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034B1 - 랙크 지지대 - Google Patents

랙크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034B1
KR101093034B1 KR1020100107982A KR20100107982A KR101093034B1 KR 101093034 B1 KR101093034 B1 KR 101093034B1 KR 1020100107982 A KR1020100107982 A KR 1020100107982A KR 20100107982 A KR20100107982 A KR 20100107982A KR 101093034 B1 KR101093034 B1 KR 10109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pport
supporting bolt
couple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10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크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랙크지지대는, 원통형상 단면을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랙크밴드(5)를 지지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부(13); 및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볼트부(1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된 스토퍼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따라서, 랙크의 설치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분기선로 또는 랙크의 요구 개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부품 수가 적어 설치작업 후의 전주의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랙크 지지대{Rack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랙크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현장의 시공조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전주의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랙크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 선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암타이 또는 랙크를 사용하고, 이들 암타이 및 랙크는 밴드와 보울트-너트를 이용하여 전주에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암타이 및 랙크밴드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분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저압선로(1)가 설치된 장주(2)에 분기선로(3)를 추가하여 시설할 경우, 주저압선로(1)로보다 낮은 위치에서 랙크지지편(4)을 사용하여 암타이 및 랙크밴드(5)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저압선의 지상고가 낮아지게되어,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에 접촉하여 단선사고의 우려가 있을 뿐 만 아니라, 복잡한 전선의 연결로 인하여 장주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상고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완철을 부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전선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지고 장주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한편, 기설 밴드의 하부 위치, 예컨대 10cm의 간격을 두고 아래에 암타이 및 랙크밴드를 설치하는 경우, 기설 랙크밴드를 철거한 후에 분기랙크를 설치하기 위한 랙크밴드를 시공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공사비 부담이 있게된다.
한편,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0235040호(2001.06.08)에는, 편출용 D형 랙크가 기재되어 있다. 이 랙크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측지지대와, 외측지지대의 내부로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측지지대, 상기 임의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외측지지대와 내측지지대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지지대의 전체길이를 다단계로 가변시켜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고서, 전선의 돌출상태를 다단계로 전환하고, 지지밴드의 설치구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제20-0136268호(1998.11.11)에는, 랙크의 저면이 소정의 높이 이상 절취하여 외부로 향하도록 절곡시킨 절곡부를 구비하여 랙크 밴드와 전주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키고, 애자 지지편이 기판으로부터 만곡되도록 형성하여 상향 돌출시킨 만곡부를 구성하며, 상기 만곡부에 만곡지지부를 구비하여 애자 지지편의 변형을 막아 저압전선의 결속상태를 유지하고, 불량발생의 원인을 제거하도록 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용신안들은 랙크밴드의 설치 갯수 및 간격이 정해져 있어서, 다양한 시공방향 및 갯수가 요구되는 분기선로 작업의 경우, 각각에 대응하는 여러 종류의 랙크지지대가 필요하므로, 작업 현장의 요구에 유연하게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현장의 시공조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전주의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랙크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체로 원통형상 단면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랙크밴드를 지지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볼트부의 탈락을 방지하도록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랙크지지대는, 분기선로의 갯수에 대응하여 지지볼트부를 몸체에 결합하고, 이 지지볼트부에 랙크를 결합하도록 된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랙크의 설치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분기선로 또는 랙크의 요구갯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부품 수가 적어 설치작업 후의 전주의 미관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저압선로에 랙크밴드를 사용하여 분기선로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랙크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랙크지지대에 랙크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4선 연결용 랙크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랙크지지대 (10)는, 대체로 원통형상 단면을 갖는 몸체(11)와, 이 몸체(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랙크(12)를 지지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부(13) 및, 상기 몸체(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볼트부(1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된 스토퍼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의 상단은 L자 형상으로 굽혀져 절곡부(15)로 형성되고, 이 절곡부(15)의 선단에는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이에 너트(17)를 사용하여 랙크(12)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지지볼트부(13)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몸체(11)의 하단에는 관통구멍(18)이 형성되어, 이에 스토퍼부(14)가 결합되도록 된다. 여기서, 스토퍼부(14)는, 상기 몸체(10)의 관통구멍(18)에 끼워지는 분할핀(14a)과, 몸체(11)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와셔(14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와셔(14b)를 몸체(11)에 관통되게 삽입하고, 관통구멍(18)에 분할핀(14a)을 끼워 분할핀(14a)의 양쪽 선단을 절곡해주면, 지지볼트부(13)가 몸체(1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볼트부(13)는, 그 한쪽 선단에 몸체(11)에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구멍(13a)이 형성되고, 다른 쪽 선단에 나사부(13b)가 형성되어, 이에 너트(17)를 사용하여 랙크(12)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랙크지지대(10)에 암타이 및 랙크밴드(5)와 랙크(12)를 결합하여 2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도시한다. 즉, 암타이 및 랙크밴드(5)의 안쪽을 통해 랙크지지대(10)의 몸체(11)를 결합하고, 지지볼트부(13)와 절곡부(15)에 각각 랙크(12)를 결합한 다음, 이에 너트(17)를 체결하여 조여 주면 랙크(12)의 결합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보다 간단한 구성의 랙크지지대(1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전주의 미관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랙크지지대(10)는, 하나의 지지볼트부(13)와, 몸체(11)의 상단에 구비된 절곡부(15)를 이용하여, 2선용 분기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몸체(11)의 길이를 증가 시키고 이에 지지볼트부(13)의 개수를 증가시켜 작업현장에 맞는 분기작업을 할 수 있는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에 3개의 지지볼트부(13)를 결합하고, 이에 랙크(12)를 각각 체결해주면 4선용 분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암타이 및 랙크밴드(5)의 소요개수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조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랙크 지지대 11: 몸체
12: 랙크 13: 지지볼트부
14: 스토퍼부 15: 절곡부

Claims (4)

  1. 원통형상 단면을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랙크밴드(5)를 지지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지지볼트부(13); 및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지볼트부(1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된 스토퍼부(14)를 포함하는 랙크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의 상단은 L자 형상으로 굽혀져 절곡부(15)로 형성되고, 이 절곡부(15)의 선단에는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이에 너트(17)를 사용하여 랙크(12)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크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볼트부(13)는, 그 한쪽 선단에 몸체(11)에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구멍(13a)이 형성되고, 다른 쪽 선단에 나사부(13b)가 형성되어, 이에 너트(17)를 사용하여 랙크(12)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크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스토퍼부(14)는, 상기 몸체(10)의 관통구멍(18)에 끼워지는 분할핀(14a)과, 몸체(11)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와셔(14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크지지대.
KR1020100107982A 2010-11-02 2010-11-02 랙크 지지대 KR10109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82A KR101093034B1 (ko) 2010-11-02 2010-11-02 랙크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82A KR101093034B1 (ko) 2010-11-02 2010-11-02 랙크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3034B1 true KR101093034B1 (ko) 2011-12-13

Family

ID=4550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982A KR101093034B1 (ko) 2010-11-02 2010-11-02 랙크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0U (ko) * 2017-10-24 2017-11-01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754U (ko) 1980-11-25 1982-06-02
JPH1032918A (ja) 1996-07-15 1998-02-03 Kawasoo Tekuseru Kk 引込線の引込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754U (ko) 1980-11-25 1982-06-02
JPH1032918A (ja) 1996-07-15 1998-02-03 Kawasoo Tekuseru Kk 引込線の引込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0U (ko) * 2017-10-24 2017-11-01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KR200485889Y1 (ko) * 2017-10-24 2018-03-08 고의환 건물 청소용 로프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581A (ko) 지중배선용 보조 지지행거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200464451Y1 (ko) 신호등 지주용 수평지지대
KR101093034B1 (ko) 랙크 지지대
CN103001146A (zh) 钢管杆作业平台及其使用方法
KR10062078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CN102759784B (zh) 终端中继支架
KR101002392B1 (ko) 편출용 케이블헤드 지지금구
CN103259234B (zh) 输电线路刚性跳线非对称v型绝缘子串布置结构
CN106182068A (zh) 一种工业悬臂连接组件
KR20120002838U (ko) 단일형 내장완철 피뢰기 취부용 금구
CN205693277U (zh) 竖井桥架
KR100843162B1 (ko) 전선케이블 경완금 연결장치
KR100589278B1 (ko) 걸이형 스트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 시공 방법
KR20120016790A (ko) 암타이 랙크 밴드
CN106193759A (zh) 一种卡套式安装电杆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CN202646927U (zh) 电缆桥架的转弯支架
KR20130015952A (ko)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20090077397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130039565A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KR100890559B1 (ko) 배전용 전주 조립체.
CN205471101U (zh) 一种物流用输送网带
KR200402539Y1 (ko) 철근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