하여 상기 애자연결 랙크(15)를 핀(17)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멍(18)을 갖춘 힌지부(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크연결부재(12)는, 안전덮개부재(13)와 볼트(20)로써 서로 조립하도록 복수의 볼트구멍(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볼트구멍(21)이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한편, 상기 안전덮개부재(13)는, 예컨대 플레이트를 절곡한 채널로서, 랙크연결부재(12)를 수납하여 감싸 결합하도록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안전덮개부재(13)에는 상기 랙크연결부재(12)의 볼트구멍(21)에 대응하여 볼트구멍(22)이 형성된다.
또한 안전덮개부재(13)는, 그 한쪽 측면을 따라 전주(1)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 수용하는 복수의 절개홈(23)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23)은, 상기 랙크연결부재(12)에 형성된 복수의 굴곡진 안내홈(14)과 대응하게 되고, 이 홈(14, 23)들에 의하여 체결볼트(6a, 6'a)가 구속되어 견고하게 고정 지지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전주(1)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를 안전덮개부재(13)의 절개홈(23)에 삽입되게 결합하고, 이어 랙크연결부재(12)를 그 안내홈(14)에 체결볼트(6a, 6'a)가 걸려지게 한다음, 이 안내홈(14)의 말단부(14a)까지 밀어서 안내되게 하면, 체결볼트(6a, 6'a)는 랙크연결부재(12)의 안내홈(14)과 안전덮개부재(13)의 체결홈(23)에 사이에 구속되어 견고하게 고정지지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체결볼트(6a, 6'a)에 랙크연결부재(12)와 안전덮개부재(13)를 차례로 체결한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구멍(21, 22)들을 맞추어 볼트(21)를 체결하면, 랙크연결부재(12)와 안전덮개부재(13)가 서로 결합된다.
다음, 랙크연결부재(12)의 힌지부(19)에 애자(5, 5')가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애자연결랙크(15)를 핀(17)을 매개로 랙크연결부재(12)의 개구부(16)에 삽입하여 힌지결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가 전주(1)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인하 연결선(7, 7')을 사용하여 애자(5, 5')를 매개로 차례로 분기선로(3, 3')를 만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는, 전주(1)에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에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기준선로(8, 8')와 인하연결선(7, 7') 및 분기선로(3, 3')가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어 이들이 서로 꼬이거나 혼촉할 가능성이 없어지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분기작업이 간단하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를 전주(1)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로 추가적인 소요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지상고가 미달할 염려가 없어, 별도의 전주를 설치해야했던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애자(5, 5')가 애자연결랙크(15)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상별로 애자연결랙크(15)를 매개로한 분기선로(3, 3')의 방향조정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분기선로(3, 3')로부터 애자연결랙크(15)에 가해지는 장력이 항상 전주(1)의 중심을 향하게 되면서 애자연결랙크(15)에 비틀림에 의한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는 3상4선식 저압배전선로에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10)를 사용하여 4개의 분기선로(3, 3')의 시공작업을 설명하였으나, 이를 2개의 분기선로를 시공하는 저압배전선로에도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랙크연결부재와 안전덮개부재의 구성은, 전주(1)에 기설치된 2개의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 (6a, 6'a)에 각각 결합하도록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된 2개의 안내홈을 갖는 랙크연결부재와 체결홈(23)을 갖는 안전덮개부재(13)를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된다.
10: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12: 랙크연결부재
13: 안전덮개부재 14: 안내홈
15: 애자연결랙크 16: 개구부
19: 힌지부 23: 체결홈

Claims (3)

  1. 기설치된 암타이 밴드(6, 6')의 체결볼트(6a, 6'a)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굴곡진 안내홈(14)과, 이 안내홈(14) 에 대응하여 애자연결 랙크(15)가 결합되게 하는 개구부(16)를 갖춘 랙크연결부재(12)와;
    이 랙크연결부재(12)를 감싸 결합하도록 채널형상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볼트(6a, 6'a)를 수납하여 지지하도록 된 복수의 체결홈(23)을 갖춘 안전덮개부재(13)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연결 랙크(15)는 힌지부(19)를 매개로 개구부(1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크연결부재(12)와 안전덮개부재(13)는 서로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 복수의 볼트구멍(21, 22)에 볼트(20)를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1020110104216A 2011-10-12 2011-10-12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20130039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16A KR20130039565A (ko) 2011-10-12 2011-10-12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16A KR20130039565A (ko) 2011-10-12 2011-10-12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565A true KR20130039565A (ko) 2013-04-22

Family

ID=4843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216A KR20130039565A (ko) 2011-10-12 2011-10-12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5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4418A (ja) * 2016-10-14 2018-04-19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CN111525448A (zh) * 2020-05-07 2020-08-11 北京国电富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线夹智能安装工具及其智能装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4418A (ja) * 2016-10-14 2018-04-19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CN111525448A (zh) * 2020-05-07 2020-08-11 北京国电富通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线夹智能安装工具及其智能装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99B1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US11128113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esh cable trays and mesh cable tray section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101112734B1 (ko) 각도 조절용 편출 인류완철
KR20200079659A (ko) 배전용 저압전선 일체형 절연인장 그립
CN106374410A (zh) 一种电缆固线器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CN103208757B (zh) 绝缘导线架线器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366896B1 (ko)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안착장치
KR20130031666A (ko) 탄성 클립을 이용한 볼트 체결형 접지 클램프
CN105024184A (zh) 一种分裂导线t接转换金具及其线夹本体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100843162B1 (ko) 전선케이블 경완금 연결장치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120005832U (ko) 전선 스페이서
KR20200054023A (ko) 지선 및 랙크 체결 통합형 밴드
JP2017038468A (ja) 分岐側電線支持方法
KR200219450Y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20150035237A (ko) 지선이 설치된 전주
KR100589278B1 (ko) 걸이형 스트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