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450Y1 -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 Google Patents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450Y1
KR200219450Y1 KR2020000029770U KR20000029770U KR200219450Y1 KR 200219450 Y1 KR200219450 Y1 KR 200219450Y1 KR 2020000029770 U KR2020000029770 U KR 2020000029770U KR 20000029770 U KR20000029770 U KR 20000029770U KR 200219450 Y1 KR200219450 Y1 KR 200219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and
pole
fastening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29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450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에 관해 제시한다. 본 고안은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몸체에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래크 고정볼트가 적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밴드와,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으르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몸체에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크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제2밴드 및 제1,2 밴드를 전주의 외주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양자의 대응하는 연결탭들을 각각 체결하는 두 밴드 고정볼트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하나의 래크밴드만으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어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a arm-tie rack band for electric pole}
본 고안은 가공선로를 지지하는 래크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암타이 래크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사업소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래크를 이용하여 전선을 분기할 경우 한 개의 래크밴드로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도록 된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전주에 2선, 3선 또는 4선 등으로 배선되는 가공선로를 가설하기 위해서 전주에 래크밴드를 설치하여 이에 래크를 볼트로 체결하고, 이 래크에 애자를 설치한 뒤 애자에 전선을 연결하고 있다.
한편, 배전사업소 등에서는 전선이 여러 방향으로 분기되는데, 종래에는 래크밴드가 1개의 래크만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주(P) 또는 분기주에서 메인 래크(2)의 애자(3)로부터 전선(W)을 분기할 경우 별도의 서브 래크밴드(4) 2개를 메인 래크밴드(1)와 적정간격 이격되도록 전주(P)에 각각 설치하여 이들에 서브 래크(5)를 각각 볼트로 체결한 뒤, 각 서브 래크(5)에 애자(6)를 설치하여 전선(W)을 분기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경우 각도주(P)에 설치되는 설비가 상당히 복잡하여도시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고, 전선(W)의 분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전선(W)의 분기를 위해 별도의 서브 래크밴드(4)들이 반드시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기 설치된 전주(P)에서 전선(W)을 분기하기 위해 서브 래크(5)를 전주(P)에 설치할 경우, 서브 래크(5)의 설치로 인하여 전선(W)의 지상고(地上高)가 미달되고, 이에 따라 전주(P)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고비용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래크를 이용하여 전선을 분기할 때 단일 몸체로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선의 분기에 따른 지상고 미달이 발생되지 않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래크밴드에 의해 전주에 래크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래크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래크밴드에 의해 전주에 래크를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1밴드 12: (제1밴드의) 몸체
13, 14: (제1밴드의) 연결탭 16, 17: (제1밴드의) 래크 고정볼트
18: 제2밴드 19: (제2밴드의) 몸체
20, 21: (제2밴드의) 연결탭 22: (제2밴드의) 래크 고정볼트
24: 밴드 고정볼트 25, 26: 래크
P: 전주 W: 전선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는,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몸체에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래크 고정볼트가 적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밴드;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으르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몸체에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크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제2밴드; 및 제1,2 밴드를 전주의 외주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양자의 대응하는 연결탭들을 각각 체결하는 두 밴드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하나의 래크밴드만으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고안에 의한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10)는 예컨대, 각도주(P) 또는 분기주 등에서 전선(W)을 여러 방향으로 분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환형을 이루는 원호형의 제1 및 제2밴드(11)(18)로 이루어진다.
제1밴드(11)는 장착할 전주(P)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12)의 양 단부에 제2밴드(18)와 체결하기 위한 연결탭(13)이 각각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외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제1밴드(11)의 몸체(12)는 두 연결탭(13)(14)이 이루는 각이 180°를 초과하도록 구성되어, 래크(25)를 체결하기 위한 제1, 2의 두 래크 고정볼트(16)(17)를 90° 간격으로 갖는다. 즉, 그 한쪽의 연결탭(13)과 두 래크 고정볼트(16)(17)는 각각 90°간격으로 배치되고, 다른쪽 연결탭(14)과 하나의 제2 래크 고정볼트(17)는 예를 들어 약 45°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 래크 고정볼트(16)(17)들이 각각 결합되는 부분의 몸체(12) 내주에는 제1밴드(11)가 전주(P)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각 래크 고정볼트(16)(17)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두 연결탭(13)(14)과 몸체(12)의 양 단부 사이에는 바람직하기로 연결탭(13)(14)의 강도보강을 위해 비이드(15)가 각각 형성된다.
제2밴드(18) 역시 전주(P)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19)의 양 단부에 제1밴드(11)와 체결하기 위한 두 연결탭(20)(21)이 각각 반경방향을 향하도록 외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 몸체(19)는 두 연결탭(20)21)이 이루는 각이 180°미만으로 구성되어, 래크(26)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제3 래크 고정볼트(22)를 갖는다. 이러한 제2밴드(18)의 제3 래크 고정볼트(22)는 한쪽의 연결탭(20)과는 90°간격으로 다른쪽 연결탭(21)과는 약 45°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제1밴드(11)와 제2밴드(18)의 래크 고정볼트(16)(17)(22)들은 90°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3 래크 고정볼트(22)가 결합되는 부분의 제2밴드(18) 몸체(19)에도 그 머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9a)이 형성되고, 그 연결탭(20)(21)과 몸체(19)의 양 단부 사이에는 강도보강용 비이드(23)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제1 및 제2밴드(11)(18)는 전주(P)의 외주에 대향되게 위치된 뒤, 그 양 단부에 구비된 연결탭(13,14)(20)(21)들을 밴드 고정볼트(24)로 체결함으로써 전주(P)에 설치 고정된다.
나머지 부호 27, 28은 메인 래크(25)와 서브 래크(26)의 애자들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10)는, 단일몸체에 3개의 래크(25, 26)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각도주(P)로부터 전선(W)을 분기할 때 종래와 같이 별도의 래크밴드를 전주(P)에 설치할 필요없이 분기용 서브 래크(26)를 메인 래크(25)가 장착되어 있는 래크밴드(10)에 직접 장착하여 분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래크밴드(10)는 복수의 래크 고정볼트(16)(17)(22)를 90°간격으로 구비하는 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선의 전선(W)을 분기할 경우 어느 한 래크 고정볼트(16 또는 17 또는 22)에 장착된 메인 래크(25)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두 래크밴드(10)의 나머지 래크 고정볼트(16 또는 17 또는 22)에 서브 래크(26)를 각각 장착하여 분기시킴으로써 별도의 서브 래크밴드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전선(W)을 동일한 높이로 분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전선(W)을 적어도 2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각도주나 분기주의 배전선로가 간소화 됨은 물론 전선(W)의 분기작업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 설치된 전주(P)에서 전선(W)을 분기하더라도 전선(W)의 지상고를 충분한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전사업소 등의 각도주 또는 분기주에서 전선을 분기할 때 별도의 래크밴드 없이 하나의 래크밴드만으로 전선을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분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선 분기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충분한 지상고 확보, 배전선로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 등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공선로의 전선을 지지하는 래크를 전주에 고정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암타이 래크밴드로서,
    상기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상기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래크 고정볼트가 적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1밴드;
    상기 전주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으르 갖는 원호형 몸체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탭이 외향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상기 래크를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크 고정볼트가 설치되는 제2밴드; 및
    상기 제1,2 밴드를 상기 전주의 외주에 대향되게 위치시킨 뒤 양자의 대응하는 연결탭들을 각각 체결하는 두 밴드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2020000029770U 2000-10-25 2000-10-25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200219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70U KR200219450Y1 (ko) 2000-10-25 2000-10-25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70U KR200219450Y1 (ko) 2000-10-25 2000-10-25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450Y1 true KR200219450Y1 (ko) 2001-04-02

Family

ID=7305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70U KR200219450Y1 (ko) 2000-10-25 2000-10-25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4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194A (ko) * 2001-12-14 2003-06-25 한국전력공사 저압배전선로용 래크밴드의 저압선 연결 구조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KR102153693B1 (ko) * 2020-04-09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KR102153697B1 (ko) * 2020-03-31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지지고정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194A (ko) * 2001-12-14 2003-06-25 한국전력공사 저압배전선로용 래크밴드의 저압선 연결 구조
KR102153697B1 (ko) * 2020-03-31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지지고정기구
KR102153693B1 (ko) * 2020-04-09 2020-09-09 주식회사 웅부기술단 가공배전선 안전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KR102153677B1 (ko) * 2020-04-22 2020-09-08 권순매 가공배전라인용 안전성 향상 분기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187B2 (en) Hanger assembly for mounting multiple cables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0219450Y1 (ko) 전주용 암타이 래크밴드
KR101124468B1 (ko) 랙크밴드
CN105048366A (zh) 一种固定线夹改进结构
KR20210158093A (ko) 2단 저압선로 d형 랙크 구조체
US6127626A (en) Method for installing a telecommunication cable on a supporting cable and arrangement produced thereby
KR200147606Y1 (ko) 수직 장주용 금구의 설치구조
KR101723379B1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KR200262015Y1 (ko) 전주의 랙크 고정용 밴드
CN105811315A (zh) 110kv变电站电缆架设夹具
KR100589278B1 (ko) 걸이형 스트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 시공 방법
KR200464564Y1 (ko) Y형 경완철
KR200337643Y1 (ko) 케이블 크램프
KR0131960Y1 (ko) 케이블 가설용 전주고정밴드
CN214798746U (zh) 一种护线套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101093034B1 (ko) 랙크 지지대
JP2912907B1 (ja) 配電線の空中分岐方法および配電線の空中分岐構造
SU1677758A1 (ru)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зажим дл проводов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20030049194A (ko) 저압배전선로용 래크밴드의 저압선 연결 구조
US20230178974A1 (en) Mid-span tap connector
KR200340618Y1 (ko) 입상케이블 보호관
KR200269500Y1 (ko) 유선방송 케이블 분배장치 고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